KR102502297B1 - 차량용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297B1
KR102502297B1 KR1020210004581A KR20210004581A KR102502297B1 KR 102502297 B1 KR102502297 B1 KR 102502297B1 KR 1020210004581 A KR1020210004581 A KR 1020210004581A KR 20210004581 A KR20210004581 A KR 20210004581A KR 102502297 B1 KR102502297 B1 KR 10250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armrest
insertion groov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688A (ko
Inventor
박해주
박철진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2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이 제2위치로 회전한 후 테이블을 지지하는 설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테이블은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힌지를 구비한 내측 연결부 및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내측 힌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외측 힌지를 구비한 외측 연결부를 포함하고, 설치 어셈블리는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내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내측 힌지 삽입홈 및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외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외측 힌지 삽입홈을 포함하여, 적어도 2 이상의 지지점을 가져 테이블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암레스트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가능한 테이블을 구비한 차량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차량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가 설치된다.
암레스트는 차량 탑승자가 팔을 기대어 체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탑승자에 편한함을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한편 부수적인 목적으로,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구비하여, 탑승자가 음료 등을 올려놓거나 독서를 하기위한 기능을 제공하긷도 한다.
이와 관련한 선행문헌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724744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차량의 암레스트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테이블과; 테이블 하부면에 장착되어 테이블과 일체로 상하방향 슬라이딩 및 소정각도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거치대로 구성된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암레스트의 수납공간을 확보하고 테이블 사이즈를 증대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테이블 수납 및 작동이 용이하게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테이블은 테이블 지지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의하면 오직 하나의 힌지에 의하여 지지되는 바, 힌지에 모든 하중이 걸려 힌지나 테이블 지지대가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테이블 특성상 차량 탑승자가 상반신을 기대는 경우가 빈번한 점에서 힌지나 테이블 지지대의 파손 우려는 더욱 상승한다. 또한, 1점에서 지지되는 바, 진동에 취약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47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지지점을 구비하여 펼쳐진 테이블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암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는,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외부커버와 바디 외부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로 승강하게 배치되는 바디 내부커버를 구비한 암레스트 바디, 바디 외부커버와 바디 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 테이블이 제2위치로 회전한 후 테이블을 지지하는 설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테이블은,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힌지를 구비한 내측 연결부,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내측 힌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외측 힌지를 구비한 외측 연결부를 포함한다. 설치 어셈블리는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내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내측 힌지 삽입홈,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외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외측 힌지 삽입홈을 포함한다.
이때, 내측 힌지가 내측 힌지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은, 외측 힌지가 외측 힌지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이때, 내측 힌지의 축은 외측 힌지의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힌지 삽입홈은, 상단이 개구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 외측단이 수직부와 연결되고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 수직부와 수평부의 연결점에 형성되고 곡면을 포함하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힌지 삽입홈은, 외측단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연장된 삽입부, 외측단이 삽입부와 연결되고 삽입부의 연장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어셈블리는 일 단이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이 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테이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는,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외부커버와 바디 외부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로 승강하게 배치되는 바디 내부커버를 구비한 암레스트 바디, 바디 외부커버와 바디 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 테이블이 제2위치로 회전한 후 테이블을 지지하는 설치 어셈블리, 테이블에 형성되고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 바디 내부커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힌지 삽입홈, 일 단이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이 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테이블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암레스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내측 힌지와 내측 힌지가 삽입되는 내측 힌지 삽입홈, 및 외측 힌지와 외측 힌지가 삽입되는 외측 힌지 삽입홈을 포함하는 바, 적어도 2점에서 테이블을 지지하여, 테이블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내측 힌지 삽입홈 내에서 내측 힌지가 이동하는 방향과 외측 힌지 삽입홈 내에서 외측 힌지가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한 바, 테이블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설치 어셈블리는 힌지 외에도 테이블의 하부를 지지하는 테이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바, 적어도 3점에서 테이블을 지지하여, 테이블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의 사시도,
