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68B1 -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 Google Patents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468B1
KR102170468B1 KR1020190175591A KR20190175591A KR102170468B1 KR 102170468 B1 KR102170468 B1 KR 102170468B1 KR 1020190175591 A KR1020190175591 A KR 1020190175591A KR 20190175591 A KR20190175591 A KR 20190175591A KR 102170468 B1 KR102170468 B1 KR 10217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pport
pipe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경열
공한영
Original Assignee
기득산업 주식회사
기득산업(주)
경원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득산업 주식회사, 기득산업(주), 경원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득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관; 상기 제1관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으로부터 승하강되는 제2관; 및 상기 제1관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기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2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를 포함하는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 적은 힘만으로도 제2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어, 쉽고 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Pin Jigger for easily adjusting it's Height}
본 발명은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조립에 사용되는 블럭이 안착 및 지지되는,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된 수많은 블럭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블럭들은 수톤에서 수백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와 무게를 가질 뿐만 아니라, 부위마다 상이한 곡률을 가지고 있다.
핀지그는 이와 같은 블럭들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구체적인 구성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핀지그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핀지그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핀지그(P)는 제1관(4); 상기 제1관(4)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4)으로부터 승하강되는 제2관(3); 상기 제2관(3)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보조관(2); 및 상기 보조관(2)에 체결되는 지지봉(1)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제1관(4)은 중공관으로, 제1중심공(41)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관(4)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천공된 복수개의 제1핀홀(42)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관(4)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지지판(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4)은 상기 제1관(4)의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는 핀(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핀(43)이 상기 제1관(4)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핀(43)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더 나아가, 상기 핀(43)은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관(4)의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어 있을 뿐, 상기 핀(43)은 상기 제1관(4)과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관(3)은 상기 제1관(4),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관(4)의 상기 제1중심공(41)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4)으로부터 승하강됨으로써, 상기 핀지그의 거시적인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관(3)은 중공관으로, 제2중심공(31)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관(3)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천공된 복수개의 제2핀홀(3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제1핀홀(42) 중 어느 하나의 제1핀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핀홀(32) 중 어느 하나의 제2핀홀이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황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핀홀(42) 중 어느 하나의 제1핀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핀홀(32) 중 어느 하나의 제2핀홀에 상기 핀(43)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관(3)이 상기 제1관(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관(2)은 상기 제2관(3)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관(2)은 상기 제2관(3)의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지지봉(1)과 연동되어, 상기 지지봉(1)의 미세한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보조관(2)은 삽입몸체(22) 및 제1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된 제3중심공(21)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몸체(22)가 상기 제2관(3)의 상기 제2중심공(31)에 삽입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상기 보조관(2)은 상기 제2관(3)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봉(1)은 상기 핀지그(P)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블럭과 접촉되는 구성으로, 상기 보조관(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관(2)의 제3중심공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1)은 지지봉 몸체부(12); 상기 지지봉 몸체부(12)의 상부에 위치하고, 블럭과 접촉하는 헤드(11); 및 상기 지지봉 몸체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봉(1)은 상기 지지봉 몸체부(12)에 상기 제2나사산(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나사산(12)은 상기 제3중심공(21)의 상기 제1나사산(미도시)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봉(1)이 상기 보조관(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1)이 상기 보조관(2)으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핀지그(P)의 미세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핀지그의 경우, 상기 제2관(3)이 상기 제1관(4),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관(4)의 상기 제1중심공(41)에 삽입되어, 적절한 높낮이로 설정된 이후에, 상기 복수개의 제1핀홀(42) 중 어느 하나의 제1핀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핀홀(32) 중 어느 하나의 제2핀홀이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황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핀홀(42) 중 어느 하나의 제1핀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핀홀(32) 중 어느 하나의 제2핀홀에 상기 핀(43)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관(3)이 상기 제1관(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핀지그의 거시적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지봉(1)이 상기 보조관(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1)이 상기 보조관(2)으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핀지그(P)의 미세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관(3)이 상기 제1관(4)의 상기 제1중심공(41)에 삽입되어, 적절한 높낮이로 설정됨에 있어서,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제2관(3)을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하부로 내린 상태에서, 상기 핀(43)을 통해 상기 제2관(3)이 상기 제1관(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다수의 핀지그가 베이스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핀지그에 곡면을 가진 블럭을 안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핀지그(P)는 베이스(G) 상에 일정간격마다 이격되어 수개 내지 수백개가 설치되는데, 블럭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1관(4)의 지지판(44)은 상기 베이스(G) 상에 용접에 의해 영구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설치할 핀지그의 개수는 지지할 블럭의 무게나 곡률 등을 고려해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핀지그(P)를 상기 베이스(G)상에 고정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블럭(B)을 크레인을 이용해 핀지그(P)의 지지봉의 단부상에 안착시킨다.
