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376B1 - 다중 구조 방수천장 - Google Patents

다중 구조 방수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376B1
KR101079376B1 KR1020090040637A KR20090040637A KR101079376B1 KR 101079376 B1 KR101079376 B1 KR 101079376B1 KR 1020090040637 A KR1020090040637 A KR 1020090040637A KR 20090040637 A KR20090040637 A KR 20090040637A KR 101079376 B1 KR101079376 B1 KR 101079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waterproof
ceiling
hanger
modu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777A (ko
Inventor
김원걸
Original Assignee
김원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걸 filed Critical 김원걸
Priority to KR102009004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376B1/ko
Priority to CN2009101502786A priority patent/CN101886441B/zh
Priority to US12/493,553 priority patent/US8156702B2/en
Priority to JP2009153484A priority patent/JP5124532B2/ja
Priority to ES09164188.6T priority patent/ES2575654T3/es
Priority to EP09164188.6A priority patent/EP2253766B1/en
Publication of KR2010012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04B9/02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comprising drainage gutters for condensed water or gr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구조를 갖는 방수 천장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 벽 또는 방수천장의 일 측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단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으로 구비된 행거부; 상기 행거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행거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된 캐링찬넬; 상기 캐링찬넬의 경로 상에 연결 및 고정되어 누수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지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는 배수모듈바; 상기 배수모듈바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어 각 배수모듈바의 사이를 마감하는방수패널; 및, 상기 배수모듈바의 일 측 끝단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누수된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규격화된 부품의 조립에 의하여 단층 및 다중 층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비할 수 있고 각 부품의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배관, 배선, 덕트, 트레이 등의 설비를 공간의 제약 없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다중 구조를 형성하여 별도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기 순환의 통로로 활용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냉난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방수, 천장, 행거, 캐링찬넬, 배수, 모듈바, 집수, 패널, 표준, 설비, 공조

Description

다중 구조 방수천장{Waterproof Ceiling With Multiple Types Of Structures}
본 발명은 다중 구조가 가능한 방수천장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구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각 부품이 규격화되고 배관, 배선, 덕트, 트레이 등의 설치시 공간의 제약을 피할 수 있으며 공기순환을 극대화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고가의 장비를 보호하거나 기밀 자료를 보관하기 위한 장소에서 천장을 통한 누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건축물에는 건물의 천장 재료로서 천장 마감 재료를 일정하게 배열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경량천장철골틀과 마감재 부착을 위한 T-BAR, M-BAR, TH-BAR 및, 알루미늄, 석고보드, 마이톤과 같은 천장 마감재가 사용된다.
이 경우 천장에서 누수가 발생했을 때 주요 장비(서버, 정밀장비, 의료장비, 전자 기기 등) 및 전원설비에 치명적인 손상과 정보자원 손실의 2차 피해를 초래하여 막대한 재산상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건물의 천장면 내부에는 냉,난방을 위한 수배관, 소화설비용 수배관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동일층 및 상부층 천장내부의 수배관의 물이 누수되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2000년 증권사 4층 전산실 2개층 상부(6층)의 스프링클러 오작동으로 인한 전산실의 침수사고로 인해 수백억의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증권서비스가 중단된 대표적인 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누수나 설비의 오작동은 전산실 서버, 은행의 전산정보, 건물의 전원설비, 고가의 의료장비 등 정보화 사회의 주요 자원인 정보 및 건물 기능에 심각한 고장을 발생시켜 고객 및 회원,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수에 대한 대책으로 천장내부 수배관을 철거하고 가스방식의 소화설비를 설치하며 상부층 바닥을 방수처리하는 등의 공사를 하고 있으나, 상부층이 비어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 불가능한 상황이며 방수처리가 가능하다고 하여도 팬코일 배관부, 아웃렛 박스 및 기타 틈새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방수가 된다고 하더라도 빠른 시간 내에 수평으로 넓게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실용신안등록 제264930호의 천정용 누수인식 보조기구는 천장의 전영역을 방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상호 이음연결되어 있는 방수조립체와, 상기 방수조립체를 콘크리트 배면에 소정의 설비공간을 두어 고정시키는 행커프레임과, 상기 방수조립체의 가장자리 측면에 설치되어 누수시키는 드레인관과, 상기 방수조립체 상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일정한 량의 수분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누수센서 와, 상기 방수조립체 내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관리자에게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알람부를 구성한 것으로 천장면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방수처리 보조재를 겹겹이 적층하여 시공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수처리천장의 구조는 방수조립체에 다수의 방수보강재를 적층 구성한 천장으로 중량이 커지므로 시공상의 어려움과 시공비의 증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조는 상부천장에 과누수의 발생 시에 천장면이 무게를 이겨내지 못하고 일측면이 기울어져 뭉게지거나 천장이 주저앉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매우 크다.
