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867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867B1
KR102162867B1 KR1020190053175A KR20190053175A KR102162867B1 KR 102162867 B1 KR102162867 B1 KR 102162867B1 KR 1020190053175 A KR1020190053175 A KR 1020190053175A KR 20190053175 A KR20190053175 A KR 20190053175A KR 102162867 B1 KR102162867 B1 KR 102162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air
sliding plate
pipe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욱
Original Assignee
변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욱 filed Critical 변재욱
Priority to KR102019005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斷續)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단속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유닛은, 내부에 실장공간이 구획되며, 상기 음식물 투입부와 연결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출관이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단에 래크 기어(rack gear)가 형성되는 래크 바디와; 상기 밸브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포함하여 상기 래크 바디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유입관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 바디에 대해 상하로 승강되도록 상기 래크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래크 바디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른 직선 왕복이동으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유입관의 하단의 연통이 단속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집단거주 시설에 공동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을 마련해 두고 각 세대와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 간에 이송관으로 연결하여 진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흡인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에 따라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의 집단거주 시설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위하여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종량 봉투에 모아 두었다가 옥외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로 투기하고 있다.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종량 봉투에 모아 두고 투기하는 과정에서 음식쓰레기에서 풍기는 악취나 해충 서식요건의 제공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또 옥외로 들고 나가 버리는 과정에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음식물 쓰레기 냄새 등으로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단거주 시설에 공동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을 마련해 두고 각 세대와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 간에 이송관으로 연결하여 진공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흡인하여 음식물 쓰레기 집하시설로 집하하는 중앙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대해 특허출원을 진행하여 등록받은 바가 있다.
그런데, 집하시설에서 공기를 흡인하여 한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할 때,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처리 장치에서 이송관으로 공기의 이동이 일어나고, 이때 공기 이동에 따른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개폐 밸브가 작동하게 되는데, 개폐 밸브는 개구부를 구비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직선 왕복이동하면서 개구부와 유출관과 연결을 단속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임시 저장하거나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개폐 밸브의 경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반복적인 직선 왕복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조작 기구가 복잡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스크레이핑(scraping)이 잘 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9502호(2018년06월20일 공고)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임시 저장 또는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작동 기구를 보다 단순화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스크레이핑(scraping)를 잘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송관 내의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이송관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 이동에 따른 소음을 소거할 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斷續)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단속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유닛은, 내부에 실장공간이 구획되며, 상기 음식물 투입부와 연결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출관이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단에 래크 기어(rack gear)가 형성되는 래크 바디와; 상기 밸브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포함하여 상기 래크 바디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유입관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 바디에 대해 상하로 승강되도록 상기 래크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래크 바디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른 직선 왕복이동으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유입관의 하단의 연통이 단속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개폐유닛은, 일단에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경사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이동 롤러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경사블록은, 상기 경사면이 상기 이동 롤러의 전단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 롤러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는 상기 래크 바디가 삽입하여 관통하는 장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 바디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이 경우, 체결 부재가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기 실장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밀폐튜브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밀폐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상의 가압링 본체와, 상기 가압링 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밀폐튜브의 단턱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가압링 본체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가압링과; 상기 실링부에 고정되며, 상기 실링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유입관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을 닦아내는 링 형상의 스크레이퍼(scraper)와;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스크레이퍼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기 실장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과; 공기 유입관과, 상기 공기 유입관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이 상기 공기 유입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관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관의 공기 흡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재(消音材)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부 하부의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소음부(消音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상기 공기 유입관과 연통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재는,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소음재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소음부는, 다수의 제2 공기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재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3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와,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소음재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4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음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부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는,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커버는,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 본체와, 상기 판형 