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560B1 -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560B1
KR102162560B1 KR1020200049465A KR20200049465A KR102162560B1 KR 102162560 B1 KR102162560 B1 KR 102162560B1 KR 1020200049465 A KR1020200049465 A KR 1020200049465A KR 20200049465 A KR20200049465 A KR 20200049465A KR 102162560 B1 KR102162560 B1 KR 10216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vertical frame
pressing
connection member
prin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웅
한정훈
Original Assignee
한만웅
한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웅, 한정훈 filed Critical 한만웅
Priority to KR102020004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3/04Rosin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몸체부(104)상에 구비되는 인쇄장치(10)를 통해 투입되는 인쇄물에 인쇄가 수행되는 단계; 제1 구조물(16a) 내지 상기 제4 구조물(16d) 각각에 구비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15a) 내지 제4 컨베이어벨트(15d)가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제2 구조물(16b)상에 구비되는 송진분말장치본체(11)가 인쇄부위에 송진분말이 도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구조물(16c)상에 구비되는 송풍장치(12)가 미점착 송진분말 탈 분을 위한 송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하부몸체부(104)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프레임(22a), 제2 수직프레임(12a), 제3 수직프레임(22b) 및 제4 수직프레임(12b);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연결몸체(111); 상기 제2 수직프레임(1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 연결몸체(112); 일방으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며 타방으로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판(113)과, 상기 제1 수용판에서 상부와 하부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판(113)에 수용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각 일단부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는 제1-1 가압체(114)와 제1-2 가압체(115)가 구비되는 제1 고정모듈(110); 상기 제3 수직프레임(2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 연결몸체(211); 상기 제4 수직프레임(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4 연결몸체(212); 일방으로 상기 제3 연결몸체(211)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며, 타방으로 상기 제4 연결몸체(212)의 적어도 일단부가 위치되는 제2 수용판(213)과, 상기 제2 수용판(213)에서 상부와 하부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용판(213)에 수용된 상기 제3 연결몸체(211)와 상기 제4 연결몸체(212)의 각 일단부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는 제2-1 가압체(214)와 제2-2 가압체(215)가 구비되는 제2 고정모듈(210)을 포함하는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수단을 통한 인쇄물을 제조함에 있어 인쇄수단의 적절한 높이를 맞추고 동시에 이렇나 인쇄수단 자체의 동작상의 소음과 충격 발생을 방지하며, 외부 요인에 대한 내진 기능을 부여하여 인쇄물 오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the print material}
본 발명은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수단을 통한 인쇄물을 제조함에 있어 인쇄수단의 적절한 높이를 맞추고 동시에 이렇나 인쇄수단 자체의 동작상의 소음과 충격 발생을 방지하며, 외부 요인에 대한 내진 기능을 부여하여 인쇄물 오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를 수행하는 다양한 방식과 다양한 수단들이 무수히 존재한다. 인쇄기술의 발달에 따라 보다 고품질의 인쇄물을 출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쇄과정에서 인쇄수단의 규격과 방식이 저마다이며 특히 그 인쇄수단의 높이가 상이하다. 인쇄수단이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경우 작업자가 인쇄물을 투입하거나, 인쇄되는 인쇄물에 대한 조건설정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애초부터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되는 인쇄수단에 대하여 이러한 부분을 각각의 환경에 맞춰 셋팅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높이의 만족과 함께 인쇄수단의 안정적인 인쇄구동과 내진부여를 수행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인쇄운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8653호
