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909B1 - 세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909B1
KR102171909B1 KR1020200051279A KR20200051279A KR102171909B1 KR 102171909 B1 KR102171909 B1 KR 102171909B1 KR 1020200051279 A KR1020200051279 A KR 1020200051279A KR 20200051279 A KR20200051279 A KR 20200051279A KR 102171909 B1 KR102171909 B1 KR 10217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mounting panel
modul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욱명
Original Assignee
우욱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욱명 filed Critical 우욱명
Priority to KR102020005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차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세차를 수행하기 위한 세차수행; 상기 세차수행부(110)에 세차를 위하여 진입되는 차량(6")의 대수와 상기 세차수행부로의 진입을 위하여 대기중인 차량(6")의 대수와 상기 세차수행부로 부터 세차를 마치고 출고되는 차량(6")의 대수에 관한 세차현황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받침대(4)에서 둘레방향으로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직립 설치된 필라(6)와, 상기 필라(6)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필라(6)를 축으로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개의 제1 디스플레이(2a) 및 제2 디스플레이(2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와, 상기 받침대(4)를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가능하도록 상부에 거치하여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2)의 위치변경을 가능케하는 제1 거치패널부(111)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 거치패널부(112)와,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고정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1 출력창(D1)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동모듈부(114)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3 거치패널부(113)와,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고정하거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2 출력창(D2)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동모듈부(115)를 포함하는 세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에 대한 세차를 수행함에 있어 세척수단 자체의 회전 동작 제어를 통한 세밀한 차량 세차 수행이 가능하며, 특히 차랑의 세차를 위한 세차대기차량, 세차작업차량, 세차완료차량 전반의 효과적인 현황파악을 가능케하여 세차운영자와 세차대기자인 고객들의 업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세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차 시스템{Car washing system}
본 발명은 세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대한 세차를 수행함에 있어 세척수단 자체의 회전 동작 제어를 통한 세밀한 차량 세차 수행이 가능하며, 특히 차랑의 세차를 위한 세차대기차량, 세차작업차량, 세차완료차량 전반의 효과적인 현황파악을 가능케하여 세차운영자와 세차대기자인 고객들의 업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세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을 세차하는 자동 세차기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세척되는 동안 브러시가 소음으로 인해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는 심리적 불안감을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러시를 통한 세척을 수행하기에 손세차 수행되는 세차에 비해 차량 세척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다양한 기술개발들을 통하여 어느 정도 미흡하나마 그 문제점이 감소되고 있다. 그러나, 세치 시스템의 운영과 관련하여 차량이 세차를 위해 대기하고 투입되어 세차를 수행하고, 세차를 마치고 출차 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다수의 차량이 몰리는 경우 신규로 들어오는 차량과 기 대기중인 차량 고객들은 차량의 세차를 위한 작업 대시 시간과 완료 시간 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차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 입장에서도 보다 명확한 대기 시간을 파악하 이를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어려워 고객의 이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신속한 세차 시스템의 운영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9989호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세차를 수행함에 있어 세척수단 자체의 회전 동작 제어를 통한 세밀한 차량 세차 수행이 가능하며, 특히 차랑의 세차를 위한 세차대기차량, 세차작업차량, 세차완료차량 전반의 효과적인 현황파악을 가능케하여 세차운영자와 세차대기자인 고객들의 업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세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차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세차를 수행하기 위한 세차수행부; 상기 세차수행부(110)에 세차를 위하여 진입되는 차량(6")의 대수와 상기 세차수행부(110)로의 진입을 위하여 대기중인 차량(6")의 대수와 상기 세차수행부(110)로 부터 세차를 마치고 출고되는 차량(6")의 대수에 관한 세차현황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받침대(4)에서 둘레방향으로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직립 설치된 필라(6)와, 상기 필라(6)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필라(6)를 