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863B1 -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63B1
KR101632863B1 KR1020160035507A KR20160035507A KR101632863B1 KR 101632863 B1 KR101632863 B1 KR 101632863B1 KR 1020160035507 A KR1020160035507 A KR 1020160035507A KR 20160035507 A KR20160035507 A KR 20160035507A KR 101632863 B1 KR101632863 B1 KR 10163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main body
plastic
food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진
이남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산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산기계
Priority to KR102016003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50/00Material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50/114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8Trash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버린 다음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있던 비닐봉투를 사용자가 직접 쓰레기통에 따로 버리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수거기능을 통해, 비닐봉투가 자동으로 장치 내부의 수거용기에 담기도록 하여 비닐봉투의 수거, 배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음식물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 일측에는 비닐봉투가 올려져 놓이도록 하고 중앙에는 제1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대기부와, 상기 대기부와 대응되는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비닐수거용기와,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대기부에 놓인 비닐봉투를 제1안내구멍을 지나 내측의 비닐수거용기로 자동수거될 수 있도록 한 비닐수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Food wast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을 버린 다음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있던 비닐봉투를 사용자가 직접 쓰레기통에 따로 버리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수거기능을 통해, 비닐봉투가 자동으로 장치 내부의 수거용기에 담기도록 하여 비닐봉투의 수거, 배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장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담길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가 비치되고 용기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어느 정도 차게 되면 별도의 수거차량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로서,
근래에 들어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에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측정하는 계근장치, 악취를 저감하는 탈취장치, 사용자 ID를 인식하는 장치 등이 설치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전에 사용자는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비닐봉투에 담아서 나오게 되는데, 이때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난 다음 음식물이 묻은 비닐봉투를 따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닐봉투를 버리는 과정에서 손에 음식물이 묻거나 비닐봉투가 제대로 버려지지 않아 악취 및 2차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아래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에서 비닐봉투 처리에 관련된 선행기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①등록특허 제10-1438055호(비닐봉투 파쇄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과, 상기 몸체와 상기 뚜껑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된 비닐봉투의 일부를 파쇄하는 파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파쇄부는 상기 비닐봉투의 일부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면, 삽입된 상기 비닐봉투를 길이방향으로 파쇄시켜 상기 비닐봉투에 담긴 음식물쓰레기만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게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비닐봉투에 담긴 음식물쓰레기를 용이하게 버릴 수 있도록 비닐봉투의 일부를 파쇄하는 기술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난 다음 비닐봉투의 처리에 관한 내용은 전혀 나와 있지 않다. 또한 이미 파쇄부에 의해 잘린 상태의 비닐봉투를 따로 버려야 하기 때문에 비닐봉투에 묻은 음식물이 외부로 더 쉽게 노출되며 오히려 버리기 곤란한 형태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②등록특허 제10-0927351호(음식물쓰레기 감량용 종량 수거장치)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사용한 비닐봉투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되, 비닐봉투에 묻어 있는 음식물쓰레기의 찌꺼기를 살균하기 위한 제2 약품살포기가 상부에 구비되고, 비닐봉투 삽입부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비닐 수거함을 포함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있던 비닐봉투를 별도의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과 같은 구조로서, 상기 제시한 비닐수거함에 비닐봉투를 넣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음식물이 묻을 수 있고, 다른 사용자에 의해 비닐수거함의 투입구 부분이 오염되어 있는 상태라면 묻을 확률이 더 높다. 