커버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판형 커버 본체가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는, 상기 공기 유입관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의 임시 저장 또는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작동 기구를 보다 단순화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스크레이핑(scraping)를 잘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송관 내의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이송관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 이동에 따른 소음을 소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소음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소음부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작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소음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소음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는, 개폐유닛(10′, 10″),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 연결슬리브(14), 이송관(16), 본체 하우징(18), 중량 측정부(20), 음식물 쓰레기(22), 공기 유로(70), 투입부 하우징(72), 공기 유입관(74), 제1 공기이동공(76), 공기유입 플랜지(78), 공기 유입부(80), 소음부(82), 연결관(84), 연결부(85), 소음재(86), 관통부(87), 소음재 고정부(90), 원통부(92), 제2 공기이동공(94), 제3 공기이동공(96), 외부 플랜지(100), 내부 플랜지(102), 제4 공기이동공(104), 연결부 플랜지(106), 판형 커버(108), 판형 커버 본체(110), 탄성부(112), 호퍼부(114), 덮개부(11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이송관(16)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22)를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22)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에 개재되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斷續)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단속하는 개폐유닛(10)을 포함하는데, 상기 개폐유닛(10)은, 내부에 실장공간(23)이 구획되며, 상기 음식물 투입부(12)와 연결되는 유입관(24) 및 상기 유입관(24)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출관(26)이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27)과; 상단에 래크 기어(30)(rack gear)가 형성되는 래크 바디(28)와; 상기 밸브 하우징(27)에 장착되고, 상기 래크 기어(30)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2)(pinion gear)를 포함하여 상기 래크 바디(28)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34)와; 상기 유입관(24)에 상응하는 개구부(36)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 바디(28)에 대해 상하로 승강되도록 상기 래크 바디(28)에 결합되며, 상기 래크 바디(28)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른 직선 왕복이동으로 상기 개구부(36)와 상기 유입관(24)의 하단의 연통이 단속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8)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내부에 공기 유로(70)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72)과; 공기 유입관(74)과, 공기 유입관(74)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76)이 공기 유입관(7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입 플랜지(78)를 포함하며, 공기 유로(70)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부(80)와; 공기 유입관(74)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결관(84)과; 연결관(84)의 외주에 배치되며 이송관의 공기 흡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재(86)를 포함하며, 공기 유입부(80) 하부의 공기 유로(70) 상에 배치되는 소음부(8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집단거주 시설이 각 세대에 설치될 수 있고, 각 세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중앙 집하시설에 위치하는 흡인기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관(16)에 각각 연결된다. 중앙 집하시설에 위치한 흡인기의 작동에 따라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가 집하시설로 이송된다.
한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를 중앙 집하시설로 이송하는 방법은, 다른 세대의 이송관(16)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흡인기를 작동시켜 이송관(16) 내를 공기를 흡인하여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가 개방되면서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가 이송관(16)을 따라 이동하여 중앙 집하시설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두 개의 개폐유닛(10′, 10″)을 상하로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폐유닛(10′, 10″)을 상하로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22)를 이송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22)의 흡인 과정에서 타 세대에 흡인에 따른 기류적 영향을 제거하여 보다 정확히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하의 개폐유닛을 각각 제1 개폐유닛(10′)과 제2 개폐유닛(10″)이라고 한다.
본체 하우징(18)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제1 개폐유닛(10′), 제2 개폐유닛(10″), 중량측정부(20) 등이 내부에 내장된다.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본체 하우징(18)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22)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해 본체 하우징(18)의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이송관(16)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騷音)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본체 하우징(18)의 상부에 위치한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연결슬리브(14)를 통해 제1 개폐유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슬리브(14)는 벨로우즈 관이나 고무관과 같이 플렉서블한 관으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유입관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플렉서블한 연결슬리브(14)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개폐유닛(10′)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하며, 음식물 쓰레기(22)가 임시 수용된다. 한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22)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로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22)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해 제1 개폐유닛(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중량측정부(20)는 제1 개폐유닛(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22)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제1 개폐유닛(10′)과 제2 개폐유닛(10″)이 동시에 개방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가 이송관(16)과 기류적으로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제1 개폐유닛(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22)가 제2 개폐유닛(10″)을 거쳐 이송관(16)으로 이송되게 된다.
그런데, 한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 측정이 이루어질 때 다른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송관(16)의 내부가 일시적으로 진공상태가 되면서 이송관(16)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기류적으로 영향을 미쳐 음식물 쓰레기(22)의 정확한 중량의 측정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 중에도 음식물 쓰레기(22) 중량 측정에 기류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개폐유닛(10′)의 후단에 배치된 제2 개폐유닛(10″)을 닫아 제1 개폐유닛(10′)과 이송관(16)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절시킨 상태에서 제1 개폐유닛(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개폐유닛(10″)이 닫힌 상태에서는 다른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이 이루어지더라도 이송관(16)과 제1 개폐유닛(10′)의 기류적 연결이 끊겨 있기 때문에 제1 개폐유닛(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에 개재되는 개폐유닛(10)을 포함한다. 각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22)의 중량을 정확히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에 두 개의 개폐유닛(10′, 10″)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개폐유닛(10)을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각 세대의 싱크대에 결합될 수 있고,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22)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로 투입된다.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의 하단과 이송관(16) 사이에는 개폐유닛이 개재되어 결합될 수 있다. 개폐유닛은 음식물 쓰레기(22)의 임시 저장과 이송을 위하여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한다.
