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214B1 -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214B1
KR101867214B1 KR1020170016201A KR20170016201A KR101867214B1 KR 101867214 B1 KR101867214 B1 KR 101867214B1 KR 1020170016201 A KR1020170016201 A KR 1020170016201A KR 20170016201 A KR20170016201 A KR 20170016201A KR 101867214 B1 KR101867214 B1 KR 101867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flam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창
김대희
윤영일
김명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에 난연성을 부여하여 자동차 내장재, 플렉시블 호스 닥터 등의 산업용에 적용하므로써 화재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하기 구조식 (1)의 화합물을 난연제로 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H2PO-O]n Mn --- 구조식 (1)
여기서 n은 정수이고, M은 금속이온이고, P의 함량은 30중량% 내지 50중량%임.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으면서, 고온에서 용융 방사하므로서 탄화에 의한 압력의 상승과 이에 따른 방사성의 저해, 그리고 질소가스의 발생에 따른 냄새 문제 및 산업용으로 적용을 위한 재봉질 또는 접착제 이용 접착 등과 같은 이차 가공에 의한 난연성의 저하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having an excellent flame resistance}
본 발명은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에 난연성을 부여하여 자동차 내장재, 플렉시블 호스 닥터 등의 산업용에 적용하므로써 화재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각종 플라스틱 소재 및 섬유에는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할로겐계 난연제나, 질소함유 화합물을 적용하여 난연성을 부여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각종의 난연제는 코팅방법과 마스터 배치화한 후 섬유 내에 혼합 방사하는 방법의 개선 및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에 많은 비용과 시간 및 노력을 들여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되어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3385호에서는, "난연제로서 N,N"-1,2-에탄디일비스-1,3-프로판디아민과 시클로헥산의 반응물과 과산화 N-부틸-2,2,6,6-테트라메틸-4-피리딘아민-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반응물을 0.1 ∼ 2.0중량%가 되도록 하되, 난연제 5 ∼ 20중량%와 용융지수(MFR)가 20 ∼ 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80 ∼ 95중량%을 혼련기로 용융하여 제조한 마스터 배치 칩(master batch chip)을 사용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3702호에서, "브롬 컴파운드(Brome compound) 12.0 내지 15.0 중량%를 포함하고, 인산염 컴파운드(Phosphate compound) 15.0 내지 17.0 중량%를 포함하며, 나머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0766호에서,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질소 함량이 10 내지 30 중량%인 질소계 화합물 70 내지 95 중량%와, 유기화제를 사용하여 유기화함에 따라 극성이 감소된 층상 실리케이트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나노 화합물로 이루어진 비할로겐 질소계 난연제 1 내지 40 중량%와; 일반 폴리프로필렌 40 내지 99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직포용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할로겐계 난연제를 이용하거나, 할로겐의 인체 유해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계 화합물을 혼용, 또는 비할로겐계인 질소화합물을 사용하여 연소시 질소가스의 증가로 산소농도를 낮추어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각종 소재의 난연화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에서 제시된 각종 난연성 부직포는 난연기준의 강화와 안전의식의 고취에 따라 화재시 쉽게 확산되는 문제점은 개선되었으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므로써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새롭게 대두되었고,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의 질소화합물을 이용한 난연 방법이 새롭게 제안되었으나, 100 내지 120℃의 낮은 융점을 갖는 질소화합물을 마스터배치화하는 과정, 또 마스터배치를 폴리프로필렌과 혼련 방사하는 과정에서 높은 온도를 반복적으로 가함에 따라 탄화되기 쉽고, 탄화에 의한 점도의 상승으로 압력이 높게 되고, 방사성이 나빠지며, 이 과정에서 질소화합물 가스의 발생에 따른 작업환경 문제 등의 단점이 여전히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해 많은 양의 난연제를 사용하여도 그 기능은 저하되게 되고, 특히 2차 가공 후에는 특히 타소재와의 접착 또는 재봉질 이후 도포되는 재봉틀 오일류나, 접착제 성분의 혼입으로 더욱더 나빠지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인체 무해성을 겸비한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메탈포스파이트류의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여 마스터배치화하고, 혼련 방사하므로 방사 공정에서 압력 상승을 제어하고 현장 내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며 난연제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각종 산업용품에 부직포를 적용하므로써 2차 최종제품으로의 가공 후에도 난연성이 저하되지 않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3385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3702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076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자동차내장재, 플랙시블 호스 등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난연성 부직포로써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질소화합물의 사용을 배제하여 질소화합물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인 마스터배치 제조의 난점과 이 마스터배치를 혼련 방사하는 반복되는 고온에서의 영향으로 탄화되지 않으며 이때 발생하는 탄화물에 의한 압력의 상승으로 방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분해시 발생하는 질소가스에 의한 냄새 발생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난연제의 분해를 방지하여 난연성이 저하하지 않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를 일정한 압력과 온도를 조정하여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고 난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특정한 인계 난연제를 마스터배치화하여 폴리프로필렌과 혼련 방사하여 난연성을 갖는 상태로 제작하고, 이 과정에서 최적의 조건을 설정하여 생산함으로써 종래에 사용 중인 난연성 부직포가 갖는 난연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방사시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고 방사성을 저해하지 않으며, 냄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종 산업용으로 2차 가공 후에도 난연성이 저하되지 않음을 밝혀내어 달성되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하기 구조식 (1)의 화합물을 난연제로 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H2PO-O]n Mn --- 구조식 (1)
