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733B1 -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 Google Patents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733B1
KR102169733B1 KR1020200100285A KR20200100285A KR102169733B1 KR 102169733 B1 KR102169733 B1 KR 102169733B1 KR 1020200100285 A KR1020200100285 A KR 1020200100285A KR 20200100285 A KR20200100285 A KR 20200100285A KR 102169733 B1 KR102169733 B1 KR 102169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nuclear power
dismantling
separ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지훈
손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10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전 해체를 위하여 밀폐된 구조를 갖는 이동식 작업장에서 사용한 물 또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고, 방사성 물질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된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100); 및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 거치되는 다수의 집수모듈(200); 및 상기 집수모듈(200)을 서로 연결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연결부재(300); 및 다수의 연결용 니플(510)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Movable Workplace Bottom Module for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이라고 함)를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전 해체를 위하여 밀폐된 구조를 갖는 이동식 작업장에서 사용한 물 또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고, 방사성 물질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에 관한 것이다.
국내 원전들 중에서 다수가 설계수명이 다해 가고 있고, 2022년부터 본격적인 해체에 들어갈 계획이다.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상업용 원전의 해체 경험이 없어 안전하고 경제적인 원전 해체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원전 해체 순서는 일반적으로 제염, 절단/철거, 폐기물 처리 및 부지 복원 순으로 진행된다. 원전 해체에 있어서의 제염이란 특정 지역, 시설/장비의 표면으로부터 세척, 가열, 화학적, 전기화학적, 기계적 세정 및 용융 등과 같은 기타의 방법으로 방사성 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
이처럼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는 원전의 해체 공사는, 원전 구조물 내에 있는 기기/구조물을 순차적으로 철거한 후에 마지막 단계에서 건물 외벽을 철거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원전구조물과 같은 방사선관리건물 내에서 기기/구조물 해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비산물, 분진 등을 격리하지 않으면 방사성 물질이 관리구역내로 확산되어 2차 오염이 발생하게 되어 방사성폐기물량이 증가하게 된다. 방사성 폐기물량이 증가하면 이는 결국 원전 해체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므로 해체단계에서 방사성 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원전구조물 해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696876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전구조물 해체용 건식 와이어쏘를 이용한 절단시스템과 이의 절단 및 헤체공법(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관한 기술이 나타나 있다.
종래기술에는 절단 공정 중에 분진을 회수하는 장치 등이 나타나 있지만, 원전 해체단계에서 수많은 기기/구조물을 제염, 분해, 절단, 철거해는 중에 발생하는 다량의 방사성 비산물, 분진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또한 콘크리트, 기계장치 및 배관 절단(산소 또는 기계식 절단) 과정에서 많은 유해가스가 발생되어 작업자의 호흡기 질환이나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대한 고려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해체작업으로 인한 방사성물질과 유해가스가 건물 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체작업 공간을 밀폐하고 방사성물질과 유해가스를 해체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작업장이 필요하고, 특히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크기로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는 이동식 작업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이동식 작업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해체 작업 중 물 또는 액체를 사용하여도 해체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외부로 누수되어 추가적인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바닥 모듈을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96876호(2018.01.17. 공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전의 해체작업(제염, 절단, 분해, 압축, 포장 등)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장 외부로 2차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에서 요구되는, 집수 기능과 누수 방지 기능 및 쉽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은, 서로 이격된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100); 및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 거치되는 다수의 집수모듈(200); 및 상기 집수모듈(200)을 서로 연결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연결부재(300); 및 다수의 연결용 니플(510)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각 집수모듈(200)은 집수부(211)와 상기 집수부(211)의 전·후면에 형성된 오수 이동통로(214) 및 지지단턱(212)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거치되는 집수통(210); 상기 집수부(211) 내의 지지단턱(212)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거름망 부재(220); 및 상기 거름망 부재(220)의 상부에 거치되는 그레이팅(230)을 포함하고, 상기 각 연결부재(300)는 이웃하는 상기 집수통(210)의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여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홈(311, 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용 니플(510)은 이웃하는 상기 집수통(210)의 오수 이동통로(214)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 연결부재(300)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다수의 이탈방지부재(400)가 추가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재(400)는 상기 각 연결부재(300)의 상부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결합부(410) 및 상기 거름망 부재(220) 및 상기 그레이팅(230)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30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탈방지단(420);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탈방지단(4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단턱(212) 및 상기 거름망 부재(220)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 바닥 모듈은 집수 기능 및 누수 방지 기능을 갖고 있고, 설치되는 집수 모듈(20)의 수를 변경하며 그 크기 변경도 용이하므로, 원전 해체 작업시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의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을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 모듈에는 다수의 집수 모듈(20)이 연결부재(30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 모듈은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연결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400)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거름망 부재(220) 및 그레이팅(230)의 하중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해체 작업 중에 연결부재(300)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집수통 사이의 틈으로 누수가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 바닥 모듈의 설치 공정은 현저히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종래기술에 나타난 원전구조물 해체용 절단시스템의 개략도.
