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337B1 -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337B1
KR101906337B1 KR1020160181999A KR20160181999A KR101906337B1 KR 101906337 B1 KR101906337 B1 KR 101906337B1 KR 1020160181999 A KR1020160181999 A KR 1020160181999A KR 20160181999 A KR20160181999 A KR 20160181999A KR 101906337 B1 KR101906337 B1 KR 10190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titanium dioxide
polymer nanofiber
nanofiber composite
composite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546A (ko
Inventor
박수진
양혜미
한예지
허영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도도가 향상 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흡음 특성을 갖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POLYMER NANOFIBER COMPOSITES FABRIC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본 발명은 전기전도도가 향상 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기술에 관한 것이다.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직경이 10μm이하의 미세섬유들이 상호결합하여 거미줄과 같은 구조형태를 가지는 3차원적 섬유집합체이다. 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를 방사구금을 통해 방사되는 공정이며, 방사노즐로부터 압출된 고분자는 용융상태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극세섬유가 수집체에 적층된다. 이렇게 제조된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고성능 여과재, 흡수재, 흡음재, 절연재, 축열재 및 전자파차폐재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가능하다. 하지만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공정의 경우 생산성면에서 방사공정을 이용한 섬유로 웹을 형성하여, 기존부직포의 생산성 대비 현저히 떨어지며, 고분자의 형태, 분자량분포, 첨가제 등에 따라 경제성이 크게 달라진다. 또한, 최근 고부가가치 신소재제품의 수요의 급증으로 섬유에 난열, 축열, 전자파차폐 등 특수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기능성 소재를 접목하여 방사하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전기전도성 및 흡음 특성이 향상 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이산화 티타늄 나노입자 1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산화티타늄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나노 복합형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나노 복합형 펠릿을 고속열풍기류에 방사시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융압출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산화 티타늄 나노입자 혼합물을 온도 150 내지 220℃에서 용융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단계는 펠릿을 방사하는 노즐의 온도가 180 내지 250℃, 슬릿의 간극이 0.1 내지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속열풍기류는 공기공급속도 100 내지 350m/s, 공기공급온도는 230 내지 3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 제조단계는 방사구금으로부터 회전속도 80 내지 100mm/s로 회전하는 수집체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die-tocollector-distance, DCD)는 150 내지 6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흡음 특성을 갖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은 멜트블로운(Melt-blown)공정을 이용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저가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품단가를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어, 양산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는 여과제, 흡수재, 흡음재, 절연재, 축열재 및 전자파차폐제 등 여려 분야에 응용 가능하여 고부가 저비용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이산화 티타늄 나노입자 1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산화티타늄 혼합물을 용융압출하여 나노 복합형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나노 복합형 펠릿을 고속열풍기류에 방사시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용융압출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혼합물을 온도 150 내지 220℃에서 용융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단계는 펠릿을 방사하는 노즐의 온도가 180 내지 250℃, 슬릿의 간극이 0.1 내지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속열풍기류는 공기공급속도 100 내지 350m/s, 공기공급온도는 230 내지 3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 제조단계는 방사구금으로부터 회전속도 80 내지 100mm/s로 회전하는 수집체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die-tocollector-distance, DCD)는 150 내지 6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PP)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이산화티타늄(TiO2) 나노입자 1중량%를 혼합하며, 이를 압출성형기를 통해 150oC의 온도로 용융압출하여 나노 복합형 펠릿(pellet)을 제조한다.
