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276B1 -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 Google Patents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276B1
KR102314276B1 KR1020200149980A KR20200149980A KR102314276B1 KR 102314276 B1 KR102314276 B1 KR 102314276B1 KR 1020200149980 A KR1020200149980 A KR 1020200149980A KR 20200149980 A KR20200149980 A KR 20200149980A KR 102314276 B1 KR102314276 B1 KR 102314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pe
dismantling
cover
nucle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수
조재호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14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전의 해체 과정에서 배관을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제 1 길이조절부와 제 2 길이조절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길이조절부와 제 2 길이조절부가 배관 주변을 긴밀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바닥부와 덮개부 사이의 오염물질이 배관 주변을 통하여 외부로 확산될 수 없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Workplace for Dismantling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전의 해체 과정에서 길이가 긴 배관을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이라 함)는 우리나라에 필요한 전력의 1/3 이상을 생산하고 있으며, 값싸고 품질 좋은 전력을 기업에 공급하도록 하여 국가의 경제발전을 견인해왔다. 이러한 원전이 하나 둘 수명이 다해 퇴역을 준비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원전을 잘 활용한 만큼, 이제부터는 안전하게 원전을 해체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전의 해체란 영구 정지된 원전에서 발생한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제거하여 처리 및 처분하고, 해체 후 부지를 재활용하는 것이다. 즉, 원전 해체의 주요 목적은 원자력시설 부지에 적용되는 안전규제를 해제하고 건물과 부지를 재이용하는 동시에 공공과 환경의 장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원전의 해체는 터빈 및 건물 콘크리트 등을 중심으로 하는 저 방사선 구역의 기계적 해체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기계적 해체보다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한 원자로, 원자로 냉각재 펌프 등 고방사선에 노출되어 장기간 운영되어 온 장비, 배관, 자재 등의 설비들의 해체를 얼마나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하느냐에 성패가 달려있다. 예를 들어, 원자력 이용 시설을 해체하기 위하여 방사능에 오염된 배관, 탱크 및 철판 등의 해체시설을 기계 절단하거나 용접 절단 등을 할 경우 주변으로 많은 방사선 분진과 금속 파편과 같은 오염 물질이 확산되어 주변 기기들을 오염시키고 작업자의 피폭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원전이 해체 공사에 들어가면 수많은 구조물을 제염, 분해, 절단, 철거해야 하며, 이때, 다량의 방사성 비산물, 분진 등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방사성 비산물, 분진 등을 격리하지 않으면 방사성 물질이 관리구역 내로 확산되어 2차 오염이 발생하게 되어 방사성 폐기물량이 증가하게 된다. 방사성 폐기물량이 증가하면 이는 결국 원전 해체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므로 해체단계에서 방사성 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오염된 해체시설을 해체하기 전에 작업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방사성 오염물질과 유해가스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동식 해체 작업장을 가설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은 원자력 시설 내부에 설치된 장비, 배관 등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오염 물질이 환경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지지부재(10)와, 복수 개의 지지부재(10) 사이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커버하는 커버부(20)와, 커버부(2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30)와, 커버부(20) 내부의 공기 및 방사성 오염 물질을 집진기(미도시) 또는 환풍기(미도시)로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통로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부(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장비 또는 배관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오염 물질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원전에 사용되는 배관은 경우에 따라 그 길이가 상당히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방이 밀폐된 커버부를 사용하여 이러한 배관을 안전하게 해체하기 위해서는 커버부가 배관 전체를 커버해야 한다. 그런데 커버부가 배관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길이가 긴 배관에는 커버부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4243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전의 해체 과정에서 길이가 긴 배관을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에 제 1 바닥측부와 제 2 바닥측부가 구비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방으로 이격되되 양측에 상기 제 1 바닥측부와 마주보는 제 1 덮개측부와 상기 제 2 바닥측부와 마주보는 제 2 덮개측부가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제 1 바닥측부의 일측 및 상기 제 2 바닥측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덮개측부의 일측 및 상기 제 2 덮개측부의 일측을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제 1 바닥측부의 타측 및 상기 제 2 바닥측부의 타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1 덮개측부의 타측 및 상기 제 2 덮개측부의 타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길이조절부를 갖는 길이조절부재; 상기 바닥부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 1 도어;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 사이의 타단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측 사이의 타단부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 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로 배관이 관통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 2 도어가 클로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를 배관이 관통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길이조절부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상하조절부와, 상기 제 1 상하조절부의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길이조절부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상하조절부와, 상기 제 2 상하조절부의 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로 배관이 관통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 1 상하조절부와 상기 제 2 상하조절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면서, 상기 제 1 브러쉬와 상기 제 2 브러쉬가 배관의 외주연에 맞닿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브러쉬는 배관의 외주연 하측에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브러쉬는 배관의 외주연 상측에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관의 외주연 상측과 하측 사이의 일측에 맞닿도록 복수 개의 지지브러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의 일측에 배관의 외주연 상측과 하측 사이의 타측에 맞닿도록 복수 개의 도어브러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제공한다.
