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558B1 -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558B1
KR102161558B1 KR1020200088067A KR20200088067A KR102161558B1 KR 102161558 B1 KR102161558 B1 KR 102161558B1 KR 1020200088067 A KR1020200088067 A KR 1020200088067A KR 20200088067 A KR20200088067 A KR 20200088067A KR 102161558 B1 KR102161558 B1 KR 10216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hanger
shape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Priority to KR102020008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6Writing-tables with parts, e.g. trays, movable on a pivot or by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00Tables of rigid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은 책상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조인트행어;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상기 조인트행어가 구비되지 않은 일측에 구비되는 패어행어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조인트행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지지파트; 상기 제1지지파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몸체파트; 및 상기 조인트행어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다른 책상인 제1책상에 구비된 상기 패어행어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어행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지지파트; 상기 제2지지파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파트; 및 상기 패어행어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책상인 제2책상에 구비된 상기 조인트행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패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DESK CAPABLE OF CONNECTING EACH OTHER EXPANSIONALLY}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외측으로 진퇴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외측으로 노출시켜 가방 등의 소지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체결 구조가 적용된 다기능 행어(multi-functional hanger)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책상을 책상의 길이 방향으로 더욱 쉽게 정렬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 정렬된 상태를 적응적으로 고정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책상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이용되는 개인용 책상의 경우, 책상 자체 단독으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강의실, 회의실, 세미나 장소 등에서 이용되는 책상의 경우, 다수의 책상이 함께 해당 공간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책상이 함께 이용되는 경우, 책상을 사용하는 이용자의 인원수 또는 해당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강의, 세마나 등의 주제 특성, 해당 장소의 공간 정리 및 기타 다양한 이유 등에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종횡으로 배열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책상들이 서로 마주보거나 또는 붙여지는, 일종의 집합체로 사용되는 경우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적 조합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책상들을 이러한 다양한 배치로 배열시키기 위하여 책상들을 물리적으로 이동 및 근접시키는 등의 단순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그 정렬이 지속되기 어렵고 집합된 책상 전체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다시 각각의 책상들을 모두 개별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 효율성도 낮다고 할 수 있다.
근래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상에 포함되는 자체 부품이나 구조 등이 아닌 추가적인 결합장치나 기구 등을 이용하여 인접한 책상의 다리 또는 상판 등을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법의 경우 추가적인 장치나 기구 등이 필요하므로 효율성이 높지 않음은 물론, 쉽고 편리하게 인접한 책상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결합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 편의성도 낮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4931호(2003.05.19.)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9-0089243호(2019.07.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평상시 소지품 등을 걸어두는 등의 기능을 함께 겸용할 수 있는 행어 구조를 이용하여, 책상들을 쉽고 간단하게 서로 이웃하도록 정렬 내지 배열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조합된 배열 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나아가, 그 정렬의 해체와 다른 형태로의 재-정렬 등의 과정이 더욱 적응적으로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은 책상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조인트행어;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상기 조인트행어가 구비되지 않은 일측에 구비되는 패어행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인트행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지지파트; 상기 제1지지파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몸체파트; 및 상기 조인트행어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다른 책상인 제1책상에 구비된 상기 패어행어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상기 패어행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지지파트; 상기 제2지지파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파트; 및 상기 패어행어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책상인 제2책상에 구비된 상기 조인트행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패어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파트 또는 제2지지파트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제1지지파트 또는 제2지지파트는 상기 조인트행어와 상기 패어행어 사이에 