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017B1 - 건나물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나물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017B1
KR102173017B1 KR1020200107918A KR20200107918A KR102173017B1 KR 102173017 B1 KR102173017 B1 KR 102173017B1 KR 1020200107918 A KR1020200107918 A KR 1020200107918A KR 20200107918 A KR20200107918 A KR 20200107918A KR 102173017 B1 KR102173017 B1 KR 10217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shing
temperature
tank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선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태백농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건나물 제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나물을 스팀으로 가열하는 스팀부, 가열된 나물을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조, 제2 세척조로 투입될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 냉각조 상의 냉각수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나물 제조 시스템{SYSTEM FOR MANUFACTURING DRIED NAMUL}
본 개시는 건나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물 세척시 세척수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는 건나물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나물은 주로 쌈용으로 소비되거나 냉동되어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용도 외에 대부분의 산나물은 제철에 수확하여 건조시킨 다음, 필요시에 물에 불려 조리하는 건나물이나 묵나물로 제조하고 있다.
식이섬유소가 풍부한 나물류는 건강식품이자 대표적인 슬로우푸드(slow food)로 소비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건나물은 산채를 끓는 물 또는 증기에 데치는 증숙 과정을 거친 후 찬물에서 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데, 특히 나물의 본연의 맛을 유지하기 위해 찬물로 세척하는 과정에서의 세척수의 온도 제어가 중요하다.
종래 건나물 제조방법의 방식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4637호, 제10-2016-0123809호 등에 공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4637호에선 나물을 뜨거운 식염수 용액에서 블랜칭 후 냉수에 넣어 냉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4637호에선 스팀 증숙된 나물을 냉각봉을 구비하는 냉각 세척수조에서 세척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 건나물 제조방법에선 나물 증숙 후의 냉각 세척 시, 냉각 세척수 온도를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나물을 세척시 세척수 온도를 적절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는 건나물 제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나물을 세척수로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조, 상기 1차 세척된 나물을 스팀으로 증숙시키는 스팀부, 상기 가열된 나물을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조, 상기 제2 세척조로 투입될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 냉각수가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상기 냉각조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관로, 냉각수가 상기 냉각조로부터 제2 세척조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관로, 상기 제2 관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부의 스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관로 상에 유동하는 냉각수와 스팀 간의 열교환을 구현하는 제1 열교환부, 상기 냉각조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 상기 스팀부로부터 상기 제1 열교환부로의 스팀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밸브, 상기 2차 세척 후 나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및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각조에서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상기 냉각조의 냉각 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스팀부로부터 상기 제1 열교환부로 스팀이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관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관로로 전달하는 제3 관로 및 상기 제3 관로로의 냉각수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제1 온도 구간인 경우,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냉각수가 상기 제3 관로를 통해 상기 제2 관로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상기 스팀부로부터 상기 제1 열교환부로 스팀이 이동하는 제4 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세척조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4 관로 상에 유동하는 스팀의 온도를 열교환을 통해 낮추기 위한 제2 열교환부 및 상기 제1 세척조로부터 상기 제2 열교환부로의 세척수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3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상기 제1 온도 구간보다 높은 제2 온도 구간인 경우,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냉각수가 상기 제3 관로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세척조로부터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상기 제3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상기 제1 온도 구간과 상기 제2 온도 구간 사이인 경우,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냉각수가 상기 제3 관로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세척조로부터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세척수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3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세척조는 나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세척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수용 공간 및 상기 냉각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되도록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4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상기 제2 세척조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세척수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관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4 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상기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고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4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상기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와 상기 제1 온도 사이인 경우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관과 상기 수용 공간 모두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4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건나물 제조 공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건나물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건나물 제조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건나물 제조 시스템의 유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건나물 제조 시스템의 제2 세척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건나물 제조 공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먼저, 입고 단계에서(S10), 나물이 입고되면 운송차량의 온도를 확인하고, 원재료의 외관 상태를 확인한다. 이로써 정상제품이 입고된다.
보관 단계(S20)에서, 나물의 입고일자를 기입하고, 저온 저장고에 저장한다.