축으로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개의 제1 디스플레이(2a) 및 제2 디스플레이(2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와, 상기 받침대(4)를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가능하도록 상부에 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의 위치변경을 가능케하는 제1 거치패널부(111)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 거치패널부(112)와,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고정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1 출력창(D1)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동모듈부(114)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3 거치패널부(113)와,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고정하거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2 출력창(D2)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동모듈부(115)를 포함하는 세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대한 세차를 수행함에 있어 세척수단 자체의 회전 동작 제어를 통한 세밀한 차량 세차 수행이 가능하며, 특히 차랑의 세차를 위한 세차대기차량, 세차작업차량, 세차완료차량 전반의 효과적인 현황파악을 가능케하여 세차운영자와 세차대기자인 고객들의 업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세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차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유닛(예 : 일반적인 소형 디스플레이수단,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수단 등)을 제공할 수 있어 운영자와 고객들이 모두 효과적으로 주시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설치를 가능케하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 시스템의 세차수행부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도 1b에 따른 구성들 중 디스플레이유닛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도 1b에 따른 구성들 중 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세차 시스템의 세차 수행부(110)에 대한 구성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세차수행부(1")는 차량(6")의 상부면, 즉, 전ㆍ후방 윈도우 및 차량 상부의 외부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탑 브러시(2"), 차량(6")의 좌ㆍ우측 윈도우, 사이드 미러, 외부 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사이드 브러시(3a",3b"), 자동 세차수행부(1")의 모든 차량 세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PLC(4"), 차량(6")의 진입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탑 브러시(2") 및 사이드 브러시(3a",3b")는 예컨대, 부직포와 같은 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 세차수행부(1")는 굴곡이 있는 차량(6")의 외부 측면을 세척하기 위해 사이드 브러시(3a",3b")와 함께 사용되는 락커(rocker") 브러시(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는 차량(6")이 자동 세차수행부(1") 내의 사전결정된 위치에 진입하게 되면, 차량(6")의 앞부분을 감지하여 사전결정된 위치에 차량(6")이 진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차량 진입 신호를 PLC(4")로 전송한다. 또한, 감지 센서는 자동세차수행부(1") 내에서의 차량(6") 위치를 감지하여 차량 위치 신호를 PLC(4")로 전송한다. PLC(4")는 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된 차량 진입 신호 및 차량 위치 신호에 응답하여,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차량(6")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판독하여 차량(6")을 세척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차량에 관한 정보는 세척 대상 차량의 높이, 폭, 길이 등과 같이 세척 과정에 필요한 데이터, 즉 탑 브러시(2") 및 사이드브러시(3a",3b")의 회전 속도와 위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세하게, PLC(4")는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6")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탑 브러시(2")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제어하며, 탑 브러시(2")의 세척모듈(washing module")(10")(도 2(a) 참조")을 사전설정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탑 브러시(2")의 회전 모터(5a")에 인가한다. 마찬가지로, 차량(6")의 좌ㆍ우측 윈도우, 사이드 미러, 외부 측면을 세척하기 위해, PLC(4")는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정보에 근거하여 사이드 브러시(3a",3b")의 회전 모터(5b",5c")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사이드 브러시(3a",3b")의 세척모듈을 사전결정된 속도로 회전시킨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 브러시의 정면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 브러시는 다수의 천 유닛(unit")(20")(도 2(b") 참조")으로 구성된 세척모듈(10") 및 회전축(12")을 포함한다. 