여기서, 기류적(氣流的) 연결이 단속(斷續)된다는 의미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 사이에 서로 연통(連通)을 단속하는 개폐유닛이 배치되고 개폐유닛의 개방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이송관(16)이 연통되어 기류적으로 연결되거나, 개폐유닛이 닫힌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과 이송관(16)이 연통이 끊겨 기류적인 연결이 끊기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22)를 처리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22)를 투입하면 음식물 쓰레기(22)는 개폐유닛에 임시 수용된다. 음식물 쓰레기(22)가 개폐유닛에 임시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22) 처리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22) 장치를 작동시키면 개폐유닛이 개방되면서 이송관(16)의 공기가 흡인되면서 음식물 쓰레기(22)가 수거된다.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22) 처리 장치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통해 이송관(16)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일어나고 유입된 공기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22)가 이송관(16)을 통해 집하시설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에서의 공기 유입 과정에서 소음(騷音)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이러한 소음을 소거하면서 공기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투입부 하우징(72)과, 공기 유입부(80)와, 소음부(82)를 포함한다.
투입부 하우징(72)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유로(70)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이 일어나면,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 유입부(80)를 통해 연결관(84)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개폐유닛을 거쳐 이송관(16)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 유입부(80)는,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 상에 배치되어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를 이송관(16)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기 유입관(74)과, 공기 유입관(74)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76)이 공기 유입관(7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입 플랜지(78)를 포함한다.
공기 유입관(74)은 후술한 연결관(84)과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제1 공기이동공(76)을 통과한 공기가 공기 유입관(74)을 통해 연결관(84)으로 이동된다.
공기유입 플랜지(78)는 공기 유입관(74)의 외주에서 연장되며,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76)이 공기 유입관(7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를 통해 상향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공기유입 플랜지(78)의 제1 공기이동공(76)을 통해 공기 유입관(74)으로 유입된다. 공기유입 플랜지(78)는 후술할 호퍼부(114)의 외면에 상응하여 공기 유입관(74)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경사를 이룬 콘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16)에서 공기 흡인이 이루어지면서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입 플랜지(78)의 제1 공기이동공(76)을 관통하여 이송관(16)과 기류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85)로 유입이 이루어진다.
한편, 공기유입 플랜지(78)는,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10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판형 커버(10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 본체(110)와, 판형 커버 본체(1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공기유입 플랜지(78)에 결합되어 판형 커버 본체(110)가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12)를 포함한다.
탄성부(112)의 탄성력에 의해 판형 커버 본체(110)가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가압하여 덮은 상태로 있다가, 이송관(16) 내의 공기를 흡입하면 소음부(82)에서 소음이 소거된 공기가 탄성부(11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판형 커버 본체(110)를 들어올리면서 연결관(84)으로 유입된다. 공기의 흡인이 멈추면 탄성부(112)의 탄성력에 의해 판형 커버 본체(110)가 다시 제1 공기이동공(76)의 상단을 덮개 된다.
소음부(82)(消音部)는, 공기 유입부(80)와 개폐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 유입에 따른 소음(騷音)을 소거하기 구성으로서, 연결부(85)와 소음재(86)(消音材)를 포함한다.
연결부(85)는, 공기 유입부(80)의 공기 유입관(74)과 개폐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연결관(84)이 공기 유입관(74)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된다. 연결관(84)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22)가 개폐유닛으로 투입된 후 공기 흡인에 따라 연결관(84)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음식물 쓰레기(22)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부(8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84)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4 공기이동공(104)이 형성되며 연결관(84)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소음재(86)의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부 플랜지(106)를 포함한다.
소음재(86)는, 공기 유입부(80) 하부의 공기 유로(70) 상에 배치되어 공기 유입에 따른 소음을 소거하는 구성으로서, 연결관(84)의 외주에 배치되며 이송관(16) 내의 공기 흡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킨다. 이송관(16) 내부의 공기의 흡인이 이루어지면, 외부의 공기가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를 통해 이송관(16) 내부로 유입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 상에 소음재(86)를 배치하여 공기의 이동 과정에서 소음을 소거한다. 소음이 소거된 공기는 공기 유입부(80)를 통해 연결관(84)을 거쳐 이송관(16)으로 이동한다.