다른 기술로는 특허 제10-0702847호에 방수 방진용 경량구조의 이중천장의 기술이 공개되었으나 이중천장은 천장내부의 설치를 위한 이중적인 공간의 높이를 필요로 하여 천장 내부에 공간적인 여유가 없는 곳에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행거부가 방수천장면을 관통하여 완벽한 방수처리에 한계가 있으며 설치 후 천장 내부 점검이 불가능하고 조립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부품이 규격화되어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고, 다중 구조를 형성하여 배관, 배선, 덕트, 트레이 등의 설비를 공간의 제약 없이 손쉽게 배치할 수 있으며, 상부 방수천장면과 하부 일반천장면 사이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기 순환의 통로로 활용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구조 방수천장은 천장 벽 또는 방수천장의 일 측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단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으로 구비된 행거부; 상기 행거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행거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된 캐링찬넬; 상기 캐링찬넬의 경로 상에 연결 및 고정되어 누수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지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는 배수모듈바; 상기 배수모듈바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어 각 배수모듈바의 사이를 마감하는방수패널; 및, 상기 배수모듈바의 일 측 끝단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누수된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부는 상기 천장 벽에 고정된 콘크리트 앙카 또는 상기 배수모듈바의 하단에 형성된 레일부에 고정된 퍼즐 앙카에 연결된 행거볼트; 및 상기 행거볼트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하측에서 캐링찬넬 또는 배수모듈바를 지지하는 달대행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모듈바는 양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측 끝단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실링홈이 형성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 내측으로 상기 방수패널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홈; 및, 상기 양측 측벽부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부의 외측면에서 퍼즐앙카가 삽입 구비되도록 형성된 홈 형상의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배수모듈바는 상기 측벽부 양측 하단에서 마감부재 또는 흡음텍스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와 상기 끼움홈의 이음부에는 스톱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방수패널의 양 끝단이 상기 끼움홈에 삽입 시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배수모듈바는 상기 캐링찬넬의 경로상에서 구비된 역행거 또는 상기 캐링찬넬과 달대행거에 의해 연결된 행거볼트에 고정된 모듈바 행거가,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형성된 걸이구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수모듈바는 양측이 절곡된 형상의 모듈바끼움패널 또는 상기 배수모듈바의 외측 형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외부 연결바에 의하여 서로 이음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수모듈바는 양측이 절곡된 형상의 모듈바끼움패널 또는 상기 배수모듈바의 측벽부의 상하단 외측에 형성된 패널끼움부에 삽입되는 모듈바조인트패널에 의하여 서로 이음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수모듈바는 지면과 0.3°내지 2°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설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방수패널은 상기 배수모듈바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양단 하측으로 끼움턱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턱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된 하부방수패널; 상기 배수모듈바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양단 하측으로 끼움턱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턱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절곡된 연결홈을 포함한 상부방수패널; 및, 상기 배수모듈바 사이를 마감하도록 구비된 수평방수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방수패널의 연결부가 상기 상부방수패널의 연결홈에 삽입된 결합부에 의하여 방수패널에 고인 물이 새어나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수모듈바의 하측면에 구비된 레일부에 퍼즐앙카를 삽입하여 행거볼트를 추가로 연결하고 상기 행거볼트 사이에 채널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트레이나 배관 및 각종 덕트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배수모듈바의 하측면에 구비된 레일부에 별도로 마련된 행거부를 추가로 삽입하고 상기 추가로 삽입된 행거부 끝단에 T-BAR, TH-BAR, M-BAR 또는 모듈바를 연결하며, 상기 T-BAR, TH-BAR, M-BAR 또는 모듈바 사이에 마감부재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모듈바와 상기 마감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실내의 더운 공기가 일측으로 유동되고 별도로 마련된 항온 항습기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가 바닥면을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 좋다.