그 후, 제조된 나노복합형 펠릿은 노즐온도를 180oC로 하고, 슬릿의 간극은 0.1 mm로 하며, 공기 공급속도를 100 m/s, 공기 공급온도를 230oC로 하여, 고속 열풍기류를 분사시켜 나노복합형 펠릿을 방사한다. 또한, 이때의 수집체의 회전속도는 80 mm/s,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 (die-tocollector-distance; DCD)를 150 mm의 조건에서 150초 동안 방사시켜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2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노즐 온도를 190oC, 슬릿 간극을 0.2 mm로 한다. 또한 공기 공급속도를 150m/s,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 (die-tocollector-distance; DCD)를 200 mm로 하며, 방사 시간을 170초로 하여,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TiO2 함량을 3.0 wt%로하고, 용융압출 부분의 온도를 170oC로 한다. 또한 슬릿 간격은 0.3 mm이며, 공기 공급온도는 250oC로 한다. 또한, 수집체 회전속도를 100 mm/s로 하여,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 (die-tocollector-distance; DCD)를 300 mm로 하며, 방사 시간은 180초로 하여,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용융압출 부분의 온도를 190oC로하며, 노즐 온도는 210oC로 하며, 슬릿 간극은 0.5 mm로 한다. 또한 공기 공급속도는 200 m/s로 하고, 공기 공금온도를 280oC로 하여,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TiO2 함량을 5.0 wt%로하고, 노즐 온도를 230oC로 한다. 또한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 (die-tocollector-distance; DCD)를 400 mm로 하며, 방사 시간은 200초로 하여,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용융압출 부분의 온도를 200oC로 하고, 슬릿 간극은 1.0 mm로 한다. 또한, 공기 공급속도는 250 m/s로 하며, 공기 공급온도는 300oC이며, 수집체 회전속도를 120 mm/s로 하여,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TiO2 함량을 10.0 wt%로하고, 노즐 온도를 250oC로 한다. 또한 공기 공급속도를 300 m/s로 하고,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 (die-tocollector-distance; DCD)를 500 mm로 하며, 방사 시간은 200초로 하여,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용융압출 부분의 온도를 220oC로 하고, 슬릿 간극은 1.2 mm로 한다. 또한, 공기 공급속도는 350 m/s로 하며, 공기 공급온도는 360oC이며, 수집체 회전속도를 150 mm/s로 하고,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 (die-tocollector-distance; DCD)를 600 mm로 하며, 방사 시간을 250초로 하여,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방사 중 공기를 공급하지않고 합성하여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과정을 실시하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의 제조 조건
샘플명 TiO2
함량
(wt%)
용융압출 부분의 온도
(oC)
노즐
온도
(oC)
슬릿
간극
(mm)
공기 공급속도
(m/s)
공기 공급온도
(oC)
수집체
회전속도
(mm/s)
방사시간
(s)
DCD
(mm)
실시예 1 1.0 150 180 0.1 100 230 80 150 150
실시예 2 1.0 150 190 0.2 150 230 80 170 200
실시예 3 3.0 170 190 0.3 150 250 100 180 300
실시예 4 3.0 190 210 0.5 200 280 100 180 300
실시예 5 5.0 190 230 0.5 200 280 100 200 400
실시예 6 5.0 200 230 1.0 250 300 120 200 400
실시예 7 10.0 200 250 1.0 300 300 120 230 500
실시예 8 10.0 220 250 1.2 350 360 150 250 600
비교예 1 3.0 190 210 0.5 - - 100 180 300
비교예 2 - 190 210 0.5 200 280 100 180 300
측정예 1. 전기전도도 측정
Four-probe point method with resistivity tester (MCP-T610, Mitsubishi Chemical Analytech Co., Ltd.)을 통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의 전기전도도 측정 결과는 표 2에 도시하였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이산화티타늄을 1 내지 10중량%를 첨가한 실시예1 내지 8은 비교예들과 비교하여 전기전도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이산화티타늄을 3 내지 5중량%를 첨가한 실시예3, 4, 5 및 6의 조건으로 제조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전기전도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전기전도도 측정 결과
전기전도도 (S/cm)
실시예 1 3.291 × 100
실시예 2 9.044 × 100
실시예 3 2.111 × 10 1
실시예 4 8.552 × 10 1
실시예 5 4.746 × 10 1
실시예 6 1.005 × 10 1
실시예 7 7.428 × 100
실시예 8 2.312 × 100
비교예 1 0.672 × 10-1
비교예 2 1.947 × 10-1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이산화티타늄(TiO2) 나노입자 3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산화티타늄 혼합물을 온도 170 내지 190℃에서 용융압출하여 나노복합형펠릿(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복합형 펠릿을 고속열풍기류에 방사시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속열풍기류는 공기공급속도가 150 내지 200m/s, 공기 공급온도가 250 내지 2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TiO2)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압출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혼합물을 온도 190℃에서 용융압출하며,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 제조단계는 펠릿을 방사하는 노즐의 온도가 210 내지 230℃, 슬릿의 간극이 0.5mm이며,