물론, 블럭을 안착시키기 전에, 블럭의 각 지점의 곡률을 고려해, 해당 지점을 지지하는 핀지그의 높낮이를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미리 설정해 놓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상기 핀지그는, 다양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지만 대략 종방향 길이가 1.5m~2.5m, 무게가 대략 20kg 이상이고, 상기 제2관(3)의 무게도 10kg을 초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3)이 상기 제1관(4)의 상기 제1중심공(41)에 삽입되어, 적절한 높낮이로 설정됨에 있어서, 현장에서 작업자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제2관(3)을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하부로 내린 상태에서, 상기 핀(43)을 통해 상기 제2관(3)이 상기 제1관(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제2관(3)의 경우, 무게가 수십 kg에 달하기 때문에, 핀지그의 높낮이 조절에 많은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높낮이 조절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문제는 적게는 수십개에서 많게는 수백개에 이르는 핀지그의 높낮이를 직접 조절해야 하는 선박의 블럭조립작업에서는 더욱 심각하게 드러난다.
한국특허출원 10-2003-009902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적은 힘만으로도 제2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어, 쉽고 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관; 상기 제1관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으로부터 승하강되는 제2관; 및 상기 제1관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기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2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를 포함하는 핀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관의 외주면의 일측을 밀착하는 제1롤러부; 상기 제1롤러부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관의 외주면의 타측을 밀착하는 제2롤러부; 및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를 포함하는 핀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부에 상기 제2관의 외주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관은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를 상기 제1관의 일정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부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는 관형 고정체; 상기 관형 고정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관형 고정체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를 포함하는 핀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는, 상기 관형 고정체의 외주면의 제1측으로 연장되는 제1-1플레이트; 상기 제1-1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되는 제1-2플레이트; 및 상기 제1-1플레이트와 상기 제1-2플레이트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제1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는, 상기 관형 고정체의 외주면의 제2측으로 연장되는 제2-1플레이트; 상기 제2-1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되는 제2-2플레이트; 및 상기 제2-1플레이트와 상기 제2-2플레이트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핀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부 지지체는, 상기 제1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롤러부 지지체;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와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제2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롤러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는, 제1-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1측 지지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2지지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3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는, 제2-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1측 지지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2지지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3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핀지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부 지지체는,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의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의 상기 제2-1측 지지플레이트를 체결고정하는 제1체결고정장치;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의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의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를 체결고정하는 제2체결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핀지그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힘만으로도 제2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어, 쉽고 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관(140)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기 높이조절부(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만으로도 상기 제2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는 핀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핀지그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핀지그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다수의 핀지그가 베이스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핀지그에 곡면을 가진 블럭을 안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와 구동모터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제1롤러부 지지체와 제2롤러부 지지체의 지지체의 힌지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핀지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100)는, 제1관(140); 상기 제1관(140)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140)으로부터 승하강되는 제2관(130); 상기 제2관(133)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보조관(120); 및 상기 보조관(120)에 체결되는 지지봉(11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제1관(140)은 중공관으로, 제1중심공(미도시)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관(140)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천공된 복수개의 제1핀홀(142)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관(140)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지지판(1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140)은 상기 제1관(140)의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는 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핀(미도시)은 상기 제1관(140)과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관(130)은 상기 제1관(14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관(140)의 상기 제1중심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140)으로부터 승하강됨으로써, 상기 핀지그의 거시적인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관(130)은 중공관으로, 제2중심공(미도시)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관(130)은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천공된 복수개의 