또한 비닐수거함에 단순히 넣는 것이기 때문에 비닐봉투가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서로 밀어내어 투입구를 통해 비닐봉투가 외부로 다시 나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③등록특허 제10-1482535호(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에는 본체의 일측면에 음식물쓰레기 봉투를 수거하는 수거함 및 사용자의 손을 씻을 수 있는 개수대가 일체로 형성된 비닐봉투수거 및 개수대를 포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 역시 단순히 비닐봉투를 사용자가 직접 수거함에 넣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닐봉투를 넣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음식물이 묻는 문제점이나 비닐수거함 내부에 비닐이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외부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쌓여 있는 비닐봉투를 직접 눌러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난 다음 비닐봉투를 본체의 대기부에 올려놓으면 본체 내측에 설치된 비닐수거부재에 의해 비닐봉투를 자동수거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비닐봉투를 버리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버리는 과정에서 비닐봉투에 묻어있는 음식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고 수거된 비닐봉투가 외부로 다시 나올 염려가 없어 수거장치 주변이 청결하며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음식물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 일측에는 비닐봉투가 올려져 놓이도록 하고 중앙에는 제1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대기부와, 상기 대기부와 대응되는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비닐수거용기와,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어 대기부에 놓인 비닐봉투를 제1안내구멍을 지나 내측의 비닐수거용기로 자동수거될 수 있도록 한 비닐수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수거부재는; 본체 내측의 고정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나사봉과 가이드봉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나사봉을 정, 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승강부 상에 설치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견인고리가 고정되어 있는 제1승강작동부와, 상기 제1승강작동부 상부에 승강부 상에 설치되어 함께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제2안내구멍이 형성된 가압판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2승강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사봉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단부와 하단부의 일정구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승강작동부와 제2승강작동부 사이의 승강부상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승강부 하단에 설치되어 하강하는 제1승강작동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판과 대기부에 형성된 제1,2안내구멍은 견인고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더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수거용기는 수직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수거용기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본체 내측에 설치되되, 고정브라켓의 절첩부에 의해 본체 외측으로 회전되어 비닐봉투 배출이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난 다음 비닐봉투를 본체의 대기부에 올려 놓으면 본체 내측에 설치된 비닐수거부재에 의해 비닐봉투를 자동수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비닐봉투를 버리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승강작동부에 의해 정확하게 수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닐봉투를 용기에 넣는 과정에서 비닐봉투에 묻어있는 음식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고 버릴 수 있다.
또한 수거된 비닐봉투는 제2승강작동부에 의해 압착되어 수거된 비닐봉투가 넘치지 않고 많은 양의 비닐봉투를 수거할 수 있고, 수거된 비닐봉투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악취가 없고 주변이 청결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닐수거부재 및 비닐수거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비닐수거부재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비닐수거부재의 작동과정에 따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A)가 구비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음식물 투입구(200)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200) 일측에는 비닐봉투가 올려져 놓이도록 하고 중앙에는 제1안내구멍(310)이 형성되어 있는 대기부(300)와, 상기 대기부(300)와 대응되는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는 비닐수거용기(400)와, 상기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어 대기부(300)에 놓인 비닐봉투를 제1안내구멍(310)을 지나 내측의 비닐수거용기(400)로 자동수거될 수 있도록 한 비닐수거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와 비닐봉투를 따로 수거하도록 음식물 투입구(200)와 대기부(30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음식물 투입구(200)와 대기부(300)의 대응되는 위치 즉, 직하방의 본체(100)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A)와 비닐수거용기(400)가 있는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A)는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배치되어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A)를 본체(100) 외부로 꺼내어 수거차량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지고, 비닐수거용기(400) 역시 마찬가지로 비닐이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외부로 비닐봉투를 배출하여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난 비닐봉투를 사용자가 직접 비닐수거용기(400)로 넣지 않고 대기부(300)에 올려놓기만 하면 비닐수거부재(500)의 자동수거기능에 의해 비닐봉투를 강제로 본체(100) 내측에 있는 비닐수거용기(400)에 넣게 된다. 