소음재(86)는 내부에 다수의 공기층이나 복잡한 공기 이동 경로를 형성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이동 속도를 늦추어 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 부재로서, 폴리에스터,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등을 발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부(82)가 도시되어 있는데, 소음부(82)를 모듈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 소음부(82)는, 다수의 제2 공기이동공(94)이 형성되고, 소음재(86)의 관통부(87)에 삽입되는 원통부(92)와, 원통부(92)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3 공기이동공(96)이 형성되며 원통부(9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100)와, 연결관(84)이 삽입되도록 원통부(9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102)를 포함하는 소음재 고정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85)는, 연결관(84)과, 연결관(84)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플랜지(106)로 구성되고, 소음재 고정부(90)는, 원통부(92)와, 원통부(9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100)와, 원통부(92)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102)로 구성되며, 소음재(86)는 내부에 관통부(87)가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소음재(86)의 관통부(87)에 소음재 고정부(90)의 원통부(92)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연결부(85)의 연결관(84)을 소음재 고정부(90)의 내부 플랜지(102)의 관통시킨 후 볼트 등으로 연결부(85)와 소음재 고정부(90)를 체결하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듈 형태의 소음부(82)가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음부(82)에서의 공기의 이동과정을 살펴보면,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이 이루어지면, 소음재 고정부(90)의 외부 플랜지(100)의 제3 공기이동공(96)와, 원통부(92)의 제2 공기이동공(9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소음재(86)를 관통하면서 소음이 소거되어 연결부 플랜지(106)의 제4 공기이동공(104)으로 유출된다. 제4 공기이동공(104)에서 유출된 소음이 소거된 공기는 공기유입 플랜지(78)의 제1 공기이동공(76)을 통해 연결관(84)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듈 형태의 소음부(82)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 하우징(72)의 공기 유로(70) 상의 공기 유입부(80)의 하단에 배치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관(74)과 연통되며 음식물 쓰레기(22)가 투입되는 호퍼부(114)와; 호퍼부(114)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퍼부(114)는 상하가 관통되는 종단면이 V자 형태의 용기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호퍼부(114)에 투입하면 연결관(84)을 거쳐 개폐유닛(10)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22)가 유입된다. 덮개부(116)는 호퍼부(114)의 상단을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폐합 시에는 음식물 쓰레기(22)의 냄새가 해당 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부(116)가 덮힌 상태에서 이송관(16) 내부의 공기 흡인이 이루어지며 호퍼부(114) 하단에 위치한 공기 유입부(80)를 통해 공기가 이송관(16) 내부로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10)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폐유닛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작동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에는, 개폐유닛(10), 유입관(24), 유출관(26), 밸브 하우징(27), 래크 바디(28), 래크 기어(30), 장공(31), 피니언 기어(32), 체결부재(33), 구동부(34), 개구부(36),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이동 롤러(40), 장착구(42), 경사면(44), 경사블록(46), 밀폐튜브(48), 연결부(50), 가압링 본체(52), 실링부(54), 가압링(56), 밀폐링(60), 실링재(62), 탄성부재(64), 스크레이퍼(66), 가이드튜브(68)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10)은 기류적 연결의 단속을 위하여 기류적 밀폐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개폐유닛(10)은, 밸브 하우징(27), 래크 바디(28), 구동부(34)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38)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27)은 개폐유닛(10)의 외관을 구성하며, 각 구성부품이 밸브 하우징(27)의 실장공간(23)에 배치된다. 밸브 하우징(27)의 상측과 이에 대향하는 하측에는 유입관(24) 및 유출관(26)이 배치되는데, 유입관(24)은 음식물 쓰레기(22)가 유입되는 입구이고, 유출관(26)은 음식물 쓰레기(22)가 유출되는 출구를 구성한다. 밸브 하우징(27)의 유입관(24)은 연결슬리브(14) 등으로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래크 바디(28)는,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38)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직선 왕복이동을 유도하는데, 그 상단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직선 왕복이동 방향으로 래크 기어(30)(rack gear)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34)는, 밸브 하우징(27)에 장착되고, 래크 기어(30)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2)(pinion gear)를 포함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래크 바디(28)를 직선 왕복이동시킨다. 구동부(34)는 래크 기어(30)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2)를 구비하고, 피니언 기어(3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래크 바디(28)를 왕복 직선이동시킨다. 구동부(34)에는 피니언 기어(32)에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와 피니언 사이에 회전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래크 바디(28)에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32)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30)가 왕복 직선이동을 하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8)를 왕복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8)에는 유입관(24)에 상응하는 개구부(36)가 형성되는데, 개구부(36)가 유입관(24)의 하단과 일치되어 개폐유닛(10)이 개방되거나, 개구부(36) 이외의 부분이 유입관(24)의 하단을 커버하여 개폐유닛(10)을 닫게 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8)는 동일 평면 상을 왕복 직선이동하는 래크 바디(28)에 대해 상하로 승강되도록 래크 바디(28)에 결합되는데, 래크 바디(28)의 왕복 직선이동에 연동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유입관(24)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도 7은 유입관(24)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래크 바디(28)가 왼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하향으로 하강되고, 하강된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개구부(36)가 유입관(24)의 하단과 일치되면서 이송관(16)와 기류적으로 연통되면서 유입관(24)의 하단을 개방하게 된다.
