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64B1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6664B1 KR101976664B1 KR1020180164285A KR20180164285A KR101976664B1 KR 101976664 B1 KR101976664 B1 KR 101976664B1 KR 1020180164285 A KR1020180164285 A KR 1020180164285A KR 20180164285 A KR20180164285 A KR 20180164285A KR 101976664 B1 KR101976664 B1 KR 101976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panel
- base plate
- plate
- des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6—Writing-tables with parts, e.g. trays, movable on a pivot or by chains or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지지부를 갖는 레그, 지지부에 지지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트레이, 트레이의 상부에 구비되는 패널, 트레이의 탄성 변형과 복원을 허용하고 외기의 출입 유동을 안내함으로써 트레이 내부의 부유이물질을 배출 유도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되는 개구홀부, 및 지지부와 트레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소정 탄성 변형 가능한 트레이를 책상의 패널과 레그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경질의 패널과 경질의 레그를 직접 결합하는 구조에 비해 책상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고, 트레이에 결합되는 레그의 상부를 상향 경사지게 배치하여 패널의 누름 외력 발생시에도 레그에 의한 패널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회동 가능한 후커(hooker)를 통해 이웃한 책상끼리를 다방향으로 연결 확장 가능하고, 트레이에 개구홀부의 배치와 형상을 통해 트레이가 탄성 변형과 복원성을 증대시키면서 트레이 내부의 부유이물질의 배출성을 향상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소정 탄성 변형 가능한 트레이를 책상의 패널과 레그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경질의 패널과 경질의 레그를 직접 결합하는 구조에 비해 책상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고, 트레이에 결합되는 레그의 상부를 상향 경사지게 배치하여 패널의 누름 외력 발생시에도 레그에 의한 패널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회동 가능한 후커(hooker)를 통해 이웃한 책상끼리를 다방향으로 연결 확장 가능하고, 트레이에 개구홀부의 배치와 형상을 통해 트레이가 탄성 변형과 복원성을 증대시키면서 트레이 내부의 부유이물질의 배출성을 향상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탄성 변형 가능한 트레이를 책상의 패널과 레그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경질의 패널과 경질의 레그를 직접 결합하는 구조에 비해 책상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고, 트레이에 결합되는 레그의 상부를 상향 경사지게 배치하여 패널의 누름 외력 발생시에도 레그에 의한 패널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회동 가능한 후커(hooker)를 통해 이웃한 책상끼리를 다방향으로 연결 확장 가능하고, 트레이에 개구홀부의 배치와 형상을 통해 트레이가 탄성 변형과 복원성을 증대시키면서 트레이 내부의 부유이물질의 배출성을 향상시키도록 유도하고자 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학교나 학원 등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책상은 독립된 상태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정렬되어 있다.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2995호의 책상에 의하면, 평평한 판상의 단위부재를 상호 결합시켜 제조되는 책상본체와, 책상본체의 적어도 일면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부재의 각 변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책상은 서로 결속되지 않은 채 이웃하게 배치되어 정렬됨에 따라 쉽게 배열이 흐트러져 정리정돈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책상이 볼팅 등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책상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 탄성 변형 가능한 트레이를 책상의 패널과 레그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경질의 패널과 레그를 직접 결합하는 구조에 비해 패널이나 레그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트레이에서 일부 흡수함에 따라 책상의 내구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트레이에 결합되는 레그의 상부를 상향 경사지게 배치하여 패널의 누름 외력 발생시에도, 레그의 상부가 탄성적으로 패널을 지지함에 따라, 레그에 의한 패널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동 가능한 후커(hooker)와 이웃한 후커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구를 하나의 책상에 모두 구비함으로써, 이웃한 책상끼리를 다방향으로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책상 정렬이 용이하도록 한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측이 패널로 막힌 트레이의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되도록 유도하여 부유 및 쌓인 이물질을 배출 유도하도록 개구홀부를 슬롯홀 타입으로 복수 개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외부 부딪힘에 의한 트레이의 탄성 변형성을 증가시키면서 탄성 복원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브라켓을 통해 트레이에 가림판을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가림판을 트레이에 결합함으로써 전방 노출을 완전히 차단하고자 하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지지부를 갖는 레그;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구비되는 패널; 상기 트레이의 탄성 변형과 복원을 허용하고, 외기의 출입 유동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내부의 부유이물질을 배출 유도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되는 개구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트레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개구홀부를 통공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엔드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각각의 축 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패널과 결속을 위해 접촉되는 