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260B1 -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260B1
KR102167260B1 KR1020190006654A KR20190006654A KR102167260B1 KR 102167260 B1 KR102167260 B1 KR 102167260B1 KR 1020190006654 A KR1020190006654 A KR 1020190006654A KR 20190006654 A KR20190006654 A KR 20190006654A KR 102167260 B1 KR102167260 B1 KR 10216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vehicle
detection
door glas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279A (ko
Inventor
윤봉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비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비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비지테크
Priority to KR102019000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2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05F15/431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or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1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공간 내의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신체가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근하는 경우와 신체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누어 차량 내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의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윈도우가 개폐되도록 구동시켜 글래스의 위치를 정지시키거나 일정하게 조절하여 상기 신체의 상해를 방지하거나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동부; 상기 장애물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받아 신체 감지 정보 및 상기 글래스의 위치에 따른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는 감지 및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Vehicle door glass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 글래스에 어린이들이 손과 같은 신체 부위를 위험하게 접촉시킨다던가 일정 온도 이상의 폭염 등이 지속되는 경우 차량 내부에 갇힌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 공간 내의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신체가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근하는 경우와 신체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누어 차량 내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의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윈도우가 개폐되도록 구동시켜 글래스의 위치를 정지시키거나 일정하게 조절하여 상기 신체의 상해를 방지하거나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동부; 상기 장애물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받아 신체 감지 정보 및 상기 글래스의 위치에 따른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는 감지 및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에는 버튼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윈도우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신체의 일부가 윈도우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애물 감지장치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윈도우 뿐만 아니라 도어에도 자동개폐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이 늘고 있는데, 특히 자동으로 닫히는 도어에 신체가 끼이면 심각한 부상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장애물 감지장치의 설치가 더욱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장애물 감지장치는 크게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되지만, 차량에는 윈도우나 도어에 신체나 장애물이 닿기 전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감지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차량의 냉난방 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 혹은 난방하는 장치로서, 여름철에는 냉방 모드로 작동하여 에어컨으로 사용되고 겨울철에는 난방 모드로 작동하여 히터로 사용된다.
한편, 주정차 중인 차량이 밀폐된 상태에서 운전자(혹은 탑승자)가 여름철에 상기 에어컨을 작동시켜 놓거나 겨울철에 상기 히터를 작동시켜 놓고 잠이 드는 경우, 주정차 중인 차량의 공조 장치를 통하여는 외부의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거의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실내 산소량이 부족하여 운전자(혹은 탑승자)가 질식사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발명의 다른예에 따른 도어 글래스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방법에 의한 윈도우 개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의 윈도우(2) 테두리부위에 설치된 고무패킹(4)의 상부 일측면에 고정된 감지판(10); 상기 감지판(10)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며 고무패킹(4)의 상부 내측면에 부착된 감지센서(20); 상기 감지센서(20)의 신호를 인식하는 ECU; 상기 ECU 의 신호를 받아 글레스가 하강되도록 글레스(3) 하강스위치에 연결된 작동모터(30)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레스 상승시 물체감지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감지센서(20)이외에 고정된 감지판(10)이 필요하여 정확한 도어글레스 상승시 물체감지가 이루어질 수 없고, 신체 기관이 작은 어린이의 경우 판단이 잘못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제1774666호는 윈도우 모터의 회전 시작점에 위치하여 윈도우 모터의 회전에 따른 제 1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홀 센서; 윈도우 모터의 회전에 따른 제 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홀 센서; 및 윈도우 상승시 제 1 펄스신호와 제 2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제 1 가상 펄스신호와 제 2 가상 펄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펄스신호와 제 2 펄스신호 및 상기 제 1 가상 펄스신호와 제 2 가상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윈도우 모터의 가속도를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윈도우에 작용하는 힘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힘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윈도우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물체가 끼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윈도우 모터에 중점적으로 의존하여 미세한 펄스 신호를 판단하는 발명이라서 정확도는 높을지 모르나 다양한 상황에서 윈도우 모터의 고장에 따른 제어 불능 상황이 올 수 있고 폭염에 따란 차량 도어의 개폐 유무는 정확도 보다는 신뢰성 있는 작동이 중요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제0868920호는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와;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개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와; 상기 제어유닛의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윈도우가 개폐되도록 구동되는 구동부와;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밧데리와 보조밧데리로 구성되는 전원부와; 상기 이산화탄소(CO2)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차량용 도어 일측에 윈도우가 폐쇄된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상한감지수단과, 윈도우의 개방 한계를 감지하기 위한 하한감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질식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단순히 이산화탄소 센서 만을 이용해서는 자주 발생되는 어린이들이 차량 도어 글래스에 끼이는 사고 등을 전혀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774666호 공개실용신안 제1998-059931호 한국등록특허 제1373292호 