1차 세척 단계(S30)에서, 제조할 양을 계량하고, 초벌 세척을 하여 나물의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스팀 증숙 단계(S40)에서, 나물은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증숙된다. 스팀 온도는 약 90℃ 내외이다. 도 1에서는 스팀 증숙 단계를 도시하였으나, 스팀이 아니라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삶는 과정이 사용될 수도 있다.
2차 세척 단계(S50)에서, 증숙된 나물을 찬물로 냉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뜨거운 스팀이나 물로 삶아진 나물을 찬물을 이용하여 바로 세척하게 되면, 나물의 식감이나 맛을 살릴 수 있다. 이 경우, 나물을 세척하는 물의 온도가 중요하다. 즉, 증숙된 뜨거운 나물이 세척수로 투입되게 되면 세척수의 온도가 올라가므로 온도를 떨어뜨려 주어야 하고, 세척수의 온도가 너무 차가울 경우 나물이 상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차 세척 단계에서 세척수의 온도는 나물의 종류, 증숙된 정도에 따라 바람직한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는 8℃ 내지 10℃로 설정될 수 있다.
탈수 및 건조 단계(S60)에서, 탈수기를 이용하여 나물의 탈수율을 증대시키고, 탈수된 나물을 가열 덖음하여 나물의 수분을 재탈수 시키며 살균시킨다.
유념 단계(S70)에서, 나물을 빨래를 빨듯이 비벼주는 유념작업을 실시하여 나물의 조직이 부드러워지고 둥글게 잎이 말아져 덩어리를 이루도록 하여 저장, 유통 중에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한다.
건조 단계(S80)에서 마무리 건조를 한 후, 보관, 출하 단계(S90)로 간다.
도 1의 전체 과정 중에서 일부 과정은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각 과정의 순서도 실시 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방법 중 입고(S10)나 보관(S20) 과정은 건나물 제조 시스템과 별도로 마련된 보관 창고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관된 나물이 건나물 제조 시스템으로 투입된 후, 1차 세척(S30)부터 건조(S80) 단계까지는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선, 상술한 2차 세척 단계에서 세척수의 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방식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의 건나물 제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제1 세척조(110), 스팀부(120), 제2 세척조(130), 냉각조(140) 및 건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척조(110)는 나물을 1차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술한 1차 세척 단계(S3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세척조(110)에는 나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스팀부(120)는 제1 세척조(110)에서 세척된 나물을 전달받아 스팀을 이용하여 나물을 증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술한 스팀 증숙 단계(S4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세척조(110)로부터 나물은 컨베이어를 통해 스팀부(120)로 이동될 수 있다. 스팀부(120)는 스팀을 생성하고 나물에 분사하여 가열시킬 수 있다. 스팀부(120)는 나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하 측에 마련된 스팀 노즐을 통해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 노즐이 설치된 부분의 컨베이어 상단은 하우징에 의해 밀폐되어 스팀을 가두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를 나물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증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내부에서의 컨베이어의 이동 속도는 나물의 종류 및 그에 따른 증숙 시간에 따라 설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제2 세척조(130)는 스팀부(120)에서 가열된 나물을 세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술한 2차 세척 단계(S50)에 대응될 수 있다. 스팀부(120)로부터 증숙된 나물이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여 제2 세척조(130)로 낙하할 수 있다.
