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020B1 -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9020B1 KR102169020B1 KR1020190172715A KR20190172715A KR102169020B1 KR 102169020 B1 KR102169020 B1 KR 102169020B1 KR 1020190172715 A KR1020190172715 A KR 1020190172715A KR 20190172715 A KR20190172715 A KR 20190172715A KR 102169020 B1 KR102169020 B1 KR 1021690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weight
- coating agent
- natural
- bio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1222 bi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CQEYYJKEWSMYFG-UHFFFAOYSA-N butyl 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C CQEYYJKEWSMYF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5442 diisocyan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2118 ep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057 Hexamethylene diisocya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RRAMGCGOFNQTLD-UHFFFAOYSA-N hexamethyle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O=C=NCCCCCCN=C=O RRAMGCGOFNQTL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08 dry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57 residual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ZFUQSJFWNHZHM-UHFFFAOYSA-N 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O)N1CC2=C(CC1)NN=N2 WZFUQSJFWNHZ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JLUBHOZZTYQIP-UHFFFAOYSA-N 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N=C(O1)CC(=O)N1CC2=C(CC1)NN=N2 YJLUBHOZZTYQ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ONKBQPVFMXDOV-QHCPKHFHSA-N 6-[(5S)-5-[[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methyl]-2-oxo-1,3-oxazolidin-3-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H]1CN(C(O1)=O)C1=CC2=C(NC(O2)=O)C=C1 CONKBQPVFMXDOV-QHCPKHFH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CFVJGUPQDGYKZ-UHFFFAOYSA-N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Chemical compound C=1C=C(OCC2OC2)C=CC=1C(C)(C)C(C=C1)=CC=C1OCC1CO1 LCFVJGUPQDGY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110 Mg K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6 bi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70 diluted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21 essential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WPPOHNGKGFGJK-UHFFFAOYSA-N hypochlorous acid Chemical compound ClO QWPPOHNGKGFG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 D06M11/1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 D06M11/13—Ammonium halides or hal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미네랄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화학약품 사용을 대체하여 인체 및 환경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단에 항균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제에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여 원단과 코팅제 사이의 결합을 강화함으로써 견뢰도를 향상하여 기능을 발현하는 기간을 증대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리사이클링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직물에 천연 미네랄과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코팅제가 도포된 직물을 맹글링하는 단계; 상기 맹글링이 완료된 직물에 열풍을 가하여 열고정하는 단계; 상기 열고정된 직물을 세척조로 투입하여 수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세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리사이클링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직물에 천연 미네랄과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코팅제가 도포된 직물을 맹글링하는 단계; 상기 맹글링이 완료된 직물에 열풍을 가하여 열고정하는 단계; 상기 열고정된 직물을 세척조로 투입하여 수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세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연 미네랄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화학약품 사용을 대체하여 인체 및 환경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단에 항균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제에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여 원단과 코팅제 사이의 결합을 강화함으로써 견뢰도를 향상하여 기능을 발현하는 기간을 증대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류업계에는 새로운 경향으로 ‘가치소비’가 등장하여 한때 명품에 집착하던 소비경향이 점차 제품의 실질적인 기능과 품질을 이성적으로 판단, 구매하려는 합리적인 소비경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소비성향은 산업 전반으로 확산, 강화되고 있는 추세인데 특히 2008년 말 전 세계로 확산된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침체가 소비자들에게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소비형태를 촉발한 것이다. 또한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환경파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도 가치소비를 더욱 강화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현명한 소비자들은 제품의 기능과 가격의 합리성뿐만 아니라 환경개선 및 청정에도 관심이 많다. 