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538B1 - 캠핑카 루프 구조체 - Google Patents

캠핑카 루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538B1
KR102661538B1 KR1020230172798A KR20230172798A KR102661538B1 KR 102661538 B1 KR102661538 B1 KR 102661538B1 KR 1020230172798 A KR1020230172798 A KR 1020230172798A KR 20230172798 A KR20230172798 A KR 20230172798A KR 102661538 B1 KR102661538 B1 KR 10266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support
curved
frame
rotat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환
Original Assignee
이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환 filed Critical 이도환
Priority to KR102023017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 B60J7/162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J7/163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non-convertible vehicles
    • B60J7/16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non-foldable and rigid, e.g. a one-piece hard-top or a single rigid roof panel for covering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non-convertible vehicles at least a major part of the roof being lifted on all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2Ro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하나만 올려서 루프를 45도 각도로 배치하거나 4주식으로 루프의 전단과 후단을 모두 올려서 루프를 배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캠핑카 루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캠핑카의 지붕을 덮고 배치되는 루프; 상기 루프의 후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루프의 전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캠핑카의 지붕으로부터 상기 루프의 전단을 들어 올려 주는 한 쌍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캠핑카 루프 구조체{Camping car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캠핑카 루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하나만 올려서 루프를 45도 각도로 배치하거나 4주식으로 루프의 전단과 후단을 모두 올려서 루프를 배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캠핑카 루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이용한 다양한 오토 캠핑 장비들이 소개되었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차량은 밴 타입의 차량이 주로 이용 된다.
레저용 차량에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목적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한 오토 캠핑 차량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루프(지붕) 상부에 화물이나 짐을 보관할 수 있는 캐리어를 장착하거나 루프를 개폐 가능한 구조로 변경한 차량 등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루프 구조는, 가스 댐퍼를 사용하여 직접 팝업 지붕의 한쪽을 올리고 내리도록 되어 있어 팝업 지붕을 펼쳐서 사용 시 견고하게 팝업 지붕을 받쳐주지 못해 풍향의 영향을 받을 경우 지붕의 자세 변형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부품들과 설치 시설물들을 차체 지붕면에 직접 설치하거나 구조물에 복잡하게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519660호 (2023.04.10.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루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하나만 올려서 루프를 45도 각도로 배치하거나 4주식으로 루프의 전단과 후단을 모두 올려서 루프를 배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캠핑카 루프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는, 캠핑카의 지붕을 덮고 배치되는 루프; 상기 루프의 후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루프의 전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캠핑카의 지붕으로부터 상기 루프의 전단을 들어 올려 주는 한 쌍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후단이 캠핑카의 지붕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후단이 상기 루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중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단과 "X" 형상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전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루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상단 프레임; 및 전단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단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루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방에 배치되는 하단이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및 후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전단이 캠핑카의 지붕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경사 지지대를 회동 구동시켜 주는 쇼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는, 상기 루프의 전단의 일측과 캠핑카의 지붕의 일측 사이 및 상기 루프의 전단의 타측과 캠핑카의 지붕의 타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승강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루프의 전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루프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 지지대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루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제1 곡선형 지지부;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와 포개져 안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의 하단에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곡선형 지지부; 및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와 상기 제2 곡선형 지지부가 각각 직립함에 따라 서로 밀착되는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의 하단과 상기 제2 곡선형 지지부의 상단을 각각 체결하여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루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곡선 프레임;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형 지지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곡선 프레임;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 프레임과 상기 제2 곡선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3 곡선 프레임;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 프레임, 상기 제2 곡선 프레임 및 상기 제3 곡선 프레임의 각 외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도 바아;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의 외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바아를 체결하며, 상기 유도 