도 2.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개략도.
도 3. 본 발명의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의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바닥 모듈에 구비된 집수 모듈
(a) 집수 모듈 결합도 (b) 집수 모듈 분해도
도 5. 본 발명의 집수통 설치 과정도
도 6. 본 발명의 집수통 연결 과정도
도 7. 본 발명의 연결부재 및 이탈방지부재 상세도
(a) 4방 연결부재 (b) 직선 연결부재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벽체 모듈(11)을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출입문(12), 창문(13) 및 내부와 외부를 통할 수 있도록 공조모듈(1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장(10)의 내부에는 절단 및 분해 설비, 유해물질 감시설비, 화재방호 설비, 중량물 취급설비, 압축공기 공급설비, 용수 설비, 및 전원 등의 부대설비(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해체용 구조물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고, 해체 작업중 사용된 물이나 액체 등을 집수할 수 있어야 하며, 누수가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바닥 모듈이 요구된다.
도 3에는 이러한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에 설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닥 모듈(2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20)은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100);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 거치되는 다수의 집수 모듈(200); 상기 다수의 집수 모듈(200)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300); 및 상기 각 연결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이탈방지부재(400)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각 베이스 프레임(100)은 상기 집수 모듈(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 모듈(200)은 설치, 분리 및 이동이 용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집수 모듈(200)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 모듈(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작업 중 사용된 물 또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집수통(210); 상기 집수통(210)의 상부에 거치되는 거름망 부재(220); 및 그레이팅(230)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집수통(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또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집수부 벽면(213) 및 바닥면에 의하여 결정되는 집수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집수부 벽면(2133) 중에서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단턱(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단턱(2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부 벽면(213)의 가운데 부분에서 집수부(21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집수통(210)의 외측에서도 상기 지지단턱(2112) 부분에서 단차(212a)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단차부(212a)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접하여 집수통(210)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지지단턱(2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통(210)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집수부(21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거름망 부재(220)와 상기 그레이팅(230)이 거치될 때 지지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해체되는 원전 구조물의 일부가 상기 그레이팅(230)에 놓여졌을 때, 상기 집수통(210)은 상기 지지단턱(212)을 통하여 그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통(210)은 충분히 큰 강성을 갖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작할 수도 있고, 이동식 작업장(10)에 설치와 분리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그 무게가 가벼운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으면서 상대적으로 금속보다 가벼운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F)과 같은 재료로 제작할 수도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지지단턱(212)은 상기 거름망 부재(220)와 상기 그레이팅(230)을 거치하였을 때, 상기 집수부 벽면(213)의 상단부가 그레이팅(23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지지단턱(212)이 집수부(211)의 양 측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수부(211)의 전, 후면에 형성하거나, 전체 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집수부 벽면(213)의 전, 후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 결합홀(2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니플 결합홀(21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510)이 연결되어 집수통(210)에 집수돈 오수를 니플(510)을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레이팅(230)은 이동식 작업장(10)의 바닥 모듈(20)에서 해체용 원전 구조물, 해체용 작업 기기 및/또는 작업자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그레이팅(230)은 해체 작업 중에 사용된 물이나 액체를 하부에 구비된 집수통(210)의 집수부(211)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프레임(231) 및 그레이팅 격자(2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그레이팅 격자(232)를 통하여 물이나 액체를 하부로 흘려 보낼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230)은 충분한 크기의 강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금속이나 FRP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그레이팅(230)의 격자(232)는 해체되는 구조물의 파편 등과 같이 일정 크기 이상의 덩어리 형태를 갖는 것은 그래이팅 격자(232)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집수부(2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상기 그레이팅(230)은 상기 거름망 부재(2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단턱(212)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름망 부재(220)는 집수부(211)에 오수를 저장하고 해체되는 구조물의 파편 등과 같이 일정 크기 이상의 덩어리 형태를 갖는 것은 집수부(2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222)과 이를 지지하는 거름망 프레임(221)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거름망(222)은 상기 그레이팅 격자(232)보다 촘촘하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그레이팅 격자(232)는 통과한 파편 등을 2차적으로 걸러주는 기능을 한다.
