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044B1 -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044B1
KR100481044B1 KR10-2002-0053938A KR20020053938A KR100481044B1 KR 100481044 B1 KR100481044 B1 KR 100481044B1 KR 20020053938 A KR20020053938 A KR 20020053938A KR 100481044 B1 KR100481044 B1 KR 10048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lame retardant
flame
nano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101A (ko
Inventor
안병길
정상진
임형미
남중희
권태경
조석기
강지연
Original Assignee
요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업기술원 filed Critical 요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2-005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0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연성 섬유는 10∼100㎚인 나노 무기분말 0.5∼10 중량%와 열가소성 수지 90.0 ∼ 99.5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기존의 첨가형 난연제가 가지고 있는 다이옥신 함유 물질 방출 문제점과 물성 저하의 문제점이 없이 향상된 난연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Flame retarding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it}
본 발명은 난연성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노 무기분말을 함유시켜 물성의 저하 없이 난연성을 향상시킨 난연성 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화 방법에는 고분자 수지 자체의 개질에 의한 내열성 향상으로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 무기질 등의 충전재를 고분자에 첨가시키는 방법, 가소성을 저하시키는 난연성 재료와 고분자 소재를 복합화 하여 고분자 소재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유효한 난연제를 첨가해서 열가소성 수지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난연화 방법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중에서도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섬유용 난연제는 구성 성분에 따라 유기계와 무기계로 분류되는데, 유기계는 주로 인계, 브롬계, 염소계로 분류되며, 무기계는 수산화알루미늄, 안티몬계, 수산화마그네슘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고분자 수지에 대한 난연제의 사용방법에 따라 첨가형과 반응형으로 분류되는데, 첨가형은 고분자 물질에 난연제를 물리적으로 첨가해서 고분자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의미하며, 반응형은 고분자 물질을 합성할 때부터 제조공정 일부에 난연제를 첨가해서 소재 자체에 대한 화학반응을 유발시킴으로써 고분자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무기계(첨가형) 난연제는 가격이 저렴하고, 할로겐화 유기화합물과의 상승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충전재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 섬유의 난연제 시장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난연 방법이다. 유기계(첨가형) 난연제는 고분자와의 혼합이 쉽고 난연 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난연제와 고분자 물질이 코폴리머(Co-polymer)로서 작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비싸고 제조하는 데 시간이 많이 드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난연성을 부여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고분자 소재로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Nylon) 등이 있다. 이들 고분자 물질들의 난연성 부여에는 주로 공중합 방법이나 난연물질의 혼합방법이 이용되며, 그 제조 비용이 자체 난연 고분자 물질에 비해 매우 낮으며,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님으로써 고분자 난연 섬유의 제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난연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대개 공통적으로 난연성을 갖는 원소들을 함유하는 물질로 구성되며, 난연제의 기능을 가지는 원소들은 주기율표상의 Ⅲ족의 붕소, Ⅴ족의 인, 안티몬 및 Ⅶ족의 할로겐 원소들이다. 이 중 고분자 섬유용 난연제로 쓰이는 물질의 대부분은 인과 할로겐 원소인 브롬이 있다. 인과 브롬의 난연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연제로서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물질은 할로겐 라디칼을 형성시켜, 이 라디칼이 연쇄이동제로 활동하여 각 단계에서 열분해에 의해 생기는 라디칼의 활성을 떨어뜨려 열분해 억제, 가연성 기체 발생 억제, 연소의 확대 방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인을 함유하는 난연제는 산소와 반응하여 오산화인 및 오르소 인산을 형성하여 탈수탄화반응 촉매로 행동함으로써 열분해시 가연성 기체의 발생을 제어한다. 그리고 폴리인산이 되어 고분자 섬유를 피복함으로써 산소와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기존의 합성섬유들은 뛰어난 물리, 화학적 물성 때문에 의류, 커튼, 카펫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물질들은 가연성이기 때문에 건축 내장재와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할 때에는 난연성의 부여가 필수적이다.