높이차가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파트는 제한된 범위의 홈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공간 및 걸림공간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걸림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탄성 지지력을 가지는 텐션부와, 상기 이동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딩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파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걸림공간은 두 개로 형성되되, 상기 두 개의 걸림공간은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파트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전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서브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서브프레임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좌측 및 우측 측면 방향으로 제1길이만큼 돌출된 후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레그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제1서브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서 상기 제1길이보다 작은 길이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1확장커넥터; 및 상기 제2서브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에서 상기 제1길이보다 작은 길이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2확장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행어의 상기 제1지지파트는 상기 제1확장커넥터의 제1플랜지부에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패어행어의 상기 제2지지파트는 상기 제2확장커넥터의 제2플랜지부에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전면가림판, 상기 전면가림판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전면결합부, 상기 전면가림판에서 라운드진 형상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가림판, 상기 연장가림판 중 상기 레그프레임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레그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부라인이 형성된 대면수용부와, 상기 연장가림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레그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며, 전방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레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보드 및 상기 레그프레임이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후, 상기 안착홈부 후방에서 상기 안착홈부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레그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홈부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책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행어를 구조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책상을 상호 연결 내지 결합하는 기능 및 행어가 가지는 일반적인 기능을 함께 겸용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상응하는 결합 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책상의 길이 수평 방향으로 그 개수에 무관히 책상들을 쉽고 편리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책상들의 결합 내지 연결 구조를 더욱 확장성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책상들의 결합 내지 연결에 사용되는 조인트행어와 패어행어가 내외부로 진퇴(進退)되는 회전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책상 미관을 높임은 물론, 안전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조인트행어와 패어행어의 회전크기 내지 회전각도 등을 적응적으로 제한 내지 구속시킬 수 있어 결합 구조물의 상호 작동이 더욱 명확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동일한 책상에 구비되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상호 대응되는 구조를 가진 연장커넥터와 결합커넥터의 상호 관계가 다른 책상에서는 역으로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대면하도록 배치된 책상과 책상 사이의 결합을 간소화된 구조만으로도 더욱 쉽고 공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책상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인트행어 및 이와 관련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어행어 및 이와 관련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프레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책상들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보드 및 이와 관련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장커넥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결합커넥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책상들이 상호 대면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장커넥터와 결합커넥터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하여 대면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집합체를 형상한 책상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이하 '책상'이라 지칭한다)(10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책상(1000)은 책, 공책, 노트북 등이 놓이는 상판(400)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도록 전방 부분을 차단하는 프론트보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400) 하부에 구비되며 학용품이나 기타 사용자의 소지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 내지 수납트레이(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수납트레이(600)는 사용자 등에 의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XY평면)을 유지하면서 하강하거나 승강하도록 복수 개 지점에서 각각 상판(400) 또는 지지바(160. 