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838B1 - 철판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철판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838B1
KR102163838B1 KR1020200046752A KR20200046752A KR102163838B1 KR 102163838 B1 KR102163838 B1 KR 102163838B1 KR 1020200046752 A KR1020200046752 A KR 1020200046752A KR 20200046752 A KR20200046752 A KR 20200046752A KR 102163838 B1 KR102163838 B1 KR 102163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upport
iron plate
steel plat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수
Original Assignee
최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수 filed Critical 최성수
Priority to KR102020004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21D37/06Pivotally-arranged tools, e.g. disengag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철판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판을 압력으로 눌러서 원하는 각도로 절곡하는 장치에서 절곡각도를 결정하는 하부 받침대를 가변적으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철판의 절곡각도를 장치의 분리나 교체없이 쉽고 빠르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철판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철판의 절곡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받침대를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변경할 필요없이 회전받침대의 회전만으로 철판과 닿는 홈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서 작업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판 절곡장치{BENDING MACHINE FOR METAL PLATE WITH VARIABLE ANGLE}
본 발명은 철판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철판의 절곡각도를 장치의 분리나 교체없이 쉽고 빠르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철판 절곡을 위한 장치의 가공이 용이한 위치를 확보하여 작업성과 안정성을 모두 담보하기 위한 철판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판을 이용하여 기계부품을 생산하는 경우, 철판을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일정 각도로 절곡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철판을 절곡다이에 올려놓고 프레스 등으로 눌러서 원하는 각도로 절곡하는 장치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원하는 모양으로 절곡하기 위해서는 절곡금형을 착탈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절곡기의 싱커부분에 절곡금형셋팅장치를 장착하여야 한다. 종래의 절곡금형셋팅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고 전면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메인블록(1)의 전면 상단으로 중앙에 결합장공(3a)이 형성된 평면블록(3)을 볼트(7)로 체결하고, 상기 메인블록(1)의 경사진 상면에 안착되도록 평면블록(3)의 결합장공(3a)으로 볼트(6)를 이용하여 테이퍼키(4)를 결합하며, 상기 메인블록(1)의 하측에 절곡금형(200)을 클램핑하여 취부할 수 있도록 클램퍼(2)를 볼트(8)로 체결하여서 된 절곡금형셋팅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절곡기의 싱커(300)하단에 밀착시킨 다음 메인블록(1)에 결합된 평면블록(3)의 상단을 클램퍼(5)를 이용하여 싱커(300)에 클램핑함으로써 고정설치한 후 절곡기를 가동시켜서 메인블록(1)에 볼트(8)을 이용하여 클램퍼(2)에 의해 장착되는 절곡금형(20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철판(50)을 절곡토록 한 것인데, 이는 절곡기의 싱커(300)부분에 결합된 메인블록(1)의 하단에 절곡금형(200)을 장착고정시 상기 절곡금형(200)을 취부하도록 클램퍼(2)를 메인블록(1)에 볼트(8)를 이용하여 조여서 고정하여야 하였으므로 볼트(8)를 일일이 조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으며 볼트(8)를 꽉 조이지 않게 되면 작업도중에 절곡금형(200)이 이탈되어 철판(50)의 절곡상태가 불량하게 된다든지 아예 절곡금형(200)을 클램퍼(2)로 새로히 셋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50)의 크기가 커서 이와 마찬가지로 고정하여야할 절곡금형(200)의 길이가 길 경우에 현실적으로 더욱 뚜렷하게 대두되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종래 고안의 절곡금형셋팅장치를 싱커(300)의 하단에 다수개 설치하여야 하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싱커(300) 부분에 결합된 메인블록(1)에 절곡금형(200)을 장착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클램퍼(2)를 메인블록(1)에 일일이 볼트(8)를 이용하여 체결고정하여야 하는 작업이 더욱 많아져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철판 가공을 위하여 철판 절곡장치에
한국등록특허 제10-1844195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절곡각도를 조절하는 받침대를 회전할 수 있는 롤러 형태로 구성하고, 원통형인 롤러의 표면에 서로 다른 각도의 절곡홈을 형성하고, 작업자가 회전받침대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의 절곡홈이 절곡날과 만나도록 하여 철판이 절곡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철판 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철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압력센서 또는 전류센서를 구비하여 철판이 접촉하였음을 확인하도록 하고, 일정한 시간 동안 철판의 접촉이 감지되면 전자석을 가동시켜 철판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철판 절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을 위한 철판 절곡장치는 가운데가 연결기둥(106)으로 연결되는 상부몸체(102) 및 하부몸체(104); 아래쪽에 위치한 철판(50)을 누르는 힘을 생성하는 프레스 실린더(108); 상기 프레스 실린더(108)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이송판(110); 상기 철판(50)의 윗면과 접촉하는 절곡날(118); 상기 하부몸체(104)의 상면에 설치되며, 회전받침대(120)의 중심축(120c)이 고정되는 브라켓(122); 및 상기 하부몸체(104)에 결속되는 결속모듈(1000);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모듈(1000)은 상기 하부몸체(104)에 직접 결속되는 소정의 결속패널부(1100)와, 상기 결속패널부(1100)가 안착되는 