엣지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홀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부위에서 전측으로 방사상으로 장축이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탄성 변형성을 증가시키고, 외기의 유동량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전측슬롯홀부로 이루어진 방사홀영역;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측에서 너비방향(W)으로 장축이 배치되고, 상기 전측슬롯홀부 전체의 외기 유동량보다 적은 유동량을 통해 난류를 유도하며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후측슬롯홀부로 이루어진 가로홀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깊이방향(D)으로 상기 방사홀영역과 상기 가로홀영역 사이에서 너비방향(W)에 대해 중앙 부위에 복수 개의 정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탄성 변형시 복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너비방향(W)으로 덧살부재를 나란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탄성 변형시 보강하기 위해 너비방향(W)으로 보강리브를 나란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는 설치부를 통해 가림판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는, 상기 가림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의 후측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상부브라켓; 상기 상부브라켓에서 상기 트레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리브; 상기 탄성리브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후크; 상기 트레이의 후측면 상부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부; 및 상기 설치홈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가 삽입 후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브라켓은 상기 탄성리브를 상기 패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패널을 접하여 지지하는 서포팅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둘레면 중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수용부를 형성한 제 1홀더; 및 상기 제 1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나머지 둘레면을 수용하기 위해 제 2수용부를 형성한 제 2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또는 상기 패널은 일측에 회동 가능한 후커(hooker)를 구비하고, 타측에 대응되는 후커가 걸리도록 걸림구를 형성하여, 복수 개의 패널이 다방향으로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종래 기술과 달리 소정 탄성 변형 가능한 트레이를 책상의 패널과 레그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경질의 패널과 레그를 직접 결합하는 구조에 비해 패널이나 레그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을 트레이에서 일부 흡수함에 따라 책상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레이에 결합되는 레그의 상부를 상향 경사지게 배치하여 패널의 누름 외력 발생시에도, 레그의 상부가 탄성적으로 패널을 지지함에 따라, 레그에 의한 패널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회동 가능한 후커(hooker)와 이웃한 후커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구를 하나의 책상에 모두 구비함으로써, 이웃한 책상끼리를 다방향으로 연결 가능하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책상 정렬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측이 패널로 막힌 트레이의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되도록 유도하여 부유 및 쌓인 이물질을 배출 유도하도록 개구홀부를 슬롯홀 타입으로 복수 개 배치하고, 이를 통해 외부 부딪힘에 의한 트레이의 탄성 변형성을 증가시키면서 탄성 복원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라켓을 통해 트레이에 가림판을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가림판을 트레이에 결합함으로써 전방 노출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요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책상을 정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요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책상을 정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요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트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책상을 정렬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은 레그(20), 트레이(30), 패널(40), 개구홀부(32) 및 조립부(50)를 포함한다.
레그(20)는 바닥에 대해 트레이(30)와 패널(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레그(20)는 상부에 지지부(22)를 형성한다.
이때, 레그(20)는 독립된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트레이(30)의 적어도 양측을 지지 연결할 수도 있고, 하나로 구비된 채 트레이(30)의 적어도 양측을 지지 연결할 수 있다. 편의상, 레그(20)는 2개 구비되고, 각각의 지지부(22)가 트레이(3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물론, 레그(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한데,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경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레이(30)는 사무용품이나 학용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트레이(30)는 양측 가장자리가 레그(20) 각각의 지지부(22)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이때, 트레이(30)는 소정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및 두께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트레이(30)는 파손 방지를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패널(40)은 트레이(30)의 개방된 상부를 막도록 트레이(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패널(40)은 누르는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경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패널(4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트레이(30)는 레그(20)의 지지부(22)에 지지되도록 연결된 채 패널(40)을 결합함에 따라, 경질인 레그(20)와 패널(40)은 서로 접하거나 연결되지 않도록 유격되게 배치된다.
