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171B1 -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171B1
KR102167171B1 KR1020190045394A KR20190045394A KR102167171B1 KR 102167171 B1 KR102167171 B1 KR 102167171B1 KR 1020190045394 A KR1020190045394 A KR 1020190045394A KR 20190045394 A KR20190045394 A KR 20190045394A KR 102167171 B1 KR102167171 B1 KR 10216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unit
scaffold
footrest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현
Original Assignee
박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현 filed Critical 박우현
Priority to KR102019004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발판이 해제되지 않더라도 전동차가 발판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비상 해제장치는,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충격유닛과, 상기 구동장치에 설치되는 결합/해제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유닛은 상기 구동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상기 구동장치의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전동차 충격에 기초하여 발판을 해제하고, 상기 결합/해제유닛은 상기 전동차 충격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물리적으로 분리한다.

Description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Apparatus for releasing platform board in emergency}
본 발명은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판이 해제되지 않더라도 전동차가 발판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련한다.
승강장에 설치되는 발판의 경우 철로가 직선으로 설치된 곳에서는 발판의 설치가 용이하고 발판의 파손이 적고 유지 보수도 용이하다. 그러나 철로가 곡선인 승강장의 경우, 안전 발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설치 후에도 차량과의 충돌로 인하여 발판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곡선 구간에서의 발판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연단 간격이 커서 승객의 발빠짐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288452호에서는 전동차의 출입문과 마주하는 승강장의 상단부에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벌어진 간격으로 인해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철승강장 안전발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동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발판이 접히지 않게 됨으로써 전동차에 의해 충격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318262호에서는 승강장 전면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에 힌지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하여 연접하는 메인 발판; 상기 각 메인 발판의 전단에 결합하는 보조 발판; 및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 사이의 경계에 끼워지고, 상기 메인 발판과 보조 발판에 각각 고정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안전발판을 개시하고 있다.
그 결과, 안전발판을 메인과 보조 발판으로 분리하고, 보조 발판의 크기를 작게 하여 전동차에 의해 충돌된 부분만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이탈된 안전발판에 의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보조 발판이 전동차의 충격에 의해 이탈됨으로써 보조 발판에 의한 2차 피해가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강제로 발판을 해제, 즉 강제로 접히도록 하여 전동차가 발판에 충격을 가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동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비상 제어를 통하여 구동장치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더욱이, 구동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더라도, 가령 발판의 힌지 부분에 이물질이 끼거나 얼음이 얼어 원활하게 동작하지 못할 경우 발판의 하중에만 의존하지 않고 발판을 강제로 해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요구되는 필요성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이 해제되지 않더라도 전동차가 발판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장치의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비상 제어를 통하여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상시 구동장치와 발판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판 자체의 문제로 발판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발판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판을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해제할 수 있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구동장치와 동력전달장치로 이루어져 승강장에 설치된 발판을 펼치거나 접는 발판 구동 시스템에서,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충격유닛과, 상기 구동장치에 설치되는 결합/해제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격유닛은 상기 구동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상기 구동장치의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전동차 충격에 기초하여 발판을 해제하고, 상기 결합/해제유닛은 상기 전동차 충격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격유닛은,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무빙 바에 결합된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 기둥; 상기 지지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센서; 및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전동차 충격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리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전동차 충격으로 상기 커버가 상기 센서를 덮으면, 상기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해제유닛은, 내부를 스크류가 관통하고 상면의 한 쪽 가장자리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이송블록;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을 개폐하는 스토퍼; 및 상기 수용공간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무빙 바에 결합하는 로킹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동차 충격에 의한 상기 무빙 바의 이동으로 상기 로킹 핀에 의해 가격되어 열린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빙 바 위에 고정되고 수동으로 잡아당기는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로킹 핀을 상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이송블록의 수용 홈으로부터 빠지도록 하는 수동 해제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동 해제유닛은, 일정 거리 이격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 중 하나에 힌지 결합하는 레버; 일단이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 플러그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블록의 수용 홈에 끼워지는 로킹 핀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일단이 상기 발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무빙 바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된 강제 해제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빙 바의 이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 상기 발판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비상 해제장치에 의하면, 발판이 해제되지 않더라도 전동차가 발판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발판의 이탈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의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비상 제어를 통하여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비상 해제시 구동장치와 발판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동차가 발판에 충격을 가하기 전에 발판을 접을 수 있다.
또한, 발판 자체의 문제로 발판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와이어를 이용하여 발판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a)와 2(b)는 각각 비상 해제장치에 적용되는 충격유닛과 결합/해제유닛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a)과 3(b)은 본 발명의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4(a)와 4(b)는 분리유닛의 동작을 보여준다.