받침패널부(1200)상에서 한 쌍의 패널 형태로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사이에두도록 전후 방향 각각에 구비되며, 전후 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면서 눌러 가압하는 제1-1 가압패널부(1310)와, 제1-2 가압패널부(1320)와, 상기 받침패널부(1200)에서 한 쌍의 패널 형태로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 각각에 구비되며, 좌우 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눌러 유동되면서 눌러 가압하는 제2-1 가압패널부(1410)와, 제2-2 가압패널부(1420)를 포함하는 철판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받침대(120)는 폭방향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중심축이 하부몸체(104)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누운 상태로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누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측의 브라켓(122)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라켓(122)에 고정손잡이(124)가 설치되어 고정손잡이(124)를 풀거나 조여서 회전받침대(120)를 회전 및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받침대(120)는 원통몸체(120a)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절곡홈(120b)을 형성하되, 절곡홈(120b)에 대해 오른쪽 측면부터 반시계방향으로 30°, 60°, 90°의 각도로 각각 형성하고 가운데 아래쪽으로 원호 모양의 절곡홈(120b)이 형성되며, 원통몸체(120a)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를 설정한 후 철판(50)을 절곡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철판의 절곡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받침대를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변경할 필요없이 회전받침대의 회전만으로 철판과 닿는 홈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서 작업이 빨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판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철판을 자력의 힘으로 잡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절곡 작업 도중에 철판이 떨어지거나 위치가 변하여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을 위한 장치하부에 구비되는 구조물을 통해 가공장치의 높이를 보강하여 작업자가 장치에 가공대상물을 투입하는 과정을 작업자에 맞춰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가공장치의 기본적인 가공에 따른 소음과 충격을 하부에서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셋팅장치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곡금형셋팅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절곡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회전받침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6d는 철판의 거치와 절곡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
도 7과 8은 서로 다른 각도로 철판을 절곡하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지지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지지대에 철판의 가장자리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4는 결합모듈에 대한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11 내지 도 14에 따른 일부 구성의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철판 절곡장치"(이하, '절곡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금형셋팅장치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절곡금형셋팅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절곡장치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회전받침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6d는 철판의 거치와 절곡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 도 7과 8은 서로 다른 각도로 철판을 절곡하는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절곡장치(100)는 종래기술의 절곡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데, 가운데 연결기둥(106)으로 연결된 상부몸체(102)와 하부몸체(104)의 내외부에 철판(50) 절곡을 위한 구성이 설치된다. 상부몸체(102)의 일측에는 프레스 실린더(108)가 설치된다. 프레스 실린더(108)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하며, 큰 압력을 발생시켜 철판(50)을 누르는 힘을 생성한다. 상부몸체(102)의 전면에는 이송판(110)이 설치된다. 이송판(110)은 프레스 실린더(108)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철판(50)을 절곡한다.
이송판(110)의 좌우측면에는 연결블럭(112)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연결블럭(112)은 이송판(110)과 일체로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며, 연결블럭(112)의 가운데는 프레스 실린더(108)에 구비된 피스톤(114)과 결합된다. 피스톤(114)은 프레스 실린더(108)의 동작에 의해 상하로 신축되면서 구동력을 이송판(110)에 전달한다. 연결블럭(112)은 이러한 구동력을 이송판(110)과 피스톤(114) 사이에서 전달한다. 이송판(110)의 전면에는 복수의 고정블럭(116)이 설치되며, 고정블럭(116)의 하단에는 절곡날(118)이 결합된다. 고정블럭(116)은 절곡날(118)을 이송판(1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볼트나 핀 등에 의해 이송판(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절곡대상이 되는 철판(50)은 길이나 폭이 수십 ㎝에서 수 m에 이르는데, 절곡대상 철판(50)의 크기에 따라서 절곡날(118)의 길이나 수가 달라지게 된다. 철판(5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절곡날(118)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에는 복수의 단위 절곡날을 철판(50)의 크기에 맞춰서 추가하거나 제거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복수의 연결블럭(112)을 작업 조건에 맞게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방식으로 철판(50)의 폭의 변화에 대응한다. 개별 연결블럭(112)에는 단위 절곡날(118)이 개별적으로 부착되며, 연결블럭(112)의 수는 단위 절곡날(118)의 수와 동일하며, 전체 연결블럭(112)의 길이는 전체 절곡날(118)의 길이와 동일하다.