또한, 배관을 향하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 2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기 지지브러쉬 또는 상기 도어브러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도어와, 상기 상부도어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중앙도어와, 상기 중앙도어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서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바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와 지면 사이를 폐쇄시키도록 바닥폐쇄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관의 크기에 따라 제 1 길이조절부와 제 2 길이조절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길이조절부와 제 2 길이조절부가 배관 주변을 긴밀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바닥부와 덮개부 사이의 오염물질이 배관 주변을 통하여 외부로 확산될 수 없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브러쉬 및 제 2 브러쉬가 이동 및 플랙시블하게 형태 변형되면서 배관 외주연 상부와 하부를 각각 긴밀하게 폐쇄시키고, 지지브러쉬 및 도어브러쉬가 이동 및 플랙시블하게 형태 변형되면서 배관의 외주연 일측과 타측을 각각 긴밀하게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배관의 형태와 상관없이 배관 주변을 긴밀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바닥부와 덮개부 사이의 오염물질이 배관 주변을 통하여 외부로 확산될 수 없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도어가 바닥부의 일단부와 덮개부의 일단부 사이를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작업자 및 각종 장비는 바닥부와 덮개부 사이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퀴 등으로 인하여 바닥부와 지면 사이가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하더라도, 바닥폐쇄부가 바닥부와 지면 사이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므로, 바닥부와 덮개부 사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1 도어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1 도어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2 도어 및 길이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1 길이조절부와 제 2 길이조절부 사이가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지지브러쉬 및 도어브러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2 도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일 예시의 바닥폐쇄부가 바닥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바닥폐쇄부의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다른 예시의 바닥폐쇄부가 바닥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바닥폐쇄부의 다른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1000)은 예를 들면 원전에 설치된 배관(P)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부(100), 덮개부(200), 지지부(300), 길이조절부재(400), 환기구(700), 제 1 도어(500) 및 제 2 도어(550)를 포함한다.
바닥부(100)는 바닥부(1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배관(P)의 하부에 위치되며 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00)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수용홈(102)이 형성되되, 수용홈(102)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수용홈(102) 하부의 지면에 작업자가 위치될 수 있다. 바닥부(100)의 양측에는 제 1 바닥측부(110)와 제 2 바닥측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바닥부(100)가 배관(P)을 따라 이동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되는 경우, 바닥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부(100)의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600)가 장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퀴(600)는 바닥부(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서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바퀴(600) 사이에 구비되는 바닥부(100)의 테두리에는 바닥부(100)의 테두리와 지면 사이를 폐쇄시키도록 바닥폐쇄부(610: 도 9 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바닥폐쇄부(610)는 도 9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덮개부(200)는 바닥부(100)의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배관(P)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덮개부(20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덮개부(200)의 양측에는 제 1 바닥측부(110)와 마주보는 제 1 덮개측부(210)와, 제 2 바닥측부(120)와 마주보는 제 2 덮개측부(220)가 각각 구비된다.