도 5(a)와 5(b)는 각각 수동 해제유닛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은 치수 등이 무시되고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비상 해제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1318262호에 개시된 구동 메커니즘을 기본으로 하여 적용된다.
비상 해제장치는,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충격유닛(200)과 결합/해제유닛(310)으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발판(10)의 해제를 강제하는 강제 해제유닛(40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발판 구동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와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비상 해제장치의 각 구성 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승강장과 발판(10)을 지지하는 프레임은 도시하지 않았다.
발판 구동 시스템은 구동장치와 동력전달장치로 이루어져 승강장에 설치된 발판을 펼치거나 접도록 한다.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350)와 스크류(screw)(340), 스크류(340)를 양쪽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브래킷(bracket)(320), 및 스크류(340)의 회전력을 무빙 바(moving bar)(120)에 전달하거나 해제하는 결합/해제유닛(310)으로 구성된다.
동력전달장치는 무빙 바(120), 무빙 바(120)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회전 레버(122), 회전 레버(122)의 끝 부분에 결합되는 지지 기둥(150)으로 구성된다.
무빙 바(120)에는 결합/해제유닛(310)의 로킹 핀(316)이 끼워져 결합하는 관통구멍(121)이 형성된다.
지지 기둥(150)은, 지지 프레임(140)에 고정된 베어링 블록(142)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지지 바(130)에 형성된 지지 홈(132)에 중간 부분이 끼워져 지지된다.
지지 기둥(150)의 상단은 발판(10)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되고, 절곡된 부분에 회전 롤(152)이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 기둥(150)이 회전하여 회전 롤(152)의 끝 부분이 발판(10)의 끝 부분에 인접할 때 발판(10)이 회전 롤(152)에 의해 지지되어 펼친 상태를 유지한다.
발판(10)을 접으려면, 구동 모터(350)가 회전하여 스크류(340)가 회전하고, 스크류(340)에 나사 결합된 결합/해제유닛(310)이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결합/해제유닛(310)과 결합한 무빙 바(120)가 직선 운동을 한다.
그 결과, 무빙 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각 회전 레버(122)가 회전하면서 지지 기둥(150)을 회전시키고, 상기의 특허에 기술된 방식에 따라, 지지 기둥(150)의 회전 롤(152)이 회전하면서 발판(10)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접히게 된다.
비상 해제장치는,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충격유닛(200)과 결합/해제유닛(310)으로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발판(10)의 해제를 강제하는 강제 해제유닛(400) 및 수동 해제유닛(500)을 구비한다.
도 2(a)와 2(b)는 각각 비상 해제장치에 적용되는 충격유닛과 결합/해제유닛의 일 예를 보여준다.
<충격유닛(200)>
충격유닛(200)은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 설치되어 구동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구동장치의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그리고 수동으로 발판(10)을 미쳐 해제하지 못한 경우 전동차의 충격에 기초하여 강제로 발판(10)을 해제하여 전동차가 발판(10)을 가격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충격유닛(200)은, 무빙 바(120)에 결합된 회전 레버(1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 기둥(260), 지지 기둥(260)의 상단에 결합된 브래킷에 결합하고 내부에 센서(250)가 매립된 몸체(220), 및 일단이 몸체(220)에 고정되고 전동차와의 충격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리는 커버(230)로 구성된다.
지지 기둥(260)은 회전 레버(122)와 결합하기 때문에 발판(10)이 해제된 경우에는 몸체(220)가 무빙 바(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접히고, 발판(10)이 펼쳐지면 무빙 바(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단부가 전방, 즉 선로 쪽을 향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커버(230)는 그 자체로 탄성을 구비하도록 일부를 절곡하여 탄성부를 형성하는데, 전동차와의 충격으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눌리거나 복원된다.
몸체(220) 내부에는 센서(250)가 매립되는데, 센서(250)는 커버(230)가 몸체(220)의 단부면을 덮으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후술하는 것처럼, 커버(230)가 몸체(220)의 단부면을 덮은 것을 센서(250)가 감지한다는 것은 커버(230)가 외부의 힘, 즉 전동차에 의한 충격으로 눌린 것을 의미하며 전동차가 충격을 가하기까지 발판(10)이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결합/해제유닛(310)>
도 2(b)를 보면, 결합/해제유닛(310)은, 내부를 스크류(340)가 관통하고 상면의 한쪽 가장자리에 수용 홈(314)이 형성된 이송블록(312), 수용 홈(314)의 측면을 개폐하는 스토퍼(stopper)(318) 및 수용 홈(314)에 끼워져 장착되고 무빙 바(120)에 결합하는 로킹 핀(locking pin)(316)으로 구성된다.