도 2는 어퍼커버 및 로어커버를 탈착하고 암레스트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의 암레스트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바디 외부커버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바디 외부커버 및 바디 내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승강 하우징이 상승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서 A-A 부분을 바라본 평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는 서브레일 어셈블리의 확대도,
도 10은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의 암레스트 바디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테이블이 펼쳐진 상태의 암레스트 바디의 정면도,
도 12는 테이블과 바디 내부커버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3은 테이블이 제1위치에 있을 때의 암레스트 바디의 정단면도,
도 14는 테이블이 제2위치에 있을 때의 암레스트 바디의 정단면도,
도 15는 도 14에서 내측 힌지와 외측 힌지의 이동방향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암레스트(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암레스트 바디(100), 로어커버(200), 어퍼커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 바디(100)는 로어커버(200) 및 어퍼커버(300)를 지지한다. 암레스트 바디(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성요소들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암레스트 바디(100)는 내부에 테이블(400), 승강 어셈블리(500), 설치 어셈블리를 수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로어커버(200)는 암레스트 바디(100)와 어퍼커버(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커버(200)는 암레스트 바디(10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로어커버(200)는 암레스트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커버(200)는 컵을 거치할 수 있는 컵홀더 및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로어커버(200)가 없는 경우, 어퍼커버(300)는 암레스트 바디(10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로어커버(200)가 있는 경우, 어퍼커버(300)는 로어커버(20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어퍼커버(300)를 포함한다. 어퍼커버(300)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여 사용자에 편안함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어퍼커버(300)는 암레스트 바디(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암레스트 바디(10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만약 로어커버(200)가 배치될 경우, 어퍼커버(300)는 로어커버(20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암레스트(10)에서 어퍼커버와 로어커버와 암레스트 바디(100)의 전방에 배치된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암레스트(10)에서 테이블(400)을 상승하여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차량용 암레스트(10)에서 어퍼커버와 로어커버를 탈착한 후, 테이블(400)을 상승시켜 펼칠 수 있고, 탑승자는 테이블(400) 위에서 필요한 작업을 하거나 소지품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암레스트 바디(100)는 바디 외부커버(111)와 바디 내부커버(113)를 포함한다.
바디 외부커버(111)는 외형을 형성한다. 바디 내부커버(113)는 바디 외부커버(11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로 승강하게 배치된다.
바디 외부커버(111)는 바디 내부커버(113)의 측면을 둘러싼다.
바디 외부커버(111)는 상부가 개방되며, 바디 내부커버(113)는 바디 외부커버(111)의 상부로 승강할 수 있다.
바디 내부커버(113)의 상부와 바디 외부커버(111)의 상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격된 공간에 테이블(400)이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테이블(400)을 포함한다. 테이블(400)은 사용자가 물건을 거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레이트이다.
테이블(400)은 바디 외부커버(111)와 바디 내부커버(113) 사이에 배치되고, 바디 내부커버(113)에 결합된다.
테이블(400)은 바디 내부커버(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테이블(400)은 바디 내부커버(113)의 상부 측단에 힌지 결합되는 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우측 테이블(40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펼쳐지고, 좌측 테이블(4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펼쳐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승강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승강 어셈블리(500)는 바디 외부커버(111)의 상방으로 바디 내부커버(113)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승강 어셈블리(500)는 승강 하우징(510), 센터레일 어셈블리(520),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 서브레일 어셈블리(54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 하우징(510)은 바디 내부커버(113)의 내측에 배치된다. 승강 하우징(510)은 바디 내부커버(113)와 결합되며, 바디 내부커버(113)와 일체로 승강한다.
승강 하우징(510)에는 센터레일 어셈블리(520),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 및 서브레일 어셈블리(540)가 연결된다. 승강 하우징(510)이 센터레일 어셈블리(520),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 및 서브레일 어셈블리(5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바디 내부커버(113)가 승강한다.
수직중심선을 정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 하우징(510)을 우측에서 바라볼 때, 승강 하우징(510)을 좌우로 분할하는 가상의 직선이다. 승강 어셈블리(500)는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센터레일 어셈블리(520)를 포함한다. 센터레일 어셈블리(520)는 승강 하우징(510)이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센터레일 어셈블리(520)는 수직중심선 상에 배치되고, 일 측이 승강 하우징(510)에 결합되고, 타 측이 바디 외부커버(111)에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센터레일 어셈블리(520)는 외측 센터레일(521)과 내측 센터레일(522)을 포함한다.
