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660B1 -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 Google Patents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660B1
KR101114660B1 KR1020110084140A KR20110084140A KR101114660B1 KR 101114660 B1 KR101114660 B1 KR 101114660B1 KR 1020110084140 A KR1020110084140 A KR 1020110084140A KR 20110084140 A KR20110084140 A KR 20110084140A KR 101114660 B1 KR101114660 B1 KR 10111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llection box
collection
base plat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황상근
Original Assignee
장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7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은 상면과 양측면이 일체로 구비되는 바디(11)와 전후면 커버(12, 13) 및 바닥의 베이스 플레이트(14)가 결합되는 하우징(10)과; 상향 개방되는 박스형상이 전후로 양분되도록 하여 전방함(21)과 후방함(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함(21)의 전면에는 하부 커버(200)가 결합되며, 상기 전방함(21)의 전면측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수거함(20)과; 상기 수거함(20)의 양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와 상기 바디(11)의 상면측 고정판(32)에 각각 베어링 결합되어 한 쌍의 스크류축(33)에 상단부의 양측으로 돌출시킨 너트블록(31)이 각각 나사결합되어 승하강 작용하는 가압블록(30)과; 상기 스크류축(33)의 하단부와 동력전달수단(41)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모터(40)와; 상기 구동모터(40)와 상기 수거함(20)이 구비되는 공간을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블록(30)의 상기 너트블록(31)에 일단이 연결된 레일가이드(34)의 타단이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되는 가이드 격판(5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서 상기 전면 커버(12)의 상부측 커버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어 개폐되는 도어(60)와;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가압블록(30)의 승하강 작용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Multipurposes separation basket of pressure type}
본 발명은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구동에 의해 수거함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구비되는 볼스크류를 회전시켜 이 볼스크류에 너트 결합된 압력블럭이 수거함의 내부로 하강하면서 하강 높이와 함께 압력을 체크하여 일정 높이까지 지속적으로 일반 쓰레기 또는 분리된 재활용 쓰레기를 압축시키도록 하고, 압축된 쓰레기가 채워진 쓰레기 봉투를 손쉬운 조작에 의해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경제적인 유지 관리와 분리 시 수거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는 재활용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 및 폐기 쓰레기로 구분하여 분리 수거되도록 한다.
이중 재활용 쓰레기는 재활용 용도에 따라서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므로 통상 재질에 따라 다시 분리되도록 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와 폐기 쓰레기는 지정된 규격봉투를 활용하여 수거되도록 하고 있다.
봉투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채우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자체적으로 물이 많이 생겨 비록 채우기 전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탈수처리를 한다해도 시간이 지나면서 음식물로부터는 지속적으로 물을 생성하게 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
다만 일반 폐기물 쓰레기는 수거되는 상태에 따라서 수거량이 대단히 달라질 수가 있는데 현재는 대부분 인위적으로 눌러 부피가 줄어들도록 하고 있다.