제2핀홀(13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제1핀홀(142) 중 어느 하나의 제1핀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핀홀(132) 중 어느 하나의 제2핀홀이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황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핀홀(142) 중 어느 하나의 제1핀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핀홀(132) 중 어느 하나의 제2핀홀에 상기 핀(미도시)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관(130)이 상기 제1관(14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관(120)은 상기 제2관(130)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관(120)은 상기 제2관(130)의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지지봉(110)과 연동되어, 상기 지지봉(110)의 미세한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보조관(120)은 삽입몸체(미도시) 및 제1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된 제3중심공(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몸체(미도시)가 상기 제2관(130)의 상기 제2중심공(미도시)에 삽입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상기 보조관(120)은 상기 제2관(13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봉(110)은 상기 핀지그(100)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블럭과 접촉되는 구성으로, 상기 보조관(12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관(120)의 제3중심공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110)은 지지봉 몸체부(112); 상기 지지봉 몸체부(112)의 상부에 위치하고, 블럭과 접촉하는 헤드(111); 및 상기 지지봉 몸체부(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봉(110)은 상기 지지봉 몸체부(112)에 상기 제2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제2나사산은 상기 제3중심공의 상기 제1나사산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봉(110)이 상기 보조관(1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1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110)이 상기 보조관(120)으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핀지그(100)의 미세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의 경우, 상기 제2관(130)이 상기 제1관(14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관(140)의 상기 제1중심공(미도시)에 삽입되어, 적절한 높낮이로 설정된 이후에, 상기 복수개의 제1핀홀(142) 중 어느 하나의 제1핀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핀홀(132) 중 어느 하나의 제2핀홀이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황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핀홀(142) 중 어느 하나의 제1핀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핀홀(132) 중 어느 하나의 제2핀홀에 상기 핀(미도시)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관(130)이 상기 제1관(14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핀지그의 거시적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지지봉(110)이 상기 보조관(1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지지봉(1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하여, 상기 지지봉(110)이 상기 보조관(120)으로부터 승강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핀지그(100)의 미세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핀지그와 동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상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핀지그를 참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100)는, 상기 제1관(140)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제2관(30이 상기 제1관(4)의 상기 제1중심공(41)에 삽입되어, 적절한 높낮이로 설정됨에 있어서, 현장에서 작업자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제2관(3)을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하부로 내린 상태에서, 상기 핀(43)을 통해 상기 제2관(3)이 상기 제1관(4)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제2관(3)의 경우, 무게가 수십 kg에 달하기 때문에, 핀지그의 높낮이 조절에 많은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높낮이 조절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관(140)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기 높이조절부(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만으로도 상기 제2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는 핀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200)는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롤러부(210) 및 상기 롤러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220)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와 구동모터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부(210)는,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의 일측을 밀착하는 제1롤러부(211); 상기 제1롤러부(211)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의 타측을 밀착하는 제2롤러부(212); 및 상기 제1롤러부(211)와 상기 제2롤러부(2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2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공간부(213)에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관(130)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과의 밀접한 접촉을 위하여, 상기 제1공간부(213)의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공간부(213)의 형상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롤러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롤러부의 외주면을 곡선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1롤러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2롤러부의 외주면은 직선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직선형태의 제1롤러부의 외주면과 직선형태의 제2롤러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제1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부에 상기 제2관(130)이 밀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200)는, 상기 롤러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부는 구동모터(221); 및 상기 롤러부와 연결되는 커플러부(2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부(220)는 상기 제1롤러부 및 상기 제2롤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다만, 도면에서는 상기 구동모터부(220)가 제1롤러부(211)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부(220)는 상기 제1롤러부(21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롤러부(211)는 구동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롤러부(212)는 가이드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롤러부(21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관(130)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는데, 상기 제2관(130)과 밀착되어 있는 상기 제2롤러부(212)의 경우, 상기 제2관(130)의 승강 또는 하강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2롤러부(212)는 상기 제2관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제2롤러부(212)는 