도 8은 유입관(24)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래크 바디(28)가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상향으로 승강되고, 승강된 슬라이딩 플레이트(38)는 유입관(24)을 기류적으로 단절하면서 유입관(24)을 폐쇄하게 된다.
도 9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플레이트(38)와 래크 바디(28)의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8)에는 래크 바디(28)가 삽입하여 관통하는 장착구(42)가 형성되어 래크 바디(28)가 장착구(42)에 장착되고, 래크 바디(28)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31)이 형성되어 래크 바디(28)가 장착구(42)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33)가 장공(31)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8)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래크 바디(28)에 대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승강할 때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체결된 채결부재(33)가 장공(31)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는데, 체결부재(33)로 사용된 볼트의 볼트 머리의 크기는 장공(31)의 폭보다 커서 래크 바디(28)가 슬라이딩 플레이트(38)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양측단에는 이동 롤러(40)가 결합되는데,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왕복 직선이동에 따라 이동 롤러(40)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마찰을 줄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에 각각 2개씩 4개의 이동 롤러(40)가 배치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왕복 직선이동과 연동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을 유도하기 위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하부에는 경사블록(46)이 마련된다. 경사블록(46)의 일단에는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44)이 형성되는데,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경사블록(46)의 경사면(44)을 타고 오르거나 내려오면서 왕복 직선이동과 함께 상하 방향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블록(46)의 경사면(44)이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이동 롤러(40)의 전단을 향하도록 각 이동 롤러(40)의 전단에 경사블록(46)을 배치한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작동 기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0는 개폐유닛(10)이 닫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개폐유닛(10)이 열리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1의 열리는 상태를 설명하면,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3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이동 롤러(40)가 회전하면서 전단에 위치한 경사블록(46)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지속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동 롤러(40)가 경사블록(46)의 경사면(44)을 타고 올라가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상향으로 상승된다.
이와 반대로, 도 10의 닫히는 상태를 설명하면,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에 따라 래크 기어(30)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동 롤러(40)가 경사블록(46)의 경사면(44)을 타고 내려오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하향으로 하강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상승과 하강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부터 밀폐력이 증강과 해소로 유입관(24)과 이송관(16)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10)은, 유입관(24)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밸브 하우징(27)의 실장공간(23)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밀폐튜브(48)와; 유입관(24)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밀폐튜브(48)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상의 가압링 본체(52)와, 가압링 본체(52)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밀폐튜브(48)의 단턱에 결합되는 연결부(50)와, 가압링 본체(52)의 하단에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실링부(54)를 포함하는 가압링(56)과; 실링부(54)에 고정되며, 실링부(54)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재(62)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으로부터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닫힌 상태에서 유입관(24)의 내부를 밀폐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밀폐튜브(48)는, 밸브 하우징(27)의 내부로 연장되는 유입관(24)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밸브 하우징(27)의 실장공간(23)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된다.
가압링(56)은, 유입관(24)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밀폐튜브(48)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상의 가압링 본체(52)와, 가압링 본체(52)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밀폐튜브(48)의 단턱에 결합되는 연결부(50)와, 가압링 본체(52)의 하단에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실링부(54)로 구성된다.
가압링(56)은 밀폐튜브(48)에 결합되어 있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승강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상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이 해제되면서 기류적 단속을 수행하게 된다.
