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435U -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 Google Patents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435U
KR19980052435U KR2019960065614U KR19960065614U KR19980052435U KR 19980052435 U KR19980052435 U KR 19980052435U KR 2019960065614 U KR2019960065614 U KR 2019960065614U KR 19960065614 U KR19960065614 U KR 19960065614U KR 19980052435 U KR19980052435 U KR 199800524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ding plate
seat back
locking
supporting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5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5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435U/ko
Publication of KR19980052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43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식판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의 필요시에 용이하게 전개하여 식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그 일단부가 시트 백(1)의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시트 백(1)의 후방으로 2번 절곡되는 한 쌍의 지지봉(A)과; 한 쌍의 지지봉(A)의 타단부에 각각 힌지(42)에 의해 결합되고, 그 반대측에 개방구(20')를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릿홈(21)이 형성되는 홀딩판(20)과; 홀딩판(20)의 공간부로 수납되며, 슬릿홈(21)을 따라 안내되는 걸림턱(11)이 형성되는 이동판(10)과; 홀딩판(20)의 전개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홀딩판(20)의 하부면에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대(50)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음식을 올려놓을 수 있는 식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업무나 독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간이 책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개 및 수납이 용이하도록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Hangar-type Tea Table Established Seat Back)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편의시설이 장착되는데, 그 중 하나인 컵 홀더는 글로우브 박스의 주변에 부착되거나 프론트 시트의 윗부분에 고정되어 장착되며, 탑승자가 음료수가 담긴 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된 편의시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동차에는 컵을 올려놓을 수 있는 컵 홀더만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 내에서 과일 등의 음식을 먹을 때에는 이를 받칠만한 시설이 없음으로, 음식물의 찌꺼기에 의해 차 바닥이 더럽혀 지게 되고, 이를 방지하지 위해서는 음식을 먹는 탑승객의 무릎에 신문지 등을 펼쳐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시트 백의 후면에 밀착되어 수납되고, 탑승자의 필요시에는 용이하게 전개하여 식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판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판이 전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판20:홀딩판
30:고정봉32:잠금고리
40:슬라이딩봉50:받침대
A:지지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부가 시트 백의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시트 백의 후방으로 2번 절곡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의 타단부에 각 힌지에 의 해 결합되고, 그 반대측에 개방구를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릿홈이 형성되는 홀딩판과; 상기 홀딩판의 공간부로 수납되며, 상기 슬릿홈을 따라 안내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이동판과; 상기 홀딩판의 전개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판의 하부면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각 지지봉의 일측에는, 상기 홀딩판이 시트 백의 후면에 밀착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회동식 잠금고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지지봉은, 일단이 시트 백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홀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홀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홀딩판과 힌지로 결합되는 슬라이딩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동판의 일정위치에 컵 홀더용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식판을 시트 백에 수납시킬 때는, 이동판을 홀딩판 내부에 삽입하고, 슬라이딩봉을 상승시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홀딩판을 접은 다음, 잠금고리를 돌려서 홀딩판을 시트 백의 후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그리고, 식판을 전개시킬 때는, 잠금고리를 돌려서 홀딩판을 외측으로 전개시키면 받침대에 의해 전개된 홀딩판은 수평상태가 된다. 이때, 걸림돌기를 손으로 밀어서 걸림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하면, 슬라이딩봉이 고정봉으로부터 하강됨에 따라 홀딩판이 하강된다. 그리고, 홀딩판으로부터 이동판의 전개시킴으로써, 홀딩판과 이동판을 식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에 따른 식판이 시트 백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판의 전개 및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판에 장착되는 식판은, 이동판(10), 홀딩판(20), 지지봉(A) 및 받침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판(10)은 직사각형의 형상의 판으로, 하면 후방에는 원통형상의 걸림턱(11)이 형성된다. 이 이동판(10)의 일정위치에는 컵을 올려놓을 수 있는 컵 홀더용 관통된 개구(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홀딩판(20)은 상기 이동판(1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일측에 개방구(20')를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이 홀딩판(2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11)이 끼워지는 슬릿홈(21)을 전후방향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걸림턱(11)이 슬릿홈(21)의 후방 종단에 위치할 때는 이동판(10)이 홀딩판(2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턱(11)이 슬릿홈(21)의 전방 종단에 위치할 때는 이동판(10)이 홀딩판(20)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만 이동판(10)이 홀딩판(20)에 걸려지도록 구성한다.