그래서, 트레이(30)는 소정 변형 가능함에 따라 패널(40)이나 레그(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일부 또는 전부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40)이나 레그(20) 등 책상(10)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한편, 조립부(50)는 지지부(22) 각각과 트레이(3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조립부(50)는 제 1홀더(52) 및 제 2홀더(54)를 포함한다.
제 1홀더(52)는 트레이(30)의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 1홀더(52)는 대응되는 지지부(22)의 둘레면 중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제 1수용부(53)를 함몰 형성한다.
이때, 제 1수용부(53)는 제 1홀더(52)에 결합되는 제 2홀더(54)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지부(22)는 제 1수용부(53)에 용이하게 수용되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홀더(54)는 해당되는 지지부(22)의 나머지 둘레면을 수용하기 위해 제 2수용부(55)를 함몰 형성한다. 그리고, 제 2홀더(54)는 볼팅 등에 의해 제 1홀더(5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1수용부(53)가 지지부(22)의 상측 둘레면을 수용하도록, 트레이(30)가 지지부(22)에 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 2수용부(55)에 지지부(22)의 하측 둘레면을 수용한 채 제 1홀더(52)와 제 2홀더(54)를 볼팅 등으로 결속하여 용이하게 조립한다.
그래서, 레그(20)의 지지부(22)가 외부로 노출 방지됨에 따라, 책상(10)의 상품성이나 미적 감각이 향상된다.
그리고, 레그(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 외력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트레이(30)에 전부 전달됨으로써, 경질인 패널(40)의 파손이 방지된다. 아울러, 패널(40)에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트레이(30)가 이를 흡수함으로써 레그(20)를 보호한다.
물론, 제 1홀더(52)와 제 2홀더(5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제 1홀더(52)와 지지부(22) 및 제 2홀더(54)가 별도로 볼팅에 의해 상호 결속될 수도 있다.
아울러, 지지부(22)는 트레이(3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가장자리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지부(22)는 상하 방향으로 트레이(30)를 탄성 지지하게 됨으로써, 패널(40)에 대한 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다.
물론, 지지부(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레그(20)에서 경사지게(θ) 연장되는 각도는 한정하지 않는다.
트레이(30)는 베이스플레이트(31), 엔드플레이트(33), 사이드플레이트(35) 및 엣지(37)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31)는 학용품과 같은 수납물이 놓여질 수 있도록 대략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개구홀부(32)는 평판 형상인 베이스플레이트(31)에 형성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31)는 무릎 등에 의한 타격시 충분히 탄성 변형됨으로써 파손이 방지된다.
엔드플레이트(33)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후측 가장자리에서 패널(40)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엔드플레이트(33)는 볼팅 등에 의해 패널(40)과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아울러, 사이드플레이트(35)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너비방향(W)으로 양측 가장자리에서 패널(40)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물론, 엔드플레이트(33)와 사이드플레이트(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제 1홀더(52)는 사이드플레이트(35) 각각의 외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엣지(37)는 사이드플레이트(35) 각각의 축 방향(D)으로 양측 가장자리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볼팅 등에 의해 패널(40)과 결속된다. 이로써, 사이드플레이트(35), 이웃한 엣지(37) 및 패널(40)에 의한 외기유동공간(38)이 형성된다. 엣지(3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트레이(30)는 내부의 먼지 등 이물질의 배출을 유도하거나, 내부의 물기를 배출 및 건조시키기 위해 개구홀부(32)을 통공할 수 있다. 물론, 개구홀부(32)은 이물질이나 물기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도록 트레이(30)의 바닥에 형성된다.
즉, 외기는 외기유동공간(38)과 트레이(30)의 개방된 전측 및 개구홀부(32)를 통해 충분히 순환됨으로써, 트레이(30) 내부의 부유이물질은 배출 유도된다.
