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106B1 -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 Google Patents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106B1
KR102167106B1 KR1020200043992A KR20200043992A KR102167106B1 KR 102167106 B1 KR102167106 B1 KR 102167106B1 KR 1020200043992 A KR1020200043992 A KR 1020200043992A KR 20200043992 A KR20200043992 A KR 20200043992A KR 102167106 B1 KR102167106 B1 KR 102167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metal oxide
polymer composite
we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106B1/ko
Priority to PCT/KR2021/004417 priority patent/WO2021206472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rare earth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58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ungsten

Abstract

본 발명은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파장대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섬유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현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Polymer composite emitting near infrared ray, fiber with the same, non-woven fabric with the same and eyeglass fram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파장대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섬유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현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며, 0.75㎛에서 1mm 범위에 속하는 전자기파를 말하며, 파장의 영역에 따라 분류하면 0.75 ~ 3㎛ 파장의 적외선을 근적외선, 3 ~ 25㎛ 파장의 것을 단순히 적외선이라 하며, 25㎛ 이상의 것을 원적외선이라 한다.
이 중에서 파장이 가장 짧은 근적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강한 열작용을 가지고 있고, 공기를 데우지 않고 물체에만 열을 전달하는 특성과 생체 조직에 대해 높고 깊은 침투성을 지니고 있어 인체와 관련된 의료 분야를 비롯하여 소독이나 살균(멸균)을 위한 공업용 등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근적외선의 처리는 파장에 따라 그 효능이 상이하며, 관절과 근육의 치료, 면역증강, 통증완화 및 혈행개선 등의 효능을 발현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의 경우 특정파장대의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섬유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동시에 발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특정파장대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섬유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모두 동시에 발현할 수 있는 고분자 복합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0-1995-0006362 A (1995.03.2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정파장대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섬유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발현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Nd2O3, Er2O3, Sm2O3 및 Pr2O3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을 구비하는 금속산화물; 및 상기 금속산화물이 분산되어 구비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을 1 ~ 1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은 Nd2O3 및 Er2O3를 총 67 ~ 8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은 Sm2O3 및 Pr2O3를 총 12 ~ 3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은 TiO2 및 WO3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열 금속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은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을 0.5 ~ 4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은 TiO2 및 WO3를 1 : 0.5 ~ 1.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은 평균입경이 0.5 ~ 4㎛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액정고분자,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근적외선 방출 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는 특정파장대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섬유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는, Nd2O3, Er2O3, Sm2O3 및 Pr2O3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을 구비하는 금속산화물; 및 상기 금속산화물이 분산되어 구비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먼저, 상기 금속산화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Nd2O3, Er2O3, Sm2O3 및 Pr2O3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Nd2O3, Er2O3, Sm2O3 및 Pr2O3는 600 ~ 900㎚ 파장대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은 Nd2O3 및 Er2O3를 총 67 ~ 88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70 ~ 8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Nd2O3및 Er2O3를 총 67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목적하는 수준으로 600 ~ 900㎚ 파장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없고, Nd2O3및 Er2O3를 총 88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방출하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파장 영역이 과도하게 좁아지고, 방출되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강도 또한 감소한다.
또한, 상기 Sm2O3 및 Pr2O3는 방출되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파장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은 Sm2O3 및 Pr2O3를 총 12 ~ 33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15 ~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Sm2O3 및 Pr2O3를 총 12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방출하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파장 영역이 과도하게 좁아지고, 방출되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강도 또한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Sm2O3및 Pr2O3를 총 33 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면 목적하는 수준으로 600 ~ 900㎚ 파장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없으며, 600 ~ 900㎚ 파장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강도가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산화물은 TiO2 및 WO3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열 금속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은 상기와 같이 TiO2 및 WO3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TiO2 및 WO3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iO2 및 WO3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에서 근적외선 방출 등 소정의 이유로 발생하는 열을 함축 및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은,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 4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부로 상기 금속산화물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방열 특성을 나타낼 수 없고, 4 중량부를 초과하면 600 ~ 900㎚ 파장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방출의 강도의 저감을 유발하거나, 방출하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의 파장 영역이 과도하게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은 상기 TiO2 및 WO3를 1 : 0.5 ~ 1.5의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7 ~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에 포함되는 상기 TiO2 및 WO3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목적하는 수준의 방열 특성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금속산화물은 평균입경이 0.5 ~ 4㎛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1 ~ 3㎛일 수 있다. 만일 상기 금속산화물의 평균입경이 0.5㎛ 미만이면 표면에 묻어나오는 금속산화물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목적하는 수준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방출 및 방열 특성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고,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평균입경이 4㎛를 초과하면 표면에 돌출되는 금속산화물이 있을 수 있음에 따라 표면특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섬유의 단사 발생이 증가하거나 고분자 성형체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고분자 수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상술한 금속산화물이 분산되어 구비되도록 상기 금속산화물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상기 금속산화물을 담지하면서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방출을 저해하지 않는 수지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액정고분자,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프로필렌(PP)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폴리아미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1, 나일론610, 나일론12, 나일론46, 나일론9T(PA-9T), 키아나 및 아라미드 등 공지된 폴리아미드계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카보네이트 등 공지된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이소뷰틸렌, 에틸렌비닐알코올 등 공지된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액정고분자는 용액 혹은 용해된 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고분자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지된 종류일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는,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금속산화물을 1 ~ 15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2 ~ 14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금속산화물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으로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없고 방열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금속산화물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섬유 형성 및/또는 안경테 등 성형체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를 제공한다.