바아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곡선 프레임과 상기 제3 곡선 프레임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주는 제1 바아 체결부; 상기 제2 곡선 프레임의 외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바아를 체결하며, 상기 유도 바아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2 곡선 프레임과 상기 제3 곡선 프레임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주는 제2 바아 체결부; 및 제3 곡선 프레임의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 바아에 고정 설치되어 성기 유도 바아를 지지하는 제3 바아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은,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루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제3 곡선 프레임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스프링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과 상기 제3 곡선 프레임 상단 간의 간격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과 상기 제3 곡선 프레임 상단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간격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아 체결부는,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의 외향면에 설치되는 체결 블록; 상기 유도 바아가 관통하고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 바아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 블록을 관통하고 형성되는 바아 안착부; 및 상기 바아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유도 바아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는 렉기어에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유도 바아를 따라 상기 체결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루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하나만 올려서 루프를 45도 각도로 배치하거나 4주식으로 루프의 전단과 후단을 모두 올려서 루프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루프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1 곡선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10)는, 루프(100), 한 쌍의 제1 지지부(200) 및 한 쌍의 제2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루프(100)는, 한 쌍의 제1 지지부(200) 및 한 쌍의 제2 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되어 캠핑카(1)의 지붕을 덮고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지지부(200)는, 루프(100)의 후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루프(100)를 캠핑카(1)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한 쌍의 제2 지지부(300)는, 루프(100)의 전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캠핑카(1)의 지붕으로부터 루프(100)의 전단을 들어 올려 준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20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300)와 전후 대칭 구조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10)는, 루프의 전단 또는 후단 중 하나만 올려서 루프를 45도 각도로 배치하거나 4주식으로 루프의 전단과 후단을 모두 올려서 루프를 배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200)는, 제1 지지 프레임(210), 제2 지지 프레임(220), 상단 프레임(230) 및 하단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프레임(210)은, 후단이 캠핑카(1)의 지붕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프레임(220)은, 후단이 루프(10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중단이 제1 지지 프레임(210)의 중단과 "X" 형상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루프(100)의 후단을 지지한다.
상단 프레임(230)은, 전단이 제1 지지 프레임(21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루프(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루프(100)를 지지한다.
하단 프레임(240)은, 전단이 제2 지지 프레임(22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캠핑카(1)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300)는, 경사 지지대(310) 및 쇼바(320)를 포함한다.
경사 지지대(310)는, 상단이 루프(10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방에 배치되는 하단이 캠핑카(1)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루프(100)를 지지한다.
쇼바(320)는, 후단이 경사 지지대(3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전단이 캠핑카(1)의 지붕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경사 지지대(310)를 회동 구동시켜 준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200a)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300)의 경사 지지대(310) 및 쇼바(320)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20)는, 루프(100), 한 쌍의 제1 지지부(200), 한 쌍의 제2 지지부(300) 및 한 쌍의 루프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루프(100), 한 쌍의 제1 지지부(200) 및 한 쌍의 제2 지지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 쌍의 루프 지지대(400)는, 루프(100)의 전단의 일측과 캠핑카(1)의 지붕의 일측 사이 및 루프(100)의 전단의 타측과 캠핑카(1)의 지붕의 타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승강되어 있는 상태의 루프(100)의 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 루프 구조체(20)는, 승강되어 있는 상태의 루프(100)의 전단을 지지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해 루프(10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루프(100)의 파손을 효고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루프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루프 지지대(400)는, 제1 곡선형 지지부(410), 제2 곡선형 지지부(420) 및 고정 볼트(430)를 포함한다.
제1 곡선형 지지부(410)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루프(10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루프(100)를 지지한다.
제2 곡선형 지지부(420)는, 제1 곡선형 지지부(410)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제1 곡선형 지지부(410)와 포개져 안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제1 곡선형 지지부(410)의 하단에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캠핑카(1)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곡선형 지지부(410)를 지지한다.
고정 볼트(430)는, 제1 곡선형 지지부(410)와 제2 곡선형 지지부(420)가 각각 직립함에 따라 서로 밀착되는 제1 곡선형 지지부(410)의 하단과 제2 곡선형 지지부(420)의 상단을 각각 체결하여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고정시켜 준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1 곡선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곡선형 지지부(410)는, 제1 곡선 프레임(411), 제2 곡선 프레임(412), 제3 곡선 프레임(413), 유도 바아(414), 제1 바아 체결부(415), 제2 바아 체결부(416) 및 제3 바아 체결부(417)를 포함한다.