상기 마감부재의 내측면에 소음을 방지하도록 흡음텍스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T-BAR, TH-BAR, M-BAR 또는 모듈바는 상기 행거부의 끝단에 구비된 캐링찬넬과 고정클립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구조 방수천장에 의하면, 규격화된 부품의 조립에 의하여 단층 및 다중 층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비할 수 있고 각 부품의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배관, 배선, 덕트 및 트레이 등의 설비를 공간의 제약 없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다중 구조를 형성하여 별도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기 순환의 통로로 활용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냉난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분진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정밀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다중 구조 방수천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건축자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필요한 경우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구조 방수천장의 일 실시 예인 표준형 방수천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표준형 방수천장의 하방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표준형 방수천장의 상방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서 집수관이 더 구비된 상태의 상방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준형 방수천장은 천장 벽의 일측에 상단이 고정되고 별개의 천장 부품에 의한 하단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으로 구비된 행거부(110), 행거부(110)의 하단에 연결 되어 행거부(1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된 캐링찬넬(116), 캐링찬넬(116)의 경로 상에 연결 및 고정되어 천장으로부터 누수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지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는 표준형 배수모듈바(120),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어 각 배수모듈바(120)의 사이를 마감하는 방수패널(140),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일 측 끝단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누수된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관(180)으로 구성된다.
행거부(110)는 천장 벽에 고정된 콘크리트 앙카(111)에 연결된 행거볼트(112) 및, 행거볼트(112)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하측에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를 지지할 수 있는 달대행거(1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달대행거란 특정의 부품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절곡된 부재를 의미한다.
도 6은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 에서 표현된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는 양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측 끝단에는 실링부재(120-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실링홈(120-8)이 형성된 측벽부(120-1), 측벽부(120-1)의 내측으로 방수패널(140)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홈(120-6), 양측 측벽부(120-1)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부(120-4)의 외측면에서 별도로 마련된 퍼즐앙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 형상의 레일부(120-3)로 구성된다. 또한, 측벽부(120-1) 양측 하단에서 마감부재(190) 또는 흡음텍스(185)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날개부(120-2), 측벽부(120-1)와 끼움홈(120-6)의 이음부에 형성된 스톱부(120-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스톱부(120-5)는 방수패널(140)의 양 끝단이 끼움홈(120-6)에 삽입 시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스톱부(120-5)가 형성되는 깊이를 조절하여서, 깊게 형성하면, 방수패널(140)의 양 끝단이 깊숙이 들어가게 되고, 얕게 형성하면, 방수패널(140)의 양 끝단이 상대적으로 덜 덜어가게 된다.
여기서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는 캐링찬넬(116)의 경로 상에 구비된 역행거(118)에 고정된 모듈바 행거(119)가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측벽부(120-1) 내측에 형성된 걸이구(120-7)에 삽입 및 고정되어 설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바 행거(119)는 역행거(118)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지면과는 거의 수평을 유지하는데, 모듈바 행거(119)의 양 끝단이 절곡되어 걸이구(120-7)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걸이구(120-7) 밑단에 고정바(120-13)가 별도로 형성되어 삽입된 모듈바 행거(119)의 양 끝단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날개부(120-2)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마감부재(190)로는 알루미늄 천장판, 석고보드, 마이톤, 합성수지 등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다수의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는 양 측이 절곡된 형상의 모듈바끼움패널(126) 또는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측벽부(120-1)의 상하단 외측에 형성된 패널끼움부(120-10)에 삽입되는 모듈바조인트패널(124)에 의하여 이음된다. 모듈바끼움패널(126)은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내측 공간을 지지하면서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모듈바조인트패널(124)은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는 지면과 약 0.3°내지 2°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설비되는데, 방수하고자하는 장소와 크기와 구조에 맞게 설계하여 천장 내부에서 물이 누수가 되었을 경우 빠르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구조는 설치되는 내부 공간에 따라 그 길이나 형상이 변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신속한 배수의 효과는 유지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패널(140)의 결합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방수패널(140)을 살펴보면,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끼움홈(120-6)에 끼워지도록 양단 하측으로 끼움턱(146)이 형성되며 끼움턱(146)과 반대방향인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연결부(149)로 구성된 하부방수패널(144),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끼움홈(120-6)에 끼워지도록 양단 하측으로 끼움턱(146)이 형성되며 끼움턱(146)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연결부(149)를 수용하도록 절곡된 연결홈(143)을 포함한 상부방수패널(142), 표준형 배수모듈바(120) 사이를 마감하며 별도의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수평방수패널(145)로 구성된다. 특히, 하부방수패널(144)의 연결부(149)가 상부방수패널(142)의 연결홈(143)에 삽입된 결합부(148)는 이중으로 물의 누수를 차단하여 방수패널(140)에 고인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끼움턱(146)과 연결부(149) 및 연결홈(143)은 서로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149)와 연결홈(143)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연속적인 끼움 결함으로서 결합부(148)를 구성하고, 상기 표준형 배수모듈바(120) 사이의 공간을 마감한다.