따라서 친환경 섬유소재 연구와 유해 생활환경 제어용 섬유, 자연순환 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섬유 등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글로벌 메가트렌드로 정착된 '친환경 운동'은 단순히 개인적 차원의 환경보호와 인간의 안전을 염려하던 수준에서 벗어나 정책적인 반영을 통한 국제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 공정으로 생산된 기능성 섬유제품의 개발은 섬유업계의 기술적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 미네랄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화학약품 사용을 대체하여 인체 및 환경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단에 항균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코팅제에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여 원단과 코팅제 사이의 결합을 강화함으로써 견뢰도를 향상하여 기능을 발현하는 기간을 증대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리사이클링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직물에 천연 미네랄과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코팅제가 도포된 직물을 맹글링하는 단계; 상기 맹글링이 완료된 직물에 열풍을 가하여 열고정하는 단계; 상기 열고정된 직물을 세척조로 투입하여 수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세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글리세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식물성 바인더 15~20 중량부, 천연 미네랄 8~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6 중량부, 에폭사이디드 소이빈 오일 1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4,000cps인 코팅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부틸아크릴레이트:바이오 폴리머=1:2~2.5 의 중량비로 중합하여 제조한 복합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바이오 폴리머는, 해조류 20g당 70% 에탄올 1L, 황산 10ml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용액을 건조하여 수득한 바이오 폴리머 중 100~80mesh 크기의 입자만 선별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경화제로서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전체 조성물의 1~3 중량% 만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에 있어, 상기 천연 미네랄은, 용암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을 2~2.5 중량% 포함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글리세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식물성 바인더 15~20 중량부, 천연 미네랄 8~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6 중량부, 에폭사이디드 소이빈 오일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제가 원단 1㎡당 10~18g 도포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부틸아크릴레이트와 해조류에서 추출한 바이오 폴리머를 1:2~2.5 중량비로 중합하여 제조한 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상기 천연 미네랄은, 용암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은 실제 섬유산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천연 미네랄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화학약품 사용을 대체하여 인체 및 환경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단에 항균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제에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여 원단과 코팅제 사이의 결합을 강화함으로써 견뢰도를 향상하여 기능을 발현하는 기간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여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가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지고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한 것으로써,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하여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례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 리사이클링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직물에 천연 미네랄과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S20); 상기 코팅제가 도포된 직물을 맹글링하는 단계(S30); 상기 맹글링이 완료된 직물에 열풍을 가하여 열고정하는 단계(S40); 상기 열고정된 직물을 세척조로 투입하여 수세하는 단계(S50); 및 상기 수세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S20)는, 글리세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식물성 바인더 15~20 중량부, 천연 미네랄 8~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6 중량부, 에폭사이디드 소이빈 오일 1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4,000cps인 코팅제를 사용한다.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S20)에서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부틸아크릴레이트:바이오 폴리머=1:2~2.5 의 중량비로 중합하여 제조한 복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식물성 바인더의 혼합중량비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바이오 폴리머=1:2~2.5가 가장 바람직하며, 부틸아크릴레이트 분자 사이에 바이오 폴리머가 그물처럼 엮여 있는 형태로 식물성 바인더의 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코팅제의 점도가 4,000cps을 초과하게 되면 도포부의 배출구(도시되지 않음)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공정에 적합하지 않으며, 코팅제의 점도가 2,000cps 미만이 되면 도포부의 저장조(도시되지 않음)에서 코팅제 공급을 멈춘 상태에서도 도포부의 배출구(도시되지 않음)에서 바로 흘러나와 저장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부틸아크릴레이트는 접착제로 많이 사용되며, 부틸아크릴레이트와 바이오 폴리머는 서로 상용성이 좋으며 가교 네트워크(cross-linking network)의 영향으로 고분자 사슬의 얽히면서 분자사슬의 움직임에 제한이 적어 식물성 바인더 제조시 유연성을 극대화여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폴리머는, 해조류 20g당 70% 에탄올 1L, 황산 10ml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용액을 건조하여 수득한 바이오 폴리머 중 100~80mesh 크기의 입자만 선별하여 사용한다.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경화제로서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반응성이 우수하여 상온에서도 가교를 진행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코팅제 중에 -OH기나 -COOH기와 가교제 중에 -NCO기와의 우레아 결합에 의한 3 차원화을 이루어지게 하여 응집력, 내열성, 내용매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나 내환경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식물성 바인더 전체 조성물의 0.5~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사용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 가교밀도 저하에 따른 응집력 및 내열성의 저하 등으로 맹글링 단계(S30)에서 장치에 피착되어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사용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가교에 참여하고 남는 단량체가 발생하여 기능성을 나타내는 소재들의 함량이 변화되어 기능 발현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원재료 남용으로 생산비용이 낭비될 수 있다.
상기 천연 미네랄은, 용암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수득한 천연 미네랄을 사용한다.