절곡날(118)은 철판(50)의 윗면과 닿으면서 철판을 회전받침대(120)에 형성된 절곡홈에 밀어넣으면서 절곡홈의 각도와 일치하는 각도로 절곡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절곡날(118)은 폭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가지며, 하단의 말단이 비교적 뾰족하게 형성되어 철판(50)을 절곡홈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절곡날(118)의 말단부의 두께는 절곡홈의 넓이 보다 작게 형성되며, 철판의 표면에 압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연결블럭(112)의 구성과 절곡날(118), 프레스 실린더(108) 등의 구성은 종래의 절곡장치에 사용되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종래기술의 설명에 기재된 내용을 원용한다. 절곡날(118)은 상부몸체(102)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수직 아래쪽에 위치한 철판(50)을 절곡하는데, 절곡날(118)의 수직 아래쪽에는 절곡홈이 형성된 회전받침대(120)가 설치된다. 회전받침대(120)는 폭방향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중심축이 하부몸체(104)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누운 상태로 설치된다. 회전받침대(120)는 폭방향으로 누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별도의 고정손잡이(1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부몸체(104)의 상면 좌우측에는 브라켓(122)이 각각 설치되며, 회전받침대(120)는 좌우측의 브라켓(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받침대(120)는 절곡날(118)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며, 절곡날(118)이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닿을 수 있다. 절곡날(118)과 회전받침대(120)의 사이에는 철판(50)이 투입되며, 절곡날(118)이 철판(50)을 누를 때 회전받침대(120)의 표면에 형성된 절곡홈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만큼 철판(50)이 절곡된다. 하부몸체(104)의 상면에는 지지대(126)가 설치된다. 지지대(126)는 절곡날(118)과 회전받침대(120)가 위치한 곳을 중심으로 철판(50)의 투입구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절곡날(118)과 회전받침대(120)의 사이를 지나서 투입된 철판(50)의 가장자리와 닿도록 설치된다. 지지대(126)는 투입되는 철판(50)의 투입방향 앞쪽의 가장자리와 닿으면서 철판(50)의 위치를 결정한다. 지지대(126)를 하부몸체(104)의 정면방향으로 이동하면 철판(50)의 투입 길이가 짧아지면서 철판(50)의 앞쪽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선을 따라 절곡하게 된다. 반대로 지지대(126)를 후면방향으로 이동하면 철판(50)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투입되면서 절곡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지지대(126)는 단면이 ㄴ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철판의 앞쪽 가장자리의 앞면과 밑면에 동시에 닿는다. 따라서 철판(50)의 앞쪽이 더 전진하거나 아래로 쳐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의 절곡장치에서는 지지대(126)가 단순히 철판(50)의 가장자리와 닿기만 하기 때문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126)와 철판(50)의 접촉을 감지하는 수단과, 철판(50)이 떨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수단이 더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받침대(120)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어서 중심축(120c)을 따라 회전하여도 하부몸체(104)의 상면에서 절곡날(118)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하지는 않는다. 원통몸체(120a)의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절곡홈(120b)이 형성된다. 절곡홈(120b)은 각 위치별로 각도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절곡홈(120b)이 오른쪽 측면부터 반시계방향으로 30°, 60°, 90°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가운데 아래쪽에는 원호 모양의 절곡홈(120b)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원통몸체(120a)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를 설정하면 이와 일치하는 각도로 철판(50)이 절곡될 수 있다.
절곡홈(120b)에 삽입되는 절곡날(118)은 중심축(120c)의 수직 위쪽에 위치하므로, 원통몸체(120a)를 회전시켜 가운데 위쪽에 오도록 한 절곡홈(120b)과 동일한 각도로 철판(50)이 절곡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각도와 한 개의 원호 모양으로 된 절곡홈(120b)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각도와 형상은 달라질 수 있으며, 하나의 회전받침대(120)에 형성되는 절곡홈(120b)의 종류도 네 가지가 아니라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브라켓(122)에는 고정손잡이(124)가 설치되는데, 고정손잡이(124)는 중심축(120c)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원통몸체(120a)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작업자는 적절한 형상의 절곡홈(120b)을 위쪽에 오도록 조정한 후, 고정손잡이(124)를 돌려서 회전받침대(12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다른 각도로 철판(50)을 절곡할 때에는 고정손잡이(124)를 돌려서 고정을 풀고, 원하는 절곡홈(120b)이 제 위치에 오도록 조정한 후, 다시 고정손잡이(124)를 돌려서 회전받침대(120)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고정손잡이(124)를 풀거나 조여서 회전받침대(1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쉽고 빠른 작업으로 절곡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6d에는 철판(50)의 투입과 절곡 과정이 단면으로 도시된다.