지지봉(A)은 상기 홀딩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시트 백의 후면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한쌍의 지지봉(A)이 각각 상단은 시트 백(1)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홀딩판(20) 개방구(20')의 방대측 양단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시트 백(1)의 후면에 고정된 양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홀딩판(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지지봉(A)은 고정봉(30)과 슬라이딩봉(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봉(30)은 고리형상의 봉으로, 상단은 시트 백(1)의 상부에 형성시킨 결합홀에 고정 장착되고, 상부 일측에는 내측에 탄성부재를 갖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며, 하부에 돌기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봉(40)은 하단이 상기 홀딩판(20)과 힌지(4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고정봉(30)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30)의 돌기부(34)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홀(4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 슬라이딩봉(40)의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돌기(33)가 삽입되는 걸림홈(4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받침대(50)는, 상기 홀딩판(20)의 하부면의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힌지홀을 갖는 브라켓(22)을 장착하고, 받침대(50)의 상부에 이 힌지홀에 결합되는 힌지축(52)을 형성함으로써, 받침대(50)가 상단부를 중심으로 홀딩판(2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판(20)이 수평상태일 때, 받침대(50)의 하단면이 시트 백(1)의 후면에 닫는 지점까지만 이 받침대(50)가 회전되도록 받침대(50)의 상단면에 후방으로 일정 경사각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A)의 상부 일측에는 회동식 잠금고리(32)가 장착될 수 있는데, 이 회동식 잠금고리(32)는 상기 지지봉(A)의 일측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버로서, 상기 홀딩판(20)의 상면에 시트 백(1)의 후면에 밀착시킨 후, 레버를 돌리면 이 레버에 홀딩판(20)이 걸려서 시트 백(1)의 후면에 홀딩판(20)이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는 한 쌍의 지지봉(A)중 하나의 지지봉(A)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하나의 지지봉도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판을 시트 백에 수납시킬 때는, 이동판(10)을 홀딩판(20) 내부에 삽입하고, 슬라이딩봉(40)을 상승시켜 걸림돌기(33)가 걸림홈(43)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힌지(42)를 중심으로 홀딩판(20)을 접은 다음, 잠금고리(32)를 돌려서 홀딩판(20)을 시트 백(1)의 후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이때, 받침대(50)는 내측으로 회전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판(20)의 저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식판을 전개시킬 때에는, 잠금고리(32)를 돌려서 홀딩판(20)을 시트 백(1)으로부터 외측으로 전개시키면 받침대(50)에 의해 전개 된 홀딩판(20)이 수평상태가 된다. 이때, 이 홀딩판(20)의 높이를 낮출 때에는, 걸림돌기(33)를 손으로 밀어서 걸림홈(43)으로 부터 빠져나오게 하여, 슬라이딩봉(40)이 하중에 의해 고정봉(30)으로 부터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홀딩판(2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홀딩판(20)으로 부터 이동판(10)의 전개시킴으로써,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가 된 홀딩판(20)과 이동판(10)을 식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에 의하여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음식을 올려놓을 수 있는 식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업무나 독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간이 책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일단부가 시트 백의 상단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시트 백의 후방으로 2번 절곡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의 타단부에 각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그 반대측에 개방구를 갖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측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릿홈이 형성되는 홀딩판과; 상기 홀딩판의 공간부로 수납되며, 상기 슬릿홈을 따라 안내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이동판과; 상기 홀딩판의 전개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판의 하부면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봉의 일측에는, 상기 홀딩판이 시트 백의 후면에 밀착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회동식 잠금고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일단이 시트 백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에 돌기부가 형성되며,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홀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홀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홀딩판과 힌지로 결합되는 슬라이딩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일정위치에 컵 홀더용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KR2019960065614U 1996-12-31 1996-12-31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KR199800524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614U KR19980052435U (ko) 1996-12-31 1996-12-31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614U KR19980052435U (ko) 1996-12-31 1996-12-31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435U true KR19980052435U (ko) 1998-10-07

Family

ID=5400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5614U KR19980052435U (ko) 1996-12-31 1996-12-31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43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32B1 (ko) * 2014-11-07 2016-02-19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자동차의 테이블용 이중 홀딩 컵홀더
CN108909568A (zh) * 2018-06-14 2018-11-30 陈诺 多功能便携车载桌
CN111038543A (zh) * 2018-10-15 2020-04-21 阿尔斯通运输科技公司 用于车辆的桌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732B1 (ko) * 2014-11-07 2016-02-19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자동차의 테이블용 이중 홀딩 컵홀더
CN108909568A (zh) * 2018-06-14 2018-11-30 陈诺 多功能便携车载桌
CN111038543A (zh) * 2018-10-15 2020-04-21 阿尔斯通运输科技公司 用于车辆的桌台
CN111038543B (zh) * 2018-10-15 2024-01-12 阿尔斯通运输科技公司 用于车辆的桌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7323B1 (en) Folding seat part with integrated table
EP0447263B1 (en) Retractable container holder
KR970005196B1 (ko) 드링크 용기 보유 지지 장치
US5618018A (en) Cup holder for confined spaces
US4907775A (en) Container holder
US5848820A (en) Pivotable rear seat center cushion assembly with utility compartment
US5800011A (en) Expandable container holder
US6095060A (en) Vehicle tray apparatus
WO1997044212A1 (en) Automotive cupholder adapted to retract into compact storage in vehicle armrest
US20180072209A1 (en) Hidden foldable tray table
US5829726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tainer
US6010047A (en) Compact dual arm container holder
JP5549368B2 (ja) 車両用シートのカップホルダ装置
CA2853855A1 (en) Stackable chair with cupholder and folding table
US20050035254A1 (en) Cam activated extendable cupholder
EP0979754B1 (en) Table apparatus
KR19980052435U (ko)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JP2006141855A (ja) シートバック
CN111016744B (zh) 一种可收纳隐藏的座椅装置
JP3285925B2 (ja) 可倒式テーブル
KR0136680Y1 (ko) 자동차의 컨솔암레스트 설치용 컵홀더 구조
KR200154036Y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휘일에 설치되는 식사용 받침대
JPH11165572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0132163Y1 (ko) 받침대가 부설된 차량용 암 레스트
JP3047720B2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