특히 편의점 등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쓰레기를 투척하므로 이를 관리하지 않게 되면 규격봉투인 쓰레기 봉투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모터 구동에 의해 압력블록을 승강시켜 일정 압력으로 쓰레기를 가압하도록 하므로서 규격봉투에 최대한 많은 양의 쓰레기가 압축될 수 있도록 하여 쓰레기봉투 사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가 있게 하므로서 보다 경제적인 쓰레기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과 쓰레기봉투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취급과 사용이 편리한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과 양측면이 일체로 구비되는 바디의 전후면에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전후면 커버들은 바닥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 결합되는 하우징과; 쓰레기 봉투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는 박스형상이고, 전후로 양분되면서 양분되는 경계면 하단부를 축으로 상부가 일정 각도로서 벌어지는 전방함과 후방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함의 전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측 하부를 이루도록 하는 하부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전방함의 전면측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양측에서 하단부와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의 상면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판에 각각 베어링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축에 상단부의 양측으로 돌출시킨 너트블록이 각각 나사결합되고, 상기 수거함에 고정된 상기 쓰레기 봉투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일정 압력으로 쓰레기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바닥은 막히고 내부는 빈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가압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후면 커버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스크류축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스크류축의 하단부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수거함이 구비되는 공간을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블록의 측방 유동을 방지되게 하면서 상기 가압블록의 상기 너트블록에 일단이 연결된 레일가이드의 타단이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되게하는 가이드 격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상부측 커버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가압블록의 승하강 작용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수거함이 안착되는 판면에는 일정 두께의 충격흡수용 완충고무패드가 부착되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거함의 전방함과 후방함간 경계면의 하부로 배수홀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의 배수용 노브와 상기 배수홀은 연결관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오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거함은 상기 전방함과 후방함간 상단부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전방함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1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함에는 상기 제1 후크에 의해 잠겨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걸림돌기가 돌설되도록 하며, 상기 수거함의 상기 전방함 선단의 적어도 일측면의 하단부에는 제2 걸림돌기가 돌설되도록 하고, 그 하부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걸림돌기를 잠겨지도록 하는 제2 후크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에 구비되는 페달과, 상기 페달 조작에 의해 연동하면서 양측의 단부가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후크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링크 및 상기 페달과 상기 제2 후크간 탄력적으로 거리가 유지되도록 하는 인장형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수거함의 상단부에는 쓰레기 봉투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감싸지도록 한 상태에서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틀이 맞춤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상기 스크류축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하단부와 양측의 상기 스크류축 하단부의 기어간을 벨트로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격판에는 전후방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배기그릴과 상기 배기그릴의 후방에 연결되는 배기팬 및 상기 배기팬을 통해 강제 흡입되어 악취를 필터링하도록 하는 필터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격판에는 승강하는 상기 가압블록의 레일가이드에 의해 접촉되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되도록 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가압블록의 상사점과 하사점의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양측에서 상기 수거함과 상기 가압블록의 양측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상기 스크류축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내측 측면 커버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은 수거함에 수거된 폐기 또는 재활용 쓰레기 등을 모터 구동에 의해 가압블록이 하강하게 되는 높이와 가압하는 일정 압력에 따라 쓰레기를 압축시켜 규격봉투에 효율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규격봉투의 사용 및 구입 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거함에 한계치만큼 채워지게 되면 하강한 가압블록이 더이상 본래의 위치로 상승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도어를 밀더라도 도어가 밀리지 않으면서 쓰레기 봉투의 수거시점을 정확하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폐기 또는 재활용 쓰레기 등을 채운 쓰레기 봉투를 하우징으로부터 간단히 수거함을 인출시키면서 인출된 수거함을 분리시켜 내부로부터 손쉽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의 수거함을 결합한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블록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의 동력전달구조를 예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블록과 가이드 격판의 연결 구조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의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거함을 분리되게 하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를 도시한 요부확대 측면도,
도 9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 쓰레기 봉투를 결합하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서 가압블록이 하사점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서 가압블록이 상사점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 의해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우징(10)과 수거함(20)과 가압블록(30)과 구동모터(40)와 가이드 격판(50)과 도어(60) 및 콘트롤러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다시 바디(11)와 전후면 커버(12,13) 및 베이스 플레이트(14)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바디(11)는 양측으로 일정한 높이의 측면과 이 측면의 상단부간을 상면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박판의 구성이다.
이런 바디(11)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커버(12,13)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들 커버들 중 전방측 전면 커버(12)는 일정한 높이의 상부만을 커버하도록 하고, 이 전면 커버(12)의 양측 하단부로는 일정 높이로 도어 지지 프레임(120)이 구비되도록 한다.