한국등록특허 제08689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정 공간 내의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해 도어 글래스 신체 감지와 차량 내부 과온도 피해 방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경제적인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감지 및 경고 표시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즉시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공간 내의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신체가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근하는 경우와 신체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누어 차량 내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의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윈도우가 개폐되도록 구동시켜 글래스의 위치를 정지시키거나 일정하게 조절하여 상기 신체의 상해를 방지하거나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동부; 상기 장애물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받아 신체 감지 정보 및 상기 글래스의 위치에 따른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는 감지 및 경고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정 공간 내의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차량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신체가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근하는 경우 도어 글래스를 정지시키거나, 일정 온도 이상이나 이하에서 신체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 도어 글래스를 열거나 닫도록 차량 도어 글래스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의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도어 글래스의 위치를 고정거나 일정하게 조절하여 상기 신체의 상해를 방지하거나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동부; 상기 장애물 또는 상기 온도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받아 신체 감지 정보 및 상기 글래스의 위치에 따른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는 감지 및 경고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이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 글래스가 설치된 글래스틀의 일측단에서부터 타측단까지 연장되는 선 중에서 수직 또는 수평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센서는 차량의 실내 산소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산소량에 대응하는 산소량 신호를 출력하는 산소량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산소량 측정센서의 산소량 신호가 나타내는 산소량이 미리 설정한 특정한 기준치 이하로 측정되면 상기 도어 글래스의 구동부(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작동시켜 차량의 윈도우 또는 선루프를 특정 시간 동안 자동 개방 후 폐쇄한다.
상기 차량 도어 글래스가 상승하는 동안에 진동과 충격을 포함하는 노이즈에 의한 상승 방해와 실제 장애물에 의한 상승 방해를 판별하는 장애물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여 기상청 서버와 연결되어 제어유닛이 판정한 폭염 또는 혹한기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최대 개방량과 비교하여 현재 창유리 개방량이 작은 경우에는 구동부(1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 글래스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감지 및 경고 표시부는 감지 및 경고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성 발생 장치이다.
상기 감지 및 경고 표시부는 감지 및 경고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성 발생 장치이고, 추가되는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감지 및 경고 정보는 외부 스마트 폰으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자주 발생되는 어린이들이 차량 도어 글래스에 끼이는 사고 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센서를 사용하면서 이들 간의 전기적으로 복잡한 연결이 줄어들면서 장치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스마트 센서의 도어 내에 설치를 보다 단순화하고 배선을 줄여 시스템의 무게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센서를 사용하여 정확도가 높아 보다 뛰어난 감지 및 경고 알림 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의 다른예에 따른 도어 글래스 감지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측정 방법에 의한 윈도우 개방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직으로 레이저 센서가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평으로 레이저 센서가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광 센서 및 수광 센서가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110), 제어유닛(120), 구동부(130), 감지 및 경고 표시부(140)로 구성된다.
센서는 일정 공간 내의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이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일정 공간 내의 신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센서는 상기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이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 글래스가 설치된 글래스틀의 일측단에서부터 타측단까지 연장되는 선 중에서 수직 또는 수평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일정 공간 내의 신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 설명하는 다기능 스마트 센서의 경우 도어 글래스 상측부나 내부 등에 설치되어도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이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촉하거나 일정 공간 내의 신체의 존재 여부를 동시에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글래스틀은 필러(A필러, B필러, C필러; 도 7 참조)를 사이 사이 연결하는 틀로서, 주로 상측 부분에 상기 센서가 설치되거나, 측면부에 상기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는 상기 글래스틀의 상측 부분에 하나 이상의 수광 또는 발광 센서(211, 212)가 설치되고, 대응되는 반대측에 다시 수광 또는 발광 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 글래스에 걸쳐 있거나 지나가는 신체의 일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일 신체의 일부가 모든 위치에서 감지하기 어려운 적은 수의 센서가 설치되더라도 발광빛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이를 커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로서 차량 도어 글래스가 상승하는 동안에 진동과 충격을 포함하는 노이즈에 의한 상승 방해와 실제 장애물에 의한 상승 방해를 판별하는 장애물 판단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상 주행상태란 차량이 정지해 있거나 일반 포장도로를 달리는 경우로서 도어 글래스에 강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주행상태인데, 비정상 주행상태란 차량이 가혹 조건의 도로(예를 들어 비포장 도로나 요철이 많은 도로)를 주행하거나 충돌 등으로 인하여 윈도우 글라스에 강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주행상태의 경우 상기 장애물 판단 센서가 잘못 판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센서들과 동시에 신호가 발생할 경우만 제어 유닛이 경고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는 차량의 실내 산소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산소량에 대응하는 산소량 신호를 출력하는 산소량 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도어 글래스에 한정되어 감지를 하였다면 상기 산소량 측정센서는 차량 내부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폭염이나 혹한기에 어린 자녀 또는 동물을 실수로 내부에 그냥 두고 떠나버려 예측 불능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폭염의 경우 상기 산소량 측정센서의 산소량 신호가 나타내는 산소량이 미리 설정한 특정한 기준치 이하로 측정되면 상기 도어 글래스의 구동부(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작동시켜 차량의 윈도우 또는 선루프를 특정 시간 동안 자동 개방 후 폐쇄할 수 있다.