거름망 부재(220)는 상기 집수통(210)에 삽입되어 상기 거름망 프레임(220)이 상기 지지단턱(212)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에 다수의 집수통(210)이 설치되므로,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해체 작업 중에 사용되는 물이나 액체가 집수통(210)의 연결부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도 필요하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30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집수통(210)을 연결하고, 이웃하는 집수통(210)의 모서리 사이의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집수통(210)의 모서리 전체를 밀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재(30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 연결부재(310)와 직선 연결부재(320)를 포함하고 있다.
4방 연결부재(31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이웃하는 집수통(210)의 모서리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직선 연결부재(32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이웃하는 집수통(210)의 모서리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
상기 4방 및 직선 연결부재(310, 320)는 그 상부가 막혀 있고, 하부에는 집수통(210)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1, 3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311, 321)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실링층(312, 322)이 추가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4방 및 직선 연결부재(310, 320)의 외측에는 각각 다수의 이탈방지부재 안착홈(313, 323)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각 이탈방지부재 안착홈(313, 323)에는 이탈방지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400)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재 안착홈(313, 323)에 결합되는 결합부(410) 및 이탈방지단(4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410)는 상기 이탈방지부재 안착홈(313, 323)에 상부에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
Figure 112020084142139-pat00001
'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탈방지단(420)은 상기 결합부(410)의 양 단부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410)의 두께는 상기 이탈방지부재 안착홈(313, 323)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집수통 연결부재(300)의 상부면 및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 안착홈(313, 323)의 홈 깊이와 동일하거나 홈 깊이보다 작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410)의 길이는 상기 이탈방지부재(400)가 상기 집수통 연결부재(3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이탈방지단(420)이 상기 집수통(210)의 지지단턱(212)에 접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플(510)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집수통(210)에 형성된 오수 이동통로(214)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니플(5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512)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며 외주면에 나사부(511)가 형성되어 있다.
집수통(210)의 오수 이동통로(214)에 결합된 상기 니플(510)에 고무링(520)과 너트(530)을 결합하여 집수통(210)에 집수된 오수가 니플(510)을 통해서만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앞 쪽에 설치된 집수통(210)의 니플(510)은 이동식 작업장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 때, 외부로 노출되는 니플(510)은 외부에 구비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저장조(미도시)로 오수를 이동시킨 후, 오수에 대한 별도의 제염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20)의 조립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바닥 모듈(20)을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100)을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바닥면을 편평하게 만드는 작업을 미리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간격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상기 집수통(210)의 외측에 형성된 단차부(212a)가 거치될 수 있는 간격이 바람직할 것이다.
설치하고자 하는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20)의 크기에 따라,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수는 다르게 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추가로 베이스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다수의 집수통(210)을 설치한다.
상기 집수통(210)들은 이웃하는 집수통(210)의 모서리가 서로 닿거나 근접한 위치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웃하는 집수통의 모서리(210)를 다수의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한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300)는 4방 연결부재(310)와 직선 연결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통의 모서리(210)의 상부에서 끼움 방식으로 각 모서리를 연결하여 집수통의 각 모서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이웃하는 집수통(210)의 모서리 사이의 틈이 완전히 밀폐되므로, 집수통(210)의 모서리를 통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5 내지 6에는 집수통(210)이 4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장의 크기에 따라 더 많은 집수통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300)의 수 및 및 다른 형상의 연결부재(300), 예를 들면, 3방 연결부재 등을 추가로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집수통(210)에 연결된 각 연결부재(300)에 다수의 이탈방지부재(400)를 연결한다.