먼저 도 6a와 같이, 절곡 대상이 되는 철판(50)을 절곡날(118)과 회전받침대(120) 사이로 밀어넣는다. 철판(50)의 투입방향 앞쪽 가장자리는 지지대(12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철판(50)을 계속 투입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 지지대(126)에 접촉하도록 한다. 지지대(126)는 철판(50)의 접촉 여부를 전기적으로 확인하게 되고, 철판(50)이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c와 같이, 절곡날(118)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철판(50)의 표면과 닿게 된다. 절곡날(118)은 작업자가 하부몸체(104)의 전면에 설치된 하강버튼(128)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내려오게 된다. 하강버튼(128)은 통상적으로는 발로 누를 수 있도록 하부몸체(104)의 아래쪽에 설치되는데, 작업환경에 따라서는 손으로 누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작업자가 하강버튼(128)을 누르면 절곡날(118)이 내려오면서 철판(50)을 누르게 되는데, 하강버튼(128)을 누르고 있는 동안 절곡날(118)이 아래쪽 위치에 계속 머무르게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강버튼(128)을 누르면 절곡날(118)이 아래쪽까지 내려왔다가 바로 다시 올라가도록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별도로 설치되는 상승버튼(130)은 절곡날(118)이 다시 위쪽으로 올라가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날(118)이 철판(50)을 강한 압력으로 누르면, 철판(50)이 절곡홈(120b)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절곡홈(120b)과 동일한 각도만큼 절곡된다. 그리고 절곡홈(120b)의 각도를 변화시키면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는 각도가 달라지므로, 변화되는 상황에 맞게 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지지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지지대에 철판의 가장자리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절곡장치에서는 철판(50)이 지지대(126)에 접촉한 상태에서 철판(50)의 위치를 고정할 수단이 없어서 작업 도중에 철판(50)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로 인해 절곡 위치가 달라지므로 불량품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126)에 철판(50)의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지지대(126)는 단면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편의상 지면에 평행한 변을 제1지지면(126a)이라 하고, 지면에 수직인 변을 제2지지면(126b)이라고 한다. 절곡대상이 되는 철판(50)의 앞쪽 가장자리는 지지대(126)에 닿게 된다. 철판(50)의 가장자리의 앞면은 제2지지면(126b)에 닿게 된다. 제2지지면(126b)에는 전류센서(126d)와 압력센서(126c)가 설치된다. 전류센서(126d)와 압력센서(126c)는 제2지지면(126b)에서 철판(50)과 닿는 앞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센서(126d)는 표면에 도전체가 닿으면 전류의 이동상태를 감지하여 도전체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센서이며, 압력센서(126c)는 물체가 닿으면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센서이다. 전류센서(126d)의 경우에는 전류의 변화나 전압의 변화, 정전용량의 변화 등 다양한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여 물체를 인식하는 것이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압력센서(126c)의 경우에도 물리적인 접촉 압력의 변화에 따라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라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철판(50)이 절곡장치(100) 내부로 투입되어 앞쪽 가장자리가 지지대(126)에 닿으면, 절곡장치(100)의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철판(50)의 투입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철판(50)의 투입 여부를 전류센서(126d) 또는 압력센서(126c)로부터 확인한다. 제어부는 투입된 철판(50)이 일정 시간 이상 접촉하고 있음을 감지하면, 철판(50)이 절곡작업을 위해 정상적으로 투입되어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절곡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지지대(126)에 포함된 전자석(126e)을 동작시킨다. 전자석(126e)은 철판(50)이 투입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는 자석으로서, 전자석(126e)의 자기력에 의해 철판(50)이 지지대(126)에 붙으며, 철판(50)이 지지대(126)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철판(5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어부는 철판(50)이 일정 시간 이상 지지대(126)와 접촉하는 경우, 정상적인 작업 상태인 것으로 파악하고,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조명수단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정상적인 작업 상태에 있음을 알린다. 작업자는 준비 상태를 확인한 후, 하강버튼(128)과 상승버튼(130)을 눌러서 절곡 작업을 진행한다.