또는 혹한기의 경우 차량 운전자의 무선 단말기 등에 상기 제어 유닛이 경고 알람을 발송할 수 있거나, 차량 도난 방지 알람을 대신 사용하여 주변에 위험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폭염과 혹한기는 차량 내의 시간 설정 장치 또는 무선 모듈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현재 날짜와 날씨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어유닛(120)이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운전자의 무선 단말기 등에 상기 제어 유닛(120)이 경고 알람을 용이하게 발송할 수 있도록, 스마트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센서는 센싱 기능 외에 통신, 데이터 처리, 의사결정 기능을 추가로 갖춘 센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센서는 One Chip 상에 센서 기능과 더불어 통신, 데이터 처리 및 인공지능 모듈까지 갖춘 지능화된 센서이다.
즉 통신 모듈을 통해 현재 날짜와 날씨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제어유닛(120)이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 모듈을 통해 창유리 개방량을 미리 저장하고 계산하여 상기 제어유닛(120)이 판단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센서는 IO-Link 방식을 통해 국제 표준 IEC 61131-9를 따르는 통신 기술로, 자동화의 삼각형에 있어 하위 레벨에 위치한 센서나 구동부(액추에이터) 등을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방식으로 연결해 이들 장비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상위 레벨로 올려 보낸다.
따라서 센서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버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IO-Link 방식을 통해 각 장치 간의 연결이 줄어들면 장치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스마트 센서의 설치를 보다 단순화하고 배선을 줄여 시스템의 무게 및 부피를 줄이는 것도 장점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센서를 사용하여 상술한 복수개의 센서를 집적하고, 정확도가 높아 보다 뛰어난 감지 및 경고 알림 처리가 가능하다. 즉 차량의 도어 글래스의 측면에 설치되어도 차량 내부의 사람 유무(적외선 센서)까지 감지할 수 있다.
제어유닛(120)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신체가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근하는 경우와 신체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를 나누어 차량 내부 구동부(130)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신체가 차량 도어 글래스가 이동하는 동안에 접근하는 경우 알람을 울리도록 제어하거나 폭염에 신체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도어 글래스를 일정 위치로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상기 제어유닛의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윈도우가 개폐되도록 구동시켜 글래스의 위치를 정지시키거나 일정하게 조절하여 상기 신체의 상해를 방지하거나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장치로서,
감지 및 경고 표시부는 상기 장애물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120)의 제어를 받아 신체 감지 정보 및 상기 글래스의 위치에 따른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센터페시아의 일정 위치 또는 네비게이션 등에 연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센서는 자동차 각 도어의 창유리 부분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글래스 틀 중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글래스가 상하로 이동될 때 글래스와 상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현재 글래스의 개방량을 감지한다.
이 때 사용되는 거리 측정센서로는 광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등 일반적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직으로 레이저 센서가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평으로 레이저 센서가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사용될 수 있는 레이저 센서(210)는 글래스 틀 표면에 레이저를 쪼여 표면과의 거리를 측정하며, 그 측정량의 변화를 통해 장애물의 형상까지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센서(210)는 센서 헤드와 컨트롤러로 구성되며, 센서로 검출한 정보를 컨트롤러로 연산해 그 결과를 출력하여 제어유닛(12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센서(210)의 최소분해능은 0.01μm, 샘플링 주기는 10μs(마이크로초)로, 이는 워크의 표면을 초당 10만 번 스캔하고 10만 분의 1mm 수준의 요철까지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센서(210)의 센서 헤드를 교체하여 측정 거리나 범위 등에 따라 선택의 범위를 넓일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20)은 기존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ECU)일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를 위하여 별도로 장착된 일반적인 제어 유닛(CU)일 수도 있다.