아울러, 개구홀부(32)는 트레이(30)의 탄성 변형성 및 탄성 복원성을 극대화하고, 패널(40)에 의해 상부가 막힌 트레이(30) 내부에서 베르누이법칙에 의해 외기의 자연적 흐름을 발생시키면서 난류를 발생시켜 부유이물질이 최대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상세히, 개구홀부(32)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바닥면에서, 방사홀영역(72)과 가로홀영역(74) 및 정홀(76)로 나뉘어진다.
방사홀영역(72)은 베이스플레이트(31)의 중앙부위에서 전측방향으로 방사상(부채꼴 또는 삼각 궤적)으로 장축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측슬롯홀부(73)들이 군(群)을 형성한다.
특히, 전측슬롯홀부(73)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개방된 전측에 해당되는 전측 가장자리를 따라 너비방향(W)으로 전체에 걸쳐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31)의 하부에서 외기의 유입량이 최대가 된다. 그리고, 전측슬롯홀부(73)가 베이스플레이트(31)의 전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개수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외기의 유입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아울러, 트레이(30)의 전측이 수납물의 수납을 위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가 트레이(30)의 전측 및 전측슬롯홀부(73)를 통해 트레이(30) 내부로 유입된 후 내부 후측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외기가 외기유동공간(38)을 통해서도 트레이(3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외기는 트레이(30)의 내부에서 내부 후측으로 집중 유동된다. 이때, 전측슬롯홀부(73)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평면상 대략 중앙 부위에서 방사상으로 장축이 배치되는 슬롯홀 형상임에 따라, 유입되는 외기에 유동 방향성을 설정한다.
특히, 베이스플레이트(31)는 방사상으로 장축이 배치되는 슬롯홀 형상의 전측슬롯홀부(73)를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무릎 등에 의해 타격시 최대한 탄성 변형이 발생됨에 따라,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31)는 전측슬롯홀부(73)에 의해 탄성 복원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가로홀영역(74)은 베이스플레이트(31)의 후측에서 너비방향(W)으로 장축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후측슬롯홀부(75)로 이루어진다. 이때, 후측슬롯홀부(75)는 너비방향(W)으로 한 열 또는 복수 열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측슬롯홀부(73)와 트레이(30)의 개방된 전측 및 외기유동공간(38)으을 통해 최대한 많이 유입된 공기가 베르누이법칙에 의해 빠른 유속으로 배출 유도되도록, 후측슬롯홀부(75)는 외기의 유동량을 상대적으로 줄이기 위해 한 열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트레이(30)는 내부에서 외기의 강제 유동 및 난류가 발생됨으로써, 트레이(30) 내부에 쌓이거나 부유하는 먼지 등 이물질은 후측슬롯홀부(75)를 통해 최대한 배출 유도된다. 물론, 트레이(30) 내부의 이물질은 전측슬롯홀부(73), 트레이(30)의 개방된 전측, 외기유동공간(38) 및 후측술롯홀부(75)를 통해 방향성 없이 불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정홀(76)은 베이스플레이트(31)는 깊이방향(D)으로 방사홀영역(72)과 가로홀영역(74) 사이, 너비방향(W)에 대해 중앙 부위에 복수 개가 군(群)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정홀(76)은, 외기의 흐름 방향이나 흐름량에 따라, 트레이(30) 내부에서 배출되는 외기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안내하거나, 또는 트레이(3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정홀(76)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31)는 탄성 변형시 복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너비방향(W)으로 덧살부재(34)를 나란하게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덧살부재(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엔드플레이트(33)는 베이스플레이트(31)의 탄성 변형시 후측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강하도록 너비방향(W)으로 보강리브(36)를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엔드플레이트(33)가 보강리브(36)에 의해 탄성 변형량이 최소화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31)는 탄성 변형 후 탄성 복원 응답성이 향상된다.
물론, 보강리브(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트레이(30) 또는 패널(40)은 일측에 회동 가능한 후커(hooker,62)를 구비하고, 타측에 대응되는 후커(62)가 걸리도록 걸림구(64)를 형성한다. 편의상, 후커(62)는 트레이(30)의 엣지(37)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트레이(30)는 일측 하부 가장자리에 슬리브(65)를 돌출 형성하고, 후커(62)는 슬리브(65)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구(66)를 형성한다. 그래서, 후커(62)는 슬리브(65)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됨으로써, 미사용시 패널(40)의 하측으로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외부 노출을 방지한다.