방수패널(140)의 소재로서 PVC, 폴리카보네이트, 알루미늄 등의 다양한 소재와 방수 효과가 큰 코팅이 적용된 소재 및 상기 소재들을 조합한 것이 적용 가능하 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표준형 방수천장의 누수 방지 기능을 살펴보면,천장으로부터 누수된 물 또는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증기가 응집되어 형성된 물은 상기 방수패널(140)을 따라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로 모이게 되고 도 7에서 표시된 A의 공간을 따라 배수모듈바(120)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관(180)에 집수된 후, 집수관(18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배관(18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방수패널(140)의 각 구성, 즉 상부방수패널(142), 하부방수패널(144), 수평방수패널(145)의 틈 사이로 누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소정의 기울기, 바람직하게는 0.3°에서 2°만큼 기울어진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에 의하여일측으로 집수되며, 용이하게 외부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준형 방수천장에 별도의 소재를 추가하여 설비형 방수천장과 공조형 방수천장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형이라 함은 특정한 기능이 없이 일반적인 천장 마감을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설비형이라 함은 상기 표준형에서 특정 기능을 부가하도록 설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조형이라 함은 특정 설비를 추가하여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비형 방수천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형 방수천장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도 11은 설비형 배수모듈바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설비형 배수모듈바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구조 방수천장의 다른 실 시 예에 따른 설비형 방수천장은 천장 벽의 일측에 상단이 고정되고 별개의 천장 부품에 의한 하단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으로 구비된 행거부(210), 행거부(2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행거부(2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된 캐링찬넬(216), 캐링찬넬(216)의 경로 상에 연결 및 고정되어 천장으로부터 누수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지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는 설비형 배수모듈바(220), 설비형 배수모듈바(220)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어 각 배수모듈바(220)의 사이를 마감하는 방수패널(240), 설비형 배수모듈바(220)의 일 측 끝단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누수된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관(280)으로 구성된다. 집수관(280)으로 집수된 물은 배수배관(282)을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행거부(210)는 천장 벽에 고정된 콘크리트 앙카(211)에 연결된 행거볼트(212) 및, 행거볼트(212)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하측에 설비형 배수모듈바(220)를 지지할 수 있는 달대행거(2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달대행거란 특정의 부품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절곡된 부재를 의미한다.
설비형 배수모듈바(220)는 양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측 끝단에는 실링부재(220-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실링홈(220-8)이 형성된 측벽부(220-1), 측벽부(220-1)의 내측으로 방수패널(240)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홈(220-6), 양측 측벽부(220-1)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부(220-4)의 외측면에서 별도로 마련된 퍼즐앙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 형상의 레일부(220-3)로 구성된다.
본 설비형 배수모듈바(220)는 상기에서 설명한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와 그 형상에 차이점이 있다. 즉, 도 6, 7 및 도 11, 12를 비교하여 보면,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는 날개부(120-2)가 형성되어 별도의 마감부재등을 설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설비형 배수모듈바(220)는 이러한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표준형 배수모듈바(120)를 연속적으로 이음되도록 모듈바끼움패널(126)과 모듈바조인트패널(124)이 구비되고, 특히 모듈바조인트패널(124)은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끝단에 형성된 패널끼움부(120-10)에 끼움 결합되어 표준형 배수모듈바(120)가 연속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설비형 배수모듈바(220)는 양측이 절곡된 형상의 모듈바끼움패널(265)과 배수모듈바(220)의 외측 형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외부연결바(260)에 의하여 이음되도록 형성된다. 즉, 날개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비형 배수모듈바(220) 외관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부연결바(260)를 이용하여 연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고, 설비형 배수모듈바(220)의 주요 구성인 실링부재(220-9), 실링홈(220-8), 끼움홈(220-6), 걸이구(220-7), 고정바(220-13), 레일부(220-3), 바닥부(220-4), 패널끼움부(220-11), 스톱부(220-5) 등의 구성은 표준형 배수모듈바(120)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같은 기능을 한다.