이 제어유닛(120)은 외부 단말기 또는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도어 글래스의 최대 개방량을 미리 저장하여 이에 따라 제어한다.
이 최대 개방량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각 도어 글래스가 최대로 열릴 수 있는 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2단의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탑승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각 도어의 창유리는 2단 까지의 높이까지 밖에 내려가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2단계의 높이가 사람의 머리 또는 이보다 큰 지름을 갖는 신체 부위(예 : 허벅지) 등이 걸려 다칠 수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 유닛(120)은 상기 감지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인식하여 감지 및 경고 표시부(140)로 경고 신호를 보내고 상기 구동부(130)에 작동 중지를 명령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글래스의 최대 개방량이 저장된 후 각 도어에 설치된 도어 글래스 개폐버튼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 유닛(120)은 해당 도어의 거리 측정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현재 창유리 개방량을 계산하고 이 현재 창유리 개방량과 저장된 최대 개방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창유리 개폐버튼을 조작하여 창유리를 아래로 내리고자 하는 경우, 현재 창유리 개방량이 최대 개방량보다 작은 때에는 창유리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필요한 제어신호를 구동부(130)로 출력한다. 이때에도 상기 제어 유닛(120)은 상기 도어 글래스에 걸쳐있는 신체의 감지 상황을 위험 상황으로 인식하여 감지 및 경고 표시부(140)로 경고 신호를 보내고 상기 구동부(130)에 작동 중지를 명령할 수 있다.
만일 폭염의 경우 제어유닛(120)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차량 내부에 신체를 감지하였을 경우 도어 글래스의 개방량과 현재 상황(폭염 또는 혹한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최대 개방량과 비교하여 현재 창유리 개방량이 작은 경우에는 구동부(1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 글래스가 작동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폭염 또는 혹한기 유무는 기상청 서버와 연결되어 제어유닛이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경우 대상 물체의 색상이 검은색인지, 흰색인지에 따라 측정결과가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차량 내부의 색깔 톤이 어느 계열에 속하는 지 미리 저장하여, 기존의 딥러닝 기법을 통한 색상 변형 방법으로 정확한 측정이 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감지 및 경고 표시부(140)는 감지 및 경고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성 발생 장치로서, 자동차의 계기판 또는 센터페시아에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제어유닛(120)은 도어의 내부 측면(예 : 도어트림; Door trim)에 소형 경고 LED를 부착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을 할 수 있다.
특히 센터페시아에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터널 등을 통과할 때 자동으로 도어 글래스를 작동시키기 전 상기 제어유닛(120)의 센서 감지를 작동시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발광 센서 및 수광 센서가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구조상 바디가 도어패킹이나 내장재를 대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도어패킹이나 내장재와는 별도로 센서(210)를 포함하는 센서스트립 조립체(215)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바디의 삽입홀에는 센서스트립(215)이 삽입 장착되며, 따라서 삽입홀의 길이는 적어도 센서스트립(215)보다 길어야 한다.
센서스트립 조립체(215)는 절연재질의 센서바디, 상기 센서바디의 내부에 매설된 한 쌍의 스트립전극을 포함하며, 센서바디의 단부에는 감지회로가 탑재된 PCB기판이 일체로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스트립 조립체(215)의 바디는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사출성형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인서트 성형을 통해 바디와 센서스트립의 센서바디를 일체가 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고, 바디에 센서스트립의 센서바디와 감지회로가 내장되도록 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도어, 슬라이딩 도어 등의 자동개폐시에 장애물을 감지하는 용도로 센서스트립 조립체(215)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어와 차체프레임의 경계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센서스트립 조립체(215)를 장착하면 된다. 또한 센서스트립 조립체의 바디가 도어패킹 또는 차체패킹이나 내장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윈도우패킹홈은 생략될 수도 있다.