절곡날(118)이 하강하면서 철판(50)의 절곡 작업이 시작되는 순간, 제어부는 전자석(126e)의 동작을 중단시켜 자기력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전자석(126e)이 계속 동작하고 있다면 절곡 과정에서 철판(50)의 앞쪽 가장자리가 지지대(126)에 계속 붙어있으려고 하기 때문에 오히려 절곡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는 이 순간 전자석(126e)을 오프시켜 절곡 과정에서 철판(50)의 앞쪽 가장자리가 자유롭게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도면과 설명에서는 철판(50)의 앞쪽 가장자리의 앞면이 닿는 제2지지면(126b)에 전류센서(126d)와 압력센서(126c), 전자석(126e)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수단은 제1지지면(126a)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1지지면(126a)과 제2지지면(126b)에 분산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에 따른 결합모듈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11 내지 도 14에 따른 일부 구성의 배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철판 절곡장치로서, 가운데가 연결기둥(106)으로 연결되는 상부몸체(102) 및 하부몸체(104);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철판(50)을 누르는 힘을 생성하는 프레스 실린더(108); 상기 프레스 실린더(108)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이송판(110); 상기 철판(50)의 윗면과 접촉하는 절곡날(118); 상기 하부몸체(104)의 상면에 설치되며, 회전받침대(120)의 중심축(120c)이 고정되는 브라켓(122); 및 상기 하부몸체(104)에 결속되는 결속모듈(10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모듈(1000)은, 상기 하부몸체(104)에 직접 결속되는 소정의 결속패널부(1110)와, 상기 결속패널부(1101)가 안착되는 받침패널부(1200)상에서 한 쌍의 패널 형태로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사이에두도록 전후 방향 각각에 구비되며, 전후 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면서 눌러 가압하는 제1-1 가압패널부(1310)와, 제1-2 가압패널부(1320)와, 상기 받침패널부(1200)에서 한 쌍의 패널 형태로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 각각에 구비되며, 좌우 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눌러 유동되면서 눌러 가압하는 제2-1 가압패널부(1410)와, 제2-2 가압패널부(1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1 가압패널부(1410)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1 수평구조부(1510)와,상기 제1-1 수평구조부(1510)에서 하부로 구비되는 제1-2 수평구조부(1520)와, 상기 제1-2 수평구조부(1520)에서 하부로 구비되는 제1-1 수직구조부(1530)를 포함하는 제1 연장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제2-2 가압패널부(1420)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1 수평구조부(1610)와, 상기 제2-1 수평구조부(1610)에서 하부로 구비되는 제2-2 수평구조부(1620)와, 상기 제2-2 수평구조부(1620)에서 하부로 구비되는 제2-1 수직구조부(1630)를 포함하는 제1 연장모듈이 구비된다. 면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1 수직구조부(1530)가 안착되는 제1 베이스안착부(1710)와, 상기 제1 베이스안착부(1710) 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1 가변체(1720)와, 상기 제1 베이스안착부(1710) 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되는 제1-2 가변체(1730)를 포함하는 제1 외삽부와, 지면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1 수직구조부(1630)가 안착되는 제2 베이스안착부(1810)와, 상기 제2 베이스안착부(1810) 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1 가변체(1820)와, 상기 제1 베이스안착부(1710) 상에 슬라이딩방식으로 구동되는 제2-2 가변체(1830)를 포함하는 제2 외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1 가변체(1720)와 상기 제1-2 가변체(1730)는 상기 제1-1 수직구조부(1530)를 사이에 두고 푸시하여 가압 고정하며, 상기 제2-1 가변체(1820)와 상기 제2-2 가변체(1830)는 상기 제2-1 수직구조부(1630)를 사이에 두고 푸시하여 가압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1 수직구조부(1530)는 하부가 상부보다 확관된 형태인 제1 확관체(15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확관체(1531)는 상기 제1 베이스안착부에 평탄한 상태로 안착되어 삽입되며, 상기 제1-1 가변체(1720)와 상기 제1-2 가변체(17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확관체(1531)의 양측 상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제1-1 수직구조부(1530)를 푸시하여 가압고정하는 제1 동작상태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제2-1 수직구조부(1630)는 하부가 상부보다 확관된 형태인 제2 확관체(163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확관체(1631)는 상기 제2 베이스안착부에 평탄한 상태로 안착되어 삽입된다. 상기 제2-1 가변체(1810)와 상기 제2-2 가변체(1820)는 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확관체(1631)의 양측 상부를 경유하면서 상기 제2-1 수직구조부(1630)를 푸시하여 가압고정하는 제2 동작상태로 구현된다.