일정 높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전면 커버(12)와는 달리 후방측의 후면 커버(13)는 전체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다만 바닥의 베이스 플레이트(14)는 바디(11)의 양측면 하단과 전면 커버(12)의 도어 지지 프레임(120) 하단 및 후면 커버(13)의 하단이 각각 고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거함(20)은 일정한 내경 즉 규격봉투의 상단부를 상단부 외측으로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규격봉투의 내부로 쓰레기가 담겨질 수 있게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의 수거함을 결합한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쓰레기 규격봉투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는 박스형상이고, 이러한 수거함(20)은 수직으로 양분되면서 전방함(21)과 후방함(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들 전방함(21)과 후방함(22)간 경계부의 하단부간은 경첩(23)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이 경첩(23)을 축으로 상부가 일정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방함(21)과 후방함(22)간 하단부는 경첩(23)으로 연결되도록 하지만 상단부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전방함(21)과 후방함(22)간 연결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며, 도면에서는 전방함(21)측으로 제1 후크(24)가, 후방함(22)측으로는 제1 걸림돌기(25)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수거함(20)은 베이스 플레이트(14)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수거함(20)의 전방함(21)에서 적어도 일측면 하단부에는 수거함(20)의 인출을 잠금 또는 해제시키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되 도면에서는 전방함(21)의 전방 하단부에 제2 걸림돌기(26)가 형성되도록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4)에는 제2 후크(27)가 구비되도록 한다.
다만 제1 후크(24)와 제2 후크(27)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하며, 특히 경첩(23)에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하거나 전방함(21)과 후방함(22)간을 동시에 탄력적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스프링(미도시)을 측면쪽에 구비되도록 하면 후방함(22)이 항상 후방측으로 회전하려는 탄성을 갖게 되므로 잠금수단의 해제 시 전방함(21)과 후방함(22)간 분리가 더욱 간편해진다.
이와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14)측 제2 후크(27)도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수거함(20)이 원위치될 때 수거함(20)측 제2 걸림돌기(26)에 의해 제2 후크(27)가 젖혀졌다 스프링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2 후크(27)에 의해 제2 걸림돌기(26)가 잠겨지도록 한다.
한편 수거함(20)은 쓰레기를 압축 시 변형 방지를 위하여 판면의 외측으로는 요철면을 갖는 보강판(200)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수거함(20)은 전방함(21)의 정면으로는 별도로 하우징(10)의 전면 커버(12)측 하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커버(210)가 결합되도록 하며, 이때 하부 커버(210)는 전면 커버(12)의 하부 양측의 도어 지지 프레임(120) 사이에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거함(20)은 쓰레기 봉투의 상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수거함(20)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감싸지게 씌워지도록 하고, 그 위로 강제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틀(28)이 조립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블록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압블록(30)은 수거함(20)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이루며, 바닥은 막히도록 하여 수거함(20) 내에 채워지는 쓰레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면서 내부는 비게 하여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통형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만 가압블록(30)은 내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는 복수의 리브(300)를 형성한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블록(30)은 상단부의 양측으로 너트블록(31)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너트블록(31)은 수거함(20)의 양측에서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베이스 플레이트(14)와 바디(10)의 상면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판(32) 간으로 각각 베어링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축(33)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때의 가압블록(30)은 수거함(20)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되 수거함(20)에 쓰레기 봉투가 삽입된 상태에서 쓰레기 봉투에 근접하는 사이즈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모터(40)는 가압블록(30)을 승강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 구동모터(40)와 각 스크류축(33)의 하단부간으로는 동력전달수단(41)이 구비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의 