본 발명은 인쇄수단을 통한 인쇄물을 제조함에 있어 인쇄수단의 적절한 높이를 맞추고 동시에 이렇나 인쇄수단 자체의 동작상의 소음과 충격 발생을 방지하며, 외부 요인에 대한 내진 기능을 부여하여 인쇄물 오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몸체부(104)상에 구비되는 인쇄장치(10)를 통해 투입되는 인쇄물에 인쇄가 수행되는 단계; 제1 구조물(16a) 내지 상기 제4 구조물(16d) 각각에 구비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15a) 내지 제4 컨베이어벨트(15d)가 상기 인쇄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제2 구조물(16b)상에 구비되는 송진분말장치본체(11)가 인쇄부위에 송진분말이 도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구조물(16c)상에 구비되는 송풍장치(12)가 미점착 송진분말 탈 분을 위한 송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하부몸체부(104)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프레임(22a), 제2 수직프레임(12a), 제3 수직프레임(22b) 및 제4 수직프레임(12b);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연결몸체(111); 상기 제2 수직프레임(1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 연결몸체(112); 일방으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며 타방으로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판(113)과, 상기 제1 수용판에서 상부와 하부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판(113)에 수용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각 일단부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는 제1-1 가압체(114)와 제1-2 가압체(115)가 구비되는 제1 고정모듈(110); 상기 제3 수직프레임(2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 연결몸체(211); 상기 제4 수직프레임(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4 연결몸체(212); 일방으로 상기 제3 연결몸체(211)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며, 타방으로 상기 제4 연결몸체(212)의 적어도 일단부가 위치되는 제2 수용판(213)과, 상기 제2 수용판(213)에서 상부와 하부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용판(213)에 수용된 상기 제3 연결몸체(211)와 상기 제4 연결몸체(212)의 각 일단부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는 제2-1 가압체(214)와 제2-2 가압체(215)가 구비되는 제2 고정모듈(210)을 포함하는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수단을 통한 인쇄물을 제조함에 있어 인쇄수단의 적절한 높이를 맞추고 동시에 이렇나 인쇄수단 자체의 동작상의 소음과 충격 발생을 방지하며, 외부 요인에 대한 내진 기능을 부여하여 인쇄물 오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인쇄수단이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경우 작업자가 인쇄물을 투입하거나, 인쇄되는 인쇄물에 대한 조건설정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고, 이러한 높이의 만족과 함께 인쇄수단의 안정적인 인쇄구동과 내진부여 기능이 적용되는 인쇄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인쇄수단의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송진분말을 이용한 엠보싱 인쇄공정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2는 200 메시 ~ 1000 메시의 송진분말의 입도 크기의 차이에 따른 엠보싱 형성층의 두께를 비교한 개략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2A는 송진분말입자의 크기가 500 메시인 경우의 엠보싱 형성과정 개략도이며 2B는 분말입자가 1000 메시인 경우의 엠보싱 형성과정 개략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 인쇄의 돋움 높이조절 인쇄시스템의 일실시 예는 컨베이어벨트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물(10a)은 인쇄장치(10)를 통과하면서 휘발성이 느려서 수분증발이 지연되는 효과가 있는 유성잉크소재에 의해 인쇄과정을 거친 후 제 1컨베이어벨트(15a)에 의해서 송진분말장치본체(11)를 통과하면서 인쇄부위에 송진분말이 도포 되는 과정을 거쳐,제 2컨베이어벨트(15b)에 의해서 미점착송진분말 탈 분을 위한 송풍장치(12)로 이송되어 탈 분 과정을 거치면서 미점착 송진분말의 탈 분 및 회수 과정을 거치고, 다시 제 3컨베이어벨트(15c)에 의해서 인쇄부위에 점착된 송진분말을 용융시키기 위한 가열장치(13)로 이송되어 일정두께로 용융되는 과정을 거친 다음 제 4컨베이어벨트(15d)에 의하여 건조장치(14)로 옮겨져 용융된 송진분말을 냉각 및 고착시키는 과정을 거쳐 엠보싱 인쇄형성 가공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의 엠보싱 인쇄형성 공정과정 중에서 본 발명은 두 번째 공정인 송진분말 도포 공정에서, 송진분말의 입도크기별로 각기 다른 곳에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장호퍼(11)를 다수 개 설치하여 송진분말을 별도의 호퍼(11a)(11b)(11c) (11d)(11e)에 저장한 후 인쇄물의 엠보싱 두께별로 요구되는 기준치에 적응되는 두께가 저장된 송진분말 호퍼로부터 인쇄물(10a) 제2 컨베이어벨트(15b)가 통과되는 송진분말장치본체(11)로 해당 두께의 송진분말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두께별 엠보싱 형성을 위한 송진분말 도포 작업이 진행이 된다.