제1 곡선 프레임(411)은,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루프(10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곡선 프레임(411)은, 프레임 바디(4111), 프레임 안착홈(4112) 및 간격 지지 스프링(411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4111)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루프(10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프레임 안착홈(4112)은, 제3 곡선 프레임(413)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4111)의 하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프레임 바디(411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간격 지지 스프링(4113)은, 프레임 바디(4111)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스프링 안착홈에 설치되어 프레임 바디(4111)의 하단과 제3 곡선 프레임(413) 상단 간의 간격을 지지하는 동시에 프레임 바디(4111)의 하단과 제3 곡선 프레임(413) 상단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제2 곡선 프레임(412)은, 제1 곡선 프레임(41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2 곡선형 지지부(42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제2 곡선 프레임(412)은, 상술한 제1 곡선 프레임(411)과 대칭 구조로서, 제1 곡선 프레임(411)의 프레임 바디(4111), 프레임 안착홈(4112) 및 간격 지지 스프링(4113)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 곡선 프레임(413)은, 제1 곡선 프레임(41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곡선 프레임(411)과 제2 곡선 프레임(412) 사이에 연결 설치된다.
유도 바아(414)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곡선 프레임(411), 제2 곡선 프레임(412) 및 제3 곡선 프레임(413)의 각 외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바아 체결부(415)는, 제1 곡선 프레임(411)의 외향면에 설치되어 유도 바아(414)를 체결하며, 유도 바아(4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 곡선 프레임(411)과 제3 곡선 프레임(413)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아 체결부(415)는, 체결 블록(4151), 바아 안착부(4152) 및 구동 기어(415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블록(4151)은, 제1 곡선 프레임(411)의 외향면에 설치된다.
바아 안착부(4152)는, 유도 바아(414)가 관통하고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유도 바아(414)의 곡률에 대응하여 체결 블록(4151)을 관통하고 형성된다.
구동 기어(4153)는, 바아 안착부(4152)에 안착되어 있는 유도 바아(414)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는 렉기어에 기어 결합에 의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유도 바아(414)를 따라 체결 블록(4151)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한다.
제2 바아 체결부(416)는, 제2 곡선 프레임(412)의 외향면에 설치되어 유도 바아(414)를 체결하며, 유도 바아(4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2 곡선 프레임(412)과 제3 곡선 프레임(413)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준다.
여기서, 제2 바아 체결부(416)는, 제1 바아 체결부(415)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바아 체결부(415)의 체결 블록(4151), 바아 안착부(4152) 및 구동 기어(415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 바아 체결부(417)는, 제3 곡선 프레임(413)의 외향면에 설치되며, 유도 바아(414)에 고정 설치되어 성기 유도 바아(414)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루프 지지대(400)는, 루프(100)의 지지 높이를 손쉽게 가변시켜 줌은 물론, 루프(10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하여 루프(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캠핑카 루프 구조체
100: 루프
200: 제1 지지부
300: 제2 지지부
400: 루프 지지대

Claims (3)

  1. 캠핑카의 지붕을 덮고 배치되는 루프;
    상기 루프의 후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
    상기 루프의 전단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캠핑카의 지붕으로부터 상기 루프의 전단을 들어 올려 주는 한 쌍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루프의 전단의 일측과 캠핑카의 지붕의 일측 사이 및 상기 루프의 전단의 타측과 캠핑카의 지붕의 타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승강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루프의 전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루프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 지지대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루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제1 곡선형 지지부;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와 포개져 안착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의 하단에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단이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곡선형 지지부; 및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와 상기 제2 곡선형 지지부가 각각 직립함에 따라 서로 밀착되는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의 하단과 상기 제2 곡선형 지지부의 상단을 각각 체결하여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지지부는,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루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곡선 프레임;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 곡선형 지지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곡선 프레임;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 프레임과 상기 제2 곡선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3 곡선 프레임;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 프레임, 상기 제2 곡선 프레임 및 상기 제3 곡선 프레임의 각 외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유도 바아;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의 외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바아를 체결하며, 상기 유도 바아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곡선 프레임과 상기 제3 곡선 프레임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주는 제1 바아 체결부;