제2 세척조(130)에는 증숙된 나물을 차갑게 세척하기 위한 물이 수용된다. 2차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물을 차갑게 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첫번째로, 제2 세척조(130)에는 냉각수 자체가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수는 별도로 마련된 냉각조(140)를 이용하여 마련한 후, 제2 세척조(130)로 투입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세척조(130)에는 일반 수가 투입되고, 제2 세척조(130) 내부에 마련된 냉각 부재를 이용하여 제2 세척조(130)에 투입된 물을 차갑게 만드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냉각 부재는 제2 세척조(130)의 하부 면이나 측면 등에 마련된 냉각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냉각관 내에는 프레온 가스 등과 같은 냉매가 준비될 수도 있고, 냉각수 자체가 냉매로 사용될 수도 있다. 냉각수를 냉매로 사용할 경우, 별도로 마련된 냉각조(140)에서 제공되는 냉각수가 냉각관을 통해 흐르면서 제2 세척조(130) 내부의 물을 식힐 수 있다. 냉각관의 입구와 출구는 냉각조(140)와 연결되어 재순환될 수 있다. 즉, 냉각관을 지나면서 제2 세척조(130) 내부에서 냉기를 빼앗긴 냉각수는 다시 냉각조(140)로 투입되어 냉각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방식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더운 여름에는 냉각관을 통해서 냉매나 냉각수를 흘려보내더라도, 제2 세척조(130) 내부의 물이 충분히 냉각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제2 세척조(130)에 냉각수를 직접 공급할 수도 있고, 이와 함께 냉각관에도 냉매나 냉각수를 공급하여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추운 겨울인 경우에는 일반 수 자체의 온도도 낮아 지므로, 냉각수 자체를 제2 세척조(130)에 투입시키지 않고 냉각관에만 냉매나 냉각수를 공급하여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서는 냉각조(140)에서 물을 차갑게 냉각시킨 후, 제2 세척조(130)로 직접 공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도 2 내지 도 7에 개시된 구조 및 동작은,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응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냉각조(140)는 제2 세척조로 투입될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냉각조(140)는 냉각 관(또는 냉각 코일)을 구비하며, 냉각 관 내의 냉매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조(140) 내의 물이 냉각될 수 있다. 즉, 에어컨의 원리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컨의 실외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냉각 장치(160)가 실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냉각 장치(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냉각조(140)의 냉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도 3 참조). 만약 냉각조(140)가 실내에 있을 경우 냉각 장치(160)와의 거리가 멀어져 관 설치의 복잡도가 증가하므로, 냉각 장치(160)와 같이 냉각조(140)도 실외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냉각조(140)가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냉각조(140)와 제2 세척조(130)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그 중 일부는 실외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건나물 제조 시스템이 설치된 환경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여름에는 냉각수가 파이프를 지나는 동안 가열되면서 온도가 올라갈 수 있고, 겨울에는 지나치게 차가워질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조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정상 온도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한 물을 나물 세척에 사용하게 되어, 나물이 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선 냉각조(140) 내부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141)에서 센싱된 온도 값을 기초로 제어부(150)에 의해 냉각수의 유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건조부(미도시)는 제2 세척조(130)에서 세척된 나물을 건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술한 탈수 및 건조 단계(S60)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세척조(130)에서 세척된 나물은 컨베이어를 통해 건져 올려져 건조부로 이동될 수 있다.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인 관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냉각수가 제2 세척조(130)로부터 냉각조(14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관로(11), 냉각수가 냉각조(140)로부터 제2 세척조(130)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관로(12), 제1 관로(11) 상에서 유동하는 냉각수의 적어도 일부가 제2 관로(12)로 이동하는 통로인 제3 관로(13), 스팀부(120)로부터 제1 열교환부(21)로 스팀이 이동하는 제4 관로(14), 제1 열교환부(21)에서 열교환된 스팀이 스팀부(120)로 이동하는 제5 관로(15), 제1 세척조(110)로부터 제2 열교환부(22)로 세척수가 이동하는 제6 관로(16), 제2 열교환부(22)에서 열교환된 세척수가 제1 세척조(110)로 이동하는 제7 관로(1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제2 세척조(130)에서 사용된 물을 다시 냉각조(140)로 보내는 방식으로 냉각수를 재순환할 수 있고, 사용된 물에 남아있는 나물 찌꺼기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세척조(130)에 계속적으로 물을 투입하여, 사용된 물이 위로 넘쳐 흐르도록 하여, 옆에 마련된 보조 수조에 모으고, 보조 수조에 모인 물의 이물질은 필터(41)를 통해 걸러지고, 냉각조(140)로 이동되어 재순환될 수 있다.