링 형상의 가압링 본체(52)는 유입관(24)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밀폐튜브(48)와 유입관(24)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링 형상의 가압링 본체(52)의 상단에는 외주를 따라 밀폐튜브(48)의 단턱에 결합되는 연결부(50)가 연장되어 있고, 가압링 본체(52)의 하단에는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에 대향하는 실링부(54)가 연장되어 있다.
밀폐튜브(48)의 단턱과 가압링의 연결부(50) 사이에는 링 형상의 밀폐링(60)의 개재될 수 있는데, 밀폐링(60)이 개재된 상태에서 밀폐튜브(48)의 단턱과에 가압링의 연결부(50)가 결합되어 밀폐를 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54)에는 링 형상의 실링재(62)가 고정되며, 실링재(62)가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과 실링부(54)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밀폐링(60)와 실링재(62)에 의해 개폐유닛(10)이 닫힌 상태에서 유입관(24)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유닛(10)을 닫기 위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직선이동하면서 상향으로 상승하여 가압링(56) 하부의 실링재(62)를 가압하면서 밀폐력이 증진되고, 반대로, 개폐유닛(10)을 개방하기 위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반대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하향으로 하강하여 가압링(56) 하부의 실링재(62)의 가압을 해소하면서 밀폐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본 개폐유닛(10)은, 유입관(24)이 내부로 삽입되며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상면을 닦아내는 링 형상의 스크레이퍼(66)(scraper)와; 스크레이퍼(66)가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을 가압하도록 스크레이퍼(66)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으로부터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을 닦아낼 수 있다.
개폐유닛(10)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22)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12) 및 유입관(24)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에 놓이게 되는데 사용 과정에서 각종 음식물 쓰레기(22)의 찌꺼기가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에 고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직선 왕복운동과정에서 스크레이퍼(66)가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상면을 닦아 내도록 구성한 것이다.
스크레이퍼(66)는 유입관(24)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상면을 향하는 스크레이퍼(66)의 하단에 날이 서도록 외면에 하향으로 경사면(44)이 형성된다. 탄성부재(64)는 밸브 하우징(27)의 실장공간(23)의 상면과 스크레이퍼(66)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스크레이퍼(66)의 하단이 슬라이딩 플레이트(38)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스크레이퍼(66)를 탄성지지한다.
탄성부재(64)에 의해 스크레이퍼(66)의 하단이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스크레이퍼(66)가 슬라이딩 플레이트(38) 상면의 음식물 쓰레기(22) 찌꺼기를 닦아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64)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형태를 제시한다.
한편, 탄성부재(64)로 사용된 코일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을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튜브(68)가 유입관(24)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밸브 하우징(27)의 실장공간(23)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재(64)로 사용된 코일 스프링은 유입관(24)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튜브(68) 내부에 배치되어 그 하단에 있는 스크레이퍼(66)의 상단을 탄성지지하게 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38)가 직선 왕복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 10″: 개폐유닛 12: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
14: 연결슬리브 16: 이송관
18: 본체 하우징 20: 중량 측정부
22: 음식물 쓰레기 23: 실장공간
24: 유입관 26: 유출관
27: 밸브 하우징 28: 래크 바디
30: 래크 기어 31: 장공
32: 피니언 기어 33: 체결부재
34: 구동부 36: 개구부
38: 슬라이딩 플레이트 40: 이동 롤러
42: 장착구 44: 경사면
46: 경사블록 48: 밀폐튜브
50: 연결부 52: 가압링 본체
54: 실링부 56: 가압링
60: 밀폐링 62: 실링재
64: 탄성부재 66: 스크레이퍼
68: 가이드튜브 70: 공기 유로
72: 투입부 하우징 74: 공기 유입관
76: 제1 공기이동공 78: 공기유입 플랜지
80: 공기 유입부 82: 소음부
84: 연결관 85: 연결부
86: 소음재 87: 관통부
90: 소음재 고정부 92: 원통부
94: 제2 공기이동공 96: 제3 공기이동공
100: 외부 플랜지 102: 내부 플랜지
104: 제4 공기이동공 106: 연결부 플랜지
108: 판형 커버 110: 판형 커버 본체
112: 탄성부 114: 호퍼부
116: 덮개부

Claims (14)

  1. 이송관 내의 공기의 흡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와 상기 이송관과의 기류적 연결을 단속(斷續)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을 단속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유닛은,
    내부에 실장공간이 구획되며, 상기 음식물 투입부와 연결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위치하는 유출관이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단에 래크 기어(rack gear)가 형성되는 래크 바디와;
    상기 밸브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래크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포함하여 상기 래크 바디를 직선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유입관에 상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 바디에 대해 상하로 승강되도록 상기 래크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래크 바디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른 직선 왕복이동으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유입관의 하단의 연통이 단속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일단에 하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경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양측단에는 이동 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경사블록은,
    상기 경사면이 상기 이동 롤러의 전단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 롤러의 전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는 상기 래크 바디가 삽입하여 관통하는 장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 바디에는 상하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체결 부재가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기 실장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는 밀폐튜브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밀폐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링 상의 가압링 본체와, 상기 가압링 본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밀폐튜브의 단턱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가압링 본체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가압링과;