도 2 참조)와 연결링크(61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판(400)이나 프론트보드(500) 등은, 책상(1000) 자체의 기본적인 골격 구조에 해당하며 책상(1000)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전방'으로 지칭되는 방향은 사용자가 정자세로 책상(1000)에 착석하였을 때, 정면을 바라보는 시각 방향으로서, 도 1 등에 도시된 좌표축을 기준으로 양의 X축 방향을 의미하며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후방'에 해당하는 방향은 음의 X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수직 방향(Z축 방향)과 전후방 방향(X축 방향) 모두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Y축 방향)을 이하 설명에서는 수평 방향, 횡방향 또는 측면방향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인트행어(200) 및 패어행어(300)는 각각 베이스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인접한 다른 책상과의 연결 내지 결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인트행어(200) 및 패어행어(300) 등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인트행어(2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상부프레임(110), 레그프레임(120) 및 바닥프레임(125, 도 4 참조)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 도시된 베이스프레임(100)의 형상이나 구조 등은 하나의 예시일 뿐, 프레임의 개수나 형상, 모양 등의 변형례는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0)을 이루는 상부프레임(110)은 도 2 및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서브프레임(110-1), 제2서브프레임(110-2)과 상기 제1서브프레임(110-1)과 제2서브프레임(110-2)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10-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인트행어(200)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좌측 또는 우측(Y축 방향 기준)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서브프레임(110-1) 또는 제2서브프레임(110-2) 중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로서, 조인트행어(200)가 제1서브프레임(110-1)에 구비되되, 제1서브프레임(110-1)의 좌측(도 2 기준)에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후술되는 패어행어(300)는 조인트행어(200)와 패어(pair)(쌍)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조인트행어(200)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경우 패어행어(300)는 좌측 또는 우측 중 조인트행어(200)가 구비되지 않는 일측 방향에 구비된다. 이하 조인트행어(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이어가고 패어행어(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인트행어(200)는 조인트행어(200)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다른 책상인 제1책상(3000. 도 5 참조)에 구비된 패어행어(300)와 연결 내지 결합되므로 조인트행어(200)와 패어행어(300)는 전후방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행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 구체적으로 제1서브프레임(110-1)에 결합되는 제1지지파트(210), 상기 제1지지파트(210)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몸체파트(220) 및 조인트행어(200)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제1책상(3000)에 구비된 패어행어(30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23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나 구조 등에 의하여 패어행어(300)와의 결합이 가능하다면 홈부/돌출부, 오목/볼록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는 이에 대한 예시로 홈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결합부(230)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의 조인트행어(200)는 제1서브프레임(110-1)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나, 조립 공정 효율성을 높이고, 구성들 상호간의 결합 및 작동 관계가 더욱 명확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100), 구체적으로 제1서브프레임(110-1)에 결합되는 제1확장커넥터(130)의 매개를 통하여 결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확장커넥터(130)는 상기 제1서브프레임(110-1)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대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1서브프레임(110-1)에 결합되는 제1수용부(131)와 상기 제1수용부(131)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플랜지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인트행어(200)의 제1지지파트(210)는 상기 제1확장커넥터(130)의 제1플랜지부(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조인트행어(200)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조인트행어(200)가 외측으로 나오게 하거나 또는 내측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어 필요에 따른 상황에 더욱 적응적인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파트(210)는 조인트행어(200)의 회전 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자신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통공(212)과 제1플랜지부(132)에 형성된 제1통공(133)을 관통하는 제1결합부재(250)에 의하여 축-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파트(210)의 내부에는 제1이동공간(211) 및 제1걸림공간(21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확장커넥터(130)의 제1플랜지부(132)와 조인트행어(200)의 제1지지파트(210) 사이를 매개하는 제1회전구속체(240)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1회전구속체(2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250)가 관통하는 결합통공(245)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자신의 회전 이동이 억제되도록 제1플랜지부(132)에 형성된 제1고정통공(135)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돌출부(247)가 형성된다.