이때, 상기 제1-2 수평구조부(1520)는 상기 제1-1 수평구조부(1510)에서 일정높이 상부 또는 하부로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2 수평구조부(1620)는 상기 제2-1 수평구조부(1610)에서 일정높이 상부 또는 하부로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2 수평구조부(1520)와 상기 제2-2 수평구조부(1620)는 상기 제1 동작상태와 상기 제2 동작상태에서 각기 상기 제1-1 수평구조부(1510)와 상기 제2-1 수평구조부(1610)에서 상부로 구동되어, 상기 제1 베이스안착부(1710)와 상기 제2 베이스안착부(1810)에 당김힘에 기반하는 고정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모듈(1000)은, 상기 받침패널부(1200)의 하부에 결속되는 위치조정구동부(1910)와, 상기 위치조정구동부(191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 간에 유동 및 진퇴유동 되는 제1 유동바(1920)와, 상기 위치조정구동부(1910)의 타측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 간에 유동 및 진퇴 유동되는 제2 유동바(1930)와, 상기 제1 유동바(1920)에 구비되어 제1 동작상태에서 상기 제1-1 가변체(1720)와 상기 제1-2 가변체(1730)를 둘러싸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제1 외곽고정체(1740)와, 상기 제2 유동바(1930)에 구비되어 제2 동작상태에서 상기 제2-1 가변체(1820)와 상기 제2-2 가변체(1830)를 둘러싸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제2 외곽고정체(18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유동바(1920)와 상기 제2 유동바(1930)는 상하방향 간에 위치조절 되어, 상기 제1 외곽고정체(1740)와 상기 제2 외곽고정체(1840)가 높이 조절된 이후, 상기 제1 유동바(1920)와 상기 제2 유동바(1930)는 각각 기 설정됨 범위로 상기 외측으로 전진하거나 내측으로 후퇴함으로써 상기 제1-1 가변체, 상기 제1-2 가변체, 상기 제2-1 가변체 및 상기 제2-2 가변체에 대한 밀어냄 또는 당김힘을 가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 외곽고정체(1740)는, 상기 제1 유동바(1920)에 직접 연결되는 제1-1 고정몸체(1741)와, 상기 제1-1 고정몸체(1741)에서 전후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1 고정몸체(1741)와 함께 상기 제1-1 수직구조부(153)를 눌러 가압하는 제1-2 고정몸체부(17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외곽고정체(1840)는, 상기 제2 유동바(1930)에 직접 연결되는 제2-1 고정몸체(1841)와, 상기 제2-1 고정몸체(1841)에서 전후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1 고정몸체(1841)와 함께 상기 제2-1 수직구조부(1630)를 눌러 가압하는 제2-2 고정몸체부(1842)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모듈(1000)은 상기 하부몸체(104)의 저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웃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수평구조부(1520)는 양단부 일영역이 상기 제1-2 가변체(1730)에 안착되며, 상기 제2-2 수평구조부(1620)는 양단부 일영역이 상기 제2-2 가변체(1830)에 안착되며, 상기 제1-1 수직구조부(1530)는 설정힘으로 축회전 구동되며, 상기 제2-1 수직구조부(1630)는 설정힘으로 축회전 구동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절곡장치 102 : 상부몸체
104 : 하부몸체 106 : 연결기둥
108 : 프레스 실린더 110 : 이송판
112 : 연결블럭 114 : 피스톤
116 : 고정블럭 118 : 절곡날
120 : 회전받침대 122 : 브라켓
124 : 고정손잡이 126 : 지지대
128 : 하강버튼 130 : 상승버튼

Claims (9)

  1. 가운데가 연결기둥(106)으로 연결되는 상부몸체(102) 및 하부몸체(104); 아래쪽에 위치한 철판(50)을 누르는 힘을 생성하는 프레스 실린더(108); 상기 프레스 실린더(108)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이송판(110); 상기 철판(50)의 윗면과 접촉하는 절곡날(118); 상기 하부몸체(104)의 상면에 설치되며, 회전받침대(120)의 중심축(120c)이 고정되는 브라켓(122); 및 상기 하부몸체(104)에 결속되는 결속모듈(1000);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모듈(1000)은 상기 하부몸체(104)에 직접 결속되는 소정의 결속패널부(1100)와, 상기 결속패널부(1100)가 안착되는 받침패널부(1200)상에서 한 쌍의 패널 형태로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사이에두도록 전후 방향 각각에 구비되며, 전후 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면서 눌러 가압하는 제1-1 가압패널부(1310)와, 제1-2 가압패널부(1320)와, 상기 받침패널부(1200)에서 한 쌍의 패널 형태로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 각각에 구비되며, 좌우 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기 결속패널부(11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눌러 유동되면서 눌러 가압하는 제2-1 가압패널부(1410)와, 제2-2 가압패널부(1420)를 포함하는 철판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받침대(120)는 