    상기 실링부에 고정되며, 상기 실링부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유입관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을 닦아내는 링 형상의 스크레이퍼(scraper)와;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스크레이퍼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유입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상기 실장공간의 상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투입부 하우징과;
    공기 유입관과, 상기 공기 유입관의 외주에서 연장되고 다수의 제1 공기이동공이 상기 공기 유입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 유입부와;
    상기 공기 유입관의 하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관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관의 공기 흡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재(消音材)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부 하부의 상기 공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소음부(消音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투입부는,
    상기 공기 유입관과 연통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상단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재는,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소음재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부는,
    다수의 제2 공기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재의 관통부에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3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플랜지와,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도록 상기 원통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플랜지를 포함하는 소음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주를 따라 다수의 제4 공기이동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소음재의 상단에 위치하는 연결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는,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커버는,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커버하는 판형 커버 본체와, 상기 판형 커버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판형 커버 본체가 상기 제1 공기이동공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 플랜지는,
    상기 공기 유입관의 상부에서 상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190053175A 2019-05-07 2019-05-07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162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75A KR102162867B1 (ko) 2019-05-07 2019-05-07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75A KR102162867B1 (ko) 2019-05-07 2019-05-07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867B1 true KR102162867B1 (ko) 2020-10-07

Family

ID=7288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75A KR102162867B1 (ko) 2019-05-07 2019-05-07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6155A (zh) * 2020-12-04 2021-03-09 温州生贵阀门股份有限公司 可在线调节压力自动静音启闭阀
CN117446377A (zh) * 2023-12-22 2024-01-26 南通优库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能够实现垃圾袋与袋内垃圾分离的垃圾分离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02B1 (ko) 2018-03-08 2018-06-20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02B1 (ko) 2018-03-08 2018-06-20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6155A (zh) * 2020-12-04 2021-03-09 温州生贵阀门股份有限公司 可在线调节压力自动静音启闭阀
CN117446377A (zh) * 2023-12-22 2024-01-26 南通优库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能够实现垃圾袋与袋内垃圾分离的垃圾分离设备
CN117446377B (zh) * 2023-12-22 2024-03-08 南通优库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能够实现垃圾袋与袋内垃圾分离的垃圾分离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8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869502B1 (ko)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6430942B2 (ja) 物質処理装置及び廃棄物コンテナー/分離装置
CN108908373B (zh) 一种垃圾分类回收机器人
KR101896490B1 (ko) 스크랩 수거장치
CA2850936C (en) Material handling system
KR20170093619A (ko) 중량 계측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50110744A (ko) 주입 슈트로부터 폐기 물질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6286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269789B1 (ko) 재료처리장치, 및 쓰레기 용기/분리기구
CN108906769B (zh) 一种医疗消化科硬质内窥镜清洗设备
KR101247566B1 (ko) 도정 부산물의 처리장치
JP2013519609A (ja) 空気式物質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CN201658326U (zh) 具有主模块和清洁头的机器人真空吸尘器
JP6527526B2 (ja) 物質搬送システム内の物質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物質搬送システムの投入点、および物質搬送システム
FI124207B (fi) Menetelmä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uljetta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piste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KR20180101456A (ko) 폐기물을 취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1300172B (zh) 病理一次性刀片处理机
CA2151321C (en) Separating device
KR101114660B1 (ko)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CN212268725U (zh) 齿轮双面清污传送装置
US6152310A (en) Powder supply system and powder supplying unit used in the system
CN208788177U (zh) 一种高效型地板打磨装置
JP3154646U (ja) 汚物廃棄処理装置
EP18207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