여기서 n은 정수이고,
M은 금속이온이고,
P의 함량은 30중량% 내지 50중량%임.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금속이온인 M은 알루미늄 또는 칼슘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스펀본드(S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 스펀본드(SMS) 계열 다층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하며,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상기 멜트블로운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측면에서 불어주는 핫 에어(HOT AIR)에 의해 연신되고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먼저 방사된 스펀본드 층위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상기 스펀본드 층과 멜트블로운 층이 적층된 다층 부직포는 전체 중량이 10 내지 150gsm(g/㎡)으로 되게 하고, 웹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렌더를 통과하여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난연성 부여를 위하여 난연제를 마스터배치화하여 폴리프로필렌과 혼련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는 하기 구조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H2PO-O]n Mn --- 구조식 (1)
여기서 n은 정수이고,
M은 금속이온이고,
P의 함량은 30중량% 내지 50중량%임.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금속이온인 M은 알루미늄 또는 칼슘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중량 기준으로 전체 부직포 중량 대비 0.1 내지 5.0%가 함유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난연제는 폴리프로필렌에 40 내지 60중량%로 혼련된 마스터배치를 전체 중량대비 0.2 내지 10% 혼련 방사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다층 부직포는 두께가 0.1 내지 1mm로 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특정한 구조의 다층 부직포로 구성하고 특정한 구성의 난연제를 마스터배치화하여 사용하므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으면서, 고온에서 용융 방사하므로서 탄화에 의한 압력의 상승과 이에 따른 방사성의 저해, 그리고 질소가스의 발생에 따른 냄새 문제 및 산업용으로 적용을 위한 재봉질 또는 접착제 이용 접착 등과 같은 이차 가공에 의한 난연성의 저하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의 1, 2차 가공 후 난연성의 평가 사진이고,
도 2는 비교대상 발명인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의 1, 2차 가공 후 난연성의 평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하기 구조식 (1)의 화합물을 난연제로 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포함한다.
[H2PO-O]n Mn --- 구조식 (1)
여기서 n은 정수이고,
M은 금속이온으로, 바람직하기로는 알루미늄 또는 칼슘이고,
P의 함량은 30중량% 내지 50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스펀본드(SS)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계열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하며,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상기 멜트블로운 층은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사용하여 용융방사하며,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측면에서 불어주는 핫 에어(HOT AIR)에 의해 연신되고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먼저 방사된 스펀본드 층위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을 형성하여 제조되며; 여기서, 상기 스펀본드 층과 멜트블로운 층이 적층된 다층 부직포는 전체 중량이 10 내지 150gsm(g/㎡)으로 되게 하고, 웹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렌더를 통과하여 형태를 안정시키는 단계와; 난연성 부여를 위하여 인계 난연제를 마스터배치화하여 폴리프로필렌과 혼련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다층 부직포는 멜트블로운 층의 유무와 스판본드층의 구성 수, 순서에 따라 SS, SMS 계열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난연제로는 특히 상기 구조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며, 여기서 n은 정수, M은 금속이온, P의 함량은 30중량% 내지 50중량%이며, 또 상기의 금속은 바람직하기로는 알루미늄, 칼슘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는 형태 안정화된 부직포에 최적의 난연성과 고온 방사 단계에서 질소화합물을 사용시 발생하는 탄화를 방지하고 탄화물의 생성에 따른 냄새의 발생과 압력 상승에 따른 방사성의 저하 방지를 가장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난연제는 그 분해가 억제되어 종래의 난연제의 분해로 인한 2차 가공 후에 발생하는 난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제로는 상기한 구조식 (1)의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데, 적절한 난연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그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난연제를 중량 기준으로 전체 부직포 중량 대비 0.1 내지 5.0%가 함유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밝혀냈다. 이때, 난연제가 부직포 중량 기준 0.1%를 미달하게 되면 난연성이 미흡하고, 반대로 5.0%를 초과하면 방사 단계에서 현격히 압력이 상승하여 방사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가하여 비경제적이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난연제의 투입방법은 난연제를 폴리프로필렌과 혼련기로 용융하여 마스터 배치 칩(master batch chip)으로 제조하되 난연제의 함유량이 40 내지 60중량%가 되게 하여 제조한 마스터 배치 칩을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또는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멜트블로운/스판본드 다층구조부직포 중 전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난연제의 첨가량이 0.1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용융지수(MFR)가 20~8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칩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압출기에서 용융, 혼합, 균질화시켜 구금을 통하여 용융 방사하므로 비할로겐계 질소화합물의 사용에 따른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여 방사성이 양호하게 하고, 또한 2차 가공에도 난연성이 저하하지 않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주원료 폴리프로필렌의 특성은 용융지수(MI)가 35g/10분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소광제로 이산화티탄(TiO2) 85중량%가 함유된 마스터 배치 칩(master batch chip) 0.5중량%를 투입하였다. 난연제로 하이포아인산알루미늄을 용융지수가 35g/10분인 폴리프로필렌에 50중량% 균일하게 혼련되어 있는 마스터 배치 칩(master batch chip)을 3중량% 투입하였다.