또한, 제1회전구속체(240)의 하부에는 상기 제1걸림공간(213)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되, 판스프링 등과 같은 형상으로 탄성 지지력을 가지는 제1텐션부(243)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의도하지 않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그 외력의 크기가 제1텐션부(243)의 형상을 변형시킬 정도의 임계치보다 작다면 조인트행어(200)의 회전 이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제1회전구속체(240)의 하부에는 제1이동공간(211)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가이딩돌출부(241)가 형성된다. 제1이동공간(211)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홈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한된 범위(예를 들어 90도 각도 범위 내의 트랙 형상)에서만 홈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 제1가이딩돌출부(241)는 제한된 범위를 가지는 제1이동공간(211) 내에서만 그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대적 관점에서 볼 때, 결과적으로 조인트행어(200)의 회전 이동 범위는 제1이동공간(211)이 형성된 영역 범위로 제한 내지 구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인트행어(200)가 회전 이동하는 범위가 조인트행어(200)의 기능에 부합되는 작동 범위 내로 효과적으로 구속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공간(213)이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텐션부(243)와의 걸림 결합 구조에 의하여 조인트행어(200)의 두 방향 고정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조인트행어(200)의 동작이 더욱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걸림공간(213)은 2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2개의 제1걸림공간(213)은 제1지지파트(210)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제1확장커넥터(130)의 제1플랜지부(132)에 대한 상세 구성은 후술되는 제2확장커넥터(140)의 제2플랜지부(142)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앞서 기술된 조인트행어(200)의 제1지지파트(210) 및 제1회전구속체(240) 등의 상세 구성 또한, 후술되는 패어행어(300)의 제2지지파트(310) 및 제2회전구속체(340)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인트행어(200)가 회전(예를 들어 90도)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 가방이나 옷 등을 걸 수 있도록 상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걸이부(260)가 외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패어행어(300) 및 이와 관련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패어행어(300)는, 패어행어(300)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다른 책상인 제2책상(2000. 도 5 참조)에 구비된 조인트행어(200), 구체적으로 조인트행어(200)의 제1결합부(230)와 연결 내지 결합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패어행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 구체적으로 제2서브프레임(110-2)에 결합되는 제2지지파트(310) 및 상기 제2지지파트(310)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파트(3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어행어(300)는 상기 패어행어(300)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책상인 제2책상(2000)에 구비되며, 앞서 기술된 구성을 포함하는 조인트행어(200)의 제1결합부(230)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230)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패어결합부(330)를 포함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230)가 홈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패어결합부(33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 형상의 제1결합부(230)와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조인트행어(200)에 대한 상세 내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어행어(300) 또한, 제2결합부재(350)에 의한 축-결합에 의하여 베이스프레임(100)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패어행어(300)와 제2서브프레임(110-2)을 매개하는 제2확장커넥터(140)는 제1확장커넥터(130)와 같이 제2서브프레임(110-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2서브프레임(110-2)에 결합되는 제2수용부(141) 및 제2수용부(141)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플랜지부(14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패어행어(300)의 제2지지파트(310)는 제2회전구속체(340)의 매개를 통하여 제2확장커넥터(140)의 제2플랜지부(14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어행어(300)의 제2지지파트(310)는 패어행어(300)와 조인트행어(200) 사이,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책상(1000)의 패어행어(300)와 제2책상(2000)의 조인트행어(200) 사이에 높이차(H)가 형성되도록 상방(Z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지지파트(310)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면 제2지지파트(310)가 제2확장커넥터(140)의 제2플랜지부(143)에 결합될 때, 패어행어(300) 자체의 높이를 "H"만큼 낮출 수 있으므로 인접한 제2책상(2000)의 조인트행어(200)와의 결합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크게 상부프레임(110), 레그프레임(120) 및 바닥프레임(1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110)은 제1서브프레임(110-1), 제2서브프레임(110-2) 및 수평프레임(11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0)을 이루는 레그프레임(120)은 전방레그프레임(120-1) 및 후방레그프레임(1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그프레임(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0), 구체적으로 제1서브프레임(110-1) 또는/및 제2서브프레임(110-2)에서 좌측 및 우측 수평 방향으로 제1길이(D2, 도 3 및 도 4 참조)만큼 돌출된 후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상판(400)을 더욱 넓은 범위에서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제1확장커넥터(130) 또한, 제1서브프레임(110-1)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확장커넥터(130), 구체적으로 제1확장커넥터(130)의 제1플랜지부(132)는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길이(D2)보다 작은 길이(D1)로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조인트행어(200)가 내측으로 들어가는 경우 조인트행어(200)가 책상(1000) 또는 상판(400)이 차지하는 공간 영역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나아가 조인트행어(200)가 외측으로 나오는 경우 조인트행어(200)가 책상(1000) 또는 상판(400)에 해당하는 공간 밖으로 유출될 수 있어 조인트행어(200)의 회전 이동에 따른 기능을 더욱 구조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확장커넥터(140) 또한, 제1확장커넥터(130)와 함께 또는 택일적으로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책상들(1000, 2000, 3000)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기준이 되는 책상(1000)을 중심으로, 우측(도 5 기준. 전방 기준 시 좌측)에는 제2책상(2000)이 위치하며, 좌측(도 5 기준)에는 제1책상(3000)이 위치한다.