이 때, 상기 각 이탈방지부재(400)는 결합부(410)가 상기 집수통 연결부재(300)의 상부면과 측면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재 안착홈(313, 323)을 감싸도록 연결한다. 이 때 결합된 상기 이탈방지부재(400)에 형성된 이탈방지단(420)의 하부면은 상기 집수통(210)에 형성된 지지단턱(212)의 상부면의 위치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지지단턱(212)이 형성된 위치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부재(400)는 이탈방지단(420)이 지지단턱(212)에 접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웃하는 집수통(210)에 형성된 오수 이동통로(214)를 니플(510)로 연결한다.
니플(510)로 오수 이동통로(214)를 연결시키고 양측에서 고무링(520) 및 너트(53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내플(530)에 형성된 관통공(512)을 통해서만 집수부(211)에 집수된 오수가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집수통(210)에 상기 거름망 부재(220)를 거치시킨다.
상기 거름망 부재(220)는 집수부(211) 내의 지지단턱(212)에 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이탈방지부재(400)의 이탈방지단(420)이 상기 지지단턱(212) 상에 접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거름망 부재(220)는 엄밀하게는 상기 이탈방지단(420) 상에 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거름망 부재(220)의 거름망 프레임(221)은 설치된 모든 이탈방지단(420)의 상부에 위치하며, 모든 이탈방지부재(40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며, 거름망 부재(220)의 하중은 지지단턱(212)이 지지하므로, 거름망 부재(220)가 이탈방지부재(400)에 하부 방향으로 추가적인 힘을 가하지는 않는다.
다음에, 상기 거름망 부재(220)의 상부에 그레이팅(230)을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이탈방지부재(400)는 거름망 부재(220) 및 그레이팅(230)의 무게에 의하여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안전하게 집수통 연결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집수통(210)을 연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레이팅(230) 상에 해체용 원전 구조물이 올려졌을 때에도 그레이팅(230)과 거름망 부재(220)가 분리되지 않는 한 연결부재(300)는 분리되지 않으므로, 이웃하는 집수통(210)의 모서리 틈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닥 모듈(20)은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10)에 적합한 바닥 모듈(20)이며, 그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집수통(210)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도, 그레이팅(230), 거름망 부재(220), 이탈방지부재(400)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면, 쉽게 집수통 연결부재(3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그 후, 각 집수통(210)을 하나씩 분리할 수 있으므로, 분리 공정 또한 현저히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물 또는 액체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장인 경우에는 최외곽에 형성된 니플(510)과 외부의 저장조(미도시)를 모터(미도시)를 매개로 연결하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별도의 외부의 저장조(미도시)를 구성함으로써 해체 작업 중 사용한 물 또는 액체를 외부의 저장조(미도시)로 이동시킨 후, 상기 외부의 저장조(미도시)에서 오수에 대한 제염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이동식 작업장 11: 벽체 모듈 12: 출입문
13: 창문 14: 공조모듈 20: 바닥 모듈
100: 베이스 프레임 200: 집수 모듈 210: 집수통
211: 집수부 212: 지지단턱 212a: 단차
213: 집수부 벽면 214: 오수 이동통로
220: 거름망 부재 221: 거름망 프레임 222: 거름망
230: 그레이팅 231: 그레이팅 프레임
232: 그레이팅 격자 300: 연결부재
310: 4방 연결부재 311: 결합홈 312: 실링층
313: 이탈방지부재 안착홈 320:: 직선 연결부재
321: 결합홈 322: 실링층 323: 이탈방지부재 안착홈
400: 이탈방지부재 410: 결합부 420: 이탈방지단
510: 니플 511: 나사부 512: 관통공
520: 고무링 530: 너트

Claims (3)

  1. 서로 이격된 다수의 베이스 프레임(100); 및 이웃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 거치되는 다수의 집수모듈(200); 및 상기 집수모듈(200)을 서로 연결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연결부재(300); 및 다수의 연결용 니플(510)을 포함하고,
    상기 각 집수모듈(200)은
    집수부(211)와 상기 집수부(211)의 전·후면에 형성된 오수 이동통로(214) 및 지지단턱(212)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거치되는 집수통(210); 상기 집수부(211) 내의 지지단턱(212)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거름망 부재(220); 및 상기 거름망 부재(220)의 상부에 거치되는 그레이팅(230)을 포함하고,