일정하게 공급되는 원료와 각각의 마스터 배치 칩(master batch chip)을 익스투루더 (Extruder)에서 용융, 혼련시켜, 방사 구금을 통해 필라멘트를 형성시킨 후, 냉각공기로 냉각 및 벨트 하부 흡입 에어로 연신시켜 섬도 2.5데니어인 필라멘트를 연속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웹으로 형성시켜 엠보싱 롤(Emboss roll)과 플레이트 롤(Plate roll)로 구성된 한 쌍의 카렌더에서 일정 압력으로 압착시켜 형태안정성을 부여하였다. 단위면적당 중량이 120g인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조건과 압력, 냄새 발생 여부 및 부직포 원단과 2차 가공 후의 난연성을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스판본드의 원료사용과 방사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용융지수(MI)가 10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단사 섬도가 0.4데니어인 멜트블로운 제3의 층을 갖게 하는 스판본드/멜트블로운/스판본드타입(이하 SMS라 한다)의 웹을 형성하고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120g인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SMS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난연제로 N,N"-1,2-에탄디일비스-1,3-프로판디아민과 시클로헥산의 반응물과 과산화 N-부틸-2,2,6,6-테트라메틸-4-피리딘아민-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반응물을 사용하는 외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압력, 냄새 발생 여부 및 부직포 원단과 2차 가공 후의 난연성을 표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 외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압력, 냄새 발생 여부 및 부직포 원단과 2차 가공 후의 난연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각각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 단위면적당 무게(중량:gsm(g/㎡)): ASTM D 3776-1985의 방법에 준해 측정하였다.
(2) 연소성(㎜/min): 자동차용 MS300-08 방법을 이용하여 연소거리, 연소시간을 측정하고 연소속도를 측정한후 80㎜/min 이하 또는 계측점으로부터 50㎜ 이상 연소하지 않으며 60초 내에 꺼져야 하는 기준에 따라 합부를 판정하였다.
(3) 2차 가공 후 연소성 : 상기 연소성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먼저 도 1과 같이 채취된 시료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1센티미터 간격으로 재봉틀로 재봉질을 한 후 재봉실을 제거하고 연소성을 평가하였다.