삭제
상기의 실시 예에 있어서 호퍼(11)의 개수는 다섯 개로 정하여진 것이 아니며 송진 분말 입자의 크기 종류별로 그 개수는 유동적이라 할 수 있으며, 송진분말의 입자의 크기 또한 가지 수가 정하여진 것이 아니라 인쇄물의 엠보싱 용처 별로 유동적 조절가공이 가능함을 전제하여 두고자 한다. 상기의 실시 예의 대표적인 두 가지 결과를 도 2 와 함께 살펴보면 도 2A는 송진분말의 크기가 200 메시인 것을 사용하여 카탈로그를 제작하기 위한 엠보싱 작업의 공정 단면 개략도인데 인쇄용지(20) 위에 제 1인쇄 층(21)이 형성되어 제 1컨베이어벨트(15a)에 의해 초(sec)당 10㎝의 이송속도로 송진분말장치본체(11)에 이송되어 제 2컨베이어벨트(15b)에 의하여 역시 상기와 같은 속도로 이송되면서 유성잉크 소재로 인쇄되어 수분증발이 거의 없는 제1인쇄 층(21)위에 200 메시의 송진분말입자(22)가 점착되어 지고 그 상층부에는 미점착 송진분말(23)층이 형성되어 지는데 그다음 공정인 송풍장치(12)를 통과하면서 미점착 송진분말(23)층이 탈 분 처리 되면서 점착된 송진분말입자(22)만이 남게 되고, 다시 가열장치(13)로 이송되어 상기의 속도로 통과하면서 700℃~900℃의 가열 열을 발산하는 열선에 의하여 송진분말입자(22)가 용융되면서 1m/m 정도의 엠보싱형성층(22a1)이 형성되면 마지막 공정인 건조공정을 위하여 냉각을 행하는 장치와 건조를 행하는 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건조장치(14)로 이송되어 냉각 및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카탈로그의 엠보싱 인쇄가 완료되는 것이다. 도 2B 는 500 메시의 송진분말(21c)이 저장된 제 3호퍼(11c)로부터 공급된 송진분말을 이용하여 청첩장을 엠보싱 인쇄하기 위하여 상기의 도 2A 의 과정과 동일한 설정조건으로 엠보싱 인쇄를 실행하여 두께 0.5m/m 정도의 엠보싱형성층(22b1)을 형성한 인쇄물을 얻었다. 상기의 도 2 와 같이 여러 종류의 인쇄물이 요구하는 홍보효과에 걸 맞는 엠보싱 두께를 별도의 두께 조절을 위한 장치와 공정이 필요없이 송진분말을 가공함에 있어 입자의 크기를 미리 각 용도별로 별도의 크기로 가공하여 각기 다른 저장 호퍼(11)에 크기별로 저장하여 두었다가 분말장치 본체(11)에 용처 별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인쇄물의 규격이나 종류에 따른 적절한 두께의 조절이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하부몸체부(104)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프레임(22a), 제2 수직프레임(12a), 제3 수직프레임(22b) 및 제4 수직프레임(12b)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2a)에는 각각 하단부에 제1 연결몸체(111)와 제2 연결몸체(112)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는 일정만 부피로서 일정한 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는 이들의 양 사이에 구비되는 제1 고정모듈(110)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제1 고정모듈(110)은 내부에 수용된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를 잡아당기거나 외부로 밀어내는 형태의 유동힘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잡아당기는 힘과 밀어내는 힘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2a)의 강도와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하부몸체부(104)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프레임(22a), 제2 수직프레임(12a), 제3 수직프레임(22b) 및 제4 수직프레임(12b);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연결몸체(111); 상기 제2 수직프레임(1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 연결몸체(112); 일방으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며 타방으로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판(113)과, 상기 제1 수용판에서 상부와 하부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판(113)에 수용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각 일단부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는 제1-1 가압체(114)와 제1-2 가압체(115)가 구비되는 제1 고정모듈(110); 상기 제3 수직프레임(2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 연결몸체(211); 상기 제4 수직프레임(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4 연결몸체(212); 일방으로 상기 제3 연결몸체(211)의 적어도 일단부가 수용되며, 타방으로 상기 제4 연결몸체(212)의 적어도 일단부가 위치되는 제2 수용판(213)과, 상기 제2 수용판(213)에서 상부와 하부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용판(213)에 수용된 상기 제3 연결몸체(211)와 상기 제4 연결몸체(212)의 각 일단부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는 제2-1 가압체(214)와 제2-2 가압체(215)가 구비되는 제2 고정모듈(2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가압체(114)와 상기 제1-2 가압체(115)는 상호간에 제1 구동바(116)를 매개로 상호 연동되며, 상기 제1-1 가압체(114)는 상기 제1 구동바(116)를 매개로 상기 제1-2 가압체(115)를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구동되어 상기 제1-1 가압체(114)와 상기 제1-2 가압체(115) 상호간의 이격 또는 근접을 위한 유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가압체(214)와 상기 제2-2 가압체(215)는 상호간에 제2 구동바(216)를 매개로 상호 연동되며, 상기 제2-1 가압체(214)는 상기 제2 구동바(216)를 매개로 상기 제2-2 가압체(215)를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구동되어 상기 제2-1 가압체(214)와 상기 제2-2 가압체(215) 상호간의 이격 또는 근접을 위한 유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연결몸체(111)는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재(117)를 통해 외측의 제1 가동몸체(118)와 연동된다.