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관로들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스팀부(120)로부터 제1 열교환부(21)로의 스팀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밸브(31), 제3 관로(13)로의 냉각수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32), 제1 세척조(110)로부터 제2 열교환부(22)로의 세척수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3 밸브(33), 제2 관로(12)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제2 세척조(130)의 수용 공간 및 제2 세척조(130) 내부에 구비된 냉각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되도록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4 밸브(34), 냉각조(140)에서 제2 세척조(130)로의 냉각수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5 밸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유체들의 열교환을 구현하기 위한 열교환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제2 관로(12) 상에 설치되며 스팀부(120)의 스팀을 이용하여 제2 관로(12) 상에 유동하는 냉각수와 스팀 간의 열교환을 구현하는 제1 열교환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제4 관로(14)에 설치되며 제1 세척조(110)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제4 관로(14) 상에 유동하는 스팀의 온도를 열교환을 통해 낮추기 위한 제2 열교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냉각조(140)에 배치된 제1 온도 센서(141)와 제2 세척조(130)에 배치된 제2 온도 센서(131)가 구비될 수 있다.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제1 온도 센서(141)와 제2 온도 센서(131)로부터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밸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및 제2 온도 센서(141, 131)가 각각 마련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실제로 나물을 세척하는 곳의 온도가 중요하므로 제2 세척조(130)에 배치된 제2 온도 센서(131)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건나물 제조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부(150)는 제1 온도 센서(141), 제2 온도 센서(142)에서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밸브(31), 제2 밸브(32), 제3 밸브(33), 제4 밸브(34), 제5 밸브(35)를 제어할 수 있으며, 냉각조(140)의 냉각 기능을 구현하도록 냉각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내지 제5 밸브(31 - 35)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식 스위치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조작하는 기계식 스위치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컴퓨팅 장치, 밸브 제어 장치, 냉각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장치들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장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온도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인 경우, 냉각조(140)의 냉각 기능을 구현하지 않는다. 반면, 제어부(150)는 제1 온도 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높은 경우, 냉각조(140)에서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냉각조(140)의 냉각 기능을 구현한다. 또는, 제1 온도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스팀부(120)로부터 제1 열교환부(21)로 스팀이 이동되도록 제1 밸브(3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온도 범위는 냉각 세척을 위한 온도로서, 나물의 종류, 나물의 증숙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는 8℃ 내지 10℃일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물 세척 시스템에서, 상술한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의 유로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온도 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냉각조(140) 내의 냉각수의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냉각수의 온도를 좀 더 높여서 제2 세척조(130)에 공급하기 위해, 스팀부(120)로부터의 스팀의 뜨거운 열을 이용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냉각조(140)로부터 냉각수가 제2 관로(12)를 통해 이동하면서 제1 열교환부(21)에서 스팀과의 열교환으로 온도가 높아져 제2 세척조(130)로 투입될 수 있다. 스팀은 제4 관로(14)를 통해 제1 열교환부(21)로 이동되고, 열교환된 스팀은 다시 제5 관로(15)를 통해 스팀부(120)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 있어서, 온도 구간을 3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마다 다른 온도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온도 구간마다 스팀에 의한 열교환은 기본적으로 수행하되, 온도가 매우 낮은 제1 온도 구간인 경우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2 세척조에서 사용된 물을 이용하고, 온도가 비교적 높은 제2 온도 구간인 경우에는 스팀의 온도를 떨어뜨린 후 열교환이 되도록 하고, 온도가 중간 정도인 제3 온도 구간인 경우에는 스팀만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는 8℃ 내지 10℃이고, 제1 온도 구간(0℃ 내지 2℃미만), 제2 온도 구간(5℃ 내지 8℃미만), 제3 온도 구간(제1 온도 구간과 제2 온도 구간 사이)과 같이 3 개의 온도 구간이 나눠질 수 있다(이러한 온도 수치 범위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제1 온도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제1 온도 구간인 경우, 제2 세척조(130)로부터 냉각수가 제3 관로(13)를 통해 제2 관로(12)로 이동되도록 제2 밸브(3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유로의 제어는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온도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제1 온도 구간인 경우는 비교적 냉각조(140)의 물이 매우 차가운 경우로서, 이 경우 스팀과의 열교환만으론 온도를 높이는데 부족할 수 있으므로, 스팀과의 열교환 전에, 제2 세척조(130)에서 증숙된 나물을 세척한 뒤 온도가 높아진 물과 함께 섞어주는 것이다. 즉, 도 5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2 세척조(130)로부터 제1 관로(11)로 나온 물의 전부(또는 일부)는, 제어부(150)의 제2 밸브(32) 제어에 의해, 제3 관로(13)를 거쳐 제2 관로(12)로 투입되어, 냉각조(140)로부터 나온 물과 섞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섞인 물이 제1 열교환부(21)를 거치면서 온도가 더 상승되어, 결국 냉각 세척에 적절한 온도가 된 뒤 제2 세척조(130)로 투입되게 된다.