상술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통해 근적외선 방출 섬유를 형성하는 경우,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방사시켜서 근적외선 방출 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방사시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근적외선 방출 섬유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통해 안경테를 형성하는 경우, 사출을 통해 안경테 전체를 상술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통해 형성하거나, 안경테의 일부 부품(코받침, 상부림, 하부림, 브릿지, 템플 및 다리팁 등)만을 상술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는 특정파장대의 근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섬유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고분자 수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을 10 중량부로 혼합하여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금속산화물은 Nd2O3와 Er2O3를 1 : 1의 중량비로 총 77.5 중량% 및 Sm2O3 및 Pr2O3를 1 : 1의 중량비로 총 22.5 중량%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과,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TiO2 및 WO3를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방열 금속산화물을 2.04 중량부로 포함하였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의 총 평균입경은 2㎛였다.
<실시예 2 ~ 13 및 비교예 1 ~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금속산화물의 조성, 총 함량 및 평균입경 등을 변경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3과와 같은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방출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에 대하여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방출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에 각각 514㎚ 파장, 633㎚ 파장 및 785㎚ 파장의 빛을 여기시킨 후, 방출되는 500 ~ 1000㎚ 파장의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을 구간별로 측정하였다. 이때 각 구간(제1구간 500㎚ ~ 600㎚ 미만, 제2구간 600㎚ ~ 700㎚ 미만, 제3구간 700㎚ ~ 800㎚ 미만, 제4구간 800㎚ ~ 900㎚ 미만 및 제5구간 900㎚ ~ 1,000㎚)에서의 근적외선 강도를 실시예 1을 100으로 기준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단사발생 방지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용융방사(melt spinning) 방법으로 방사하여 섬유평균직경이 250㎛인 근적외선 방출 섬유를 형성하였으며, 방사하는 과정에서 단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 ○, 단사가 발생하는 경우 - ×로 하여, 단사발생 방지를 평가하여 하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내구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에 대하여 만능시험장비(Universal test machine, ZWICK-Z50, GERMANY)를 통해 5mm/분의 속도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1의 인장강도를 100으로 기준하여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인장강도의 상대적인 비율을 측정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금속
산화물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 Nd2O3와 Er2O3 총함량(중량%) 77.5 64 70 85 91
Sm2O3와 Pr2O3 총함량(중량%) 22.5 36 30 15 9
함량(중량부) 10 10 10 10 10
평균입경(㎛) 2 2 2 2 2
제1구간 500㎚~600㎚ 미만 100 117 109 94 62
제2구간 600㎚~700㎚ 미만 100 42 96 101 108
제3구간 700㎚~800㎚ 미만 100 22 91 105 120
제4구간 800㎚~900㎚ 미만 100 13 84 107 124
제5구간 900㎚~1000㎚ 100 61 98 102 109
단사발생 방지 평가
내구성 평가 100 99 99 100 100
구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금속
산화물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 Nd2O3와 Er2O3 총함량(중량%) 77.5 77.5 77.5 77.5 77.5
Sm2O3와 Pr2O3 총함량(중량%) 22.5 22.5 22.5 22.5 22.5
함량(중량부) 0.5 2 14 17 10
평균입경(㎛) 2 2 2 2 0.1
제1구간 500㎚~600㎚ 미만 61 91 102 103 78
제2구간 600㎚~700㎚ 미만 53 90 102 105 75
제3구간 700㎚~800㎚ 미만 50 92 105 106 76
제4구간 800㎚~900㎚ 미만 48 93 108 108 77
제5구간 900㎚~1000㎚ 54 92 104 104 76
단사발생 방지 평가 ×
내구성 평가 106 102 96 74 104
구분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1
비교예
2
금속
산화물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 Nd2O3와 Er2O3 총함량(중량%) 77.5 77.5 77.5 - 100
Sm2O3와 Pr2O3 총함량(중량%) 22.5 22.5 22.5 100 -
함량(중량부) 10 10 10 10 10
평균입경(㎛) 1 3 5 2 2
제1구간 500㎚~600㎚ 미만 98 95 90 137 33
제2구간 600㎚~700㎚ 미만 97 91 85 12 114
제3구간 700㎚~800㎚ 미만 96 92 91 6 122
제4구간 800㎚~900㎚ 미만 95 96 80 3 126
제5구간 900㎚~1000㎚ 93 94 89 14 116
단사발생 방지 평가 ×
내구성 평가 103 94 51 101 97
상기 표 1 내지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산화물의 조성, 총 함량 및 평균입경 등을 모두 만족하는 실시예 1, 3, 4, 7, 8, 11 및 12가, 이 중에서 하나라도 누락된 실시예 2, 5, 6, 9, 10, 13 및 비교예 1 ~ 2에 비하여 방출되는 근적외선의 파장 영역대가 넓으면서도 600 ~ 900㎚ 파장의 근적외선을 고강도로 방출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섬유 형성 시 단사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모두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Nd2O3, Er2O3, Sm2O3 및 Pr2O3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을 구비하는 평균입경이 0.5 ~ 4㎛인 금속산화물; 및