그리고, 후커(62)가 슬리브(65)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65)는 캡(67)이 끼워진다. 캡(67)은 슬리브(65)에 단순 끼움 결속되어 후커(62)를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슬리브(65) 및 캡(67)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후커(62)는 손잡이(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걸림구(64)는 이웃한 다른 트레이(30)의 후커(62)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후커(62)는 대응되는 걸림구(64)로부터 이탈 가능하고, 걸림구(6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책상(10) 각각에 구성되는 패널(40)들이 다방향으로 배치(배열) 가능하게 된다. 물론, 패널(40)들은 후커(62)와 걸림구(64)의 결속을 통해 확장성에 한계가 없다.
또한, 트레이(30)는 설치부(90)를 통해 가림판(8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특히, 트레이(30)의 엔드플레이트(33)가 가림판(8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책상(10)은 가림판(80)에 의해 전측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설치부(90)는 상부브라켓(91), 탄성리브(92), 걸림후크(93), 설치홈부(94), 걸림턱(95) 및 하부브라켓(96)을 포함한다.
상부브라켓(91)은 가림판(80)의 상측에 볼팅 등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레이(30)의 엔드플레이트(33)에 접하여 지지된다. 물론, 상부브라켓(91)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브라켓(91)은 트레이(90)에 안정적으로 결속하기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리브(92)는 상부브라켓의 상부에서 트레이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그래서, 탄성리브(92)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탄성리브(9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걸림후크(93)는 탄성리브(92)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걸림후크(9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설치홈부(94)는 트레이(30)의 후측면 즉, 엔드플레이트(33)의 상부에 함몰 형성된다. 특히, 설치홈부(94)는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걸림턱(95)은 설치홈부(94)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걸림후크(93)가 삽입 후 걸리게 된다. 이때, 설치홈부(94)의 개방된 상측은 패널(40)로 막혀 있음에 따라, 탄성리브(92)는 패널(4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눌려짐으로써, 걸림후크(93)가 걸림턱(95)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탄성리브(92)는 설치홈부(94)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부브라켓(91)은 탄성리브(92)를 패널(40)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패널(40)을 접하여 지지하는 서포팅리브(97)를 돌출 형성한다. 즉, 서포팅리브(97)가 패널(40)을 지지함에 따라, 패널(40)은 서포팅리브(97)의 높이만큼 상부브라켓(91)과 유격된다. 그래서, 탄성리브(92)는 패널과 상부브라켓(91) 사이의 확보된 공간을 통해 설치홈부(94)로 용이하게 삽입됨으로써, 탄성리브(92)는 설치홈부(94)에 삽입되기 전, 패널(40)에 접함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고, 삽입 불량이 방지된다.
그리고, 가림판(80)은 하부 양쪽에 하부브라켓(96)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브라켓(96)은 대응되는 레그(20)에 연결됨으로써, 가림판(8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상부브라켓(91)이 보호된다.