설비형 배수모듈바(220)는 지면과 약 0.3°내지 2°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설비되는데, 방수하고자하는 장소와 크기와 구조에 맞게 설계하여 천장 내부에서 물이 누수가 되었을 경우 빠르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설비형 배수모듈바(220)의 구조는 설치되는 내부 공간에 따라 그 길이나 형상이 변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신속한 배수의 효과는 유지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천장으로부터 누수된 물 또는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증기가 응집되어 형성된 물은 방수패널(240)을 따라 설비형 배수모듈바(220)로 모이게 되고 도 12에서 표시된 B의 공간을 따라 배수모듈바(220)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관(280)에 집수된 후, 집수관(28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배관(28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설비형 방수천장에서 사용되는 방수패널(240)은 표준형 방수천장에서 사용되는 방수패널과 그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설비형 방수천장에서는 설비형 배수모듈바(220)의 하단에 마련된 레일부(220-3)에 퍼즐앙카(270)를 이용하여 행거볼트(272)를 추가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행거볼트(272) 사이에 채널부(278)를 형성하여 별도의 트레이(295)나 배관 및 각종 덕트(297)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설비형 방수천장에 별도의 건축자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공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한 공조형 방수천장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구조 방수천장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조형 방수천장의 부분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측단면도, 도 15는 공조형 배수모듈바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공조형 배수모듈바의 측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구조 방수천장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조형 방수천장은 천장 벽 또는 방수천장의 일측에 상단이 고정되고 별개의 천장 부품에 의한 하단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으로 구비된 행거부(310, 410, 510), 행거부(310, 5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행거부(310, 5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된 캐링찬넬(316, 416), 캐링찬넬(316, 416)의 경로 상에 연결 및 고정되어 천장으로부터 누수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지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는 공조형 배수모듈바(320),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어 각 배수모듈바(320)의 사이를 마감하는 방수패널(340),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의 일 측 끝단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누수된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관(380)으로 구성된다. 집수관(380)으로 집수된 물은 배수배관(382)을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 1 행거부(310)는 천장 벽에 고정된 콘크리트 앙카(311)에 연결된 제 1 행거볼트(312) 및 제 1 행거볼트(312)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하측에서 제 1 캐링찬넬(316)을 지지하는 제 1 달대행거(314)로 구성되고, 제 2 행거부(410)는 제 1 캐링찬넬(316)에 고정된 제 2 달대행거(414) 및 제 2 달대행거(414)와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하측에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을 지지하는 제 2 행거볼트(412)로 구성되며, 제 3 행거부(510)는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의 하측에 마련된 레일부(320-3)에 고정된 퍼즐 앙카(370)에 연결된 제 3 행거볼트(512) 및 제 3 행거볼트(512)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하측에서 제 2 캐링찬넬(416)을 지지하는 제 3 달대행거(514)로 구성된다.
도 15와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조형 배수모듈바(320)는 양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측 끝단에는 실링부재(320-9)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실링홈(320-8)이 형성된 측벽부(320-1), 측벽부(320-1)의 내측으로 방수패널(340)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홈(320-6), 양측 측벽부(320-1)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 부(320-4)의 외측면에서 별도로 마련된 퍼즐앙카(3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 형상의 레일부(320-3)로 구성되고, 제 1 캐링찬넬(316)과 제 2 달대행거(414)에 의해 연결된 제 2 행거볼트(412)에 고정된 모듈바행거(319)가 상기 측벽부(320-1)의 내측에 형성된 걸이구(320-7)에 삽입 및 고정된다.
도 15 및 도 16에서 나타난 상기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의 주요 구성인 실링부재(320-9), 실링홈(320-8), 끼움홈(320-6), 걸이구(320-7), 고정바(320-13), 레일부(320-3), 바닥부(320-4), 패널끼움부(320-11), 스톱부(320-5) 등의 구성은 설비형 배수모듈바(220)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기능 및 형상이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공조형 배수모듈바(320)는 설비형 배수모듈바(220)와 마찬가지로 양측이 절곡된 형상의 모듈바끼움패널(365) 또는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의 외측 형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외부 연결바(360)에 의하여 이음되도록 한다.
공조형 배수모듈바(320)는 지면과 약 0.3°내지 2°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설비되는데, 방수하고자하는 장소와 크기와 구조에 맞게 설계하여 천장 내부에서 물이 누수가 되었을 경우 빠르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의 구조는 설치되는 내부 공간에 따라 그 길이나 형상이 변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신속한 배수의 효과는 유지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천장으로부터 누수된 물 또는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증기가 응집되어 형성된 물은 방수패널(340)을 따라 공조형 배수모듈바(320)로 모이게 되고 도 16에서 표시된 C의 공간을 따라 배수모듈바(320)의 일측에 형성된 집수관(380)에 집수된 후, 집수관(380)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배관(38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공조형 방수천장에서 사용되는 방수패널(340)은 설비형 또는 표준형 방수천장에서 사용되는 방수패널과 그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공조형 방수천장의 경우,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의 하측면에 구비된 레일부(320-3)에 제 3 행거볼트(512)와 제 3 달대행거(514)로 구성된 제 3 행거부(510)를 추가로 삽입하고 상기 제 3 행거부(510)의 끝단에 T-BAR, TH-BAR, M-BAR(550) 또는 모듈바(530)를 연결하며, T-BAR, TH-BAR, M-BAR(550) 또는 모듈바(530) 사이에 마감부재(39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감부재(390)의 내 측면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흡음텍스(3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T-BAR, TH-BAR, M-BAR(550) 또는 모듈바(530)는 제 3 행거부(510)의 끝단에 구비된 제 2 캐링찬넬(416)과 고정클립(535)에 의하여 연결된다.