아울러 상기 비닐수거부재(500)의 작동은 사용자가 직접 비닐봉투를 대기부(300)에 올려놓고 버튼(미도시)을 눌러서 작동시키거나, 별도의 근접센서(미도시)를 통해 대기부(300)에 올려진 비닐봉투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대기부(30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비닐봉투가 올려질 수 있도록 본체(100)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자동수거시 비닐봉투는 대기부(300)에 형성된 제1안내구멍(310)을 통해서 강제적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안내구멍(310)의 크기는 적당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너무 작게 형성할 경우 비닐봉투가 강제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걸릴 수 있고, 반대로 너무 크게 형성할 경우에는 비닐봉투를 올려놓는 과정에서 비닐봉투가 구멍을 통해 그대로 낙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비닐수거부재(5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 내측의 고정프레임(110) 상에 수직으로 가이드봉(512)과 나사봉(511)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승강부(510)와, 상기 승강부(510)의 나사봉(511)을 정, 역회전하는 구동모터(520)와, 상기 승강부(510) 상에 설치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견인고리(610)가 고정되어 있는 제1승강작동부(600)와, 상기 제1승강작동부(600) 상부에 승강부(510) 상에 설치되어 함께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제2안내구멍(720)이 형성된 가압판(710)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2승강작동부(70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제1승강작동부(600)는 일측에 견인고리(610)가 형성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대기부(300)의 제1안내구멍(310) 위로 돌출되어 있다가 자동수거과정에서 비닐봉투를 걸어서 비닐수거용기(400) 내부로 담겨지도록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닐수거용기(400) 내부로 담는과정에서 제2승강작동부(700)의 가압판(710)이 비닐봉투를 눌러주어 비닐봉투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많은 양의 비닐봉투를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승강부(510)는 나사산(511`)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511)이 구동모터(52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나사봉(511) 일측에는 제1,2승강작동부(600)(700)가 원활하게 안내 이동될 수 있도록 같은 방향으로 가이드봉(512)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제1승강작동부(600)와 제2승강작동부(700)는 하나의 승강부(510)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모터(520)가 정역회전 함에 따라 제1,2승강작동부(600)(700)는 함께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나사봉(511)에 형성된 나사산(511`)은 상단부와 하단부의 일정구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나사산(5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간에는 나사봉(511)이 회전하여도 승강되지 않는 원리를 통해서 제1승강작동부(600)와 제2승강작동부(700)의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제1승강작동부(600)와 제2승강작동부(700)의 간격을 승강부(510)의 구간에 따라 자동조절되게 하여 제1승강작동부(600)의 견인고리(610) 윗부분이 제2승강작동부(700)의 가압판(710)보다 상부에 위치하거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승강작동부(600)와 제2승강작동부(700) 사이의 승강부(510)상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하는 제1탄성부재(800)와, 상기 승강부(510) 하단에 설치되어 하강하는 제1승강작동부(6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제2탄성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800)와 제2탄성부재(900)는 어느 한쪽의 승강작동부가 나사봉(511)의 나사산(511`)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곳에 위치했을 때 탄성작용에 의해 승강작동부가 원할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상기 제1탄성부재(800)는 제1승강작동부(600)재와 제2승강작동부(700)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나사봉(511)의 나사산(511`)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상,하부 구간에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부구간에서는 제2승강부(510)를 위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하부구간에서는 제1승강부(510)를 아래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900)는 승강부(510)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강한 제1승강작동부(600)를 탄성 지지하고 다시 제1승강작동부(600)재가 상승할 때 나사봉(511)의 나사산(511`)이 형성된 위치까지 올려줌으로써 구동모터(520)에 의해 원활한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1탄성부재(800)와 제2탄성부재(900)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승강부(510)의 나사봉(511)에 설치될 수 있지만, 가이드봉(512)에도 얼마든지 설치될 수 있으며 나사봉(511)과 가이드봉(512)의 동일한 위치에 양쪽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판(710)과 대기부(300)에 형성된 제1안내구멍(310)과 제2안내구멍(720)은 서로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원형 안내구멍에는 제1승강작동부(600)재의 견인고리(6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311)(721)가 대응되는 위치에 직선 형태로 더 연장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710)의 크기는 비닐수거용기(4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비닐수거용기(40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안내홈(410)이 형성되어 제1승강작동부(600)재 및 제2승강작동부(700)재가 원활하게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비닐수거용기(400)는 고정브라켓(420)에 의해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되, 고정브라켓(420)의 절첩부(421)에 의해 본체(100) 외측으로 회전되어 비닐봉투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비닐수거용기(400)는 고정브라켓(420)에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비닐봉투 배출과정이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수거용기(400)의 하부에는 비닐봉투에 묻어있는 액체타입의 음식물이 모아져 담길 수 있도록 한 오수처리부(미도시)를 더 설치하여, 가압판(710)의 압착과정에서 발생하는 액체타입의 음식물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오수처리부의 바람직한 예로는 비닐수거용기(400)의 하부에 서랍형태로 형성하여 간편하게 꺼내어 제거하는 것이 좋다.