동력전달구조를 예시한 저면도로서, 동력전달수단(41)으로는 복수의 기어(410)들 간을 벨트(411)를 이용하여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스프로켓을 이용하여 체인에 의해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다만 구동모터(40)는 하우징(10)의 후면측 즉 수거함(20)의 후방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격판(50)은 수거함(20)과 가압블록(30)의 후방에 구비되도록 하여 내부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면서 가압블록(30)의 승강작용을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블록과 가이드 격판의 연결 구조를 예시한 평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 격판(50)은 베이스 플레이트(14)의 후방으로 구비되는 구동 모터(40)를 수거함(20)과 분리되도록 하면서 특히 가압블록(30)이 측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가압블록(30)에는 가이드 격판(50)을 따라 승강하도록 하는 레일가이드(34)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 격판(50)은 수거함(20)과 구동모터(40)가 구비되는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호 간섭받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어(60)는 하우징(10)의 전면 일부를 이루는 수거함(20)의 상부로 구비되는 전면 커버(12)의 일부 판면이 상단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의 콘트롤러는 구동모터(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우선 가압블록(30)의 승하강 상사점과 하사점은 가이드 격판(40)에서 레일가이드(34)에 의해 온오프 스위칭되도록 하는 리미트 스위치(71)에 의해 체크되도록 하여 가압블록(30)의 승하강 범위가 일정 높이로 한정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71) 대신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컨트롤러는 구동모터(40)에서의 부하값을 체크하여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서 가해지게 되는 압력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즉 가압블록(30)에 의해서 가압되는 압력을 일정하게 규정하고, 이를 컨트롤러에서는 구동모터(40)의 부하값으로 체크하도록 하여 가압블록(30)을 가압하면서 구동모터(40)에 발생되는 부하가 일정값에 도달하게 되면 더이상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동시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원래의 위치로 상승 복귀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가압블록(30)이 하강하면서 눌려지게 되는 압력의 상승에 따라 구동모터(40)에서의 부하값은 점차 높아지게 되므로 일정 부하값에 도달하게 되면 가압은 중단되도록 하면서 즉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가압블록(30)이 최초의 위치로 상승되어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구동모터(40)는 수거함(20)의 인출입을 단속하는 제2 후크(27)와 도어(60)의 상태에 의해서도 구동이 단속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 제2 후크(27)와 도어(60)가 인접하는 구성에는 이들의 작동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 또는 센서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이드 격판(50)에는 수거함(2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 유니트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기 유니트는 가이드 격판(50)의 일정 높이에서 판면을 일정 형상으로 관통되도록 한 배기그릴(51)과, 이 배기그릴(51)의 후방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배기팬(52)의 입구가 배기그릴(51)에 연결되도록 하며, 배기팬(52)의 출구측으로는 필터(53)가 구비되도록 하여 배기그릴(51)과 배기팬(52)을 통해 강제 흡입되는 악취는 필터(53)를 통과하면서 정화되도록 하여 덕트(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거함(20)이 안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의 바닥면으로는 도 7에서와 같이 수거함(20)의 안착 시 충격이나 소음의 방지를 위하여 일정 두께의 충격흡수용 완충고무패드(15)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4)에는 수거함(20)이 안착되는 면의 중앙을 일정 직경으로 수직 관통되도록 하고, 이렇게 수직 관통된 배수홀(16)은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일측면에 장착한 배수용 노브(17)와 연결관(미도시)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이때 배수용 노브(17)의 연결관과 연결되는 일단부와 대응되는 타단부에는 수거함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수관(미도시) 또는 물받이가 연결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는 제2 후크(27)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거함 인출 조작 구조가 구비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 쓰레기통의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를 도시한 요부확대 측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270)는 크게 패달(271)과 링크(272)와 리턴 스프링(273)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링크(272)의 일단은 제2 후크(27)에 축고정되고, 타단은 패달(271)의 내측면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하면서 단순히 접촉되도록 하며, 리턴 스프링(273)은 제2 후크(27)의 하단부와 패달(271)간을 탄력 지지되게 연결시킨 인장 스프링이다.