지지부(3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일 지지부(300)는 제 1 바닥측부(110)의 일측과 제 1 덮개측부(21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타 지지부(300)는 제 2 바닥측부(120)의 일측과 제 2 덮개측부(22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300)에 의하여 바닥부(100)는 덮개부(200)의 상측에 지지된다. 그리고 덮개부(200), 바닥부(100) 및 지지부(3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작업자가 수용된다. 또한, 덮개부(200) 및 바닥부(100)는 조립식으로 지지부(3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400)는 배관(P)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제 1 길이조절부(410)와 제 2 길이조절부(420)를 포함한다. 제 1 길이조절부(4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 1 바닥측부(110)의 타측 및 제 2 바닥측부(120)의 타측에 각각 장착된다. 제 2 길이조절부(4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 1 덮개측부(210)의 타측 및 제 2 덮개측부(220)의 타측에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제 1 길이조절부(410)와 제 2 길이조절부(420) 사이를 배관(P)이 관통되도록 위치되면, 제 1 길이조절부(410)와 제 2 길이조절부(4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제 1 길이조절부(410)와 제 2 길이조절부(420) 사이가 폐쇄된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환기구(700)는 통상의 통로 형상, 덕트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덮개부(200)의 상측에 장착되어 덮개부(200)와 바닥부(100) 사이에 있는 방사성 물질 또는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도어(500)는 바닥부(100)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와 덮개부(200)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 사이를 개폐시키고, 제 2 도어(550)는 바닥부(100)의 양측 사이의 타단부와 덮개부(200)의 양측 사이의 타단부 사이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들 제 1 도어(500) 및 제 2 도어(55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1 도어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도어(500)는 덮개부(200)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회전축(504)과, 회전축(504)을 커버하는 도어커버(502)와, 회전축(504)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롤링도어(506)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축(504)이 회전됨에 따라 롤링도어(506)가 회전축(504)에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바닥부(100)의 일단부와 덮개부(200)의 일단부 사이를 개폐시킨다.
이처럼 롤링도어(506)가 상하 이동되면서 바닥부(100)의 일단부와 덮개부(200)의 일단부 사이를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작업자는 바닥부(100)와 덮개부(200) 사이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링도어(506)는 비산물, 분진, 파편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1 도어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도어(510)는 접혀질 수 있는 폴딩도어로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부(300) 중 일 지지부(3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타 지지부(300)의 외측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도어(5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바닥부(100)의 일단부 및 덮개부(200)의 일단부에는 각각 가이드레일(5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도어(510)는 좌우로 이동되면서 바닥부(100)의 일단부와 덮개부(200)의 일단부 사이를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작업자 및 작업을 위한 각종 장비는 바닥부(100)와 덮개부(200) 사이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도어(미도시)는 이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방충망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부(100)와 덮개부(200) 사이를 차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2 도어 및 길이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1 길이조절부와 제 2 길이조절부 사이가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도어(550)는 바닥부(100)의 양측 사이의 타단부와 덮개부(200)의 양측 사이의 타단부 사이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덮개부(20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도어(552)와, 상부도어(552)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중앙도어(554)와, 중앙도어(554)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도어(556)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도어(550)의 개폐 과정은 도 8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길이조절부재(400)는 한 쌍의 지지부(300)와 제 2 도어(550)의 양측 사이를 폐쇄시키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길이조절부재(400)는 제 1 길이조절부(410), 제 2 길이조절부(420), 지지브러쉬(430) 및 도어브러쉬(440)를 포함한다. 제 1 길이조절부(410)는 제 1, 2 바닥측부(110, 120)의 타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상하조절부(412)와, 제 1 상하조절부(412)의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브러쉬(414)를 포함한다. 제 1 상하조절부(412)는 예를 들면 접혀질 수 있는 폴딩도어와 같이 형성되어, 상방으로 펼쳐지거나 하방으로 접혀지면서 상하 방향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브러쉬(414)는 플랙시블하게 형태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가는 철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조밀하게 밀집되도록 구성된다.