상기 제1 가동몸체(118)는 상기 제1 연결부재(117)를 전진 또는 후퇴 유동시켜 상기 제1 고정모듈(110)에 가압고정된 상태인 상기 제1 연결부재(117)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연결몸체(112)는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재(119)를 통해 외측의 제2 가동몸체(120)와 연동되며, 상기 제2 가동몸체(120)는 상기 제2 연결부재(119)를 전진 또는 후퇴 유동시켜 상기 제1 고정모듈(110)에 가압고정된 상태인 상기 제2 연결부재(119)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3 연결몸체(211)는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3 연결부재(217)를 통해 외측의 제3 가동몸체(218)와 연동되며, 상기 제3 가동몸체(218)는 상기 제3 연결부재(217)를 전진 또는 후퇴 유동시켜 상기 제2 고정모듈(210)에 가압고정된 상태인 상기 제3 연결부재(217)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4 연결몸체(212)는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4 연결부재(219)를 통해 외측의 제4 가동몸체(220)와 연동되며,상기 제4 가동몸체(220)는 상기 제4 연결부재(219)를 전진 또는 후퇴 유동시켜 상기 제2 고정모듈(210)에 가압고정된 상태인 상기 제4 연결부재(219)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 연결몸체(111)는, 일단부는 단부에 직교형으로 형성되는 제1 직교형고정체(12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직교형고정체(121)는 상기 제1-1 가압체(114)와 상기 제1-2 가압체(115)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연결몸체(112)는, 일단부는 단부에 직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직교형고정체(1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직교형고정체(122)는 상기 제1-1 가압체(114)와 상기 제1-2 가압체(115)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직교형고정체(121) 및 상기 제2 직교형고정체(122)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상에서의 이탈방지 및 고정력 보강힘이 부여된다.
상기 제1 가동몸체(118)는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가동몸체(120)는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모듈(110)과 상기 제1 연결몸체(111) 사이에는 제1-1 이동상태 측정부(N1)가 구비되어, 제1 고정모듈(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의 진퇴유동 상태를 설정주기로 감지하여 제1 측정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며, 상기 제1 고정모듈(110)과 상기 제2 가동몸체(120) 사이에는 제1-2 이동상태 측정부(N2)가 구비되어, 제1 고정모듈(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진퇴유동 상태를 설정주기로 감지하여 제2 측정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며, 상기 제1 가동몸체(118)에 대한 가압고정을 수행하는 제1 고정보조부(123)와, 상기 제2 가동몸체(120)에 대한 가압고정을 수행하는 제2 고정보조부(124)와, 상기 제3 가동몸체(218)에 대한 가압고정을 수행하는 제3 고정보조부(223)와, 상기 제4 가동몸체(220)에 대한 가압고정을 수행하는 제4 고정보조부(22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보조부(123)는, 상기 제1 가동몸체(118)와 이웃하여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1 고정보조몸체(1231)와, 상기 제1 고정보조몸체(123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가동몸체(118)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가동몸체(118)를 눌러 고정하도록 상하 구동되는 제1 연장체(1232)와, 상기 제1 연장체(1232)에서 상기 제1 가동몸체(118)에 삽입 장착되어 둘레방향 회전이 가능한 정사각 형태의 제1 삽입장착체(1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장체(1232)는상기 제1 삽입장착체(1233)가 상기 제1 가동몸체(118)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된 이후에, 상기 제1 가동몸체(118)를 누르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2 고정보조부(124)는, 상기 제2 가동몸체(120)와 이웃하여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2 고정보조몸체(1241)와, 상기 제2 고정보조몸체(124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가동몸체(120)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2 가동몸체(120)를 눌러 고정하도록 상하 구동되는 제2 연장체(1242)와, 상기 제2 연장체(1242)에서 상기 제2 가동몸체(120)에 삽입 장착되어 둘레방향 회전이 가능한 정사각 형태의 제2 삽입장착체(124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장체(1242)는 상기 제2 삽입장착체(1243)가 상기 제2 가동몸체(120)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된 이후에, 상기 제2 가동몸체(120)를 누르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3 고정보조부(223)는, 상기 제3 가동몸체(218)와 이웃하여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3 고정보조몸체(2231)와, 상기 제3 고정보조몸체(223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가동몸체(218)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3 가동몸체(218)를 눌러 고정하도록 상하 구동되는 제3 연장체(2232)와, 상기 제3 연장체(2232)에서 상기 제3 가동몸체(218)에 