세척모듈(10")은 회전축(12")의 외주면 상에 마련된 홀(hole")에, 볼트(bolt")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탑 브러시(2")의 경우, 회전축(12")의 일단부는 회전 모터(5a")의 회전축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12")의 다른 단부는 자동 세차수행부(1")의 메인 프레임(7") 상에 마련된 베어링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달리, 사이드 브러시(3a",3b")의 경우에는 회전축(12")의 일단부만이 회전 모터(5b",5c")의 회전축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12")은 천 브러시 자체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PVC 파이프 및 알루미늄 파이프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척모듈(10")을 지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세척모듈(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천 유닛(20")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4 개의 천(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천(30")은 재봉 작업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천 유닛(20")은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를 통해 회전축(12")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가 연속하여 연결됨으로써, 도 2(a)에 도시한 세척모듈(1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 브러시(2")의 세척모듈은 42개의 천 유닛(20")으로 구성되며, 사이드 브러시(3a",3b")의 세척모듈은 36개의 천 유닛(20")으로 구성되고, 락커 브러시의 세척모듈은 12개의 천 유닛(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세척시 세척모듈(1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세척모듈(10")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손상된 해당 천 유닛(20")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ㆍ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 유닛(20")을 구성하는 각각의 천(30")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엠보싱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계열의 천(30")으로서 수분을 포함하는 성질이 우수하면서도 유연성이 좋기 때문에, 차량의 표면에 부드럽게 접촉되어 세척 과정시 차량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도 2(c")와 같이 부채 모양으로 절곡된 천(30")은 다수개가 재봉 작업을 통해 천 유닛(20")으로 제작되며, 회전축(12")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연결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차량 세척 과정에서의 천 브러시 회전 제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PLC(4")는 차량(6")이 자동 세차수행부(1")의 사전설정된 위치에 진입하면, 구동 신호를 회전 모터(5a")에 인가하여탑 브러시(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7") 상에 마련된 분사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세제 및 세차용수를 차량에 분사한다. 다음에, 회전 모터(5a")에 부착된 콘트롤러(controller, 도시하지 않음")는 탑 브러시의 세척모듈(10")과 차량의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 모터(5a")에 가중되는 부하량을 검출한 다음, 세척모듈(10")의 위치 변경을 위한신호를 PLC(4")로 전송한다. 위치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PLC(4")는 탑 브러시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차량(6")에 대한 세척모듈(10")의 위치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회전 모터(5a")에 세척모듈(1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방향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LC(4")는 차량(6")의 구간 A부터 구간 B에서 탑 브러시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세척모듈(10")을 차량(6")의 진행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이하, "정회전"으로 표현함")시키면서 차량(6")을 세척한다. 이때, 구간 A에서 구간 B로 탑 브러시가 이동함에 따라 세척모듈(10")과 차량의 접촉으로 인해 회전 모터(5a")에 가중되는 부하량이 증가하게 된다. 회전 모터(5a")에 부착된 콘트롤러는 세척모듈(10")이 차량(6")을 세척하는 동안에 감지된 부하량과 자동 세차수행부(1")의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대응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위치 변경 신호를 PLC(4")에 전송한다. 위치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PLC(4")는 탑 브러시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차량(6")에 대한 세척모듈(10")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구간 B에서는 세척모듈(10")의 정회전에 의해서 차량(6")이 세척되기 때문에, 차량(6")의 전면 윈도우 와이퍼(wiper")가 세척모듈(10")의 회전에 의해 파손될 위험은 없다. 또한, 전면 윈도우 와이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간 B에서의 세척모듈(10")의 회전 속도는 구간 A 및 구간 C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PLC(4")에 의해서 제어된다. 구간 C에서는 차량(6")에 대한 세척모듈(1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세척모듈(10")의 정회전에 의해 차량 세척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차량(6")의 후면 윈도우 와이퍼가 존재하는 경우, 세척모듈(10")이 계속 정회전을 하면 후면 윈도우 와이퍼가 세척모듈(10")의 회전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탑 브러시가 하강하는 구간 D부터 구간 E에서, PLC(4")는 세척모듈(10")을 역회전(즉, 차량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차량(6")을 세척한다. 또한, 후면 윈도우 와이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면 윈도우 와이퍼가 존재하는 구간 D에서의 세척모듈(10")의 회전 속도는 구간C 및 구간 E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PLC(4")에 의해서 제어된다. 세제 및 세차용수를 사용한 차량(6")의 세척이 완료되면, PLC(4")는 분사 노즐을 통해서 왁스를 차량에 분사시키고, 전술한 천 브러시의 세척 공정을 통해 왁스를 차량(6")에 도포시킨다. 천 브러시의 회전으로 광택 처리된 차량(6")은 자동세차수행부(1")의 블라우어에 의해서 건조 처리됨으로써, 자동 세차수행부(1")의 모든 차량 세차 동작이 종료된다.