도 17은 공조형 방수천장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7의 경로 D를 살펴보면 실내의 기기에 의하여 가온된 공기가 상기 공조형 방수천장의 구조 내의 공조형 배수모듈바(320)와 마감부재(39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동되고, 가열공기는 별도의 흡입펌프에 의하여 일측으로 유동되며, 펌프와 연결된 항온 항습기에 의하여 냉각된다. 냉각 공기는 실내의 바닥면에 형성된 별도의 홀을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고, 상기 경로 D의 공기 순환은 반복되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공조형 배수모듈바(320)과 마감부재(39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공기 유동 경로를 확장 및 축소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표준형, 설비형, 공조형의 다중 구조 방수천장에 의하면, 규격화된 부품의 조립에 의하여 단층 및 다중 층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비할 수 있고 각 부품의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며, 전선, 배수로, 가스관 등의 설비를 공간의 제약 없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다중 구조를 형성하여 별도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냉난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천장 내부의 분진을 차단하여 안정적인 실내환경(전산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구조 방수천장의 일 실시 예인 표준형 방수천장의 사시도,
도 2는 표준형 방수천장의 하방 부분 사시도,
도 3은 표준형 방수천장의 상방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집수관이 더 구비된 상태의 상방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6은 표준형 배수모듈바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표준형 배수모듈바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패널의 결합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구조 방수천장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형 방수천장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단면도,
도 11은 설비형 배수모듈바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설비형 배수모듈바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구조 방수천장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조형 방수천장의 부분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측단면도,
도 15는 공조형 배수모듈바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공조형 배수모듈바의 측단면도, 및
도 17은 공조형 방수천장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 행거부 112, 212 : 행거볼트
114, 214 : 달대행거 116, 216 : 캐링찬넬
119, 219 : 모듈바행거 120 : 표준형 배수모듈바
124 : 모듈바조인트패널 126 : 모듈바끼움패널
140, 240, 340 : 방수패널 142 : 상부방수패널
144 : 하부방수패널 145 : 수평방수패널
180, 280 : 집수관 182, 282 : 배수배관
190, 290, 390 : 마감부재 220 : 설비형 배수모듈바
270, 370 : 퍼즐앙카 278 : 채널부
310 : 제 1 행거부 312 : 제 1 행거볼트
314 : 제 1 달대행거 316 : 제 1 캐링찬넬
320 : 공조형 배수모듈바 410 : 제 2 행거부
412 : 제 2 행거볼트 414 : 제 2 달대행거
416 : 제 2 캐링찬넬 510 : 제 3 행거부
512 : 제 3 행거볼트 514 : 제 3 달대행거
530 : 모듈바 535 : 고정클립
550 : T-BAR, TH-BAR, M-BAR

Claims (16)

  1. 천장 벽 또는 방수천장의 일 측에 상단이 고정되어 하단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직으로 구비된 행거부;
    상기 행거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행거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면에 평행하게 구비된 캐링찬넬;
    상기 캐링찬넬의 경로 상에 연결 및 고정되어 누수된 물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지면과 소정각도를 이루는 배수모듈바;
    상기 배수모듈바의 양측에 끼움 결합되어 각 배수모듈바의 사이를 마감하는방수패널; 및,
    상기 배수모듈바의 일 측 끝단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누수된 물을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상기 천장 벽에 고정된 콘크리트 앙카 또는 상기 배수모듈바의 하단에 형성된 레일부에 고정된 퍼즐 앙카에 연결된 행거볼트; 및
    상기 행거볼트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하측에서 캐링찬넬 또는 배수모듈바를 지지하는 달대행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모듈바는
    양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측 끝단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실링홈이 형성된 측벽부;
    상기 측벽부 내측으로 상기 방수패널의 양측 끝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홈; 및,
    상기 양측 측벽부의 하단을 마감하는 바닥부의 외측면에서 퍼즐앙카가 삽입 구비되도록 형성된 홈 형상의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모듈바는