상기 용암해수는 필수미네랄 뿐만 아니라, 철, 망간, 아연, 몰리브덴 등 일반 유용미네랄 성분들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용암해수를 미산성전해수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하여 이온화된 다량의 미네랄의 함량을 증대하여 섬유 내로 깊숙히 흡착되어 코팅제 입자와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코팅제의 응집을 방지하고 원단과의 견뢰도를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에폭사이디드 소이빈 오일은, 코팅제의 탄성과 가공성을 향상할 수 있는 유연제로 사용한다.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S20)는, 상기 직물에 코팅제를 10~18g/㎡ 로 도포하고 열풍을 가하여 열고정하는 단계(S40)를 완료한 후 건조 중량 6~14 g/㎡가 되면서 코팅제의 강도 및 견뢰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코팅제 도포량이 10g/㎡ 미만일 경우 코팅 응집력 및 직물에 대한 부착성이 저하되고, 18g/㎡를 초과할 경우 코팅제의 건조시간이 증가하여 생산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S20)는, 일률적인 셀로 가공된 일반 메쉬롤러가 아닌 사선으로 셀이 구성된 메쉬롤러(도시되지 않음)를 적용하여 코팅제를 한방향으로 누적 도포하는 것이 아닌 사선타입으로 도포하여 보다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맹글링하는 단계(S30)는, 맹글기(도시되지 않음)로 코팅제가 도포된 직물을 투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코팅제가 뭉쳐있는 부분이 없도록 직물 표면을 균일하게 다듬고, 상기한 코팅제가 직물내로 깊숙히 침투하여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풍을 가하여 열고정하는 단계(S40)는, 컨벨트 타입의 건조로를 사용할 경우 보호필름내에 용매가 잔존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잔류용매의 활동으로 인하여 가교밀도의 저하 및 점착층의 파괴현상과 더불어 후기 점착력 상승 등으로 피착판의 오염(전이 등)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서는 무벨트 타입의 스틸자재를 사용하여 코팅제가 도포된 베이스 필름에 건조로 내부 복사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능력을 향상시켜 코팅제의 용매가 완전히 증발되어 잔류용매로 인하여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열풍의 전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물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3단 필터(1차: 프리필터 → 2차: 미디움필터 → 3차: 헤파필터)를 삽입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설비할 수 있다.
상기한 수세하는 단계(S50)는, 직물의 수분함수율이 15% 이하가 되도록 탈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직물의 수분함수율이 15%를 초과하는 경우 함수율을 초과하여 직물이 건조벨트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물이 바닥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생산라인이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S60)은, 건조속도는 최대 100 m/min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60~80 m/min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잔류수분의 제거 및 코팅 안정성의 측면에서 좋다. 이때 90℃→105℃→115℃→110℃→90℃ 구간으로 나누어진 건조온도 사이클의 첫번째 구간이 90℃를 초과할 경우 코팅제 표면의 건조상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코팅 계면에만 집중적인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안정적인 건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건조온도에 따른 직물의 주름 및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하는 단계(S60)에서 배출된 직물을 별도의 익스펜더 롤러(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평활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험예 1)
먼저, 용암해수의 전기분해가 미네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 미네랄(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을 준비하고, 각 시료를 3% HNO3로 10, 100, 1000 배 희석하여 AAS 분석기기로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천연 미네랄 함량 기준으로 변화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상기 천연 미네랄(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의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오드 환원 적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어서, 상기 천연 미네랄 함량에 따른 기능성 원단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천연 미네랄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한 기능성 원단(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을 준비하여 균 검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균 검출 시험은 무균 작업대에서 수행하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용 건조필름 배지를 사용하였다.