다만 패달(271)은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므로서 패달(271)의 상부를 밟게 되면 링크(272)의 일단이 패달(271)의 내측면을 타고 더욱 하향 경사지면서 제2 후크(27)를 축고정하는 타단이 일정 각도를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패달(271)의 타단에 축고정되는 제2 후크(27)가 링크(272)의 회전 각도로 회전하면서 결국 제2 후크(27)에 의해 잠겨져 있던 제2 걸림돌기(26)가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서 수거함(20)을 기울여 인출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구성에서 수거함(20)과 가압블록(30)이 구비되는 공간의 바디(11) 양측의 내측면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양측의 스크류축(33)을 안내하면서 수거함(20) 및 가압블록(30)과 바디(11)의 양측 내측면과의 간극이 보다 단축되도록 하므로서 오염 공간이 최대한 축소되게 하는 동시에 도어(60)를 통해 보여지는 내부의 외관이 개선될 수 있도록 내부 측면 커버(8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1은 조작패널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해서는 우선 발을 이용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270)의 패달(271)을 밟게 되면 제2 후크(27)에 의한 제2 걸림돌기(2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수거함(20)의 상단부를 외부에서 잡아당기게 되면 수거함(20)은 하단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4) 선단을 축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 쓰레기 봉투를 결합하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렇게 수거함(20)을 인출시킨 상태에서 상단부의 고정틀(28)을 분리시킨 후 수거함의 내부로 쓰레기 봉투(90)를 삽입하되 쓰레기 봉투(90)의 상단부는 수거함(20)의 상단부에서 일정 높이가 외측으로 뒤집어지게 하여 수거함(20)의 상단부가 쓰레기 봉투(90)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다.
쓰레기 봉투(90)에 의해 감싸진 수거함(20)의 상단부에는 다시 분리시켰던 고정틀(28)이 맞춤 결합되게 하므로서 쓰레기 봉투(90)가 수거함(20)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쓰레기 봉투(90)를 결합시킨 후 인출되었던 수거함(20)을 내부로 밀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수거함(20)을 인출 시 제2 후크(27)는 리턴 스프링(273)에 의해 본래의 상태가 되며, 수거함(20)이 복귀되면서 수거함(20)측 제2 걸림돌기(26)에 의해 제2 후크(27)가 뒤로 젖혀졌다가 복원되어 다시 수거함(20)이 잠겨지도록 한다.
수거함(20)에 규격봉투인 쓰레기 봉투(90)가 결합되면 전면 커버(12)의 도어(60)를 밀어 쓰레기가 수거함(20)에 수집되도록 한다.
즉 쓰레기를 잡고 도어(60)를 밀게 되면 도어(60)는 상단부를 축으로 안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수거함(20)의 상단부가 바로 보이게 되므로 쓰레기 투여가 용이하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서 가압블록을 상사점 또는 하사점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쓰레기가 투여되면 전면 커버(12)의 조작 패널(121)에서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해서 작동시키게 되며, 통상적으로는 자동 모드를 선택하므로서 가압블록(30)에 의해 쓰레기가 압축되도록 한 다음 다시 가압블록(30)이 본래의 위치인 상사점에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구동모터(40)가 구동하기 시작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4)의 저면에 구비한 동력전달수단(41)을 통해 수거함(20) 양측으로 축고정된 스크류축(33)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들 스크류축(33)에는 가압블록(30)의 상단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너트블록(31)이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양측의 스크류축(33)이 회전함에 의해 회전 방향을 따라 가압블록(30)이 상승 또는 하강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가압블록(30)은 구동모터(40)의 구동 방향에 따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서 스크류축(33)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서 쓰레기가 수거함(20)에 일정 높이만큼 채워지지 않게 되면 가압블록(30)은 하사점까지 하강하게 되고, 이때 하사점에는 리미트 스위치(71)가 장착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리미트 스위치(71)를 작동 온시키게 되며, 그 순간 구동모터(40)가 역회전하면서 가압블록(30)을 즉시 상승시키게 된다.
가압블록(30)이 최대한 상승하여 상사점 위치의 리미트 스위치(71)를 작동 온시키게 되면 자동 모드에 의한 작동은 완료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 의해 쓰레기를 압축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수거함(20)에 일정 이상의 쓰레기가 채워지게 되면 자동 모드에서 가압블록(30)은 하사점 전에 쓰레기를 가압하기 시작하게 되고, 이때 구동모터(40)에서의 가압 부하가 콘트롤러에 기설정한 설정값에 도달하게 되면 콘트롤러는 구동모터(40)의 구동을 일단 중지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즉시 역방향으로 구동되게 한다.