    상기 제2 곡선 프레임의 외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 바아를 체결하며, 상기 유도 바아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2 곡선 프레임과 상기 제3 곡선 프레임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주는 제2 바아 체결부; 및
    제3 곡선 프레임의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도 바아에 고정 설치되어 성기 유도 바아를 지지하는 제3 바아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 프레임은,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루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제3 곡선 프레임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 및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되는 스프링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과 상기 제3 곡선 프레임 상단 간의 간격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 바디의 하단과 상기 제3 곡선 프레임 상단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간격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캠핑카 루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후단이 캠핑카의 지붕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후단이 상기 루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중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단과 "X" 형상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전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루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상단 프레임; 및
    전단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단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루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방에 배치되는 하단이 캠핑카의 지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루프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및
    후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전단이 캠핑카의 지붕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상기 경사 지지대를 회동 구동시켜 주는 쇼바;를 포함하는, 캠핑카 루프 구조체.
  3. 삭제
KR1020230172798A 2023-12-01 2023-12-01 캠핑카 루프 구조체 KR10266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2798A KR102661538B1 (ko) 2023-12-01 2023-12-01 캠핑카 루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2798A KR102661538B1 (ko) 2023-12-01 2023-12-01 캠핑카 루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538B1 true KR102661538B1 (ko) 2024-04-25

Family

ID=9088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798A KR102661538B1 (ko) 2023-12-01 2023-12-01 캠핑카 루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5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877A (ko) * 2020-11-26 2022-06-03 오완곤 차량용 루프장치
CN218316441U (zh) * 2022-11-06 2023-01-17 上海安迪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助力的房车斜顶车顶电动电动手动顶升支架
KR102519660B1 (ko) 2021-04-08 2023-04-10 주식회사 나인텍 루프 확장형 캠핑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877A (ko) * 2020-11-26 2022-06-03 오완곤 차량용 루프장치
KR102519660B1 (ko) 2021-04-08 2023-04-10 주식회사 나인텍 루프 확장형 캠핑카
CN218316441U (zh) * 2022-11-06 2023-01-17 上海安迪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助力的房车斜顶车顶电动电动手动顶升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908B1 (ko) 자동차용 시트 격납 장치
JP5690737B2 (ja) 折り畳み式座席
CN105882540B (zh) 内置地图袋
KR101337935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JP6156280B2 (ja) 車両の後席エアバッグ装置
JP5458079B2 (ja) 車両後部構造
KR102661538B1 (ko) 캠핑카 루프 구조체
US10988058B1 (en) Seat assembly having an anti-submarine bracket
JP2015003584A (ja) 乗物用シート
US7052026B2 (en) Bracket device for bicycle trailer frames
JPH0481369A (ja) 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CN1608890A (zh) 用于车辆的下陷座椅
JP2005178774A (ja) 乗物シート構造、およびそのような構造を有するシートを備えた乗物
JP4211451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S5839535A (ja) 自動車の後部座席の支持装置
JP2006290287A (ja) 車両用フード装置
JP2002225603A (ja) 車両用シート
US2128168A (en) Automobile crib construction
JP2008521690A (ja) 開放式の車体構造を備える自動車用ウィンドディフレクタデバイス
JP4206791B2 (ja) シー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H0764238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構造
JP2676639B2 (ja) トランクスルー型車両の積載物固定装置
JP4058814B2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KR100501011B1 (ko) 자동차 보조시트 폴딩장치
KR102503432B1 (ko) 레일을 이용한 플랫 리어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