제2 온도 구간의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자면, 제어부(150)는 제1 온도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제1 온도 구간보다 높은 제2 온도 구간인 경우, 제1 세척조(110)로부터 제2 열교환부(22)로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제3 밸브(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유로의 제어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온도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제1 온도 구간보다 높은 제2 온도 구간인 경우는 비교적 냉각조(140)의 물이 많이 차갑지는 않으나 온도는 높여줄 필요가 있는 경우로서, 이 경우 스팀과의 열교환을 하면 원하는 온도보다 온도가 더 높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제1 세척조(110)의 물로 스팀의 열기를 낮춰준 뒤에, 온도가 낮춰진 스팀으로 열교환하는 것이다. 즉, 도 6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제1 세척조(110)로부터 제6 관로(16)를 통해 세척수가 제2 열교환부(22)로 이동하도록 제3 밸브(33)를 제어하고, 이로써 제2 열교환부(22)에선 제4 관로(14)의 스팀과 세척수가 서로 열교환하여 스팀의 온도가 떨어진다. 열교환된 세척수는 다시 제7 관로(17)를 통해 제1 세척조로 회수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22)에서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떨어진 스팀은, 제어부(150)의 제1 밸브(31) 제어에 의해 제1 열교환부(21)로 이동하여, 냉각조(140)로부터의 제2 관로(12)를 통해 이동하는 물과 열교환을 이룬다. 그 결과로 냉각수의 온도가 냉각 세척에 적절한 온도로 약간 상승되어, 제2 세척조(130)로 투입되게 된다.
제3 온도 구간의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자면, 제어부(150)는 제1 온도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제1 온도 구간과 제2 온도 구간 사이인 제3 온도 구간인 경우, 제2 세척조(130)로부터 냉각수가 제3 관로(13)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2 밸브(32)를 제어하고 제1 세척조(110)로부터 제2 열교환부(22)로 세척수가 이동되지 않도록 제3 밸브(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유로의 제어는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온도센서(141)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제1 온도 구간과 제2 온도 구간 사이인 제3 온도 구간인 경우는, 냉각조(140)의 냉각수가 스팀과의 열교환만으로도 냉각 세척에 적절한 온도로 될 수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스팀과의 열교환만 이루어지도록, 제어부(150)는 제2 밸브(32)와 제3 밸브(33)를 모두 막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에 표시한 화살표와 같이 냉각조(140)로부터 제2 관로(12)를 통해 제2 세척조(130)로 이동하는 냉각수는 제1 열교환부(21)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적절한 냉각 세척의 온도로 상승되어 제2 세척조(130)에 투입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온도 구간에 따라 다른 제어 방식을 통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원하는 온도로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냉각수를 나물과 닿게 되는 세척수 자체로 사용하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는 제2 세척조(130) 내부의 세척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관의 냉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냉매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나물과 직접 닿지 않아 재순환시 나물 찌꺼기 제거 등의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2 세척조(130) 내의 세척수의 온도를 빠르게 낮출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세척수 자체로서 사용되는 경우는 세척수의 온도를 빠르게 낮출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순환 시 나물 찌꺼기 제거 등의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2 세척조(130)에 담겨있는 세척수의 현재 온도에 따라, 냉매로서 투입할 것인지, 세척수로 투입할 것인지, 아니면 둘 다의 방식으로 투입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세척조(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세척조(130)는 나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33), 수용 공간(133) 내에 수용된 세척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관(135) 및 수용 공간(133) 내에 수용된 세척수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2 온도센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관로(12)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수용 공간(133) 및 냉각관(135)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되도록 제4 밸브(34)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온도센서(131)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제2 관로(12)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냉각관(135)으로 이동되도록 제4 밸브(3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세척조(130) 내의 세척수 온도가 적정하므로 현상 유지가 되게끔 새롭게 투입하는 냉각수는 냉매로서 투입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2 온도센서(131)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상기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고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제2 관로(12)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수용 공간(133)으로 이동되도록 제4 밸브(3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세척조(130) 내의 세척수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너무 높은 경우에는 빠르게 세척수의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새롭게 투입하는 냉각수를 세척수로서 투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제2 온도센서(131)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상기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와 상기 제1 온도 사이인 경우 제2 관로(12)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냉각관(135)과 수용 공간(133) 모두로 이동되도록 제4 밸브(3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세척조(130) 내의 세척수 온도가 너무 낮지도 않고 적정 온도도 아닌 경우에는, 새롭게 투입하는 냉각수 중 일부는 세척수로, 일부는 냉매로 투입하는 것이다.