제 2 길이조절부(42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상하조절부(422)와, 제 2 상하조절부(422)의 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브러쉬(424)를 포함한다. 제 2 상하조절부(422)는 제 1 상하조절부(412)와 마찬가지로 폴딩도어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펼쳐지거나 상방으로 접혀지면서 상하 방향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300)의 내측에 제 1, 2 상하조절부(412, 42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길이조절부(410)와 제 2 길이조절부(420) 사이로 배관(P)이 관통되도록 위치되면, 제 1 상하조절부(412)와 제 2 상하조절부(422)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면서, 제 1 브러쉬(414)와 제 2 브러쉬(424)가 배관(P)의 외주연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맞닿도록 위치된다.
지지브러쉬(430) 및 도어브러쉬(440)는 배관(P)의 외주연의 하측과 상측 사이의 양측에 맞닿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지지브러쉬 및 도어브러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브러쉬(430)는 제 1 도어(50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지지부(300)의 내측에 배관(P)의 외주연 상측과 하측 사이의 일측에 맞닿도록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도어브러쉬(440)는 제 2 도어(550)의 일측에 배관(P)의 외주연 상측과 하측 사이의 타측에 맞닿도록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배관(P)의 일측을 향하는 지지부(300)의 내측에 제 1 슬라이딩부재(45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관(P)의 타측을 향하는 제 2 도어(550)의 일측에 제 2 슬라이딩부재(455)가 구비된다. 제 1 슬라이딩부재(450) 및 제 2 슬라이딩부재(455)는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도 7에서는 하나의 도면을 이용하여 제 1 슬라이딩부재(450)와 제 2 슬라이딩부재(455)를 모두 설명하도록 도시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제 1 슬라이딩부재(450)는 제 1 가이드레일(452) 및 제 1 슬라이딩부(454)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레일(452)은 지지부(300)의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 1 슬라이딩부(454)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제 1 가이드레일(45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1 슬라이딩부(454)에 복수 개의 지지브러쉬(430)가 장착된다. 이처럼 지지브러쉬(430)가 제 1 슬라이딩부(454)에 장착되므로, 지지브러쉬(430)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지지브러쉬(430)가 배관(P)의 외주연 일측에 맞닿도록 위치된다.
제 2 슬라이딩부재(455)는 제 2 가이드레일(456) 및 제 2 슬라이딩부(458)를 포함한다. 제 2 가이드레일(456)은 제 2 도어(550)의 일측, 예를 들면 제 2 도어(550)의 중앙도어(554)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 2 슬라이딩부(458)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제 2 가이드레일(456)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슬라이딩부(458)에 복수 개의 도어브러쉬(440)가 장착된다. 이처럼 도어브러쉬(440)가 제 2 슬라이딩부(458)에 장착되므로, 도어브러쉬(440)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도어브러쉬(440)가 배관(P)의 외주연 타측에 맞닿도록 위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브러쉬(414) 및 제 2 브러쉬(424)가 이동 및 플랙시블하게 형태 변형되면서 배관(P)의 외주연 상부와 하부를 각각 긴밀하게 폐쇄시키고, 지지브러쉬(430) 및 도어브러쉬(440)가 이동 및 플랙시블하게 형태 변형되면서 배관(P)의 외주연 일측과 타측을 각각 긴밀하게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배관(P)의 크기 및 형태와 상관없이 배관(P) 주변을 긴밀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바닥부(100)와 덮개부(200) 사이의 오염물질이 배관(P) 주변을 통하여 외부로 확산될 수 없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제 2 도어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 2 도어(550)는 덮개부(200)와 바닥부(100) 사이를 개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회전 가능하도록 덮개부(20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도어(552)와, 상부도어(552)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중앙도어(554)와, 중앙도어(554)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도어(55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도어(552)가 상부로 회전되어 제 2 도어(550)가 덮개부(200)와 바닥부(100) 사이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제 1 길이조절부(410)와 제 2 길이조절부(420) 사이로 배관(P)이 관통되도록 위치된다. 이어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부도어(552)가 하부로 회전되어, 중앙도어(554)가 배관(P)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후, 중앙도어(554)가 배관(P)과 가까워지도록 회전된다. 최종적으로 도 8의 (c)를 참조하면, 상부도어(552), 중앙도어(554) 및 하부도어(556)가 제 1, 2 길이조절부(410, 420)와 맞닿도록 위치되어, 제 2 도어(550)가 덮개부(200)와 바닥부(100) 사이를 폐쇄시킨다. 이때, 중앙도어(554)에는 도어브러쉬(440)가 구비되어, 중앙도어(554)와 마주보는 배관(P)의 일측을 긴밀하게 폐쇄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일 예시의 바닥폐쇄부가 바닥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바닥폐쇄부의 일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바퀴(600)는 바닥부(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서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므로,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바퀴(600) 사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빈 공간으로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바퀴(600) 사이에 구비되는 바닥부(100)의 테두리에 바닥폐쇄부(610)가 장착될 수 있다.