110 : 센서
120 : 제어유닛
130 : 구동부
140 : 감지 및 경고 표시부
210 : 레이저 센서
211, 212 : 수광 또는 발광 센서
215 : 센서스트립

Claims (7)

  1. 일정 공간 내의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을 감지하거나 차량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신체가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근하는 경우 도어 글래스를 정지시키거나, 일정 온도 이상이나 이하에서 신체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차량 도어 글래스를 열거나 닫도록 차량 도어 글래스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의 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작동시켜 도어 글래스의 위치를 고정거나 일정하게 조절하여 상기 신체의 상해를 방지하거나 차량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동부;
    상기 장애물 또는 상기 온도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를 받아 신체 감지 정보 및 상기 글래스의 위치에 따른 경보 정보를 발생시키는 감지 및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로 차량 내부에 신체의 적외선이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하였을 경우 도어 글래스의 개방량과 현재 기상 상황에 따라 미리 설정된 최대 개방량과 비교하여 현재 창유리 개방량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 글래스가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기상 상황에 따른 폭염 또는 혹한기 유무는 기상청 서버와 연결되어 제어유닛이 판정하고,
    상기 차량 도어의 바디의 삽입홀에는 센서스트립이 삽입 장착되며, 상기 센서스트립은 절연재질의 센서바디, 상기 센서바디의 내부에 매설된 한 쌍의 스트립전극을 포함하며, 사출성형으로 제작하여 인서트 성형을 통해 바디와 센서스트립의 센서바디를 일체가 되도록 제작하고, 상기 바디에 센서스트립의 센서바디와 감지회로가 내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신체를 포함한 장애물이 차량 도어 글래스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 글래스가 설치된 글래스틀의 일측단에서부터 타측단까지 연장되는 선 중에서 수직 또는 수평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차량의 실내 산소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산소량에 대응하는 산소량 신호를 출력하는 산소량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산소량 측정센서의 산소량 신호가 나타내는 산소량이 미리 설정한 특정한 기준치 이하로 측정되면 상기 도어 글래스의 구동부를 작동시켜 차량의 윈도우 또는 선루프를 특정 시간 동안 자동 개방 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 글래스가 상승하는 동안에 진동과 충격을 포함하는 노이즈에 의한 상승 방해와 실제 장애물에 의한 상승 방해를 판별하는 장애물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및 경고 표시부는 감지 및 경고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성 발생 장치이고, 추가되는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감지 및 경고 정보는 외부 스마트 폰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KR1020190006654A 2019-01-18 2019-01-18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KR10216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654A KR102167260B1 (ko) 2019-01-18 2019-01-18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654A KR102167260B1 (ko) 2019-01-18 2019-01-18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79A KR20200090279A (ko) 2020-07-29
KR102167260B1 true KR102167260B1 (ko) 2020-10-20

Family

ID=7189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654A KR102167260B1 (ko) 2019-01-18 2019-01-18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2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6449A (ja) * 2006-10-23 2008-05-08 Mitsuba Corp 換気機能付きパワーウインド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687U (ko) * 1996-11-28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질식방지를 위한 윈도우구동제어장치
KR100205420B1 (ko) 1996-12-31 1999-07-01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3812048B2 (ja) * 1997-05-08 2006-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ウインドウ開閉制御装置
JP3787979B2 (ja) * 1997-09-16 2006-06-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ウインドウ開閉制御装置
KR100868920B1 (ko) 2007-09-13 2008-11-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질식 방지 시스템
KR101373292B1 (ko) 2012-05-31 2014-03-11 조승원 차량의 장애물 감지용 센서스트립 조립체
KR101774666B1 (ko) 2015-12-03 2017-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03134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유투인터랙티브 운전자의 상황 정보를 이용한 차량의 실내 환경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6449A (ja) * 2006-10-23 2008-05-08 Mitsuba Corp 換気機能付きパワーウインド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79A (ko)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30875B (zh) 用于电动车辆车门的温度控制
CN104691442B (zh) 传感器设备和用于该传感器设备的模块单元
KR200324668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US20160024825A1 (en) Collision protection device for a pivotable hatch of a motor vehicle, hatch,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US5313189A (en) Vehicle wheel safety barrier system using pressure and infrared sensors
US200200476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power window of a vehicle
CN105209706A (zh) 用于操作车辆的闭合板的方法和系统
KR20170069212A (ko) 객실의 비접촉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20170069215A (ko) 통신 소자 및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CN209398153U (zh) 一种汽车车窗控制装置
KR101826544B1 (ko) 터널 통과 시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45395A (ko) 사각지대용 반사경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US66932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owered vent opening with a multifaceted sensor system
KR102167260B1 (ko) 차량 도어 글래스 감지 및 경고 시스템
US7797881B2 (en) Garage door control system
KR102484296B1 (ko) 교차로에서의 안전제고를 위한 이동객체검출 및 경고기능을 갖는 도로 반사경 장치
KR20170112694A (ko) 차량용 도어 열림 조절장치
KR20090094547A (ko) 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사이드 미러
KR101448032B1 (ko) 차량의 윈도우와 스크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7728207U (zh) 公交车车门智能控制系统
WO2022079327A1 (es) Dispositivo para el cierre automático de ventanas, capotas y techos de vehículos bajo fenómenos meteorológicos adversos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0436200Y1 (ko) 승강장 안전 관리 장치
JPH11101018A (ja) 自動開閉制御装置
KR100435860B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