삽입 장착되어 둘레방향 회전이 가능한 정사각 형태의 제3 삽입장착체(2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연장체(2232)는상기 제3 삽입장착체(2233)가 상기 제3 가동몸체(218)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된 이후에, 상기 제3 가동몸체(218)를 누르도록 동작되며, 상기 제4 고정보조부(224)는, 상기 제4 가동몸체(220)와 이웃하여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4 고정보조몸체(2241)와, 상기 제4 고정보조몸체(224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4 가동몸체(220)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4 가동몸체(220)를 눌러 고정하도록 상하 구동되는 제4 연장체(2242)와, 상기 제4 연장체(2242)에서 상기 제4 가동몸체(220)에 삽입 장착되어 둘레방향 회전이 가능한 정사각 형태의 제4 삽입장착체(2243)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연장체(2242)는상기 제4 삽입장착체(2243)가 상기 제4 가동몸체(220)에 삽입 장착되어 회전된 이후에, 상기 제4 가동몸체(220)를 누르도록 동작된다.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제1 고정보조몸체(1231)와 이웃하여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1 외측고정체(1251)와, 상기 제2 고정보조몸체(1241)와 이웃하여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2 외측고정체(1257)와, 상기 제1 외측고정체(1251)에 연동되어 상기 제1 고정보조몸체(1231)와 상기 제1 연장체(1232)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1 연결체(1252)와, 상기 제2 외측고정체(1257)에 연동되어 상기 제2 고정보조몸체(1241)와 상기 제2 연장체(1242)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2 연결체(1255)와, 상기 제1 고정모듈(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체(1252)와 상기 제2 연결체(1255)가 양단에 연동되는 제1 중앙연동체(1254)를 포함하는 제1 보조모듈(125)과 기 제3 고정보조몸체(2231)와 이웃하여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3 외측고정체(2251)와, 상기 제4 고정보조몸체(2241)와 이웃하여 바닥면(S)에 적어도 일부 설정깊이로 삽입되어 바닥면(S)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4 외측고정체(2257)와, 상기 제3 외측고정체(2251)에 연동되어 상기 제3 고정보조몸체부(2231)와 상기 제3 연장체(2232)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3 연결체(2252)와, 상기 제4 외측고정체(2252)에 연동되어 상기 제4 고정보조몸체부(2252)와 상기 제3 연장체(2232)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제4 연결체(2255)와, 상기 제2 고정모듈(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연결체(2252)와 상기 제4 연결체(2255)가 양단에 연동되는 제2 중앙연동체(2254)를 포함하는 제2 보조모듈(2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체(1252)와 상기 제2 연결체(1255)에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과 제2 수직프레임(12a)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연결체(2252)와 상기 제4 연결체(2255)에는 상기 제3 수직프레임(22b)과 제4 수직프레임(12b)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연결체(1252)는, 상기 제1 외측고정체(1251)와 상기 제1 중앙연동체(1254) 사이에서 일정반경으로 회전유동되면서 상기 제1 고정보조몸체(1231)와 상기 제1 연장체(1232)의 상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에 일정한 비틀림힘을 가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 연결체(1255)는, 상기 제2 외측고정체(1257)와 상기 제1 중앙연동체(1254) 사이에서 일정반경으로 회전유동되면서 상기 제2 고정보조몸체(1241)와 상기 제2 연장체(1242)의 상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12a)에 일정한 비틀림힘을 가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3 연결체(2252)는, 상기 제3 외측고정체(2251)와 상기 제2 중앙연동체(2254) 사이에서 일정반경으로 회전유동되면서 상기 제3 고정보조몸체부(2231)와 상기 제3 연장체(2232)의 상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3 수직프레임(22b)에 일정한 비틀림힘을 가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4 연결체(2255)는, 상기 제4 외측고정체(2257)와 상기 제2 중앙연동체(2254) 사이에서 일정반경으로 회전유동되면서 상기 제4고정보조몸체부(2241)와 상기 제4 연장체(2242)의 상부를 가압하며, 상기 제4 수직프레임(12b)에 일정한 비틀림힘을 가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 연결체(1252)는, 내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체(125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연결부재(117)를 누르며, 상기 제2 연결체(1255)는, 내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체(1256)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119)를 누르며, 상기 제3 연결체(2252)는, 내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3 돌출체(2253)가 구비되어 상기 제3 연결부재(217)를 누른다. 상기 제4 연결체(2255)는, 내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4 돌출체(2256)가 구비되어 상기 제4 연결부재(219)를 누른다.