섬유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난연화한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섬유화와 이미 섬유화된 제품을 가공하여 난연화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첨가형 유기계 난연제로 알려진 브롬계 난연제의 경우에는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섬유의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연소시 발암 물질로 알려진 다이옥신의 발생이 문제화되고 있음으로써 브롬계 난연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무기계 난연제의 경우에는 열에 의해 휘발되지 않고 분해되어 물,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염화수소 등과 같은 불연성 기체를 방출하게 되며, 흡열반응을 한다. 기체상에서는 가연성 기체를 희석시켜 고분자 수지 표면을 도포하여 산소의 접근을 방지하고, 동시에 고체상 표면에서는 흡열반응을 통하여 고분자 소재의 냉각시킴으로써 열분해 생성물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적정한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난연제 함유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다량의 무기계 난연제 첨가는 열가소성 고분자 섬유 자체의 물성을 떨어뜨려 사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섬유물성의 저하없이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나노 크기의 특정 무기입자를 함유하는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게 되면 유기계 첨가형 난연제의 연소시 다이옥신 함유 물질이 나오는 단점과 무기계 첨가형 난연제가 갖는 고분자 소재의 물성저하를 해소하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섬유는 난연성 부직포의 제조에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자크기가 10∼100㎚인 흄드 실리카(fumed silica), 클레이(clay), TiO2, Al2O3, 맥반석, 제올라이트 및 이들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나노 무기분말 0.5 ∼ 10.0 중량% 및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 90.0 ∼ 99.5 중량%를 함유하는 난연성 섬유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자크기가 10∼100㎚인 흄드 실리카, 클레이, TiO2, Al2O3, 맥반석, 제올라이트 및 이들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나노 무기분말 0.5 ∼ 10.0 중량% 및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 90.0 ∼ 99.5 중량%를 함유하는 나노 복합 수지 펠렛을 멜트 블로운 섬유 방사시스템에서 170∼300℃의 실린더 온도로 용융시킨 후 300 ℃이상의 헤드 다이 온도와 0.05 ∼ 0.2 MPa의 공기압으로 방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섬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난연성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섬유는 나노크기의 무기분말(이하, "나노 무기분말"이라 한다.) 0.5 ∼ 10.0 중량%과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 90.0 ∼ 99.5 중량%를 주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섬유에서 나노 무기분말의 함량이 상기한 범위의 하한에 못미치게 되면 난연성 향상효과가 미흡하게 되며, 상기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게 되면 수지 또는 섬유의 기본 물성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요구되는 난연성의 정도에 따라 상기한 범위내에서 그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나노 무기분말의 예로는 입자크기가 10∼100㎚인 흄드 실리카, 클레이, TiO2, Al2O3, 맥반석, 제올라이트, 이들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있다.
또한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예로는 용융지수(Melt Index: MI) 10∼60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이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지수가 너무 작게 되면 멜트블로운 방사에서 공기 분사 압출공정의 이행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나노 무기 분말과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이하, "나노 복합 수지"라 한다.)는 용융혼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노 무기 분말과 수지를 용융압출기(11)의 호퍼안에 넣은 다음, 200 ∼ 300℃에서 혼합한 후, 보통 지름 2mm의 원형으로 압출시킨 후, 냉각 수조(12) 및 배출장치(13)를 지나 절단기(14)에서 절단하여 나노복합 수지 펠렛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노복합 수지 펠렛으로 목적하는 난연성 섬유를 제조하는데에는 멜트 블로운 방사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노복합 수지 펠렛을 멜트 블로운 방사기의 호퍼를 통해 공급한 후, 압출기(21)의 실린더 온도를 상용 열가소성 고분자의 용융온도 이상, 바람직하게 170-3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이어서 용융물을 압출기 스크류를 지나 헤드(22)에서 300℃ 이상의 온도와 공기분사기(23)로부터의 0.05 ∼ 0.20 MPa의 공기압으로 방사시켜 미세 섬유상으로 압출시킴으로써 목적하는 난연성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난연성 섬유는 통상의 방법으로 난연성이 우수한 부직포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의 압출기에서 직경이 14nm인 흄드 실리카 0.5 중량%와 폴리프로필렌 99.5 중량%를 혼합하여 나노복합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복합수지 펠렛을 도 2의 멜트 블로운 방사기에 넣고 270℃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헤드 다이 온도 290℃, 스크류 회전속도 500rpm, 공기 분사 압력 0.10 MPa, 그리고 압축기와 수집부 사이의 거리 30cm 등의 압출 조건으로 수 ㎛의 직경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제조하고, 이 섬유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되, 흄드 실리카의 함유량을 1.0 중량%, 폴리프로필렌 99.0 중량%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가공온도와 공기압 등의 멜트 블로운 방사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되, 흄드 실리카 0.5 중량%, 폴리에틸렌 99.5 중량%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가공온도와 공기압 등의 방사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되, 흄드 실리카 1.0 중량%, 폴리에틸렌 99.0 중량%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가공온도와 공기압 등의 방사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5]