이하 세차 시스템(1)의 구성들 중 디스플레이유닛(1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는 받침대(4)에 직립 설치된 필라(6)에 지지되는 바, 각각 힌지 결합을 이용하여 필라(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2개의 디스플레이(2)는 필라(6)를 축으로 하여 그둘레를 감싸는 힌지 결합에 의해,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때, 디스플레이(2)는 상호 겹쳐지는 0도의 상태에서 그 반대의 상태인 360도까지 접어지거나, 또 도면과 같이 180도의 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둘중에 하나가 필라(6)와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가 결합된 필라(6)는 그 설치를 위해 받침대(4)에 직립 설치되고, 디스플레이(2)의 시야각 조절을 위해 소정의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라(6)는 도 14 및 도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4)에 홈(8)을 형성하고, 그 홈(8)에 볼 조인트되는 방식으로 피벗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필라(6)의 전후, 좌우 방향의 기울기(θ)는 40도까지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2)는 복수개가 필라(6)에 힌지 결합되어서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므로서, 멀티 화면 및 대화면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2)는 평판형 디스플레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변형예 2로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 2′)는 받침대(10)에 직립 설치된 필라(12)에 고정되는 제 1 디스플레이(2)와, 그 제 1 디스플레이(2)의 케이스(2a)에 힌지(14)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그 힌지(1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제 2 디스플레이(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2, 2′)는 힌지(14)를 축으로 하여 상호 겹쳐지는 0도의 상태로 접어지거나 315도까지 펼쳐질 수 있으며, 또 도 14과 같이 360도의 상태까지 완전 하게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2개의 디스플레이(2, 2′)가 상하 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 2′)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14)와 필라(12) 및 받침대(10)의 구성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2, 2′)는 힌지(14)를 축으로 하여 상호 겹쳐지는 0도의 상태(도 1b7 참조)로 접어지거나 315도까지 펼쳐질 수 있으며, 또 도 1b7와 같이 360도의 상태까지 완전하게 펼쳐져 앞·뒤에서 동시에 볼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변형예 3으로서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 2′)는 받침대(10)에 직립 설치된 필라(12)에 고정되는 제 1 디스플레이(2)와, 그 제 1 디스플레이(2)에 힌지(14)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그 힌지(14)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제 2 디스플레이(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디스플레이(2′)는 변형예 2와 달리 힌지(14)를 축으로 0도의 상태로 접어지는 것이 아니고, 도면과 같이 제 1 디스플레이(2)의 뒤쪽이나 앞쪽의 내부로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제 1 디스플레이(2)의 케이스(2a)에는 제 2 디스플레이(2′)가 여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드되는 홈(2b)이 형성되고, 그 홈(2b)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는 프레임(16)에는 힌지(16)와 제 2디스플레이(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디스플레이(2′)는 힌지(14)를 축으로 하여, 상호 0∼315도의 상태로 펼쳐 질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도 1b에 따른 구성들 중 디스플레이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은, 받침대(4)에서 둘레방향으로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직립 설치된 필라(6)와, 상기 필라(6)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필라(6)를 축으로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개의 제1 디스플레이(2a) 및 제2 디스플레이(2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2)와, 상기 받침대(4)를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가능하도록 상부에 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의 위치변경을 가능케하는 제1 거치패널부(111)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 거치패널부(112)와,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고정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1 출력창(D1)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동모듈부(114)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3 거치패널부(113)와,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고정하거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2 출력창(D2)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동모듈부(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동모듈부(114)는,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가능한 제1 구동체(116)와, 상기 제1 구동체(116)와 제1 이동바(118)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부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1 출력창(D1)을 통해 출력하는 제1 보강모듈부(121)와,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고정하도록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1 하부접촉부(123)와,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기 제1 평판디스플레이부(2a)를 고정하도록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상부접촉부(1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연동모듈부(115)는,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가능한 제2 구동체(117)와, 상기 제2 구동체(117)와 제2 이동바(119)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부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2 출력창(D2)을 통해 출력하는 제2 보강모듈부(122)와,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고정하도록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하부접촉부(125)와,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고정하도록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상부접촉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접촉부(124)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상부 테두리부 일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하부접촉부(123)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하부 테두리부 일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상부접촉부(126)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상부 테두리부 일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하부접촉부(125)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하부 테두리부 일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연동모듈부(114)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의 내측면 