가이드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롤러부(211)는 제1롤러부 제1회전축(211a)을 포함하고, 상기 제2롤러부(212)는 제2롤러부 제2회전축(212a)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부(222)는 상기 구동모터(221)와 상기 제1회전축(211a)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221)의 동력을 상기 제1롤러부(211)에 전달하여, 상기 제1롤러부(2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는, 상기 구동모터부가 상기 제1롤러부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모터부를 더 마련하여, 별도의 구동모터부는 상기 제2롤러부(212)와 연결시킴으로써, 별도의 구동모터부에 의해 상기 제2롤러부(212)를 회전시킬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 경우, 즉, 2개의 구동모터부를 두는 경우, 구동모터부를 통하여, 상기 제2관(130)의 승강 또는 하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는 있을 것이나, 제조원가는 더욱 상승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개수의 구동모터부를 둘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200)는, 상기 높이조절부(200)를 상기 제1관(140)의 일정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0); 및 상기 고정부(300)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부 지지체(400)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300)는, 제2공간부(311)를 포함하는 관형 고정체(310);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20);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20)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30)를 포함한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20)에는 제1롤러부 지지체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30)에는 제2롤러부 지지체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상기 제2공간부(311)에는 상기 제1관(140)이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200)가 체결되는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상기 제2공간부(311)에 상기 제1관(140)이 삽입되어 고정된 위치가, 상기 높이조절부(200)가 체결되는 위치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20)는,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외주면의 제1측으로 연장되는 제1-1플레이트(321); 및 상기 제1-1플레이트(321)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되는 제1-2플레이트(3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1플레이트(321)와 상기 제1-2플레이트(322)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제1힌지부(3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30)는,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외주면의 제2측으로 연장되는 제2-1플레이트(331); 및 상기 제2-1플레이트(331)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되는 제2-2플레이트(332)를 포함하며, 상기 제2-1플레이트(331)와 상기 제2-2플레이트(332)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제2힌지부(3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플레이트(322)가 상기 제1-1플레이트(321)에 힌지결합되는 것과, 상기 제2-2플레이트(332)가 상기 제2-1플레이트(331)에 힌지결합되는 것의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300)는,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외주면의 제3측으로 연장되는 제3플레이트(341); 상기 제3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구동모터 안착부(342)를 포함한다.
즉, 상술한 구동모터(221)은 상기 구동모터 안착부(342)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모터 안착부(342)는 상기 제3플레이트(341)를 통해 상기 관형 고정체(310)에 고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부 지지체(400)는, 상기 제1롤러부(211)를 지지하기 위한 제1롤러부 지지체(410);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와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제2롤러부(212)를 지지하기 위한 제2롤러부 지지체(4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는, 제1-1지지플레이트(411); 상기 제1-1측 지지플레이트(411)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2지지플레이트(412); 및 일측은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3지지플레이트(413)를 포함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411)는 수평 제1-1플레이트로,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412)는 수평 제1-2플레이트로, 상기 제1-3지지플레이트(413)는 수직 제1플레이트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1-3지지플레이트(413)는, 각각 제1-1지지플레이트(411) 및 제1-2지지플레이트(412)와 수직을 유치한 채로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는, 제2-1지지플레이트(421); 상기 제2-1측 지지플레이트(421)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2지지플레이트(422); 및 일측은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3지지플레이트(423)를 포함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421)는 수평 제2-1플레이트로,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422)는 수평 제2-2플레이트로, 상기 제2-3지지플레이트(423)는 수직 제2플레이트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제2-3지지플레이트(423)는, 각각 제2-1지지플레이트(421) 및 제2-2지지플레이트(422)와 수직을 유치한 채로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411)에는 상기 제1롤러부 제1회전축(211a)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1삽입공(411a)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412)에는 상기 제1롤러부 제1회전축(211a)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1-2삽입공(412a)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롤러부 제1회전축(211a)의 일단부는 상기 제1-1삽입공(411a)에 삽입되고, 상기 제1롤러부 제1회전축(211a)의 타단부는 상기 제1-2삽입공(412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롤러부 제1회전축(211a)은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411) 및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4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1롤러부(211)는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421)에는 상기 제2롤러부 제2회전축(212a)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2-1삽입공(421a)을 포함하고,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422)에는 상기 제2롤러부 제2회전축(212a)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2삽입공(422a)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2롤러부 제2회전축(212a)의 일단부는 상기 제2-1삽입공(421a)에 삽입되고, 상기 제2롤러부 제2회전축(212a)의 타단부는 상기 제2-2삽입공(422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롤러부 제2회전축(212a)은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421) 및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4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2롤러부(212)는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300)는, 관형 고정체(31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20);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20)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30)를 포함한다.