외측 센터레일(521)은 바디 외부커버(111)에 결합된다. 내측 센터레일(522)은 상단이 승강 하우징(510)에 결합된다. 외측 센터레일(521)은 내측 센터레일(52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외측 센터레일(521)은 바디 외부커버(111)에 결합되고 고정된다. 내측 센터레일(522)은 외측 센터레일(521)의 상부로 인출된다. 내측 센터레일(522)이 상승함에 따라, 내측 센터레일(522)과 결합된 승강 하우징(510) 및 바디 내부커버(113)가 상승한다.
센터레일 어셈블리(520)는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바, 승강 하우징(510)을 수직 상방으로 승강하게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를 포함한다.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는 승강 하우징(510)이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측에서 볼 때,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는 수직중심선의 일 측에서 수직중심선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 측이 승강 하우징(510)에 결합되고, 타 측이 바디 외부커버(111)에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는 외측 사이드레일(531)과 내측 사이드레일(532)을 포함한다.
외측 사이드레일(531)은 바디 외부커버(111)에 결합되고, 상하로 연장되되, 일 측방이 개구된다. 내측 사이드레일(532)은 승강 하우징(510)에 결합되고, 상하로 연장되되, 외측 사이드레일(531)을 향하여 개구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외측 사이드레일(531)은 내측이 개구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사이드레일(532)은 외측이 개구된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변형으로부터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측 사이드레일(532)은 외측 사이드레일(53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고, 외측 사이드레일(531)이 내측 사이드레일(532)을 감쌀 수도 있다. 내측 사이드레일(532)은 외측 사이드레일(531)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내측 사이드레일(532)이 승강함에 따라, 승강 하우징(510) 및 바디 내부커버(113)가 승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는 센터레일 어셈블리(520)와 서브레일 어셈블리(540) 사이에 배치된다.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는 센터레일 어셈블리(520)의 양 측에 배치된다. 센터레일 어셈블리(520)는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바, 좌우 흔들림에 취약하다. 따라서, 센터레일 어셈블리(520)의 양 측에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를 배치하여, 승강 하우징(51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한다.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는 센터레일 어셈블리(520)와 서브레일 어셈블리(5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센터레일 어셈블리(520)나 서브레일 어셈블리(540)가 승강시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레일 어셈블리(540)는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 단이 바디 외부커버(111)에 결합되고, 승강 하우징(5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레일 어셈블리(540)는 승강 하우징(510)의 일 측 단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 단이 바디 외부커버(111)에 결합되고, 승강 하우징(5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서브레일 어셈블리(540)는 바디 내부커버(113)가 최대한 상승하였을 때, 수평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서브레일 어셈블리(540)는 급격하게 힘이 가해진 경우, 이동속도나 진동을 감쇄하는 댐퍼(Dampe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레일 어셈블리(540)의 상단은 내측 사이드레일(532)의 하단보다 위에 배치된다. 승강 하우징(510)이 상승함에 따라, 내측 사이드레일(532)은 외측 사이드레일(531)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승강 하우징(510)이 상방 임계위치까지 상승한 때, 내측 사이드레일(532)의 하측 일부는 외측 사이드레일(531)과 중첩된다. 서브레일 어셈블리(540)의 상단은 내측 사이드레일(532)의 하단보다 위에 배치되는 바, 서브레일 마운트(542)는 상기 중첩된 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승강 어셈블리(500)가 상방으로 최대한 상승한 경우, 내측 사이드레일(532)의 하부와 외측 사이드레일(531)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승강 하우징(510)이 지지된다. 또한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의 외측에 배치된 서브레일 어셈블리(540)의 상단에서도 승강 하우징(510)이 지지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커버(113)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레일 어셈블리(540)의 상단은 내측 센터레일(522)의 하단보다 위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승강 하우징(510)이 상방 임계위치가지 상승한 때, 내측 센터레일(522)의 하측 일부는 외측 센터레일(521)과 중첩된다. 서브레일 마운트(542)는 상기 중첩된 부분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바디 내부커버(113)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전후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서브레일 어셈블리(540)는 서브레일(541), 서브레일 마운트(542), 부싱(543)을 포함한다.