로킹 핀(316)의 상단은 무빙 바(120)의 관통구멍(121)에 끼워지고 하단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의 플러그(317)가 끼워진다.
이송블록(312)은 스크류(340)가 관통하는 나사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스크류(340)와 나사 결합을 함으로써 스크류(340)의 회전에 의해 이송블록(312)은 직선 운동을 한다.
이송블록(312)의 상면의 한 쪽 가장자리에는 바닥이 있는 수용 홈(314)이 형성되고, 스토퍼(31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용 홈(314)을 막거나 열 수 있다.
스토퍼(318)가 수용 홈(314)에 끼워지는 결합 강도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는데, 가령 스크류(340)의 회전에 의해 이송 블록(312)이 이동시 로킹 핀(316)이 스토퍼(318)를 가압하여도 열리지 않으며 전동차의 충격이 무빙 바(120)를 통하여 로킹 핀(316)에 전달되는 경우 스토퍼(318)를 확실하게 열 수 있는 정도로 결합된다.
이 실시 예와 달리, 이송블록(312)에 수용 홈(314) 대신 수용 구멍이 형성되고 스토퍼(318)에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수용 구멍을 지지판이 막아 바닥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스토퍼(318)는 수용 홈(314)의 한쪽 측면을 개폐하는데, 수용 홈(314)의 측면을 막으면 로킹 핀(316)이 수용 홈(314) 내에 끼여 고정됨으로써 이송블록(312)과 무빙 바(34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수용 홈(314)의 측면을 열면 로킹 핀(316)이 수용 홈(314) 외부로 자유롭게 나올 수 있어 이송블록(312)과 무빙 바(340)를 연결을 끊는다.
<강제 해제유닛(400)>
강제 해제유닛(400)은 무빙 바(120)와 발판(10)의 하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고리(412, 414)와 이들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는 강재 와이어(410)로 이루어진다.
무빙 바(120)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410)에 장력이 걸리거나 느슨하게 되는데, 장력이 걸릴 경우 발판(10)을 잡아당겨 강제로 접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과 3(b)은 본 발명의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의 구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도 4(a)와 4(b)는 분리유닛의 동작을 보여준다.
통상 발판은 플랫폼의 구부러진 구간에 설치되는데, 전동차가 진입을 하고 정차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장치가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것처럼, 구동 모터(350)가 회전하여 스크류(340)가 회전하면, 스크류(340)에 나사 결합된 결합/해제유닛(310)이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결합/해제유닛(310)과 결합한 무빙 바(120)가 직선 운동을 한다.
그 결과, 무빙 바(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각 회전 레버(122)가 회전하면서 지지 기둥(150)을 회전하여 회전 롤(152)이 발판(10)의 끝 부분으로 방향을 유지함으로써 발판(10)은 회전 롤(152)에 지지되어 펼친 상태를 유지하며, 충격유닛(200)도 회전하여 몸체(220)가 선로 쪽을 향하게 된다.
이후, 전동차의 도어가 닫힘과 동시에 구동 모터(350)가 반대로 회전하여 발판(10)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한 것처럼, 발판(10)이 여러 가지의 원인에 의해 해제되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본 발명의 비상 해제장치는 다음과 동작한다.
첫째, 구동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함에도 발판(10)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즉 구동장치를 작동하는 제어 계통의 오동작이 예상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전동차가 주행을 시작하는 시점에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충격유닛(200)의 커버(230)가 전동차에 의해 눌리면서 센서(250)를 덮는다.
센서(250)는 커버(230)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전동차의 출발로 간주하여 구동장치를 동작시킨다.
그 결과, 무빙 바(120)의 이동에 의해 지지 기둥(150)의 회전 롤(152)이 회전하면서 발판(10)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접히고, 이와 함께 충격유닛(200)의 지지 기둥(260)도 회전하면서 몸체(220)가 접힌다.
둘째, 구동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첫째의 경우처럼, 전동차의 속도가 느린 경우 센서(250)가 커버(230)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였음에도 발판(10)이 접히지 않으면 구동장치가 동작하지 않은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발판(10)이 접히지 않은 상태로 전동차가 가속되면, 더욱 큰 힘으로 충격유닛(200)을 가격하게 된다.