상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도록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1-1 보조상부접촉부(131)와,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의 내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도록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1-1 보조하부접촉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동모듈부(115)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의 내측면 상부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도록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2-1 보조상부접촉부(133)와,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의 내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도록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2-2 보조상부접촉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보조상부접촉부(131)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하방향 중 일방향을 향하는 일정한 가압힘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에 가하며, 상기 제1-1 보조하부접촉부(132)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하방향 중 일방향을 향하는 일정한 가압힘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에 가하며, 상기 제2-1 보조상부접촉부(133)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하방향 중 일방향을 향하는 일정한 가압힘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에 가하며, 상기 제2-2 보조상부접촉부(134)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하방향 중 일방향을 향하는 일정한 가압힘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에 가한다.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는 제1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에서 좌우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는 제2 브릿지(B2)를 매개로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에서 좌우 위치 이동된다. 상기 제1 연동모듈부(114)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발생체(SP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탄성발생체(SP1)는, 상기 제1 상부접촉부(124), 상기 제1 하부접촉부(123), 상기 제1-1 보조상부접촉부(131) 및 상기 제1-1 보조하부접촉부(132)로부터 가압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에서 멀어지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구동체(116)가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에서 외측으로 가속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연동모듈부(115)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발생체(SP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발생체(SP2)는, 상기 제2 상부접촉부(126), 상기 제2 하부접촉부(125), 상기 제2-1 보조상부접촉부(133) 및 상기 제2-1 보조하부접촉부(134)로부터 가압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에서 멀어지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 구동체(117)가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에서 외측으로 가속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가 거치되는 베이스패널부(141)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패널부(141)는,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에 하부에 설정 규격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L1)으로 삽입되는 제1 가이드돌기(T1)와,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에 하부에 설정 규격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L2)으로 삽입되는제2 가이드돌기(T2)와,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에 하부에 설정 규격으로 형성된 제3 삽입홈(L3)으로 삽입되는 제3 가이드돌기(T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돌기(T1) 내지 상기 제3 가이드돌기(T3)는 출몰방식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0)은 상기 제1 상기 제1 가이드돌기(T1) 내지 상기 제3 가이드돌기(T3)가 상기 제1 삽입홈(L1) 내지 상기 제3 삽입홈(L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패널부(141)에서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자동 세차기 시스템
2 : 탑 브러시
3a, 3b : 사이드 브러시
4 : PLC
5a, 5b, 5c : 회전 모터

Claims (5)

  1. 차량의 세차를 수행하기 위한 세차수행부(110); 상기 세차수행부(110)에 세차를 위하여 진입되는 차량(6")의 대수와 상기 세차수행부로의 진입을 위하여 대기중인 차량(6")의 대수와 상기 세차수행부로 부터 세차를 마치고 출고되는 차량(6")의 대수에 관한 세차현황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유닛(120);을 포함하는 세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20)은, 받침대(4)에서 둘레방향으로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 구동되는 직립 설치된 필라(6)와, 상기 필라(6)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필라(6)를 축으로 상호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복수개의 제1 디스플레이부(2a) 및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와, 상기 받침대(4)를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가능하도록 상부에 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의 위치변경을 가능케하는 제1 거치패널부(111)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2 거치패널부(112)와,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고정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1 출력창(D1)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동모듈부(114)와,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3 거치패널부(113)와,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고정하거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2 출력창(D2)을 통해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동모듈부(115)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는 제1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에서 좌우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는 제2 브릿지(B2)를 매개로 상기 제1 거치패널부(111)에서 좌우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연동모듈부(114)는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가능한 제1 구동체(116)와, 상기 제1 구동체(116)와 제1 이동바(118)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부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1 출력창(D1)을 통해 출력하는 제1 보강모듈부(121)와,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고정하도록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1 하부접촉부(123)와,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고정하도록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1 상부접촉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동모듈부(115)는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가능한 