구동모터(4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가압블록(30)은 상승하면서 상사점 위치에 도달하게 되고, 상사점 위치에서 리미트 스위치(71)를 작동 온시킴에 의해 구동모터(4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수거함(20)에 일정 높이로 쓰레기가 압축되면서 채워지게 되면 쓰레기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동 모드로 작동되도록 한다.
수동 모드는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가압블록(30)이 쓰레기를 가압하면서 설정압에 도달하는 순간 구동이 중단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가압블록(30)이 설정압으로 압축시켰다 바로 상승하게 되면 눌려졌던 쓰레기가 탄력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므로 제대로 압축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가 있으므로 수거함(20) 내에서 쓰레기의 양이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가압블록(30)에 의해 눌려진 상태로 가압블록(3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가압블록(30)이 눌려진 상태로 구동이 정지되면 압축된 쓰레기로부터는 미세한 틈으로 공기들이 방출되면서 더욱 압축될 수가 있기는 하나 이미 가압블록(30)은 구동이 중단된 상태이므로 단지 압축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다시 쓰레기를 버리려 하면 하강한 상태의 가압블록(30)에 의해서 도어(60)가 안쪽으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쓰레기 투여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기 모드가 되도록 하면 하강한 상태이던 가압블록(30)이 상사점 위치로 복귀되며, 눌려져 있던 쓰레기는 부풀어 오름이 한층 줄어들면서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쓰레기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채워지면 그때부터는 수동 모드와 대기 모드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쓰레기가 채워지도록 한다.
수거함(20)에서 쓰레기가 다 채워지면 전원을 수동조작에 의해서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수거함(20)을 채운 쓰레기 봉투(90)는 본 발명의 전방에서 수거함(20)을 전방으로 일정 각도 인출되게 함에 의해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하우징(10)의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는 수거함(20)으로부터 쓰레기를 채운 쓰레기 봉투(90)를 인출할 수가 없으므로 수거함(20)을 전방으로 인출시켜야만 한다.
수거함(20)의 인출은 하우징(10) 하단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4)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270)의 패달(271)을 발로 밀어 도 7에서와 같이 링크(272)가 회전되도록 하고, 링크(272)의 베이스 플레이트(14)측 단부와 함께 제2 후크(27)가 회전되게 하므로서 제2 걸림돌기(26)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킨다.
수거함(20)측의 제2 걸림돌기(26)가 제2 후크(27)로부터 잠금이 해제되면 수거함(20)의 상단부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수거함(20)이 일정 각도로 인출되도록 한다.
즉 수거함(20)은 전방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 후크(27)로부터 잠금이 해제되면 수거함(20)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하면서 인출되게 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거함(20)의 상부가 도어(6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도록 한 후 수거함(20)의 상단부로부터 고정틀(28)을 분리시키고, 수거함(20)의 상단부에서 전방함(21)과 후방함(22)간을 연결되도록 한 제1 후크(24)를 인위적으로 간단히 조작하여 제1 걸림돌기(25)로부터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면 전방함(21)과 후방함(22)간 상단부의 연결 상태가 자유로워지게 되며, 이때 후방함(22)을 후방으로 밀게 되면 저면의 경첩(23)을 기준으로 전방함(21)으로부터 일정 각도 후방측으로 후방함(22)이 회전하면서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후방함(22)이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면 내부의 쓰레기 봉투(90)는 전방에서 인출이 한층 쉬워지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전방함(21)으로부터 쓰레기 봉투(90)를 들어올려 가볍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이미 채워진 쓰레기 봉투(90)가 수거함(20)으로부터 제거되면 다시 수거함(20)의 후방함(22)을 전방함(21)측으로 당겨 제1 후크(24)가 제1 걸림돌기(25)에 결합되게 하므로서 전방함(21)과 후방함(22)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전방함(21)과 후방함(22)이 결합된 수거함(20)에는 다시 새로운 쓰레기 봉투(90)가 결합되도록 한 다음 수거함(20)의 상단부에 고정틀(28)을 조립하여 쓰레기 봉투(9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쓰레기 봉투(90)를 고정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쓰레기 투여와 압축 및 교체를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에 버려지는 쓰레기는 먹다남은 음료 등도 있고, 음식물도 포함되면서 악취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자칫 쓰레기 봉투(90)가 찢어지면서 쓰레기 봉투(90) 내의 액체가 흐르게 되면 매우 곤란해지므로 수거함(20)의 전방함(21)과 후방함(22)간 경계부를 통해 액체가 흐르게 되면 베이스 플레이트(14)에 형성한 배수홀(16)과 일측의 배수용 노브(17)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므로서 실내의 오염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수거함(20)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가이드 격판(50)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형성한 배기그릴(51)과 배기팬(52) 및 배기필터(53)를 통해 정화되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지속적으로 쓰레기를 압축시키게 되면 종전에 비해 쓰레기 봉투(70)의 사용량을 한층 줄일 수가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으로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10 : 하우징