냉각관(135)으로 투입된 물은 재사용시 바로 냉각조(140)로 이동될 수 있으며, 수용 공간(133)으로 투입된 물은 필터링을 한 후 냉각조(140)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경우를 위한 재순환 경로가 따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냉각관(135)으로 투입된 물도 필터를 통과하여 냉각조(140)로 이동하여도 무방하므로 하나의 경로로 냉각조(140)로 재순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온도에 따라 적절한 냉각수 투입 방식을 선택하여 찌꺼기 처리 부담을 줄이며 적정 온도로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2차 세척 시에만 냉각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차 세척 시에도 차가운 물이 필요하다면,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냉각수를 제1 세척조(110)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세척이 2회 이상 이루어지는 경우, 이후의 세척 과정에서도 냉각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냉각수의 온도는 나물의 종류나, 조리 방법 등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제1 세척조
120: 스팀부
130: 제2 세척조
140: 냉각조
11 ~ 17: 제1 내지 제7 관로
21 ~ 22: 제1 내지 제2 열교환부
31 ~ 35: 제1 내지 제5 밸브
41: 필터
131: 제1 온도센서
141: 제2 온도센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건나물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나물을 세척수로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조;
    상기 1차 세척된 나물을 스팀으로 증숙시키는 스팀부;
    상기 증숙된 나물을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조;
    상기 제2 세척조로 투입될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
    냉각수가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상기 냉각조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관로;
    냉각수가 상기 냉각조로부터 제2 세척조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관로;
    상기 제2 관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부의 스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관로 상에 유동하는 냉각수와 스팀 간의 열교환을 구현하는 제1 열교환부;
    상기 냉각조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
    상기 스팀부로부터 상기 제1 열교환부로의 스팀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밸브;
    상기 2차 세척 후 나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각조에서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상기 냉각조의 냉각 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스팀부로부터 상기 제1 열교환부로 스팀이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관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관로로 전달하는 제3 관로;
    상기 제3 관로로의 냉각수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2 밸브;
    상기 스팀부로부터 상기 제1 열교환부로 상기 스팀이 이동하는 제4 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세척조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4 관로 상에 유동하는 스팀의 온도를 열교환을 통해 낮추기 위한 제2 열교환부; 및
    상기 제1 세척조로부터 상기 제2 열교환부로의 세척수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3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제1 온도 구간인 경우,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3 관로를 통해 상기 제2 관로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2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상기 제1 온도 구간보다 높은 제2 온도 구간인 경우,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냉각수가 상기 제3 관로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세척조로부터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세척수가 이동되도록 상기 제3 밸브를 제어하는 건나물 제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으며 상기 제1 온도 구간과 상기 제2 온도 구간 사이인 경우,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냉각수가 상기 제3 관로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세척조로부터 상기 제2 열교환부로 세척수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3 밸브를 제어하는 건나물 제조 시스템.