책상(1000)의 우측(도 5 기준)에는 패어행어(300)가 구비되어 있고, 이 패어행어(300)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제2책상(2000)의 좌측(도 5 기준)에는 조인트행어(2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책상(1000)과 제2책상(2000)의 수평 방향 연결 내지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응하는 관점에서, 책상(1000)의 좌측(도 5 기준)에는 조인트행어(20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조인트행어(200)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제1책상(3000)의 우측(도 5 기준)에는 패어행어(3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책상(1000)과 제1책상(3000)의 수평 방향 연결 내지 결합이 확장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프론트보드(500) 및 이와 관련된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프론트보드(500)는 베이스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면가림판(510), 연장가림판(520), 전면결합부(530), 대면수용부(540) 및 안착홈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면가림판(510)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방 하부를 차단하는 가림판을 의미하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결합부(530)는 상기 전면가림판(5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베이스프레임(100)의 수평프레임(110-3)과 결합되도록 후방(음의 X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프론트보드(500)는 그 결합 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상부프레임(110)을 구성하는 수평프레임(110-3)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보드(500)를 구성하는 일 구성인 연장가림판(520)은 전면가림판(5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후방으로 라운드진 형상 등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림판으로서 전면가림판(51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면수용부(540)는 연장가림판(520) 중 레그프레임(120)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구비되며, 자신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전방레그프레임(120-1)과 대면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Z축 방향)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홈부 형상을 가지되, 전방레그프레임(120-1)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부 라인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가림판(520)의 하부, 구체적으로 상기 대면수용부(540)의 수직 하방 부분에는 전방레그프레임(120-1)의 형상(예를 들어 반원 형상 등)과 대응되는 안착홈부(550)가 형성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안착홈부(550)가 전방레그프레임(120-1)에 대면하는 방식으로 안착된 후, 전방레그프레임(120-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예를 들어 반원 형상 등)을 가지는 안착홈부커버(560)가 상기 안착홈부(550) 후방에서 상기 안착홈부(550)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서는 대면수용부(540)가, 하부에서는 안착홈부(550)가 전방레그프레임(120-1)을 상하 이원적 위치에서 물리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상호 결합의 용이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론트보드(500)가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될 때, 수직 길이 방향의 결합 지지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장커넥터(7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책상들(1000, 4000)이 상호 대면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장커넥터(700)는 프론트보드(500), 구체적으로 전면가림판(5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가림판(510)의 정면에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다른 책상인 제3책상(4000)과 본 발명에서 설명의 기준이 되는 책상(1000)의 상호 결합과 그 결합의 해제를 구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연장커넥터(700)는 회전부(710), 몸체부(720), 끼움부(730) 및 레버(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710)는 연장커넥터(700)의 몸체부(720) 일단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축-결합 내지 힌지 결합 등에 의하여 전면가림판(510)의 내면 하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전면가림판(510)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710)에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7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길이(W1)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끼움부(730)는 몸체부(720)의 일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전면가림판(510)의 정면에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제3책상(4000)의 전면가림판(510) 하측 단부와 끼움결합된다.