항 목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소 재 - SS SMS SS SS
총중량 gsm 120 120 120 120
난연제 종류 - 1 1 2 -
방사노즐압력 BAR 75 75 90 72
방사 사절 -
원단 연소속도 ㎜/min 0 0 0 254
연소성 -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가공후 연소속도 ㎜/min 0 0 125 260
연소성 - 합격 합격 불합격 불합격
난연제 종류 1 : 본 발명에 따른 난연제
난연제 종류 2 : 종래의 질소화합물
◎: 양호, △: 보통, X: 불량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를 포함한 상태로 혼련 및 용융하여 방사하되, 필라멘트를 형성시킨 후 공기로 냉각 및 연신시켜 필라멘트를 연속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웹으로 형성시켜 열압착해줌으로써 단층 또는 다층으로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로서는 메탈포스파이트류의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고,
    상기 인계 난연제를 폴리프로필렌과 혼련기로 용융하여 마스터배치 칩(master batch chip)으로 제조하되, 이때 상기 마스터배치칩은 전체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의 함유량이 40 내지 60중량%로 고농축된 마스터배치이어야하고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MFR)는 20~80g/10분이어야하며,
    상기 인계 난연제는 [H2PO-O]n Mn을 구조식으로 하고, 여기서 n은 정수, M은 금속이온, P의 함량은 30 내지 50중량%인 난연제로서, 전체 부직포 중량 대비 0.2 내지 10.0% 가 함유되어야하며,
    상기 마스터배치칩을 익스투루더에서 용융, 혼련시켜 방사 구금을 통해 필라멘트를 필라멘트를 형성시킨 후, 냉각공기로 냉각 및 벨트 하부 흡입에어로 연신시켜 필라멘트를 연속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웹으로 형성시켜 엠보싱롤과 플레이트 롤로 구성된 한쌍의 카렌더에서 열압착하여 형태한정성을 부여하되, 단위면적 당 중량은 10 내지 150 gsm(g/m2)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인 M은 알루미늄 또는 칼슘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폴리프로필렌에 40 내지 60중량%로 혼련된 마스터배치를 전체 중량대비 0.1 내지 5.0% 혼련 방사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7. 제3항, 제4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부직포는 두께가 0.1 내지 1mm로 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170016201A 2017-02-06 2017-02-06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867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01A KR101867214B1 (ko) 2017-02-06 2017-02-06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01A KR101867214B1 (ko) 2017-02-06 2017-02-06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214B1 true KR101867214B1 (ko) 2018-07-19

Family

ID=6305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201A KR101867214B1 (ko) 2017-02-06 2017-02-06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3071A (zh) * 2023-04-26 2023-05-26 山东华业无纺布有限公司 适用于高速分切的无纺布材料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147B1 (ko) * 1990-06-30 1992-04-20 제일합섬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50050766A (ko)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 나노코 부직포용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23385B1 (ko) 2005-04-22 2006-09-1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KR20080112797A (ko) * 2007-06-22 2008-12-2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다층 복합 부직포
WO2015103006A1 (en) * 2013-12-30 2015-07-09 Albemarl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KR20150129899A (ko) * 2014-05-12 2015-11-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농작물 보온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3702A (ko) 2014-10-14 2016-04-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147B1 (ko) * 1990-06-30 1992-04-20 제일합섬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50050766A (ko)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 나노코 부직포용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23385B1 (ko) 2005-04-22 2006-09-1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KR20080112797A (ko) * 2007-06-22 2008-12-2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다층 복합 부직포
WO2015103006A1 (en) * 2013-12-30 2015-07-09 Albemarl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KR20150129899A (ko) * 2014-05-12 2015-11-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농작물 보온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3702A (ko) 2014-10-14 2016-04-2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ao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Aluminum Hypophosphite on Intumescent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System, Chinese Journal of Polymer Science, Vol. 33, No. 2, (2015), p318-32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3071A (zh) * 2023-04-26 2023-05-26 山东华业无纺布有限公司 适用于高速分切的无纺布材料制备方法
CN116163071B (zh) * 2023-04-26 2023-08-29 山东华业无纺布有限公司 适用于高速分切的无纺布材料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6746B1 (ko) 내구성 부직포
US7547650B2 (en) Flame retardant multicomponent articles
JP5486243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捲縮長繊維不織布及び不織布積層体
KR20130098371A (ko) 난연성 섬유, 얀 및 그로부터 제조된 직물
KR20030045070A (ko) 다층 부직포 및 그의 용도
JPH06313217A (ja) 多成分繊維および多成分繊維の不織構造体
US10443153B2 (en) Flame-resistant molded cellulose bodies produced according to a direct dissolving method
CN105077764A (zh) 一种可降解、阻燃、抗菌型手术衣及其制造方法
KR101867214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475151B1 (ko)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20080075983A1 (en) Flame-retardant fila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protective sleeves constructed therefrom
JP6745555B1 (ja) 無機物質粉末配合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20080112797A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다층 복합 부직포
KR101587451B1 (ko) 시스-코어형 비할로겐 난연성 복합사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직물
KR101390333B1 (ko) 자외선 차단 및 내광 안정화 특성이 부여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489594B1 (ko) 볼륨감이 우수한 친수 장섬유 부직포
US20130137331A1 (en) Nonwoven Fabrics Made From Polymer Blend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109986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유동 제어하여 방사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623385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KR880000376B1 (ko) 난연성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3895207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組成物と繊維積層体
KR20150001364A (ko) 성형성이 우수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81044B1 (ko)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855843B1 (ko) 좌석 커버용 패딩재 및 복합시트 형태의 좌석 커버
KR20210024740A (ko) 내열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복합 섬유웹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