바닥폐쇄부(610)는 예를 들면, 바닥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장착프레임(612)과, 장착프레임(6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바닥브러쉬(6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닥브러쉬(614)는 상호 빈틈없이 촘촘하게 배열되어 바닥부(100)의 테두리와 지면 사이를 폐쇄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바퀴(600) 등으로 인하여 바닥부(100)와 지면 사이가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하더라도, 바닥폐쇄부(610)가 바닥부(100)와 지면 사이를 폐쇄하도록 하여 바닥부(100)와 덮개부(200) 사이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다른 예시의 바닥폐쇄부가 바닥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의 바닥폐쇄부의 다른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바닥폐쇄부(620)는 바닥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프레임(622)과, 지지프레임(622)의 길이방향 하부를 따라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6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624)의 길이방향 수직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탄성부(624)가 탄성적으로 지면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바닥부(100)의 테두리와 지면 사이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0: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100: 바닥부 102: 수용홈
110: 제 1 바닥측부 120: 제 2 바닥측부
200: 덮개부 210: 제 1 덮개측부
220: 제 2 덮개측부 300: 지지부
400: 길이조절부재 410: 제 1 길이조절부
412: 제 1 상하조절부 414: 제 1 브러쉬
420: 제 2 길이조절부 422: 제 2 상하조절부
424: 제 2 브러쉬 430: 지지브러쉬
440: 도어브러쉬 450: 제 1 슬라이딩부재
452: 제 1 가이드레일 454: 제 1 슬라이딩부
455: 제 2 슬라이딩부재 456 제 2 가이드레일
458: 제 2 슬라이딩부 500: 제 1 도어
502: 도어커버 504: 회전축
506: 롤링도어 510: 제 1 도어
512: 가이드레일 550: 제 2 도어
554: 중앙도어 552: 상부도어
556: 하부도어 600: 바퀴
610: 바닥폐쇄부 612: 장착프레임
614: 바닥브러쉬 620: 바닥폐쇄부
622: 지지프레임 624: 탄성부
700: 환기구

Claims (7)

  1. 양측에 제 1 바닥측부와 제 2 바닥측부가 구비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상방으로 이격되되 양측에 상기 제 1 바닥측부와 마주보는 제 1 덮개측부와 상기 제 2 바닥측부와 마주보는 제 2 덮개측부가 구비되는 덮개부;
    상기 제 1 바닥측부의 일측 및 상기 제 2 바닥측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덮개측부의 일측 및 상기 제 2 덮개측부의 일측을 각각 연결시키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제 1 바닥측부의 타측 및 상기 제 2 바닥측부의 타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1 덮개측부의 타측 및 상기 제 2 덮개측부의 타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길이조절부를 갖는 길이조절부재;
    상기 바닥부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 1 도어;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 사이의 타단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측 사이의 타단부 사이를 개폐시키는 제 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로 배관이 관통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 2 도어가 클로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를 배관이 관통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호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길이조절부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 1 상하조절부와, 상기 제 1 상하조절부의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길이조절부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제 2 상하조절부와, 상기 제 2 상하조절부의 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길이조절부와 상기 제 2 길이조절부 사이로 배관이 관통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 1 상하조절부와 상기 제 2 상하조절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면서, 상기 제 1 브러쉬와 상기 제 2 브러쉬가 배관의 외주연에 맞닿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러쉬는 배관의 외주연 하측에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브러쉬는 배관의 외주연 상측에 맞닿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1 도어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배관의 외주연 상측과 하측 사이의 일측에 맞닿도록 복수 개의 지지브러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어의 일측에 배관의 외주연 상측과 하측 사이의 타측에 맞닿도록 복수 개의 도어브러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4. 제 3 항에 있어서,