먼저, 분쇄된 각 시료 1g에 멸균수 9mL을 넣고 균질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혼합한 10배 희석용액을 만든다. 멸균된 시험관에 시료 희석용액을 옮긴 후 황색포도상구균을 3.0×102 CFU/m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고 Voltex Mixer를 사용하여 혼합한다. 완성된 시료용액의 1mL를 건조필름 배지에 접종한 후 인큐베이터로 옮겨 35℃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48시간 뒤 건조필름 배지에 형성되는 집락수를 판독하여 균수의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 미네랄 함량(㎎/L) | |||
Na | Mg | K | Ca | |
지하수 | 7 | 3 | 3 | 3 |
일반해수 | 10,762 | 1,294 | 387 | 413 |
용암해수 | 10,996 | 1,579 | 412 | 389 |
실시예1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
천연 미네랄 제조방법 |
용암해수 전기분해 |
지하수 전기분해 |
일반해수 전기분해 |
용암해수 무처리 |
미네랄 함량 실험 | ||||
Na (㎎/L) | 11,112 | 21 | 11,099 | 10,996 |
Mg (㎎/L) | 2,044 | 14 | 1,574 | 1,579 |
K (㎎/L) | 945 | 17 | 577 | 412 |
Ca (㎎/L) | 907 | 17 | 712 | 389 |
차아염소산(NaClO) 정량 분석 실험 | ||||
NaClO 농도(%) | 3.4 | 0.1 | 3.0 | - |
균 검출 실험 | ||||
균 농도(CFU/mL) | 1.7×102 | 2.9×102 | 2.2×102 | 3.6×102 |
균수의 변화율 | -41% | -2% | -26% | +22% |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에서 미네랄의 함량과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균수가 가장 많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미네랄 함량이 가장 높으며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한 본 발명의 천연 미네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코팅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2)
상기 식물성 바인더의 조성비가 원단과 코팅제 사이의 견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성 바인더의 첨가 유무만을 달리한 코팅제를 도포한 기능성 원단(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를 준비하고, 세탁견뢰도, 마찰견뢰도, 일광견뢰도, 드라이클리닝견뢰도로 항목을 분류하여 시험 및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은 세탁견뢰도 측정에 KS K ISO 105-C01:2002, 마찰견뢰도 측정에 KS K 0650:2006, 일광견뢰도 측정에 KS K ISO 105-B02:2005, 드라이클리닝견뢰도 측정에 KS K ISO 105-DO1:2005를 이용하였다. 하기 표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
식물성 바인더 조성비 (부틸아크릴레이트: 바이오 폴리머) |
견뢰도 | |||
세탁 | 마찰 | 일광 | 드라이클리닝 | ||
실시예1 | 1:2.0 | 5급 | 5급 | 4급 | 4급 |
실시예2 | 1:2.5 | 5급 | 5급 | 4급 | 5급 |
비교예4 | 1:1.0 | 3급 | 2급 | 3급 | 2급 |
비교예5 | 1:1.5 | 4급 | 4급 | 3급 | 3급 |
비교예6 | 1:3.0 | 2급 | 2급 | 3급 | 2급 |
비교예7 | × | 2급 | 2급 | 2급 | 2급 |
×: 식물성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은 코팅제 사용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 조성비를 가지는 식물성 바인더를 첨가한 코팅제를 원단에 도포함으로써 세탁견뢰도, 마찰견뢰도, 드라이클리닝 견뢰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바이오 폴리머의 조성비가 실시예보다 작은 비교예 4와 비교예 5의 경우 식물성 바인더의 유동성이 높아 코팅제 혼합시 가공성이 좋았지만 인성이 저하되어 각 견뢰도가 낮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 폴리머의 조성비가 실시예보다 높은 비교예 6의 경우 분산도가 저하되어 바이오 폴리머가 서로 엉키고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하여 코팅제 도포시 균일도가 저하되어 견뢰도가 낮게 측정되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성 바인더는 코팅제와 원단 사이의 견뢰도를 향상할 수 있다.