서브레일(541)은 상하로 연장 형성되고, 상단 및 하단이 바디 외부커버(111)에 결합된다. 서브레일(541)은 바디 외부커버(111)의 측벽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서브레일 마운트(542)는 일 측이 승강 하우징(510)에 결합되고, 서브레일(541)이 관통된다. 서브레일 마운트(542)는 승강 하우징(510)의 일 측면에 결합된다. 서브레일 마운트(542)는 상하로 개방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서브레일(541)이 관통한다. 서브레일 마운트(542)는 서브레일(541)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며, 승강 하우징(510)을 안내한다. 바디 내부커버(113)나 테이블(400)에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일 측에 편중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서브레일 마운트(542)는 서브레일(541)에 걸려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 내부커버(113)나 테이블(4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부싱(543)은 서브레일(541)과 서브레일 마운트(542) 사이에 배치되고, 서브레일 마운트(542)에 결합된다. 부싱(543)은 서브레일 마운트(542)의 관통홀에 삽입된다. 부싱(543)은 상하로 개붕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 서브레일(541)이 관통한다. 즉, 서브레일 마운트(542)의 관통홀에 부싱(543)이 삽입된 후, 서브레일(541)이 관통한다.
부싱(543)은 수평부(5431)와 삽입부(5432)로 구분될 수 있다.
삽입부(5432)는 서브레일 마운트(542)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중공 형상을 갖는다. 삽입부(5432)는 서브레일 마운트(542)가 하방 임계위치에 있을 때, 서브레일(541)의 하단과 접촉한다. 따라서, 삽입부(5432)는 스토퍼의 기능 및 완충기능을 수행한다.
수평부(5432)는 삽입부(5432)의 상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수평부(5432)는 서브레일 마운트(542)가 상방 임계위치에 있을 때, 서브레일(541)의 상단과 접촉한다. 따라서, 수평부(5432)는 스토퍼의 기능 및 완충기능을 수행한다.
도 10를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설치 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설치 어셈블리(600)는 테이블(400)을 펼치고, 펼친 테이블(40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설치 어셈블리(600)는 테이블(400)이 제2위치로 회전한 후 테이블(400)을 지지한다.
테이블(400)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하로 배치되어 바디 내부커버(113)에 밀착된 것을 제1위치로 정의하고,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좌우로 배치되어 펼쳐진 것을 제2위치로 정의한다. 이때, 설치 어셈블리(600)는 테이블(400)이 펼쳐진 제2위치 상태로 유지되도록 테이블(400)을 지지하고, 제1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테이블(400)은 내측 연결부(411)와 외측 연결부(421)를 포함한다.
내측 연결부(411)는 내측 힌지(412)를 포함한다. 내측 힌지(412)는 바디 외부커버(111)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내측 힌지(412)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내측 연결부(411)는 테이블(400)의 내측단을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설치 어셈블리(600)는 내측 힌지(412)와 체결되는 내측 힌지 삽입홈(611)을 포함한다. 내측 힌지 삽입홈(611)은 바디 내부커버(113)에 형성되고, 내측 힌지(41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내측 힌지 삽입홈(611)은 내측 연결부(411)를 따라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테이블(400)은 내측 힌지(41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내측 힌지 삽입홈(611)은 수직부(6112), 수평부(6111) 및 굴곡부(6113)를 포함한다.