상기 레버(740)는 끼움부(730)보다 바깥 방향에 위치하며 끼움부(7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레버러지(leverage) 효과에 의하여 최적화된 외력이 연장커넥터(700)에 가해지도록 유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도 7에 도시된 참조부호 590은 연장보드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00)이 안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단턱 형상이 내측에 형성되며, 전면가림판(510)의 상면과 대면하는 방식으로 전면가림판(5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연장보드(590)를 통하여 상판(400)이 정확하고 쉽게 안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조립 공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착탈 가능한 형태를 통하여 상판(400)과 전면가림판(5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키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결합커넥터(8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합커넥터(8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술된 연장커넥터(700)와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되, 수평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다른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커넥터(800)는 제3책상(4000)에 구비된 연장커넥터(700)의 끼움부(730)가 제3책상(4000)의 전면가림판(510) 하단을 넘어오는 방식으로 회전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3책상(4000)의 끼움부(730)와 끼움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책상(1000)을 기준으로 이 책상(1000)에 구비된 연장커넥터(700)는 제3책상(4000)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즉, 제3책상(4000)으로 넘어가 제3책상(4000)에 구비된 결합커넥터(800)에 결합되며, 이 책상(1000)에 구비된 결합커넥터(800)는 회전 이동을 통하여 이 책상(1000)으로 넘어온 제3책상(4000)에 구비된 연장커넥터(700)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커넥터(800)는 연장커넥터(700)의 끼움부(7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착탈 용이성, 작동 관계의 명확성 등을 높이기 위하여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커넥터(700)의 끼움부(730)는 결합커넥터(8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커넥터(800)에 결합되는 경우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장커넥터(700)와 결합커넥터(800) 작동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기술되었으며, 도 10(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장커넥터(700)는 자신이 구비된 책상(1000)에서 반시계 방향(도 10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연장커넥터(700)가 270도 회전 이동하는 예에 해당하며, 도 10(c)는 연장커넥터(700)의 회전 이동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d)에 도시된 도면은 제3책상(4000)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 10(c)와 같이 회전 이동에 의하여 제3책상(4000) 방향으로 넘어온 연장커넥터(700)가 제3책상(4000)의 결합커넥터(800)에 끼움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장커넥터(700), 결합커넥터(800) 및 이들 상호 간의 치합 내지 결합 구조에 책상(1000) 및 이 책상(1000)의 정면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3책상(4000) 사이의 대면 결합이 더욱 용이하고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책상(1000)의 전면가림판(510)과 제3책상(4000)의 전면가림판(510)이 상호 대면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연장커넥터(700)의 회전부(710)와 끼움부(730) 사이의 거리(W1, 도 7 참조)는 전면가림판(510) 두께의 두 배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전면가림판(510) 두께의 두 배에 해당하는 거리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하여 대면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집합체를 형상한 책상들(1000, 2000, 3000, 4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인트행어(200)와 패어행어(300)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책상(1000)을 중심으로 할 때, 좌측 및 우측 방향(Y축 방향)으로 다른 책상(2000, 3000)이 상호 연결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연장커넥터(700)와 결합커넥터(800)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전후방 방향(X축 방향)으로 책상(1000)이 다른 책상(4000)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의 조합적 구성에 의하여,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2×4 배열은 물론, 2×n(n은 2이상의 자연수로서 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책상의 개수)배열로 집합된 책상들이 상호 간 연결 내지 결합이 용이하게 구현되며 그 연결 내지 결합이 지속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책상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상부프레임
110-1 : 제1서브프레임 110-2 : 제2서브프레임
110-3 : 수평프레임 120 : 레그프레임
130 : 제1확장커넥터 131 : 제1수용부
132 : 제1플랜지부 133 : 제1통공
135 : 제1고정통공 140 : 제2확장커넥터
141 : 제2수용부 142 : 제2플랜지부
200 : 조인트행어 210 : 제1지지파트
211 : 제1이동공간 213 : 제1걸림공간
212 : 통공 220 : 제1몸체파트
230 : 제1결합부 240 : 제1회전구속체
241 : 제1가이딩돌출부 243 : 제1텐션부
245 : 결합통공 247 : 고정돌출부
300 : 패어행어 310 : 제2지지파트
320 : 제2몸체파트 330 : 제2패어결합부
340 : 제2회전구속체 400 : 상판
500 : 프론트보드 510 : 전면가림판
520 : 연장가림판 530 : 전면결합부
540 : 대면수용부 550 : 안착홈부
560 : 안착홈부커버 590 : 연장보드
600 : 수납트레이 700 : 연장커넥터
710 : 회전부 720 : 몸체부
730 : 끼움부 740 : 레버
800 : 결합커넥터

Claims (7)

  1. 책상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는 조인트행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상기 조인트행어가 구비되지 않은 일측에 구비되는 패어행어; 및