도 1의 압출기에서 직경이 14nm인 흄드 실리카 0.5 중량%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9.5 중량%를 혼합하여 나노복합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복합수지 펠렛을 도 2의 멜트 블로운 방사기에 넣고 320℃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헤드 다이 온도 350℃, 스크류 회전속도 500rpm, 공기 분사 압력 0.15MPa, 그리고 압축기와 수집부 사이의 거리 30cm 등의 압출 조건에서 수 ㎛의 직경을 가지는 섬유를 분사 압출시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고, 이 섬유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와 같이 부직포를 제조하되, 흄드 실리카 1.0 중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9.0 중량%를 혼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가공온도와 공기압 등의 방사조건은 실시예 5와 동일하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되, 나노 무기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되, 나노 무기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되, 나노 무기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 실험 1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따라 얻어진 부직포 소재의 표면을 SEM을 이용하여 표면구조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3, 도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4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흄드 실리카 분말이 고르게 분포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5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지 폴리프로필렌 만으로 제조된 부직포의 경우에는 표면이 매우 깨끗한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 2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부직포의 난연성을 측정하기 위해 산소지수 법을 사용하였으며, KS M 3032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화염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산소가 필요하며, 반대로 연소시 필요한 산소량을 측정하면 고분자 물질의 연소성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고분자 물질의 산소지수는 연소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특성으로 산소지수가 클수록 난연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3개 이상 시편의 연소시간이 3분간 지속되거나 또는 착염 후 탄화된 길이가 5cm가 될 때까지 연소가 지속될 때의 최저 산소유량과 질소유량을 측정하여 산소지수 값을 구한다. 수학식 1은 산소지수 값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수식이다.
상기 식에서, [O2]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유량(ℓ/min), [N2]는 연소에 필요한 질소유량(ℓ/min)이다.
실험결과 얻어진 실시예와 비교예의 산소지수 값은 표 1에 제시된다.
산소지수 산소지수
실시예 1 31.3 비교예1 21.1
실시예 2 32.3
실시예 3 29.5 비교예2 20.5
실시예 4 30.4
실시예 5 35.6 비교예3 24.6
실시예 6 36.4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량의 나노 흄드 실리카가 첨가되어도 열가소성 고분자의 산소지수 값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즉, 난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노 무기분말 복합 난연성 섬유는 고도의 난연성을 보유하며, 따라서 섬유 제조 후, 후처리 가공하는 번거로움 없이 섬유의 제조 단계에서부터 적용할 수 있어 난연성 섬유의 제조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기존의 고분자 섬유가 사용되는 모든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난연성을 가장 필요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나 건축 내장재의 소재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나노 무기분말과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 펠렛(pellet)을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멜트 블로운 방사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난연성 섬유의 표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난연성 섬유의 표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5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섬유의 표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압출기 12 : 냉각수조
13 : 배출장치 14 : 절단기
21 : 압출기 22 : 헤드 다이
23 : 공기분사기 24 : 권취롤러

Claims (5)

  1. 입자크기가 10∼100㎚인 흄드 실리카, 클레이, TiO2, Al2O3, 맥반석, 제올라이트 및 이들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나노 무기분말 0.5 ∼ 10.0 중량% 및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 90.0 ∼ 99.5 중량%를 함유하는 난연성 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가 용융지수(MI) 10∼60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섬유.
  3. 입자크기가 10∼100㎚인 흄드 실리카, 클레이, TiO2, Al2O3, 맥반석, 제올라이트 및 이들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나노 무기분말 0.5 ∼ 10.0 중량% 및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 90.0 ∼ 99.5 중량%를 함유하는 나노 복합 수지 펠렛을 멜트 블로운 섬유 방사시스템에서 170∼300℃의 실린더 온도로 용융시킨 후 300 ℃이상의 헤드 다이 온도와 0.05 ∼ 0.2 MPa의 공기압으로 방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섬유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형성성 열가소성 수지가 용융지수(MI) 10∼60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섬유의 제조방법.