    상기 측벽부 양측 하단에서 마감부재 또는 흡음텍스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끼움홈의 이음부에는 스톱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방수패널의 양 끝단이 상기 끼움홈에 삽입 시 삽입되는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양측이 절곡된 형상의 모듈바끼움패널 또는 상기 배수모듈바의 외측 형상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외부 연결바에 의하여 다수의 상기 배수모듈바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8. 제 4 항에 있어서,
    양측이 절곡된 형상의 모듈바끼움패널 또는 상기 배수모듈바의 측벽부의 상하단 외측에 형성된 패널끼움부에 삽입되는 모듈바조인트패널에 의하여 다수의 상기 배수모듈바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모듈바는 지면과 0.3°내지 2°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패널은
    상기 배수모듈바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양단 하측으로 끼움턱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턱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된 하부방수패널;
    상기 배수모듈바의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양단 하측으로 끼움턱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턱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절곡된 연결홈을 포함한 상부방수패널; 및,
    상기 배수모듈바 사이를 마감하도록 구비된 수평방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수패널의 연결부가 상기 상부방수패널의 연결홈에 삽입된 결합부에 의하여 방수패널에 고인 물이 새어나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모듈바의 하측면에 구비된 레일부에 퍼즐앙카를 삽입하여 행거볼트를 추가로 연결하고 상기 행거볼트 사이에 채널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트레이나 배관 및 각종 덕트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모듈바의 하측면에 구비된 레일부에 별도로 마련된 행거부를 추가로 삽입하고 상기 추가로 삽입된 행거부 끝단에 T-BAR, TH-BAR, M-BAR 또는 모듈바를 연결하며, 상기 T-BAR, TH-BAR, M-BAR 또는 모듈바 사이에 마감부재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모듈바와 상기 마감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실내의 더운 공기가 일측으로 유동되고 별도로 마련된 항온 항습기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가 바닥면을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의 내측면에 소음을 방지하도록 흡음텍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T-BAR, TH-BAR, M-BAR 또는 모듈바는 상기 행거부의 끝단에 구비된 캐링찬넬과 고정클립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구조 방수천장.
KR1020090040637A 2009-05-11 2009-05-11 다중 구조 방수천장 KR10107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37A KR101079376B1 (ko) 2009-05-11 2009-05-11 다중 구조 방수천장
CN2009101502786A CN101886441B (zh) 2009-05-11 2009-06-25 多重结构防水天花板
US12/493,553 US8156702B2 (en) 2009-05-11 2009-06-29 Waterproof ceiling
JP2009153484A JP5124532B2 (ja) 2009-05-11 2009-06-29 多重構造防水天井
ES09164188.6T ES2575654T3 (es) 2009-05-11 2009-06-30 Techo impermeable con múltiples tipos de estructuras
EP09164188.6A EP2253766B1 (en) 2009-05-11 2009-06-30 Waterproof ceiling with multiple lev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37A KR101079376B1 (ko) 2009-05-11 2009-05-11 다중 구조 방수천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777A KR20100121777A (ko) 2010-11-19
KR101079376B1 true KR101079376B1 (ko) 2011-11-02

Family

ID=4233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637A KR101079376B1 (ko) 2009-05-11 2009-05-11 다중 구조 방수천장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56702B2 (ko)
EP (1) EP2253766B1 (ko)
JP (1) JP5124532B2 (ko)
KR (1) KR101079376B1 (ko)
CN (1) CN101886441B (ko)
ES (1) ES2575654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733B1 (ko) * 2020-08-11 2020-10-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KR102287278B1 (ko) 2020-11-25 2021-08-05 전길현 다중 내진 구조를 구비한 방수 이중 천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768B (zh) * 2010-12-24 2012-03-28 上海构思装饰材料有限公司 沿边龙骨结构件
ES1074890Y (es) * 2011-05-16 2011-09-28 Lois Rodriguez Maria Ascension Dispositivo prefabricado para montaje de falsos techos
CN103088954B (zh) * 2013-01-10 2015-12-16 祝苠国 自然景观天花板
CN103397730B (zh) * 2013-08-02 2015-11-25 查子庭 吊顶