    상기 금속산화물이 분산되어 구비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금속산화물을 1 ~ 15 중량부로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은 Nd2O3 및 Er2O3를 총 67 ~ 88 중량%로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은 Sm2O3 및 Pr2O3를 총 12 ~ 33 중량%로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TiO2 및 WO3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열 금속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상기 근적외선 방출 금속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을 0.5 ~ 4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금속산화물은 TiO2 및 WO3를 1 : 0.5 ~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 액정고분자,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10.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11. 제10항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12.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KR1020200043992A 2020-04-10 2020-04-10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KR10216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992A KR102167106B1 (ko) 2020-04-10 2020-04-10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PCT/KR2021/004417 WO2021206472A1 (ko) 2020-04-10 2021-04-08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992A KR102167106B1 (ko) 2020-04-10 2020-04-10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106B1 true KR102167106B1 (ko) 2020-10-16

Family

ID=730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992A KR102167106B1 (ko) 2020-04-10 2020-04-10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7106B1 (ko)
WO (1) WO20212064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472A1 (ko) * 2020-04-10 2021-10-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62A (ko) 1993-08-13 1995-03-20 서순기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JP2012097183A (ja) * 2010-11-02 2012-05-24 Hiraoka & Co Ltd 遮熱性採光シート
WO2016088851A1 (ja) * 2014-12-05 2016-06-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遮熱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遮熱体
JP2018015898A (ja) * 2014-12-05 2018-02-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遮熱フィルム
JP2018054641A (ja) * 2015-02-20 2018-04-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遮熱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8646A (ja) * 2007-03-28 2008-10-09 Toray Ind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反射防止フィルム
JP2013151675A (ja) * 2011-12-27 2013-08-08 Fujifilm Corp 赤外線吸収性組成物、これを用いた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013252B2 (ja) * 2013-03-28 2016-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線遮蔽材、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KR102498313B1 (ko) * 2017-07-24 2023-02-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절연성 방열복합재
KR102167106B1 (ko) * 2020-04-10 2020-10-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62A (ko) 1993-08-13 1995-03-20 서순기 적외선 방출 온돌장치
JP2012097183A (ja) * 2010-11-02 2012-05-24 Hiraoka & Co Ltd 遮熱性採光シート
WO2016088851A1 (ja) * 2014-12-05 2016-06-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遮熱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遮熱体
JP2018015898A (ja) * 2014-12-05 2018-02-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遮熱フィルム
JP2018054641A (ja) * 2015-02-20 2018-04-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遮熱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472A1 (ko) * 2020-04-10 2021-10-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472A1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9709B (zh) 耐电弧性丙烯酸系纤维、电弧防护服用布帛及电弧防护服
CN108699737B (zh) 电弧防护服用布帛及电弧防护服
EP2221335A1 (en) Nonflammable transparent fiber-reinforced resin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102167106B1 (ko) 근적외선 방출 고분자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근적외선 방출 섬유, 근적외선 방출 부직포 및 근적외선 방출 안경테
JP5299243B2 (ja) 紫外線遮蔽性および抗菌性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繊維
JP5865647B2 (ja) 防汚制菌性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46306A (ja) 人工毛髪用繊維
KR101207457B1 (ko) 감염 방지성이 우수한 병원 의복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50407B1 (ko) 의료용 방사선 차폐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흡혈패드
JP2015101815A (ja) 機能性繊維およびこの繊維により構成される保温性布帛
JP4704197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
KR20120132055A (ko) 차광성 및 표면경화성이 우수한 난연성 심초형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6173053B2 (ja) 高視認性を有する難燃布帛
JP2013044055A (ja) 芯鞘型ポリエステル扁平断面繊維、および防透性を有する布帛
KR20160070262A (ko) 열차단 섬유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원단
JP5065576B2 (ja) 人工毛髪用繊維
JP2013204199A (ja) 抗菌性を有する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系繊維および繊維集合体
KR101867214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JP5054393B2 (ja) 撥水性下衣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131312A1 (ja) 複合繊維およびマルチフィラメント
CN208266357U (zh) 一种耐高温水洗涤纶针织布
JP6998818B2 (ja) オレフィン系複合繊維およびオレフィン系複合繊維の製造方法
KR102547331B1 (ko) 항균동망 필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06983B1 (ko) 감염 방지성을 갖는 환자복
KR101949264B1 (ko) 셀룰로오스계 사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