즉, 상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20)에는 제1롤러부 지지체(41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30)에는 제2롤러부 지지체(420)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20)는,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외주면의 제1측으로 연장되는 제1-1플레이트(321); 및 상기 제1-1플레이트(321)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되는 제1-2플레이트(322)를 포함하며, 보다 세부적으로, 상기 제1-2플레이트(322)에는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의 상기 제1-3지지플레이트(413)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2플레이트(322)의 힌지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도 상기 제1-2플레이트(322)를 따라 힌지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330)는,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외주면의 제2측으로 연장되는 제2-1플레이트(331); 및 상기 제2-1플레이트(331)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되는 제2-2플레이트(332)를 포함하며, 보다 세부적으로, 상기 제2-2플레이트(332)에는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의 상기 제2-3지지플레이트(423)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2플레이트(332)의 힌지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도 상기 제2-2플레이트(322)를 따라 힌지이동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제1롤러부 지지체와 제2롤러부 지지체의 지지체의 힌지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플레이트(322)의 힌지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도 상기 제1-2플레이트(322)를 따라 힌지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2플레이트(332)의 힌지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도 상기 제2-2플레이트(322)를 따라 힌지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플레이트(322)와 상기 제2-2플레이트(332)가 각각 힌지운동하여,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가 서로 멀어져, 관형 고정체(310)의 상부영역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상기 제2공간부(311)에 상기 제1관(140)을 삽입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00)가 체결되는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 고정체(310)의 상기 제2공간부(311)에 상기 제1관(140)을 삽입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00)가 체결되는 위치가 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2플레이트(322)와 상기 제2-2플레이트(332)를 각각 원위치로 되돌려,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롤러부(211)를 통해,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의 일측을 밀착하고, 상기 제2롤러부(212)를 통해,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의 타측을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제1롤러부(211)를 통해,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의 일측을 밀착하고, 상기 제2롤러부(212)를 통해, 상기 제2관(130)의 외주면의 타측을 밀착시키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통해,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를 밀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고정장치(430)를 통해,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의 제1-1지지플레이트(411)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의 제2-1측 지지플레이트(421)를 체결고정하고, 제2체결고정장치(440)를 통해,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410)의 제1-2지지플레이트(412)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420)의 제2-2지지플레이트(422)를 체결고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200)의 경우, 어느 하나의 핀지그에 항상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제1체결고정장치 및 제2체결고정장치를 해제하여, 상기 높이조절장치를 어느 하나의 핀지그에서 분리하여, 다른 핀지그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적은 힘만으로도 제2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어, 쉽고 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관(140)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1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기 높이조절부(2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만으로도 상기 제2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는 핀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제1관;
    상기 제1관에 삽입되어, 상기 제1관으로부터 승하강되는 제2관; 및
    상기 제1관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2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를 포함하는 핀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관의 외주면의 일측을 밀착하는 제1롤러부; 상기 제1롤러부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2관의 외주면의 타측을 밀착하는 제2롤러부; 및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를 포함하는 핀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에 상기 제2관의 외주면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관은 승강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지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를 상기 제1관의 일정 영역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정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부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는 