CN104005457A (zh) * 2014-06-16 2014-08-27 浙江富海建筑装饰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吊顶渗漏水导流装置
CN104405071B (zh) * 2014-11-19 2016-10-12 上海市安装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提高走廊吊顶高度的结构及方法
US10928031B2 (en) 2015-10-09 2021-02-23 Worthington Armstrong Venture Indirect light cove
CN110158836A (zh) * 2018-02-24 2019-08-23 嘉兴富得利厨卫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的吊顶系统及控制方法
CN110158835A (zh) * 2018-02-24 2019-08-23 嘉兴富得利厨卫科技有限公司 一种防漏水吊顶系统及控制方法
KR102147949B1 (ko) * 2019-10-17 2020-08-25 주식회사 태건 배수로를 갖는 방음판 조립구조체
CN112726845A (zh) * 2020-12-28 2021-04-30 东阳市天杨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基于石膏吊顶板的顶部防水结构
WO2023242863A1 (en) * 2022-06-16 2023-12-21 Pwds Extrusions Private Limited A cei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99A (ja) 1997-07-08 1999-01-26 Yoshino Sekko Kk 天井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573B2 (ko) * 1974-03-29 1981-06-13
US4817343A (en) * 1987-10-05 1989-04-04 Rutledge B G Leak-proof ceiling system
US5207035A (en) * 1990-05-31 1993-05-04 Fowler John L Above-ceiling contaminant shielding system for sensitive building areas
JP3653167B2 (ja) * 1997-10-31 2005-05-25 佐藤工業株式会社 天井漏水からの防護設備
CN2480475Y (zh) * 2001-04-16 2002-03-06 吴志峰 橡胶嵌平型墙面变形装置
US6640502B2 (en) * 2002-02-26 2003-11-04 Stephen M. Mueller Ceiling leak capture and drainage system
JP4252505B2 (ja) * 2004-07-01 2009-04-08 森村金属株式会社 天井構造
JP4314436B2 (ja) * 2004-08-23 2009-08-19 Necネッツエスアイ株式会社 防水天井
KR100702847B1 (ko) 2005-04-09 2007-04-06 김원걸 방수 방진용 경량구조의 이중천장
KR100895583B1 (ko) * 2007-05-23 2009-04-29 김원걸 방수천장
CN201103212Y (zh) * 2007-09-28 2008-08-20 苏州多彩铝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天花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99A (ja) 1997-07-08 1999-01-26 Yoshino Sekko Kk 天井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733B1 (ko) * 2020-08-11 2020-10-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KR102287278B1 (ko) 2020-11-25 2021-08-05 전길현 다중 내진 구조를 구비한 방수 이중 천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86441B (zh) 2012-09-05
US8156702B2 (en) 2012-04-17
EP2253766B1 (en) 2016-03-09
US20100281800A1 (en) 2010-11-11
EP2253766A2 (en) 2010-11-24
ES2575654T3 (es) 2016-06-30
JP5124532B2 (ja) 2013-01-23
CN101886441A (zh) 2010-11-17
JP2010261293A (ja) 2010-11-18
EP2253766A3 (en) 2014-02-19
KR20100121777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376B1 (ko) 다중 구조 방수천장
US11073292B2 (en) Universal air handler unit
US7937895B2 (en) Air handling chamber
US20170122580A1 (en) Modular building utilities systems and methods
CA2237036A1 (en) Light transmitting roof/floor system
US20190249425A1 (en) Multifunctional ceiling structure
KR100895583B1 (ko) 방수천장
US7017313B1 (en) Ceiling leak capture and drainage system
KR100985079B1 (ko) 공조형 방수천장
JP2007224563A (ja) 屋外床の二重防水構造
KR100878145B1 (ko) 패널용 천장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패널 조립시스템
JPH0933072A (ja) 蓄熱水槽及びマルチ氷蓄熱ユニット
GB2339829A (en) Leak control
JP2010048313A (ja) 設備収納ユニット
KR20060106504A (ko) 방수 방진용 경량구조의 이중천장
JP2007231561A (ja) 屋外床の二重防水施工方法
JP2008208672A (ja) 建物の気密断熱構造
JP2007225269A (ja) エアコン隠蔽配管用のドレン配管取付具
JP3064127U (ja) クリ―ンル―ムのリタ―ンチャンバ床の構造
JP3952442B2 (ja) 天井断熱材用通気スペーサ及びそれを用いた天井断熱材の施工方法
GB2610638A (en)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sulation below the floor of a building
JPH04214138A (ja) 蓄熱パネル
JP5497119B2 (ja) 空調室外機用遮熱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調室外機
US8223026B2 (en) Blanket for protecting a ceiling from moisture
JP2006070654A (ja) 壁パネルのフロアへ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