제1 연결몸체(111)와 제2 연결몸체(112)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는 일정만 부피로서 일정한 설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는 이들의 양 사이에 구비되는 제1 고정모듈(110)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제1 고정모듈(110)은 내부에 수용된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를 잡아당기거나 외부로 밀어내는 형태의 유동힘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잡아당기는 힘과 밀어내는 힘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2a)의 강도와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인쇄장치
11a : 제1 호퍼
11b : 제2 호퍼
11c : 제3 호퍼
11d : 제4 호퍼
11e : 제5 호퍼
12 : 송풍장치

Claims (4)

  1.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몸체부(104)상에 구비되는 인쇄장치(10)를 통해 투입되는 인쇄물에 인쇄가 수행되는 단계;
    제1 구조물(16a) 내지 제4 구조물(16d) 각각에 구비되는 제1 컨베이어벨트(15a) 내지 제4 컨베이어벨트(15d)가 인쇄대상물을 이송하는 단계;
    제2 구조물(16b)상에 구비되는 송진분말장치본체(11)가 인쇄부위에 송진분말이 도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제3 구조물(16c)상에 구비되는 송풍장치(12)가 미점착 송진분말 탈 분을 위한 송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하부몸체부(104)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프레임(22a), 제2 수직프레임(12a), 제3 수직프레임(22b) 및 제4 수직프레임(12b);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연결몸체(111);
    상기 제2 수직프레임(1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2 연결몸체(112);
    일방으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의 일단부가 수용되며 타방으로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판(113)과, 상기 제1 수용판에서 상부와 하부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용판(113)에 수용된 상기 제1 연결몸체(111)와 상기 제2 연결몸체(112)의 각 일단부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는 제1-1 가압체(114)와 제1-2 가압체(115)가 구비되는 제1 고정모듈(110);
    상기 제3 수직프레임(2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3 연결몸체(211);
    상기 제4 수직프레임(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4 연결몸체(212);
    일방으로 상기 제3 연결몸체(211)의 일단부가 수용되며, 타방으로 상기 제4 연결몸체(212)의 일단부가 위치되는 제2 수용판(213)과, 상기 제2 수용판(213)에서 상부와 하부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 수용판(213)에 수용된 상기 제3 연결몸체(211)와 상기 제4 연결몸체(212)의 각 일단부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압하는 제2-1 가압체(214)와 제2-2 가압체(215)가 구비되는 제2 고정모듈(210)을 포함하는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1 가압체(114)와 상기 제1-2 가압체(115)는 상호간에 제1 구동바(116)를 매개로 상호 연동되며,
    상기 제1-1 가압체(114)는 상기 제1 구동바(116)를 매개로 상기 제1-2 가압체(115)를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구동되어 상기 제1-1 가압체(114)와 상기 제1-2 가압체(115) 상호간의 이격 또는 근접을 위한 유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가압체(214)와 상기 제2-2 가압체(215)는 상호간에 제2 구동바(216)를 매개로 상호 연동되는 것인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1 가압체(214)는 상기 제2 구동바(216)를 매개로 상기 제2-2 가압체(215)를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구동되어 상기 제2-1 가압체(214)와 상기 제2-2 가압체(215) 상호간의 이격 또는 근접을 위한 유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 연결몸체(111)는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1 연결부재(117)를 통해 외측의 제1 가동몸체(118)와 연동되며,
    상기 제1 가동몸체(118)는 상기 제1 연결부재(117)를 전진 또는 후퇴 유동시켜 상기 제1 고정모듈(110)에 가압고정된 상태인 상기 제1 연결부재(117)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인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몸체(112)는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 연결부재(119)를 통해 외측의 제2 가동몸체(120)와 연동되며,