제2 구동체(117)와, 상기 제2 구동체(117)와 제2 이동바(119)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부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출력정보를 보조하는 내용을 제2 출력창(D2)을 통해 출력하는 제2 보강모듈부(122)와,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고정하도록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하부접촉부(125)와,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고정하도록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2 상부접촉부(12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동모듈부(114)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의 내측면 상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도록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1-1 보조상부접촉부(131)와,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의 내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도록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1-1 보조하부접촉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동모듈부(115)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의 내측면 상부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도록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2-1 보조상부접촉부(133)와,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의 내측면 하부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측면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도록 전후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엘라스토머 재질의 제2-2 보조상부접촉부(13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동모듈부(114)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를 탄성 가압하는 제1 탄성발생체(SP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탄성발생체(SP1)는 상기 제1 상부접촉부(124), 상기 제1 하부접촉부(123), 상기 제1-1 보조상부접촉부(131) 및 상기 제1-1 보조하부접촉부(132)로부터 가압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에서 멀어지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구동체(116)가 상기 제2 거치패널부(112)에서 외측으로 가속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연동모듈부(115)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를 탄성 가압하는 제2 탄성발생체(SP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발생체(SP2)는 상기 제2 상부접촉부(126), 상기 제2 하부접촉부(125), 상기 제2-1 보조상부접촉부(133) 및 상기 제2-1 보조하부접촉부(134)로부터 가압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에서 멀어지도록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 구동체(117)가 상기 제3 거치패널부(113)에서 외측으로 가속 이동하도록 하는 세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접촉부(124)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상부 테두리부 일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하부접촉부(123)는
    상기 제1 보강모듈부(121)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2a)의 하부 테두리부 일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세차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접촉부(126)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상부 테두리부 일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하부접촉부(125)는
    상기 제2 보강모듈부(122)에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b)의 하부 테두리부 일부를 사이에 두고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세차 시스템.
KR1020200051279A 2020-04-28 2020-04-28 세차 시스템 KR10217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279A KR102171909B1 (ko) 2020-04-28 2020-04-28 세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279A KR102171909B1 (ko) 2020-04-28 2020-04-28 세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909B1 true KR102171909B1 (ko) 2020-11-02

Family

ID=7339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279A KR102171909B1 (ko) 2020-04-28 2020-04-28 세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427B1 (ko) * 2020-12-16 2021-08-09 주식회사 이피엔씨하이테크 차량 유리막코팅 알림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950Y1 (ko) * 2001-02-16 2001-07-19 박형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접을 수 있는 모니터
KR20110044586A (ko) * 2009-10-23 2011-04-29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자동 세차기의 모니터링 장치
KR101519989B1 (ko) 2014-02-12 2015-05-14 (주)미주경영지원시스템 자동차 저부 세차용 노즐기구
KR20150078253A (ko) * 2013-12-30 2015-07-08 김옥준 멀티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6550A (ko) * 2016-07-07 2018-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950Y1 (ko) * 2001-02-16 2001-07-19 박형순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접을 수 있는 모니터
KR20110044586A (ko) * 2009-10-23 2011-04-29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자동 세차기의 모니터링 장치
KR20150078253A (ko) * 2013-12-30 2015-07-08 김옥준 멀티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19989B1 (ko) 2014-02-12 2015-05-14 (주)미주경영지원시스템 자동차 저부 세차용 노즐기구
KR20180006550A (ko) * 2016-07-07 2018-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427B1 (ko) * 2020-12-16 2021-08-09 주식회사 이피엔씨하이테크 차량 유리막코팅 알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909B1 (ko) 세차 시스템
KR101871750B1 (ko) 자동 세차기
JP3066420B2 (ja) 洗車装置
JP6107736B2 (ja) 洗車機
JP2015147495A (ja) 洗車機
JP6070619B2 (ja) 洗車方法
JP5724882B2 (ja) 洗車機
KR20230082272A (ko) 자동 세차 로봇
JP4244935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機の制御方法
JP6380243B2 (ja) 洗車機
JP6064939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方法
JP6635084B2 (ja) 洗車機
JP3508490B2 (ja) 洗車機の制御方法
JP6495659B2 (ja) 自走式洗浄機、及び被洗浄物の洗浄方法
JP2527664B2 (ja) 洗車方法
KR200297957Y1 (ko) 천 브러시를 사용하는 자동 세차기 시스템
JP5464120B2 (ja) 洗車機
JP3008737B2 (ja) 洗車機
US20050235443A1 (en) Vehicle surface conditioning apparatus
JP2562073B2 (ja) 洗車機の制御装置
JP6638833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H1159342A (ja) 布製ブラシ使用の洗車方法
JP6838579B2 (ja) 洗車機
JP6252394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方法
JP6673280B2 (ja) 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