그 결과, 도 3(b)에 화살표 A로 나타낸 것처럼, 충격유닛(200)의 몸체(220)가 완전히 접히면서 지지 기둥(260)에 결합된 회전 레버(122)를 회전시키며, 그 결과 회전 레버(122)가 결합된 무빙 바(120)가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전동차가 충격유닛(200)의 몸체(220)에 가하는 충격은 그대로 무빙 바(120)에 전달되고, 그 충격에 의해, 도 4(b)에 도시한 것처럼, 무빙 바(120)에 결합된 로킹 핀(316)이 스토퍼(318)를 가격하여 스토퍼(318)가 열리면 로킹 핀(316)이 수용 홈(314)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결과적으로 무빙 바(120)와 구동장치가 분리된다.
따라서, 무빙 바(120)는 원활하게 이동하고, 이동에 의해 지지 기둥(150)의 회전 롤(152)이 회전하면서 발판(10)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접힌다. 이때, 충격유닛(200)은 발판(10)의 선단과 이격된 상태이므로, 전동차가 발판(10)에 충격을 가하기 전에 발판(10)은 접히게 된다.
한편, 무빙 바(120)가 이동하여 지지 기둥(150)의 회전 롤(152)이 회전하여도 발판(10)의 힌지 부분에 이물질이 끼거나 얼음이 얼어 원활하게 동작하지 못하면 접히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선택적으로 강제 해제유닛(400)을 적용하는데, 무빙 바(120)가 이동함에 따라 무빙 바(120)와 발판(10)의 하면을 연결한 와이어(410)에 장력이 걸리고 결과적으로 발판(10)을 강제로 잡아당겨 접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비상 해제장치에 의하면, 발판이 해제되지 않더라도 전동차가 발판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발판의 이탈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의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비상 제어를 통하여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비상 해제시 구동장치와 발판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동차가 발판에 충격을 가하기 전에 발판을 접을 수 있다.
또한, 발판 자체의 문제로 발판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강제 해제유닛을 이용하여 발판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도 5(a)와 5(b)는 각각 수동 해제유닛을 보여준다.
수동 해제유닛(500)은 무빙 바(120) 위에 고정되는데, 로킹 핀(550)을 상방으로 잡아당겨 이동하여 이송블록(312)의 수용 홈(314)으로부터 빠지도록 한다.
수동 해제유닛(500)은, 일정 거리 이격되는 브래킷(510, 530)과 브래킷(530)에 힌지 결합하는 레버(520), 일단이 레버(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 플러그(552)가 장착되어 이송블록(312)의 수용 홈(314)에 끼워지는 로킹 핀(550)으로 구성된다.
브래킷(510)은 레버(520)와 결합한 로킹 핀(550)이 위로 이탈되지 않도록 로킹 핀(550)을 위에서 막는 구조를 구비한다.
로킹 핀(550)은 레버(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도 5(a)와 같이, 가령 레버(522)에 삽입 홈(522)을 형성하고 이 삽입 홈(522)에 걸리는 걸림 핀(554)을 돌출 형성하여 로킹 핀(55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레버(52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그 중간 부분에서 힌지(521)를 개재하여 브래킷(530)에 결합하는데, 레버(520)의 끝 부분에는 고리(540)가 결합하고 이 고리(540)에 와이어(미도시)를 연결하여 관리자가 수동으로 와이어를 당기도록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충돌에 의해 결합/해제유닛(310)이 작동하기 전에 관리자가 수동으로 레버(520)의 일단에 결합한 고리(540)에 연결된 와이어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레버(520)는 힌지(5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 결과 레버(520)의 타단에 결합한 로킹 핀(550)이 위로 올라간다.