    상기 제2 가동몸체(120)는 상기 제2 연결부재(119)를 전진 또는 후퇴 유동시켜 상기 제1 고정모듈(110)에 가압고정된 상태인 상기 제2 연결부재(119)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3 연결몸체(211)는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3 연결부재(217)를 통해 외측의 제3 가동몸체(218)와 연동되며,
    상기 제3 가동몸체(218)는 상기 제3 연결부재(217)를 전진 또는 후퇴 유동시켜 상기 제2 고정모듈(210)에 가압고정된 상태인 상기 제3 연결부재(217)에 대한 긴장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4 연결몸체(212)는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4 연결부재(219)를 통해 외측의 제4 가동몸체(220)와 연동되는 것인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KR1020200049465A 2020-04-23 2020-04-23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KR10216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65A KR102162560B1 (ko) 2020-04-23 2020-04-23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465A KR102162560B1 (ko) 2020-04-23 2020-04-23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560B1 true KR102162560B1 (ko) 2020-10-07

Family

ID=7288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465A KR102162560B1 (ko) 2020-04-23 2020-04-23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5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009A (ko) * 2008-03-10 2009-09-15 김경환 두께조절이 가능한 엠보싱 인쇄물의 제조방법
KR101588653B1 (ko) 2015-03-12 2016-01-28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고급질감을 가진 디지털 스마트 인쇄물의 제조방법 및 그 인쇄물
KR102062111B1 (ko) * 2019-11-29 2020-02-11 민용기 쌀눈 선별장치
KR102084206B1 (ko) * 2019-12-07 2020-03-03 김춘일 티타늄 절삭 가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7009A (ko) * 2008-03-10 2009-09-15 김경환 두께조절이 가능한 엠보싱 인쇄물의 제조방법
KR101588653B1 (ko) 2015-03-12 2016-01-28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고급질감을 가진 디지털 스마트 인쇄물의 제조방법 및 그 인쇄물
KR102062111B1 (ko) * 2019-11-29 2020-02-11 민용기 쌀눈 선별장치
KR102084206B1 (ko) * 2019-12-07 2020-03-03 김춘일 티타늄 절삭 가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467B2 (ja) 木質材料ボードを仕上げ加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617922B1 (ko) 평면 작업물의 품질을 검사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실행하기 위한 장치
US2008023904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inting a Three-Dimensional Article
US202002236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er Module for Automated Composite-Based Additive Manufacturing Machine
KR102162560B1 (ko) 인쇄수단을 이용한 인쇄물 제조방법
CN106743343A (zh) 一种用于酒盒热转印烫金机上下料生产线
DE60106310T2 (de) Methode und Vorrichtung zum Markieren von Gegenständen unterschiedlicher Formen
CN108455345A (zh) 印刷装置
JP6043007B1 (ja) 移送盤及びその使用方法
CN207789997U (zh) 复合印刷装置
JP2004504995A (ja) 包装プリンター及び運搬装置の集成体
KR101740946B1 (ko) 포대 인쇄장치
JP2008265844A5 (ko)
KR101722907B1 (ko) 포장용 상자 핫멜트 접착형 제조장치
CN206938072U (zh) 全自动赶泡机
CN110369631A (zh) 一种用于加工档案盒的五工位设备
KR200340967Y1 (ko)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
CN206307660U (zh) 一种用于酒盒热转印烫金机上下料生产线
KR102047452B1 (ko) 부품 공급용 스택 스틱 피더
KR100963066B1 (ko) 두께조절이 가능한 엠보싱 인쇄물의 제조방법
KR20180001370U (ko) 제함기의 자동 박스 푸쉬 장치
KR20150088674A (ko) 포장박스 접착기의 프레싱 장치
CN112213222A (zh) 一种烟盒耐磨测试装置
CN106232246A (zh) 加工印压机的清洁装置
CN217455341U (zh) 一种精准对位的防伪纽索团花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