폭방향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중심축이 하부몸체(104)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누운 상태로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누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측의 브라켓(122)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라켓(122)에 고정손잡이(124)가 설치되어 고정손잡이(124)를 풀거나 조여서 회전받침대(120)를 회전 및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받침대(120)는 원통몸체(120a)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절곡홈(120b)을 형성하되, 절곡홈(120b)에 대해 오른쪽 측면부터 반시계방향으로 30°, 60°, 90°의 각도로 각각 형성하고 가운데 아래쪽으로 원호 모양의 절곡홈(120b)이 형성되며, 원통몸체(120a)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를 설정한 후 철판(50)을 절곡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몸체(104)의 상면에는 지지대(126)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126)는 절곡날(118)과 회전받침대(120)가 위치한 곳을 중심으로 철판(50)의 투입구의 반대편에 위치시켜 절곡날(118)과 회전받침대(120)의 사이를 지나서 투입된 철판(50)의 가장자리와 닿도록 설치되어 투입되는 철판(50)의 투입방향 앞쪽의 가장자리와 닿으면서 철판(50)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26)는 단면이 "ㄴ"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철판의 앞쪽 가장자리의 앞면과 밑면에 동시에 닿게 함으로써 철판(50)의 앞쪽이 더 전진하거나 아래로 쳐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설치되고,
    단면이 "ㄴ"자 모양인 상기 지지대(126)에 대해 지면에 평행한 변을 제1지지면(126a)이라 하고, 지면에 수직인 변을 제2지지면(126b)이라고 할 때, 제2지지면(126b)에는 표면에 도전체가 닿으면 전류의 이동상태를 감지하여 도전체의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전류센서(126d)와 물체가 닿으면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접촉 여부를 확인하는 압력센서(126c)를 설치하되 철판(50)과 닿는 제2지지면(126b)의 앞면에 설치되고,
    상기 철판(50)이 절곡장치 내부로 투입되어 앞쪽 가장자리가 지지대(126)에 닿으면, 제어부에서 철판(50)의 투입 여부를 전류센서(126d)와 압력센서(126c)로부터 감지하여 확인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26)에는 전자석(126e)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전류센서(126d)와 압력센서(126c)를 통해 철판(50)의 투입을 감지한 경우 철판(50)이 투입된 상태에서만 전자석을 동작시켜 전자석(126e)의 자기력에 의해 철판(50)이 지지대(126)에 붙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철판(5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철판 절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46752A 2020-04-17 2020-04-17 철판 절곡장치 KR102163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52A KR102163838B1 (ko) 2020-04-17 2020-04-17 철판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52A KR102163838B1 (ko) 2020-04-17 2020-04-17 철판 절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838B1 true KR102163838B1 (ko) 2020-10-12

Family

ID=7288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752A KR102163838B1 (ko) 2020-04-17 2020-04-17 철판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83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109A (zh) * 2021-07-19 2021-10-15 江苏澳洋顺昌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汽车门板制造用薄钢板定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976681A (zh) * 2021-09-09 2022-01-28 南通恩迪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钣金件生产用弯折设备
KR102388650B1 (ko) 2021-10-22 2022-04-20 (주)에이텍 전기차 배터리 팩용 스틸박판의 다단 절곡장치 및 그 절곡방법
KR102429212B1 (ko) * 2022-02-03 2022-08-03 최명철 피가공물 내측 지지가 가능한 프레스 시스템
KR102447449B1 (ko) * 2022-02-07 2022-09-23 김성영 금속판재의 곡면 및 절곡가공 겸용 벤딩장치
KR102468677B1 (ko) * 2022-02-07 2022-11-17 김성영 금속판재의 곡면가공용 벤딩장치
KR102487615B1 (ko) * 2022-04-28 2023-01-12 이주호 철판 성형 장치
CN116786643A (zh) * 2022-03-04 2023-09-22 赵健 一种铝型材弯折成型系统
CN117732961A (zh) * 2024-01-25 2024-03-22 开平市诚瑞丰科技有限公司 一种弧形钣金工件冲压模具及其冲压设备