수직부(6112)는 상단이 개구되고, 하방으로 연장된다. 내측 힌지(412)는 수직부(6112) 상단을 통하여 내측 힌지 삽입홈(611)에 삽입된다. 수직부(6112)는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6111)는 외측단이 수직부(6112)와 연결되고, 내측으로 연장된다. 수평부(6111)의 연장방향은 수직부(6112)의 연장방향과 교차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내측 힌지(412)가 내측 힌지 삽입홈(611) 내부에서 회전하거나 슬라이딩 할 때, 내측 힌지 삽입홈(611)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수평부(6111)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6113)는 수직부(6112)와 수평부(6111)의 연결점에 형성되고, 곡면을 포함한다. 제1위치의 테이블(400)이 제2위치로 회전될 때, 내측 힌지(412)는 굴곡부(611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외측 연결부(421)는 외측 힌지(422)를 포함한다. 외측 힌지(422)는 바디 외부커버(111)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내측 힌지(41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설치 어셈블리(600)는 외측 힌지(422)와 체결되는 외측 힌지 삽입홈(621)을 포함한다. 외측 힌지 삽입홈(621)은 바디 내부커버(113)에 형성되고, 외측 힌지(42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외측 힌지 삽입홈(621)은 삽입부(6211) 및 걸림부(6212)를 포함한다.
삽입부(6211)는 외측단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연장된다. 외측 힌지(422)는 삽입부(6211)의 외측에서 수평 방향 내측으로 삽입된다.
걸림부(6212)는 외측단이 삽입부(6211)와 연결되고, 삽입부(6211)의 연장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외측 힌지(422)는 걸림부(6212)에서 삽입 방향이 전환되는 바, 외측 힌지 삽입홈(62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삽입부(6211)의 연장방향은 내측 힌지 삽입홈(611)의 수평부(6111)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제2위치로 회전한 테이블(400)이 내측 힌지 삽입홈(611)의 수평부(6111)를 따라 삽입될 때 외측 힌지(422)가 외측 힌지 삽입홈(621)으로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6211)가 수평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때, 걸림부(6212)의 연장방향은 삽입부(6211)의 연장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 걸림부(6212)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외측 힌지(422)가 걸림부(6212)에 걸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할 때, 회전중심은 내측 힌지(412)인 바, 테이블(400)에는 테이블(400)의 자중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고, 외측 힌지(422)에서는 반력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는 바, 걸림부(6212)를 하방으로 연장함으로써, 외측 힌지(422)가 외측힌지 삽입홈(621)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내측 힌지(412)가 내측 힌지 삽입홈(611)에 삽입되는 방향은, 외측 힌지(422)가 외측 힌지 삽입홈(621)에 삽입되는 방향과 상이하다. 도 15를 예를 들면, 내측 힌지(412)는 내측 힌지 삽입홈(611)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되고, 외측 힌지(422)는 외측힌지 삽입홈(621)의 우측에서 좌측방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차량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테이블(400)의 고정이 자연스럽게 해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내측 힌지(412)의 축은 외측 힌지(422)의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내측 힌지(412)의 축은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고, 외측 힌지(422)의 축은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또는, 내측 힌지(412)의 축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외측 힌지(422)의 축은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외측 힌지(422)에 하중이 집중되어 외측 힌지(4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테이블 지지대(631)를 포함한다. 테이블 지지대(631)는 펼쳐진 테이블(40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테이블 지지대(631)는 일 단이 바디 내부커버(1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이 테이블(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테이블 지지대(631)는 사각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테이블(400)이 제2위치에 위치된 때, 테이블 지지대(631)는 외측 상향의 경사를 갖는다.
도 10 참조하면, 테이블(400)은 하부면에서 상부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테이블 지지슬릿(431)을 포함한다. 테이블 지지대(631)의 타단은 상기 테이블 지지슬릿(431)에 삽입된다.
테이블 지지슬릿(431)에는 테이블 지지대(63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테이블(400)이 제1위치에 있을 때, 테이블 지지대(631)의 상부면은 전체적으로 테이블 지지슬릿(431)에 삽입된다. 테이블(400)이 제1위치에 있을 때, 테이블 지지대(631)의 내측단은 테이블 지지슬릿(431)의 내측단에 배치되고, 테이블 지지대(631)의 외측단은 테이블 지지슬릿(431)의 외측단에 배치된다. 테이블(400)이 제2위치로 회전할 때, 테이블 지지대(631)의 외측단은 테이블 지지슬릿(431)을 따라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테이블 지지대(631)는 테이블(400)에 걸리는 걸림턱(4311)을 포함하고, 테이블(400)은 테이블 지지대(631)의 걸림턱(6311)이 걸리는 걸림홈(432)을 포함한다. 테이블(400)은 테이블 지지대(631)에 걸림으로써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설치 어셈블리(600)는 테이블 지지대(631)의 타 단에 단차가 형성된 걸림턱(6311)을 포함한다. 테이블(400)은 테이블 지지슬릿(431)에 형성되고, 걸림턱(6311)이 걸리고 테이블 지지대(631)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걸림홈(432)을 포함한다.