아래에는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비닐수거부재(500)를 통해 대기부(300)에 올려진 비닐봉투를 비닐수거용기(400) 내부로 자동 수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난 비닐봉투를 대기부(300) 위에 올려놓게 된다. 이때 제1승강작동부(600)의 견인고리(610)는 제1안내구멍(310)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고 제2승강작동부(700)의 가압판(710)은 대기부(3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2승강작동부(700)는 확대도시한 도7과 같이 제1탄성부재(800)에 의해 승강부(510) 최상단에 올려진 상태이다.
그런 다음 버튼이나 근접센서의 의해 비닐봉투의 자동수거 기능이 작동하게 되면 구동모터(520)가 회전하면서 제1승강작동부(600)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승강작동부(600)의 견인고리(610)가 하강하면서 견인고리(610)의 절곡된 윗부분이 대기부(300)에 올려진 비닐봉투를 걸게 되고 제1안내구멍(310)을 지나게 된다. 그런 다음 더 하강하게 되면 제1탄성부재(800)가 밀어주지 않게 되어 제2승강작동부(700)도 자중[自重]에 의해 나사봉(511)의 나사산(511`)이 형성된 곳까지 내려오게 되고, 도 5 또는 도8에 도시된 상태로 제1,2승강작동부(600)(700)가 하강하게 된다. 즉, 제1승강작동부(600)재와 제2승강작동부(700)재의 간격은 제1탄성부재(800)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수거용기(400)의 위치까지 더 하강하게 되면 제1승강작동부(600)는 나사봉(511)의 나사산(5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단의 특정위치에 멈추게 되고 제2승강작동부(70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가압판(710)에 의해 견인고리(610)에 걸려있는 비닐봉투를 강제로 눌러주고 비닐수거용기(400) 내부에 쌓여있는 비닐봉투까지 압착하게 된다. 이때 제1승강작동부(600)는 도 9와 같이 제1,2탄성부재(800)(900)가 양쪽으로 밀어주고 있어서 하부에 멈춰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비닐봉투의 수거과정이 완료되면 구동모터(520)는 역회전을 하여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제2승강작동부(700)가 먼저 상승하게 되고 그뒤에 제1탄성부재(800)와 제2탄성부재(900)에 의해 제1승강작동부(600)가 따라 올라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는 비닐봉투를 직접 버리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버리는 과정에서 비닐봉투에 묻어있는 음식물이 사용자의 손에 묻지 않고 수거된 비닐봉투가 외부로 다시 나올 염려가 없어 수거장치 주변이 청결하며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100 : 본체
110 : 고정프레임 200 : 음식물 투입구
300 : 대기부 310 : 제1안내구멍
311 : 절개부 400 : 비닐수거용기
410 : 안내홈 420 : 고정브라켓
421 : 절첩부 500 : 비닐수거부재
510 : 승강부 511 : 나사봉
511`: 나사산 512 : 가이드봉
520 : 구동모터 600 : 제1승강작동부
610 : 견인고리 700 : 제2승강작동부
710 : 가압판 720 : 제2안내구멍
721 : 절개부 800 : 제1탄성부재
900 : 제2탄성부재

Claims (7)

  1.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A)가 구비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음식물 투입구(200)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200) 일측에는 비닐봉투가 올려져 놓이도록 하고 중앙에는 제1안내구멍(310)이 형성되어 있는 대기부(300)와, 상기 대기부(300)와 대응되는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는 비닐수거용기(400)와, 상기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어 대기부(300)에 놓인 비닐봉투를 제1안내구멍(310)을 지나 내측의 비닐수거용기(400)로 자동수거될 수 있도록 한 비닐수거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비닐수거부재(500)는;
    본체(100) 내측의 고정프레임(110) 상에 수직으로 나사봉(511)과 가이드봉(512)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승강부(510)와,
    상기 승강부(510)의 나사봉(511)을 정, 역회전하는 구동모터(520)와,
    상기 승강부(510) 상에 설치되어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견인고리(610)가 고정되어 있는 제1승강작동부(600)와,
    상기 제1승강작동부(600) 상부에 승강부(510) 상에 설치되어 함께 승,하강이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제2안내구멍(720)이 형성된 가압판(710)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2승강작동부(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511)에 형성된 나사산(511`)은 상단부와 하단부의 일정구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작동부(600)와 제2승강작동부(700) 사이의 승강부(510)상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하는 제1탄성부재(800)와, 상기 승강부(510) 하단에 설치되어 하강하는 제1승강작동부(6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제2탄성부재(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710)과 대기부(300)에 형성된 제1,2안내구멍(310)(720)은 견인고리(6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311)(721)가 더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수거용기(400)는 수직방향으로 