CN113500109B (zh) * 2021-07-19 2024-06-04 江苏澳洋顺昌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汽车门板制造用薄钢板定型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848A (ko) * 1996-08-16 1998-05-25 김광호 냉장고의 도아용 철판 벤딩장치
KR20050082316A (ko) * 2004-02-18 2005-08-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벤딩용 지그
KR20100127937A (ko) * 2009-05-27 2010-12-07 조현식 절곡기용 금형
KR20110095826A (ko) * 2010-02-19 2011-08-25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코루게이트 핀 제조장치
KR101844195B1 (ko) 2017-11-14 2018-03-30 주영재 철판 절곡장치
JP2018069250A (ja) * 2016-10-24 2018-05-10 有限会社ティワイアソシエイツ 曲げ加工装置
KR101941894B1 (ko) * 2018-06-26 2019-04-12 동양철관 주식회사 프레스 성형공정을 이용한 고품질 파이프 제조장치
KR102099302B1 (ko) * 2019-12-07 2020-04-09 주식회사 무진상사 타공장치
KR102123334B1 (ko) * 2020-03-16 2020-06-16 홍유길 태양광 모듈용 유체처리수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848A (ko) * 1996-08-16 1998-05-25 김광호 냉장고의 도아용 철판 벤딩장치
KR20050082316A (ko) * 2004-02-18 2005-08-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벤딩용 지그
KR20100127937A (ko) * 2009-05-27 2010-12-07 조현식 절곡기용 금형
KR20110095826A (ko) * 2010-02-19 2011-08-25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코루게이트 핀 제조장치
JP2018069250A (ja) * 2016-10-24 2018-05-10 有限会社ティワイアソシエイツ 曲げ加工装置
KR101844195B1 (ko) 2017-11-14 2018-03-30 주영재 철판 절곡장치
KR101941894B1 (ko) * 2018-06-26 2019-04-12 동양철관 주식회사 프레스 성형공정을 이용한 고품질 파이프 제조장치
KR102099302B1 (ko) * 2019-12-07 2020-04-09 주식회사 무진상사 타공장치
KR102123334B1 (ko) * 2020-03-16 2020-06-16 홍유길 태양광 모듈용 유체처리수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0109A (zh) * 2021-07-19 2021-10-15 江苏澳洋顺昌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汽车门板制造用薄钢板定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500109B (zh) * 2021-07-19 2024-06-04 江苏澳洋顺昌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汽车门板制造用薄钢板定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976681A (zh) * 2021-09-09 2022-01-28 南通恩迪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钣金件生产用弯折设备
KR102388650B1 (ko) 2021-10-22 2022-04-20 (주)에이텍 전기차 배터리 팩용 스틸박판의 다단 절곡장치 및 그 절곡방법
KR102429212B1 (ko) * 2022-02-03 2022-08-03 최명철 피가공물 내측 지지가 가능한 프레스 시스템
KR102447449B1 (ko) * 2022-02-07 2022-09-23 김성영 금속판재의 곡면 및 절곡가공 겸용 벤딩장치
KR102468677B1 (ko) * 2022-02-07 2022-11-17 김성영 금속판재의 곡면가공용 벤딩장치
CN116786643A (zh) * 2022-03-04 2023-09-22 赵健 一种铝型材弯折成型系统
KR102487615B1 (ko) * 2022-04-28 2023-01-12 이주호 철판 성형 장치
CN117732961A (zh) * 2024-01-25 2024-03-22 开平市诚瑞丰科技有限公司 一种弧形钣金工件冲压模具及其冲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838B1 (ko) 철판 절곡장치
WO2020029988A1 (zh) 钢筋弯弧弯曲机
KR101576948B1 (ko) 스트레치 벤딩기용 금형유닛
KR100873397B1 (ko) 철근 자동 밴딩 장치
KR101210493B1 (ko) 부스바 절곡 유닛
CN106003235A (zh) 一种塑料板安装定位冲孔机构
KR101696159B1 (ko) 주강 제품 고정용 지그장치
KR101482243B1 (ko) 플랜지를 갖는 블록체의 관통홀 자동 면취장치
CN113646104A (zh) 用于枢转弯折和冲压弯折工件的组合机
KR100431661B1 (ko) 판넬펀칭 프레스 머신
CN104384264A (zh) 折弯机
KR20160145445A (ko) 탈형 데크의 간격재 자동 조립 장치
TWM635027U (zh) 錐筒成形機
CN216095936U (zh) 一种校直机
KR102204030B1 (ko) 전단보강재 용접 장치
CN109433867B (zh) 一种建筑扣件折弯设备及使用方法
KR101528623B1 (ko) 코팬더 머신
CN104481991A (zh) 一种卡扣结构的拆卸装置
CN210997681U (zh) 一种型材加工快速夹具
KR102484767B1 (ko) 금속 플레이트 절곡장치
KR101759025B1 (ko) 차량용 시트 백커버 조립장치
KR101549131B1 (ko) 판넬 리브 용접용 지그
KR20180090561A (ko) 토글클램프
KR200374266Y1 (ko) 고주파접착기의 금형 탈착기구
KR200248873Y1 (ko) 판넬펀칭 프레스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