테이블 지지대(631)의 걸림턱(6311)은 외측이 내측보다 하부에 배치된 단차를 형성한다. 테이블 지지슬릿의 걸림홈(432)은 외측이 내측부다 하부에 배치된 단차를 형성한다. 걸림턱(6311)이 걸림홈(432)에 걸림으로써, 테이블 지지대(631)는 테이블 지지슬릿(431)의 외측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될 수 없다. 따라서, 테이블(4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암레스트(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암레스트(10)에서 로어커버 및 어퍼커버를 탈착하면 테이블(400)을 꺼내 설치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바디 내부커버(113)는 승강 어셈블리(500)에 의하여 바디 외부커버(111)의 상부로 상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승강 하우징(510)은 센터레일 또는 사이드레일 또는 서브레일(541)을 통하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이블(400)이 결합된 바디 내부커버(113)가 상승한다. 승강 어셈블리(500)는 승강 하우징(510)의 양 측단에 서브레일 어셈블리(540)를 포함하는 바, 승강 하우징(510)의 센터레일 어셈블리(520) 또는 사이드레일 어셈블리(530)의 상부로 최대한 상승한 경우에도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테이블(400)은 설치 어셈블리(600)에 의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펼쳐져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시간 순서대로 설치단계를 설명한다.
제1위치에 있던 테이블(400)은 내측힌지(41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2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테이블 지지대(631)는 내측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측단은 테이블 지지슬릿(431)을 따라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내측 힌지(412)는 내측 힌지 삽입홈(611) 중 굴곡부(6113)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위치에 있던 테이블(400)은 내측방으로 이동하며 고정된다. 이때, 내측 힌지(412)는 내측 힌지 삽입홈(611) 중 수평부(6111)를 따라 내측단으로 이동한다. 이때, 외측 힌지(422)는 외측 힌지 삽입홈(621)에 삽입되고 걸림부(6212)의 내측단으로 이동하여 고정된다. 이때, 테이블 지지대(631)의 걸림턱(6311)은 테이블 지지슬릿의 걸림홈(432)에 걸려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암레스트(10)는 설치 어셈블리(600)를 따라 테이블(400)이 펼쳐져 설치될 수 있다. 테이블(400)에 배치된 내측 힌지(412)와 외측 힌지(422)가 내측 힌지 삽입홈(611)과 외측 힌지 삽입홈(621)에 각각 삽입되고 서로 연관되어 이동/회전하는 바, 최소한의 설치부재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블 지지대(631)도 테이블(400)에 배치된 내측힌지(412)와 연관되어 이동/회전하는 바,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차량용 암레스트 100: 암레스트 바디
111: 바디 외부커버 113: 바디 내부커버
200: 로어커버 300: 어퍼커버
400: 테이블
411: 내측 연결부 412: 내측 힌지
421: 외측 연결부 422: 외측 힌지
431: 테이블 지지슬릿 432: 걸림홈
500: 승강 어셈블리
510: 승강 하우징 520: 센터레일 어셈블리
530: 사이드레일 어셈블리 540: 서브레일 어셈블리
600: 설치 어셈블리
611: 내측 힌지 삽입홈 6111: 수평부
6112: 수직부 6113: 굴곡부
621: 외측 힌지 삽입홈 6211: 삽입부
6212: 걸림부
631: 테이블 지지대 6311: 걸림턱

Claims (9)

  1.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외부커버와, 상기 바디 외부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바디 내부커버를 구비한 암레스트 바디;
    상기 바디 외부커버와 상기 바디 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이 제2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테이블을 지지하는 설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힌지를 구비한 내측 연결부;
    상기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측 힌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외측 힌지를 구비한 외측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내측 힌지 삽입홈;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외측 힌지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힌지 삽입홈은,
    상단이 개구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힌지가 상기 내측 힌지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은,
    상기 외측 힌지가 상기 외측 힌지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과 상이한 차량용 암레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힌지의 축은,
    상기 외측 힌지의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힌지 삽입홈은,
    외측단이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고,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부;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의 연결점에 형성되고 곡면을 포함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5.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외부커버와, 상기 바디 외부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바디 내부커버를 구비한 암레스트 바디;
    상기 바디 외부커버와 상기 바디 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이 제2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테이블을 지지하는 설치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힌지를 구비한 내측 연결부;