11 : 바디
12 : 전면 커버
120 : 도어 지지 프레임
121 : 조작 패널
13 : 후면 커버
14 : 베이스 플레이트
20 : 수거함
200 : 하부 커버
21 : 전방함
22 : 후방함
23 : 경첩
24 : 제1 후크
25 : 제1 걸림돌기
26 : 제2 걸림돌기
27 : 제2 후크
28 : 고정틀
30 : 가압블록
300 : 리브
31 : 너트블록
32 : 고정판
33 : 스크류축
34 : 레일 가이드
40 : 구동모터
41 : 동력전달수단
410 : 기어
411 : 벨트
50 : 가이드 격판
51 : 배기팬
52 : 배기그릴
53 : 필터
60 : 도어
80 : 내측 측면 커버
90 : 쓰레기 봉투

Claims (10)

  1. 상면과 양측면이 일체로 구비되는 바디의 전후면에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전후면 커버들은 바닥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 결합되는 하우징과;
    쓰레기 봉투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는 박스형상이고, 전후로 양분되면서 양분되는 경계면 하단부를 축으로 상부가 일정 각도로서 벌어지는 전방함과 후방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함의 전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측 하부를 이루도록 하는 하부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전방함의 전면측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수거함과;
    상기 수거함의 양측에서 하단부와 상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의 상면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판에 각각 베어링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축에 상단부의 양측으로 돌출시킨 너트블록이 각각 나사결합되고, 상기 수거함에 고정된 상기 쓰레기 봉투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일정 압력으로 폐기용 쓰레기 또는 재활용 쓰레기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바닥은 막히고 내부는 빈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가압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후면 커버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스크류축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상기 스크류축의 하단부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면서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수거함이 구비되는 공간을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블록의 측방 유동을 방지되게 하면서 상기 가압블록의 상기 너트블록에 일단이 연결된 레일가이드의 타단이 승강 가능하도록 안내되게하는 가이드 격판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상기 전면 커버의 상부측 커버 하단부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가압블록의 승하강 작용을 제어하는 콘트롤러;
    로 이루어지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수거함이 안착되는 판면에는 일정 두께의 충격흡수용 완충고무패드가 부착되도록 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수거함의 전방함과 후방함간 경계면의 하부로 배수홀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구비한 배수용 노브와 상기 배수홀을 연결관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수거함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은 상기 전방함과 후방함간 상단부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상기 전방함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1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함에는 상기 제1 후크에 의해 잠겨질 수 있도록 하는 제1 걸림돌기가 돌설되도록 하며, 상기 수거함의 상기 전방함 선단의 적어도 일측면의 하단부에는 제2 걸림돌기가 돌설되도록 하고, 그 하부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 걸림돌기를 잠겨지도록 하는 제2 후크가 구비되도록 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수거함 인출 조작 유니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면에 구비되는 페달과, 상기 페달 조작에 의해 연동하면서 양측의 단부가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후크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링크 및 상기 페달과 상기 제2 후크간 탄력적으로 거리가 유지되도록 하는 인장형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의 상단부에는 쓰레기 봉투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감싸지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틀이 맞춤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쓰레기 봉투가 고정되도록 