따라서, 로킹 핀(550)의 플러그(552)는 이송블록(312)의 수용 홈(314)으로부터 빠지고 무빙 바(120)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관리자가 계속하여 와이어를 당기면 로킹 핀(550)은 브래킷(510)에 걸려 그 이상 빠지지 않고, 이 상태에서 무빙 바(120)가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무빙 바(120)에 결합된 각 회전 레버(122)가 회전하면서 지지 기둥(150)을 회전시키고 지지 기둥(150)의 회전 롤(152)이 회전하면서 발판(10)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접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판 자체의 문제로 발판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전동차와의 충돌에 의해 강제 해제유닛이 동작하기 전에 수동으로 로킹 핀을 이송블록으로부터 이탈시켜 무빙 바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 무빙 바를 이송하여 발판이 강제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20: 무빙 바
122: 회전 레버
130: 지지 바
140: 지지 프레임
150: 지지 기둥
152: 회전 롤
200: 충격유닛
310: 결합/해제유닛

Claims (6)

  1. 구동장치와 동력전달장치로 이루어져 승강장에 설치된 발판을 펼치거나 접는 발판 구동 시스템에서,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 충격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구동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상기 구동장치의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전동차 충격에 기초하여 발판을 해제하고,
    상기 충격유닛은,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무빙 바에 결합된 회전 레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 기둥;
    상기 지지 기둥 중 하나의 상단에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센서; 및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전동차 충격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리는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전동차 충격으로 상기 커버가 상기 센서를 덮으면, 상기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2. 삭제
  3. 구동장치와 동력전달장치로 이루어져 승강장에 설치된 발판을 펼치거나 접는 발판 구동 시스템에서,
    상기 구동장치에 결합/해제유닛이 설치되어 전동차 충격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상기 결합/해제유닛은,
    내부를 스크류가 관통하고 상면의 한 쪽 가장자리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이송블록;
    상기 수용공간의 측면을 개폐하는 스토퍼; 및
    상기 수용공간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무빙 바에 결합하는 로킹 핀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동차 충격에 의한 상기 무빙 바의 이동으로 상기 로킹 핀에 의해 가격되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무빙 바 위에 고정되고 수동으로 잡아당기는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로킹 핀을 상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이송블록의 수용 홈으로부터 빠지도록 하는 수동 해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수동 해제유닛은,
    일정 거리 이격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 중 하나에 힌지 결합하는 레버;
    일단이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에 플러그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블록의 수용 홈에 끼워지는 로킹 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6. 구동장치와 동력전달장치로 이루어져 승강장에 설치된 발판을 펼치거나 접는 발판 구동 시스템에서,
    전동차가 진입하는 입구에 설치되는 충격유닛, 상기 구동장치에 설치되는 결합/해제유닛, 및 일단이 상기 발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무빙 바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된 강제 해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충격유닛은 상기 구동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상기 구동장치의 제어 계통에 문제가 생긴 경우 전동차 충격에 기초하여 발판을 해제하고,
    상기 결합/해제유닛은 상기 전동차 충격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동력전달장치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상기 무빙 바의 이동으로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 상기 발판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KR1020190045394A 2019-04-18 2019-04-18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KR10216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94A KR102167171B1 (ko) 2019-04-18 2019-04-18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394A KR102167171B1 (ko) 2019-04-18 2019-04-18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171B1 true KR102167171B1 (ko) 2020-10-16

Family

ID=7303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394A KR102167171B1 (ko) 2019-04-18 2019-04-18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526B1 (ko) * 2021-07-28 2022-06-30 주식회사 헤로스테크 모듈식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326B1 (ko) * 1998-09-25 2001-01-15 박진양 전철승강장용 보조 발판시스템
KR101318262B1 (ko) * 2013-04-12 2013-10-16 김원경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KR101608483B1 (ko) * 2015-06-03 2016-04-12 (주)진합 플랫폼 스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326B1 (ko) * 1998-09-25 2001-01-15 박진양 전철승강장용 보조 발판시스템
KR101318262B1 (ko) * 2013-04-12 2013-10-16 김원경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KR101608483B1 (ko) * 2015-06-03 2016-04-12 (주)진합 플랫폼 스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526B1 (ko) * 2021-07-28 2022-06-30 주식회사 헤로스테크 모듈식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82029B (zh) 用于疏散装置的梯
CN101472830B (zh) 具有浅井坑和/或低顶盖的电梯
CN1028743C (zh) 一种带锁定机构的电梯门驱动装置
CN1982195B (zh) 具有可折叠的自锁式轿厢裙板的电梯安全系统
US8689945B2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KR20070045925A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케이블웨이
KR102167171B1 (ko) 승강장 발판의 비상 해제장치
WO2005058666A1 (en) Escape device for a rail vehicle
CN102470880A (zh) 疏散坡道
KR102000692B1 (ko) 비상시 안전발판의 강제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장의 전동차 안전발판장치
KR101940649B1 (ko) 구조가 간단한 승강장 안전발판장치
KR100954275B1 (ko) 차량의 안전발판 장치
KR101242485B1 (ko) 승강장 안전발판 구동 시스템
GB2455333A (en) Passenger rail vehicle with end detrainment stairs
JP2003327370A (ja) エレベータかご用の安全制動装置を係合するための機器
JP5995985B2 (ja) 機械式乗用リフト
CN2648036Y (zh) 折叠式紧急疏散梯
CN109094731B (zh) 一种船舶防海盗舱室出入门防护装置
CN206957397U (zh) 列车的车门及其紧急解锁装置
JPH03183887A (ja) 搬出入用ドア
US20140158470A1 (en) Device for preventing travel of an elevator with its doors open
JP2000211859A (ja) エレベ―タドア装置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KR100358279B1 (ko) 플랫폼용 가동펜스
AU704448B2 (en) Switch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