관형 고정체; 상기 관형 고정체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관형 고정체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를 포함하는 핀지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 안착부는, 상기 관형 고정체의 외주면의 제1측으로 연장되는 제1-1플레이트; 상기 제1-1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되는 제1-2플레이트; 및 상기 제1-1플레이트와 상기 제1-2플레이트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제1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 안착부는, 상기 관형 고정체의 외주면의 제2측으로 연장되는 제2-1플레이트; 상기 제2-1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가 고정되는 제2-2플레이트; 및 상기 제2-1플레이트와 상기 제2-2플레이트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한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핀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 지지체는, 상기 제1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롤러부 지지체;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와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제2롤러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롤러부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는, 제1-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1-1측 지지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1-2지지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3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는, 제2-1지지플레이트; 상기 제2-1측 지지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2지지플레이트; 및 일측은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1지지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3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핀지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 지지체는,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의 상기 제1-1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의 상기 제2-1측 지지플레이트를 체결고정하는 제1체결고정장치; 및 상기 제1롤러부 지지체의 상기 제1-2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롤러부 지지체의 상기 제2-2지지플레이트를 체결고정하는 제2체결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핀지그.
KR1020190175591A 2019-12-26 2019-12-26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217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591A KR102170468B1 (ko) 2019-12-26 2019-12-26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591A KR102170468B1 (ko) 2019-12-26 2019-12-26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468B1 true KR102170468B1 (ko) 2020-10-28

Family

ID=7301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591A KR102170468B1 (ko) 2019-12-26 2019-12-26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3043A (zh) * 2020-10-14 2021-01-0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双曲面分段胎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987A (ko) * 2003-12-29 2005-07-05 공경열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0908605B1 (ko) * 2008-12-18 2009-07-21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개폐기용 가이드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987A (ko) * 2003-12-29 2005-07-05 공경열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0908605B1 (ko) * 2008-12-18 2009-07-21 주식회사 청오엔지니어링 개폐기용 가이드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3043A (zh) * 2020-10-14 2021-01-0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双曲面分段胎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781B1 (ko) 3차원 형상의 오목, 볼록 판재 겸용 자동경사조절 장치
KR102170468B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US20130313045A1 (en) Scaffolding attachment arrangement
JP2005042313A (ja) 塔型構造物の組立方法及び組立装置
CN102704832A (zh) 旋挖钻机
CN109534214B (zh) 一种可调整加载高度的门式反力架
CN207671554U (zh) 一种大型钢管吊装组合定位调节装置
CN203961257U (zh) 智能托撑
KR102258877B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2045025B1 (ko) 해양구조물용 대형 원통 구조물의 진원도 유지 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6101164B2 (ja) 調芯用球面座金
CN106368322B (zh) 一种用于超高层建筑转换层之间的双向对称倾斜钢柱的安装方法
KR100415930B1 (ko) 각도 자동조절수단이 구비된 유압잭용 램 베이스
KR200381787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CN220113680U (zh) 一种具有支撑结构的墙体打孔机
JP2011149163A (ja) 鉄塔支持型構造物の解体設備及びその解体方法
CN207194831U (zh) 一种通用桅杆装置及应用该通用桅杆装置的挖机
CN214924224U (zh) 一种用于卧式储氢压力容器的装配装置
JPH07113332A (ja) 大空間構造物の構築装置
CN219258741U (zh) 一种x光机的翻转装置
CN217417929U (zh) 一种用于液体火箭发动机的翻转夹具
CN211081774U (zh) 带压设备安装自动对正装置
KR200379658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2125627B1 (ko) 대형물 틸팅 장치
KR20120007485U (ko) 케이블 트레이 취부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