  5. 상기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KR10-2002-0053938A 2002-09-06 2002-09-06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48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938A KR100481044B1 (ko) 2002-09-06 2002-09-06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938A KR100481044B1 (ko) 2002-09-06 2002-09-06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101A KR20040022101A (ko) 2004-03-11
KR100481044B1 true KR100481044B1 (ko) 2005-04-07

Family

ID=3732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938A KR100481044B1 (ko) 2002-09-06 2002-09-06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1844A1 (de) * 2005-10-28 2007-05-03 Fibertex A/S Material mit oder bestehend aus Polymerfasern
CN103305959A (zh) * 2013-07-01 2013-09-18 江阴市江河化纤有限公司 基于高能球磨分散的纳米TiO2陶瓷改性涤纶短纤维及制备方法
KR101703309B1 (ko) * 2016-01-26 2017-02-06 (주)에스앤드케이 저독성 난연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 제조방법
KR101906337B1 (ko) * 2016-12-29 2018-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415601B1 (ko) 2020-07-23 2022-06-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염색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6991B1 (ko) * 2020-08-10 2021-01-2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바이오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2306A (en) * 1979-02-15 1980-08-29 Kuraray Co Ltd Ultrafine fiber having remarkable color deepening effect and its preparation
US4547546A (en) * 1983-06-27 1985-10-15 Allied Corporation Additive dispersions and process for their incorporation with fiber-forming polymer
JPH01192820A (ja) * 1988-01-22 1989-08-02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0066657A1 (en) * 1999-04-30 2000-11-09 Alcan International Limited Fire retardant compositions
KR20010092031A (ko) * 2000-03-20 2001-10-24 이선옥 점토 또는 운모류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US6414070B1 (en) * 2000-03-08 2002-07-02 Omnova Solutions Inc. Flame 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ally modified clay
US20020156171A1 (en) * 2001-02-20 2002-10-24 Marta Drewniak High melt-strength polyolefin composit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6492453B1 (en) * 1999-09-24 2002-12-10 Alphagary Corporation Low smoke emission, low corrosivity, low toxicity, low heat release, flame retardant, zero halogen polymeric compositions
KR20030001400A (ko) * 2000-03-29 2003-01-06 떼르갈 피브르 개선된 열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2306A (en) * 1979-02-15 1980-08-29 Kuraray Co Ltd Ultrafine fiber having remarkable color deepening effect and its preparation
US4547546A (en) * 1983-06-27 1985-10-15 Allied Corporation Additive dispersions and process for their incorporation with fiber-forming polymer
JPH01192820A (ja) * 1988-01-22 1989-08-02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0066657A1 (en) * 1999-04-30 2000-11-09 Alcan International Limited Fire retardant compositions
US6492453B1 (en) * 1999-09-24 2002-12-10 Alphagary Corporation Low smoke emission, low corrosivity, low toxicity, low heat release, flame retardant, zero halogen polymeric compositions
US6414070B1 (en) * 2000-03-08 2002-07-02 Omnova Solutions Inc. Flame 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ally modified clay
KR20010092031A (ko) * 2000-03-20 2001-10-24 이선옥 점토 또는 운모류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KR20030001400A (ko) * 2000-03-29 2003-01-06 떼르갈 피브르 개선된 열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
US20020156171A1 (en) * 2001-02-20 2002-10-24 Marta Drewniak High melt-strength polyolefin composit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101A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g et al. NP-Zn-containing 2D supermolecular networks grown on MoS2 nanosheets for mechanical and flame-retardant reinforcements of polyacrylonitrile fiber
EP1917383B1 (en) Cellulosic moulded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it and use thereof
US6921504B2 (en) Process of making flame retarding polypropylene fiber
CN109181248B (zh) 一种聚磷酸铵包覆碳微球阻燃剂的制备方法
Erdem et al. Flame retardancy behaviors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nano‐SiO2 composite textile filaments
DE10331888A1 (de) Elastisches Belagmaterial mit verbesserten Flammschutzeigenschaften sowie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3397443A (zh) 无卤阻燃聚乙烯塑料编织布及其制备方法
KR101941726B1 (ko) 소취성 및 흡한속건성을 갖는 기능성 원사의 제조방법
KR100481044B1 (ko)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Maqsood et al. Investigation of melt spinnability of plasticized polylactic acid biocomposites-containing intumescent flame retardant
CN110042528A (zh) 一种遮阳面料及其制备方法
CN103409844A (zh) 一种增强阻燃再生聚酯纤维的制备方法
KR101390333B1 (ko) 자외선 차단 및 내광 안정화 특성이 부여된 나노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
CN111032829A (zh) 组合物及阻燃性树脂组合物
KR102068035B1 (ko) 황토가 함유된 난연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CN108250573B (zh) 一种耐热氧老化的无卤环保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JP3679738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Teli et al. Effect of nanoclay loading on zeta potential of polyester nanocomposite fibre
JP3822046B2 (ja) 繊維およびその繊維組成物
CN103102680A (zh) 一种低成本阻燃耐磨高抗冲聚酰胺6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10924267B (zh) 一种阻燃型人造草坪及其制造方法
US20140225051A1 (en) Sulfonated polyolefin-based flame retardant material
JPH0116923B2 (ko)
KR20210024740A (ko) 내열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복합 섬유웹 및 이의 제조방법
EP0905299A2 (en) Method for producing spun-bonded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