    상기 바디 외부커버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내측 힌지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외측 힌지를 구비한 외측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내측 힌지 삽입홈;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외측 힌지 삽입홈; 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힌지 삽입홈은,
    외측단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연장된 삽입부;
    외측단이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어셈블리는,
    일 단이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테이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하부면에서 상부로 함몰하여 형성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테이블 지지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 지지대의 타 단은 상기 테이블 지지슬릿에 삽입되는 차량용 암레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어셈블리는,
    상기 테이블 지지대의 타 단에 단차가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 지지슬릿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걸리고, 상기 테이블 지지대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9. 외형을 형성하는 바디 외부커버와, 상기 바디 외부커버의 내측에 배치된 바디 내부커버를 구비한 암레스트 바디;
    상기 바디 외부커버와 상기 바디 내부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이 제2위치로 회전한 후 상기 테이블을 지지하는 설치 어셈블리;
    일 단이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이 상기 테이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테이블 지지대;
    상기 바디 내부커버에 형성되고, 내측 힌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내측 힌지 삽입홈; 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힌지 삽입홈은,
    상단이 개구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암레스트.
KR1020210004581A 2021-01-13 2021-01-13 차량용 암레스트 KR10250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581A KR102502297B1 (ko) 2021-01-13 2021-01-13 차량용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581A KR102502297B1 (ko) 2021-01-13 2021-01-13 차량용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688A KR20220102688A (ko) 2022-07-21
KR102502297B1 true KR102502297B1 (ko) 2023-02-24

Family

ID=8260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581A KR102502297B1 (ko) 2021-01-13 2021-01-13 차량용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2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0323A1 (en) * 2015-04-15 2018-04-26 Facc Ag Folding table
KR101926382B1 (ko) * 2017-11-09 2018-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0796B2 (ja) * 1998-02-17 2007-10-17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
KR101724744B1 (ko) 2011-11-17 201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의 테이블 구조
KR102064567B1 (ko) * 2018-04-12 2020-01-10 현대자동차(주) 테이블 가변형 콘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0323A1 (en) * 2015-04-15 2018-04-26 Facc Ag Folding table
KR101926382B1 (ko) * 2017-11-09 2018-1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콘솔 테이블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688A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9978A (en) Vehicular convertible cupholder
CN107128226B (zh) 可折叠隐藏的盘桌
US7401857B2 (en) Liftable seat in a vehicle
KR102502296B1 (ko) 차량용 암레스트
KR102502297B1 (ko) 차량용 암레스트
JP2006151286A (ja) 車両用容器保持装置
US10737627B2 (en) Luggage room assembly mounted in vehicle
KR102061854B1 (ko) 자동차용 맵 포켓 개방 장치
KR101876121B1 (ko) 폴딩식 시트와 연동되는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JP2000062510A (ja) 車両の物品収納部
KR102236181B1 (ko)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KR102662801B1 (ko)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CN108569171B (zh) 用于座椅靠背的铰接锁定机构
JP5792042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581167B1 (ko) 자동차용 시트 트레이
KR20010039575A (ko) 팝업기구
KR102662800B1 (ko)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
KR200481317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JP2019152037A (ja) 駐輪装置
KR102661538B1 (ko) 캠핑카 루프 구조체
US7513554B2 (en) Cup holder
KR102257810B1 (ko)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캠핑 장치
KR19980052435U (ko)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WO2023038021A1 (ja) 車両のカップホルダ構造
KR20240062593A (ko) 차량용 트렁크 이너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