    상기 각 연결부재(300)는 이웃하는 상기 집수통(210)의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여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홈(311, 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용 니플(510)은 이웃하는 상기 집수통(210)의 오수 이동통로(214)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부재(300)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다수의 이탈방지부재(400)가 추가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재(400)는 상기 각 연결부재(300)의 상부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결합부(410) 및 상기 거름망 부재(220) 및 상기 그레이팅(230)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탈방지단(42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단(4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단턱(212) 및 상기 거름망 부재(2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KR1020200100285A 2020-08-11 2020-08-11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KR10216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285A KR102169733B1 (ko) 2020-08-11 2020-08-11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285A KR102169733B1 (ko) 2020-08-11 2020-08-11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733B1 true KR102169733B1 (ko) 2020-10-26

Family

ID=7300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285A KR102169733B1 (ko) 2020-08-11 2020-08-11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276B1 (ko) * 2020-11-11 2021-10-20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KR102325510B1 (ko) * 2020-11-11 2021-11-1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독립 설치형 외부조명부를 구비하는 원전 해체 작업장
KR102325511B1 (ko) * 2020-12-21 2021-11-1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모듈 조합형 원전 설비 해체 작업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76B1 (ko) * 2009-05-11 2011-11-02 김원걸 다중 구조 방수천장
KR20130036115A (ko) * 2013-03-22 2013-04-10 한상관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도록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가 구성되는 다기능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장치
KR101696876B1 (ko) 2016-08-03 2017-01-17 인영건설 주식회사 원전구조물 해체용 건식 와이어쏘를 이용한 절단시스템과 이의 절단 및 해체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76B1 (ko) * 2009-05-11 2011-11-02 김원걸 다중 구조 방수천장
KR20130036115A (ko) * 2013-03-22 2013-04-10 한상관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도록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가 구성되는 다기능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장치
KR101696876B1 (ko) 2016-08-03 2017-01-17 인영건설 주식회사 원전구조물 해체용 건식 와이어쏘를 이용한 절단시스템과 이의 절단 및 해체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276B1 (ko) * 2020-11-11 2021-10-20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KR102325510B1 (ko) * 2020-11-11 2021-11-1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독립 설치형 외부조명부를 구비하는 원전 해체 작업장
KR102325511B1 (ko) * 2020-12-21 2021-11-12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모듈 조합형 원전 설비 해체 작업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733B1 (ko)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US88736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mantling a nuclear reactor
KR20200004367A (ko) 관절형의 접이식 자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격납 에어록
CN103170484B (zh) 一种清除烟囱内部污染物的装置及方法
JP6916239B2 (ja) 原子炉建屋全体カバー装置及び原子炉建屋準備作業方法
CN102513343A (zh) 用于修复有机物污染土壤的处理系统
CN109949961A (zh) 一种大尺寸放射性固体废物解体防护装置
CN203124364U (zh) 一种清除烟囱内部污染物的装置
JP3732464B2 (ja) 解体工事用の構造物、解体工事における防塵方法
CN209766052U (zh) 一种大尺寸放射性固体废物解体防护装置
JP6075967B2 (ja) 遮蔽保護テント組立体
JP6518511B2 (ja) 原子炉圧力容器を開放する方法及び燃料デブリの取出し方法
CN219365049U (zh) 一种用于屏蔽厂房内的空气隔板
KR102040985B1 (ko) 차량을 통하여 이송되는 고상 유해물질 이송 저장 장치
JPH11316298A (ja) 放射性物質内包機器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2325511B1 (ko) 모듈 조합형 원전 설비 해체 작업장
JP2007107359A (ja) アスベスト除去方法及びアスベスト除去装置ユニット
WO2018235686A1 (ja) 局所排気機能を備えた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集塵・排気システム
JP6369791B1 (ja) トーラス室内機器の解体工法
JP6975676B2 (ja) 原子炉格納容器及び生体遮蔽壁の解体工法
CN107875755A (zh) 一种应用于焊接平台除尘环保设备
KR102239500B1 (ko) 볼탱크 내부검사 및 보수용 비계시스템
CN207324320U (zh) 一种粉尘收集用中央集成机
Uematsu et al. Dismantling of gloveboxes for MOX fuel fabrication by a glovebox dismantling facility
RU2408102C1 (ru) Способ сбора просыпи тверды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на объектах атомной энергети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