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상기 스크류축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하단부와 양측의 상기 스크류축 하단부의 기어간을 벨트로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격판에는 전후방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배기그릴과 상기 배기그릴의 후방에 연결되는 배기팬 및 상기 배기팬을 통해 강제 흡입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도록 하는 필터가 연결되는 구성인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격판에는 승강하는 상기 가압블록의 레일가이드에 의해 접촉되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되도록 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상기 가압블록의 상사점과 하사점의 위치에 구비되도록 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양측에서 상기 수거함과 상기 가압블록의 양측면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상기 스크류축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내측 측면 커버가 구비되도록 하는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KR1020110084140A 2011-08-23 2011-08-23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KR10111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140A KR101114660B1 (ko) 2011-08-23 2011-08-23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140A KR101114660B1 (ko) 2011-08-23 2011-08-23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660B1 true KR101114660B1 (ko) 2012-03-06

Family

ID=4614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140A KR101114660B1 (ko) 2011-08-23 2011-08-23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6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863B1 (ko) * 2016-03-24 2016-06-22 주식회사 일산기계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105858000A (zh) * 2016-05-20 2016-08-17 麦重伟 环保型垃圾收纳结构
KR102419796B1 (ko) * 2021-10-29 2022-07-12 세안이엔씨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 내 조명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687B1 (ko) * 1992-03-23 1994-05-27 윤소민 전동식 쓰레기 압축수거장치
KR200329470Y1 (ko) 2003-07-08 2003-10-10 순 근 홍 쓰레기압착장치
JP2004059226A (ja) 2002-07-29 2004-02-26 Fuji Industrial Co Ltd ゴミ圧縮機
KR100756543B1 (ko) 2007-01-24 2007-09-12 홍지언 쓰레기 압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687B1 (ko) * 1992-03-23 1994-05-27 윤소민 전동식 쓰레기 압축수거장치
JP2004059226A (ja) 2002-07-29 2004-02-26 Fuji Industrial Co Ltd ゴミ圧縮機
KR200329470Y1 (ko) 2003-07-08 2003-10-10 순 근 홍 쓰레기압착장치
KR100756543B1 (ko) 2007-01-24 2007-09-12 홍지언 쓰레기 압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863B1 (ko) * 2016-03-24 2016-06-22 주식회사 일산기계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105858000A (zh) * 2016-05-20 2016-08-17 麦重伟 环保型垃圾收纳结构
KR102419796B1 (ko) * 2021-10-29 2022-07-12 세안이엔씨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 내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598B1 (en) Public access trash compactor
KR20200103103A (ko) 푸드 프로세서
KR101114660B1 (ko)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CN205738997U (zh) 一种移动式垃圾压缩成套设备
CN112473973A (zh) 一种建筑加工用多级粉碎装置
CN112340294A (zh) 垃圾中转成套设备
GB2447612A (en) A waste compactor
CN110404931A (zh) 一种建筑固体废弃物回收分类利用处理系统
CN110328212A (zh) 一种垃圾中转站渗滤液处理装置
CN112387762A (zh) 一种家用厨余垃圾环保处理装置
KR100756543B1 (ko) 쓰레기 압축장치
KR20100010732U (ko) 쓰레기 압축기
CN210545490U (zh) 一种多功能垃圾粉碎除臭回收处理设备
CN211586767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JP2001079685A (ja) リサイクル材の減容装置
CN110115477B (zh) 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209153446U (zh) 一种扫地机器人的清洁履带快拆结构
KR20130059615A (ko) 착즙기
KR101485562B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압축장치
CN111746983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垃圾桶及使用方法
GB2435810A (en) Waste compactor
CN205499940U (zh) 换袋垃圾箱
CN208526891U (zh) 一种碎纸机
GB2306348A (en) A document shredder with a vibratory shreddings compactor
CN221025569U (zh) 一种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