  5. 삭제
  6. 건나물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나물을 세척수로 1차 세척하는 제1 세척조;
    상기 1차 세척된 나물을 스팀으로 증숙시키는 스팀부;
    상기 증숙된 나물을 2차 세척하는 제2 세척조;
    상기 제2 세척조로 투입될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
    냉각수가 상기 제2 세척조로부터 상기 냉각조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관로;
    냉각수가 상기 냉각조로부터 제2 세척조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관로;
    상기 제2 관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팀부의 스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관로 상에 유동하는 냉각수와 스팀 간의 열교환을 구현하는 제1 열교환부;
    상기 냉각조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온도센서;
    상기 스팀부로부터 상기 제1 열교환부로의 스팀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밸브;
    상기 2차 세척 후 나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및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높은 경우, 상기 냉각조에서 냉각수가 냉각되도록 상기 냉각조의 냉각 기능을 구현하고,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스팀부로부터 상기 제1 열교환부로 스팀이 이동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척조는 나물을 세척시키기 위한 세척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세척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관을 포함하고,
    상기 건나물 제조 시스템은,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수용 공간 및 상기 냉각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되도록 유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4 밸브; 및
    상기 제2 세척조의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세척수의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제2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관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4 밸브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상기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고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4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센싱되는 온도가 상기 나물 냉각 세척을 위해 기 설정된 온도와 상기 제1 온도 사이인 경우 상기 제2 관로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관과 상기 수용 공간 모두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4 밸브를 제어하는 건나물 제조 시스템.
KR1020200107918A 2020-08-26 2020-08-26 건나물 제조 시스템 KR10217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18A KR102173017B1 (ko) 2020-08-26 2020-08-26 건나물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918A KR102173017B1 (ko) 2020-08-26 2020-08-26 건나물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017B1 true KR102173017B1 (ko) 2020-11-02

Family

ID=7339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918A KR102173017B1 (ko) 2020-08-26 2020-08-26 건나물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672B1 (ko) * 2021-08-18 2022-03-17 자연채영농조합법인 자동블렌칭 가공 세척이물제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839A (ja) * 2001-03-08 2002-09-17 Samson Co Ltd 加熱殺菌装置の冷却システム
JP2009017893A (ja) * 2008-10-28 2009-01-29 Samson Co Ltd 加熱殺菌装置の冷却システム
KR101027128B1 (ko) * 2010-11-10 2011-04-06 함지헌 시래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60123809A (ko) * 2015-04-17 2016-10-26 정재현 스팀을 활용한 곤드레 나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839A (ja) * 2001-03-08 2002-09-17 Samson Co Ltd 加熱殺菌装置の冷却システム
JP2009017893A (ja) * 2008-10-28 2009-01-29 Samson Co Ltd 加熱殺菌装置の冷却システム
KR101027128B1 (ko) * 2010-11-10 2011-04-06 함지헌 시래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160123809A (ko) * 2015-04-17 2016-10-26 정재현 스팀을 활용한 곤드레 나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672B1 (ko) * 2021-08-18 2022-03-17 자연채영농조합법인 자동블렌칭 가공 세척이물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48829B2 (en) Heating, cooking, and sterilizing device
CN101843276B (zh) 节能型多功能果蔬贮前冷热预处理装置
CN103749655B (zh) 一种浸泡喷淋复合型果蔬预冷装置
AU2013407868B2 (en) Dishwasher comprising heat pump system
KR102173017B1 (ko) 건나물 제조 시스템
AU2013407867B2 (en) Dishwasher comprising heat pump system
KR20090100092A (ko)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CN107242287A (zh) 一种过热蒸汽烫漂与组合干燥一体化加工方法与设备
CN105457879A (zh) 一种鲜茶叶分选与杀青方法
CN104126650B (zh) 一种黑果枸杞的加工方法
CN104489851B (zh) 一种蒸汽杀青热泵微波联合干燥滁菊的方法
JP6283926B2 (ja) 殺菌装置
US20110108065A1 (en) Rinsing method for a water-conveying domestic appliance
CN111955646A (zh) 脱水蔬菜自动生产线的蒸煮装置
CN103940203A (zh) 一种微波热泵低氧干燥设备及其操作方法
CN103141858A (zh) 一种真空冷冻膨化牛肉丁的加工方法
CN213307288U (zh) 漂烫一体机
CN215270501U (zh) 远红外联合热泵干燥装置
CN212117871U (zh) 一种多功能自动蒸饭柜
CN1081898C (zh) 热风与冷风结合干燥果蔬的方法
CN109757535B (zh) 一种多功能真空油炸干燥机
CN209390989U (zh) 一种带解冻清洗功能的肉食煮制装置
JP6474558B2 (ja) 炊飯装置
CN207247348U (zh) 一种基于商用的大功率一体式热水供应系统
CN110050824A (zh) 多功能空气源热泵果蔬热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