Claims (9)
- 리사이클링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직물에 천연 미네랄과 바이오 폴리머를 포함하는 식물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코팅제가 도포된 직물을 맹글링하는 단계;
상기 맹글링이 완료된 직물에 열풍을 가하여 열고정하는 단계;
상기 열고정된 직물을 세척조로 투입하여 수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세된 직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폴리머는, 해조류 20g당 70% 에탄올 1L, 황산 10ml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용액을 건조하여 수득한 바이오 폴리머 중 100~80mesh 크기의 입자만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글리세린 100 중량부 기준으로, 바이오 폴리머를 포함하는 식물성 바인더 15~20 중량부, 천연 미네랄 8~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6 중량부, 에폭사이디드 소이빈 오일 1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4,000cps인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부틸아크릴레이트:바이오 폴리머=1:2~2.5 의 중량비로 중합하여 제조한 복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경화제로서 이소프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전체 조성물의 1~3 중량% 만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미네랄은,
용암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을 2~2.5 중량% 포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 글리세린 100 중량부 기준으로, 바이오 폴리머를 포함하는 식물성 바인더 15~20 중량부, 천연 미네랄 8~10 중량부, 자외선 차단제 6 중량부, 에폭사이디드 소이빈 오일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제가 원단 1㎡당 10~18g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폴리머는, 해조류 20g당 70% 에탄올 1L, 황산 10ml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용액을 건조하여 수득한 바이오 폴리머 중 100~80mesh 크기의 입자만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부틸아크릴레이트와 해조류에서 추출한 바이오 폴리머를 1:2~2.5 중량비로 중합하여 제조한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미네랄은,
용암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2715A KR102169020B1 (ko) | 2019-12-23 | 2019-12-23 |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2715A KR102169020B1 (ko) | 2019-12-23 | 2019-12-23 |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9020B1 true KR102169020B1 (ko) | 2020-10-22 |
Family
ID=7303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2715A KR102169020B1 (ko) | 2019-12-23 | 2019-12-23 |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902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98265A (ko) * | 2008-05-06 | 2014-08-07 | 맬러드 크리크 폴리머스 아이엔씨. | 활성 성분의 캐리어로서의 음이온성 라텍스 및 그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
KR101545820B1 (ko) | 2014-07-14 | 2015-08-19 | (주) 삼희기획 | 날염기 출력용 원단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34249B1 (ko) * | 2019-05-24 | 2019-10-18 | 이광희 | 복합조성물을 함유한 기능성 침구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011444B1 (ko) * | 2018-11-20 | 2019-10-21 | 대신염직공업(주) | 염색직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
-
2019
- 2019-12-23 KR KR1020190172715A patent/KR1021690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98265A (ko) * | 2008-05-06 | 2014-08-07 | 맬러드 크리크 폴리머스 아이엔씨. | 활성 성분의 캐리어로서의 음이온성 라텍스 및 그를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 |
KR101545820B1 (ko) | 2014-07-14 | 2015-08-19 | (주) 삼희기획 | 날염기 출력용 원단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11444B1 (ko) * | 2018-11-20 | 2019-10-21 | 대신염직공업(주) | 염색직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
KR102034249B1 (ko) * | 2019-05-24 | 2019-10-18 | 이광희 | 복합조성물을 함유한 기능성 침구 및 이의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153095B (zh) | 一种防水防油防污抗起球纳米面料及其制备方法 | |
CN101725052B (zh) | 水性聚氨酯树脂超细纤维革及制造方法 | |
Sk et al. | Antimicrobial performance of silver–copper–zeolite microparticle-treated organic cotton fabric using versatile methods | |
Maryan et al. | Synthesis of nano silver on cellulosic denim fabric producing yellow colored garment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
DE102015218510A1 (de) | Textile Flächengebilde mit Denim-ähnlichen Merkmalen | |
Maryan et al. | Introducing old-look, soft handle, flame retar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to denim garments using nano clay | |
CN112647285A (zh) | 一种防静电高强度涤纶面料的制备工艺 | |
CN101311408B (zh) | 缝纫线的着色方法及被着色的缝纫线 | |
Reda et al. | An observation on the wet processes of natural fabrics | |
KR102169020B1 (ko) |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
Wang et al. | An eco-friendly dyeing method: bromophenol blue (BPB) applied for dyeing cotton fabrics coated with cationic finishing agents | |
CN101260610A (zh) | 一种真丝面料的抗紫外处理技术 | |
CN104555253B (zh) | 一种传送带骨架及其制造方法 | |
CN105544203B (zh) | 一种荧光氨纶材料的制备方法 | |
KR102011444B1 (ko) | 염색직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 |
CN106456453A (zh) | 具有分布于其中的生理活性的矿物质的纤维素成形体 | |
CN106835446A (zh) | 一种竹纤维和锦纶交织面料及其制造方法 | |
CN101638836A (zh) | 超细纤维材料的后处理工艺 | |
KR102552193B1 (ko) | 통기성 인조가죽 수지직물의 제조방법 | |
Lo et al. | Indicating the development stage of nanotechnology in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 |
CN104420230A (zh) | 利用聚氨酯型芳香微胶囊整理剂整理织物的方法 | |
CN106592231A (zh) | 具有抗菌功能的纺织品的制造方法与其产物 | |
JP5803057B2 (ja) | 染色繊維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15399333B (zh) | 抗菌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 |
CN101245558A (zh) | 一种纺织纤维上浆浆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