    회전구속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행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며, 제한된 범위의 홈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공간 및 걸림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지지파트, 상기 제1지지파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몸체파트와, 상기 조인트행어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다른 책상인 제1책상에 구비된 상기 패어행어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어행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며, 제한된 범위의 홈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이동공간 및 걸림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2지지파트, 상기 제2지지파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파트와, 상기 패어행어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책상인 제2책상에 구비된 상기 조인트행어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패어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속체는, 상기 걸림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탄성 지지력을 가지는 텐션부와, 상기 이동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딩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파트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파트 또는 제2지지파트는,
    상기 조인트행어와 상기 패어행어 사이에 높이차가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간은,
    두 개로 형성되되, 상기 두 개의 걸림공간은 상기 제1 또는 제2지지파트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전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서브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서브프레임을 전방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좌측 및 우측 측면 방향으로 제1길이만큼 돌출된 후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레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서브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서 상기 제1길이보다 작은 길이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1확장커넥터; 및
    상기 제2서브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에서 상기 제1길이보다 작은 길이만큼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2확장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행어의 상기 제1지지파트는 상기 제1확장커넥터의 제1플랜지부에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패어행어의 상기 제2지지파트는 상기 제2확장커넥터의 제2플랜지부에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7. 제 6항에 있어서,
    전면가림판, 상기 전면가림판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전면결합부, 상기 전면가림판에서 라운드진 형상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가림판, 상기 연장가림판 중 상기 레그프레임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레그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부라인이 형성된 대면수용부와, 상기 연장가림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레그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며, 전방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레그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론트보드; 및
    상기 레그프레임이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된 후, 상기 안착홈부 후방에서 상기 안착홈부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레그프레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홈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KR1020200088067A 2020-07-16 2020-07-16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KR10216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67A KR102161558B1 (ko) 2020-07-16 2020-07-16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67A KR102161558B1 (ko) 2020-07-16 2020-07-16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558B1 true KR102161558B1 (ko) 2020-10-05

Family

ID=7280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67A KR102161558B1 (ko) 2020-07-16 2020-07-16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5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931Y1 (ko) 2003-01-11 2003-06-02 송훈성 연결이 가능한 책상
KR101559275B1 (ko) * 2015-06-17 2015-10-13 장근대 책상 연결장치
KR101976664B1 (ko) * 2018-12-18 2019-05-10 (주)코아스 책상
KR20190089243A (ko) 2018-01-22 2019-07-31 권병운 연결이 가능한 높이조절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931Y1 (ko) 2003-01-11 2003-06-02 송훈성 연결이 가능한 책상
KR101559275B1 (ko) * 2015-06-17 2015-10-13 장근대 책상 연결장치
KR20190089243A (ko) 2018-01-22 2019-07-31 권병운 연결이 가능한 높이조절책상
KR101976664B1 (ko) * 2018-12-18 2019-05-10 (주)코아스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35858U (zh) 座椅
CN107440366A (zh) 一种多功能组合式书桌架
KR102161558B1 (ko)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KR102154574B1 (ko) 확장 연결이 가능한 책상
JP2008119116A (ja) デスクトップパネル、およびそれを取り付けた机
KR20130040487A (ko) 2인용 일체형 책걸상
KR102153354B1 (ko) 의자
JP4537691B2 (ja) パネル付き椅子
JP4244122B2 (ja) スクリーン、簡易テーブル
CN212260743U (zh) 一种便携式教学用工具箱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JP6456626B2 (ja) デスクシステム
KR200455249Y1 (ko) 좌석반전이 가능한 연결식 접이의자
KR102055571B1 (ko) 노트북 지지대
KR200415705Y1 (ko) 컴퓨터용 책상
TWM606871U (zh) 蜂巢式空間結構
JP2009131357A (ja) 椅子
JPH0998845A (ja) 家 具
KR100581378B1 (ko) 천정수납식구조를 갖는 일체형 의자 및 탁자
CN211021514U (zh) 连排课桌椅
RU2146487C1 (ru) Рабочий стол с сиденьями
KR101271591B1 (ko) 변형가능한 다용도 책상
JP3224886U (ja) 折りたたみデスク
JP2013022137A (ja) 机システム
JP6878832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