    상기 고속열풍기류는 공기공급속도 200m/s, 공기 공급온도는 2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TiO2)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는 회전속도 100mm/s로 회전하는 수집체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TiO2)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는 방사구금과 수집체간의 거리(die-tocollector-distance, DCD)는 300 내지 4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TiO2)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160181999A 2016-12-29 2016-12-29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90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999A KR101906337B1 (ko) 2016-12-29 2016-12-29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999A KR101906337B1 (ko) 2016-12-29 2016-12-29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46A KR20180077546A (ko) 2018-07-09
KR101906337B1 true KR101906337B1 (ko) 2018-10-10

Family

ID=6291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999A KR101906337B1 (ko) 2016-12-29 2016-12-29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3271B (zh) * 2019-09-09 2022-04-12 厦门当盛新材料有限公司 建筑内饰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13232B1 (ko) * 2019-12-27 2022-06-27 시바우라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저분자량 폴리머의 제조 방법,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495602B1 (ko) * 2020-05-20 2023-02-06 박현정 항균과 소취 및 제습과 피부보호가 가능한 안면마스크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145B1 (ko) * 2016-04-18 2016-10-31 권광일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566B2 (ja) * 1992-08-26 2000-11-20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不織布の製造方法
JPH08291458A (ja) * 1995-04-18 1996-11-05 New Oji Paper Co Ltd 顔料含有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KR100481044B1 (ko) * 2002-09-06 2005-04-07 요업기술원 난연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155077B1 (ko) * 2008-06-16 2012-06-1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유전성을 가진 소수성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그의제조방법, 이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145B1 (ko) * 2016-04-18 2016-10-31 권광일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46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60535B (zh) 改性超高分子量聚乙烯成纤专用料及其制备方法和熔融纺丝成纤方法
CN105002595B (zh) 一种含部分还原石墨烯的高分子复合功能纤维及其制备方法
CN101387017B (zh) 一种改性聚醚醚酮纤维的制备方法
KR101906337B1 (ko)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고분자 나노섬유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CN105063796B (zh) 一种高分子复合导电纤维及其制备方法
CN106521805B (zh) 一种导电-增韧用熔喷复合无纺布的制备方法
CN109487352B (zh) 石墨烯聚乳酸双组分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06968026A (zh) 一种石墨烯碳黑复合导电纤维的制备方法
CN103061038A (zh) 一种电气石驻极聚乳酸熔喷非织造布及制备方法
CN104727015A (zh) 熔喷非织造布的制备方法
CN106751379A (zh) 一种熔融沉积成型工艺制备的制品及其制备方法
KR102159239B1 (ko) 이종원소가 도핑된 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이종원소가 도핑된 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섬유-고분자 복합소재
CN113512254B (zh) 一种导电抗菌长玻纤增强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942134A (zh) 一种各向异性导电高分子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439730B1 (ko)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CN108265394B (zh) 一种可生物降解熔喷聚丁二酸丁二醇酯无纺布及其制备方法
KR101920161B1 (ko) 저융점 시스-코어 복합원사의 제조방법
CN105401252A (zh) 一种阻燃pet纤维的制备方法
KR101495966B1 (ko) 전자파 차폐용 폴리아미드-폴리올레핀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서 제조된 전자파 차폐용 복합섬유
US20130337254A1 (en) Polyester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6498543A (zh) 聚乳酸和碳纳米管共混纤维的制备方法
CN112323257A (zh) 一种新型抗菌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068352C (zh) 定向晶须增强聚合物基复合材料的生产工艺
CN109853065B (zh) 石墨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N113185801B (zh) 一种可应用于空间环境的聚醚醚酮复合材料3d打印丝材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