안내홈(4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수거용기(400)는 고정브라켓(420)에 의해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되, 고정브라켓(420)의 절첩부(421)에 의해 본체(100) 외측으로 회전되어 비닐봉투 배출이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KR1020160035507A 2016-03-24 2016-03-24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163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07A KR101632863B1 (ko) 2016-03-24 2016-03-24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07A KR101632863B1 (ko) 2016-03-24 2016-03-24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863B1 true KR101632863B1 (ko) 2016-06-22

Family

ID=5636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507A KR101632863B1 (ko) 2016-03-24 2016-03-24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869A (ko) * 2017-01-11 2018-07-19 한세욱 음식물 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KR102053585B1 (ko) * 2019-06-24 2019-12-06 주식회사 일산기계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111268320A (zh) * 2020-03-13 2020-06-12 金陵科技学院 一种可自动分离垃圾袋的厨余垃圾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905B1 (ko) * 2009-10-27 2010-03-26 (주)오토코리아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114660B1 (ko) * 2011-08-23 2012-03-06 장성산업 주식회사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KR101185148B1 (ko) * 2010-07-01 2012-09-26 엔솜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200470474Y1 (ko) * 2013-09-11 2013-12-20 석영민 음식물 쓰레기 비닐봉투 자동 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905B1 (ko) * 2009-10-27 2010-03-26 (주)오토코리아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185148B1 (ko) * 2010-07-01 2012-09-26 엔솜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1114660B1 (ko) * 2011-08-23 2012-03-06 장성산업 주식회사 압축식 다용도 분리수거함
KR200470474Y1 (ko) * 2013-09-11 2013-12-20 석영민 음식물 쓰레기 비닐봉투 자동 분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869A (ko) * 2017-01-11 2018-07-19 한세욱 음식물 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KR101942302B1 (ko) * 2017-01-11 2019-01-25 한세욱 음식물 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KR102053585B1 (ko) * 2019-06-24 2019-12-06 주식회사 일산기계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111268320A (zh) * 2020-03-13 2020-06-12 金陵科技学院 一种可自动分离垃圾袋的厨余垃圾箱
CN111268320B (zh) * 2020-03-13 2024-04-19 金陵科技学院 一种可自动分离垃圾袋的厨余垃圾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863B1 (ko)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TW200951046A (en) Trash and recyclables receptacle
JP2008239311A (ja) ゴミ箱
KR200470474Y1 (ko) 음식물 쓰레기 비닐봉투 자동 분리기
CN111573090A (zh) 一种用于医疗垃圾自动消毒的回收设备
EP0957048A1 (en) Suction system for urban wastes and for recyclable materials
KR10146239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보관장치
CN211845867U (zh) 红外感应式医疗垃圾桶锐器盒
KR100756543B1 (ko) 쓰레기 압축장치
KR101910255B1 (ko) 음식물 쓰레기 비닐봉지 분리장치
KR20050098558A (ko) 비닐 밀봉절단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쓰레기통
US5488899A (en)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cans for recycling
CN210557048U (zh) 一种便于回收的垃圾桶
KR102018024B1 (ko) 쓰레기통 받침대
KR10205358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213474318U (zh) 一种智能垃圾房
CN220826878U (zh) 一种居家腹膜透析患者专用废液处置垃圾桶
CN213444448U (zh) 智能厨余垃圾回收设备
KR10104810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TWI806683B (zh) 廢液袋處理設備及其方法
KR102655017B1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압착 및 탈수장치
CN117985367B (zh) 医院用尿检容器回收装置
KR200354092Y1 (ko) 비닐 밀봉절단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쓰레기통
CN221069545U (zh) 一种垃圾用回收装置
CN220641180U (zh) 一种便于护士使用的垃圾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