    배관을 향하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 또는 상기 제 2 도어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기 지지브러쉬 또는 상기 도어브러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덮개부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도어와, 상기 상부도어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중앙도어와, 상기 중앙도어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양측 사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퀴는 상기 바닥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서리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바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와 지면 사이를 폐쇄시키도록 바닥폐쇄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KR1020200149980A 2020-11-11 2020-11-11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KR102314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980A KR102314276B1 (ko) 2020-11-11 2020-11-11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980A KR102314276B1 (ko) 2020-11-11 2020-11-11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276B1 true KR102314276B1 (ko) 2021-10-20

Family

ID=7826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980A KR102314276B1 (ko) 2020-11-11 2020-11-11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2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9883A (ja) * 2010-01-22 2011-09-01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遮へい壁
KR102142433B1 (ko) 2019-08-23 2020-08-10 한국원자력연구원 오염 공기 확산 방지 장치
KR102169733B1 (ko) * 2020-08-11 2020-10-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9883A (ja) * 2010-01-22 2011-09-01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遮へい壁
KR102142433B1 (ko) 2019-08-23 2020-08-10 한국원자력연구원 오염 공기 확산 방지 장치
KR102169733B1 (ko) * 2020-08-11 2020-10-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전 해체용 이동식 작업장의 바닥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6086C (en) Containment device for contaminated building demolition
KR101760303B1 (ko) 터널형 방음벽에서의 천정 방음판 설치 구조물
KR102053205B1 (ko) 개폐 가능한 방진망이 구비된 방충망 장치
US54579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tructural parts of a building without contaminating adjacent areas
KR102314276B1 (ko) 원전 설비 해체용 작업장
RU2168022C1 (ru) Шахтная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главного проветривания
KR20160030490A (ko) 갱폼의 소음저감 창호 시스템
KR20160053003A (ko) 도시철도 터널 환기팬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한 난연 커튼 차단막
RU192990U1 (ru) Шлюз транспортный локализующей системы безопасности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Rimkevičius et al. HAZOP application for the nuclear power plants decommissioning projects
KR101814756B1 (ko) 지붕 점검통로와 배연 기능을 갖는 방음터널
JP6143221B2 (ja) 清掃工場の解体工法
JP2000336939A (ja) 養生囲い及びこの養生囲いを用いた解体工法
KR102325510B1 (ko) 독립 설치형 외부조명부를 구비하는 원전 해체 작업장
KR102360701B1 (ko) 작업통로를 구비한 지붕의 환기장치
CN212642500U (zh) 一种地下空间出入口防护门结构
KR20140116286A (ko) 사다리용 안전 출입문
JPH01217300A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用放射線防護用可動式遮蔽体構造
KR101533028B1 (ko) 방사성 폐기물용 동굴 설비 건물의 수직 터널내 설비 설치 공법
KR101897261B1 (ko) 지하시설물 점검용 개폐장치
KR102434467B1 (ko) 산업시설용 집진 장치
KR102325511B1 (ko) 모듈 조합형 원전 설비 해체 작업장
GB1604679A (en) Anti-vandal door screens
JP6541135B2 (ja) 引き戸式扉構造及びシェルター
RU2198274C2 (ru) Мусоропровод жилых и общественных зда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