물론, 하부브라켓(9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책상 20: 레그
22: 지지부 30: 트레이
32: 개구홀부 40: 패널
50: 조립부 52: 제 1홀더
53: 제 1수용부 54: 제 2홀더
55: 제 2수용부 62: 후커(hooker)
64: 걸림구 65: 슬리브
66: 개방구 67: 캡
72: 방사홀영역 73: 전측슬롯홀부
74: 가로홀영역 75: 후측슬롯홀부
80: 가림판 90: 설치부
91: 상부브라켓 92: 탄성리브
93: 걸림후크 94: 설치홈부
95: 걸림턱 96: 하부브라켓
22: 지지부 30: 트레이
32: 개구홀부 40: 패널
50: 조립부 52: 제 1홀더
53: 제 1수용부 54: 제 2홀더
55: 제 2수용부 62: 후커(hooker)
64: 걸림구 65: 슬리브
66: 개방구 67: 캡
72: 방사홀영역 73: 전측슬롯홀부
74: 가로홀영역 75: 후측슬롯홀부
80: 가림판 90: 설치부
91: 상부브라켓 92: 탄성리브
93: 걸림후크 94: 설치홈부
95: 걸림턱 96: 하부브라켓
Claims (10)
- 지지부를 갖는 경질의 레그;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구비되는 경질의 패널; 상기 트레이의 탄성 변형성과 복원성을 증대하고, 외기의 출입 유동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내부의 부유이물질을 배출 유도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되는 개구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트레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둘레면 중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패널과 직접 결합되는 제 1홀더; 및 상기 제 1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나머지 둘레면을 수용하기 위해 제 2수용부를 형성한 제 2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개구홀부를 통공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엔드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패널 측으로 연장되고, 각각 상기 제 1홀더와 상기 제 2홀더를 갖는 사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각각의 축 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패널과 결속을 위해 접촉되는 상기 제 1홀더를 갖는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홀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부위에서 전측으로 방사상으로 장축이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탄성 변형성을 증가시키고, 외기의 유동량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전측슬롯홀부로 이루어진 방사홀영역;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측에서 너비방향(W)으로 장축이 배치되고, 상기 전측슬롯홀부 전체의 외기 유동량보다 적은 유동량을 통해 난류를 유도하며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후측슬롯홀부로 이루어진 가로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깊이방향(D)으로 상기 방사홀영역과 상기 가로홀영역 사이에서 너비방향(W)에 대해 중앙 부위에 복수 개의 정홀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탄성 변형시 복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너비방향(W)으로 덧살부재를 나란하게 형성하며,
상기 트레이는 설치부를 통해 가림판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트레이와 상기 가림판 사이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림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접하게 구비되는 상부브라켓; 상기 상부브라켓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 방향으로 절곡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리브; 상기 탄성리브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후크;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후측면 상부에 함몰 형성된 설치홈부; 및 상기 설치홈부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패널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려지면서 탄성적으로 삽입 후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가림판은 하부 양측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하부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브라켓은 상기 레그에 끼움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엣지 및 상기 패널로 둘러싸인 외기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슬롯홀부와 상기 트레이의 개방된 전측 및 상기 외기유동공간을 통해 상기 트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상기 후측슬롯홀부를 통해 상기 트레이의 외측으로 배출 유도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도록, 상기 전측슬롯홀부와 상기 후측슬롯홀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트레이는 내부에서 외기의 자연적 유동과 난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탄성 변형시 보강하기 위해 너비방향(W)으로 보강리브를 나란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은 상기 탄성리브를 상기 패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패널을 접하여 지지하는 서포팅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또는 상기 패널은 일측에 회동 가능한 후커(hooker)를 구비하고, 타측에 대응되는 후커가 걸리도록 걸림구를 형성하여,
복수 개의 패널이 다방향으로 배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285A KR101976664B1 (ko) | 2018-12-18 | 2018-12-18 | 책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4285A KR101976664B1 (ko) | 2018-12-18 | 2018-12-18 | 책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6664B1 true KR101976664B1 (ko) | 2019-05-10 |
Family
ID=6658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4285A KR101976664B1 (ko) | 2018-12-18 | 2018-12-18 | 책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66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4574B1 (ko) * | 2020-07-16 | 2020-09-10 | (주)베스툴 | 확장 연결이 가능한 책상 |
KR102161558B1 (ko) * | 2020-07-16 | 2020-10-05 | (주)베스툴 |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65661A (ja) * | 2008-01-16 | 2009-07-30 | Kokuyo Co Ltd | 椅子のシェル |
JP2010099353A (ja) * | 2008-10-24 | 2010-05-06 | Okamura Corp | 机 |
KR20110011309U (ko) * | 2010-05-31 | 2011-12-07 | 김영선 | 절첩식 테이블 |
KR101116861B1 (ko) * | 2011-09-29 | 2012-03-07 | 주식회사 코아스 | 가구 |
KR101559701B1 (ko) * | 2015-06-17 | 2015-10-13 | 장근대 | 책상 연결장치 |
KR20170131114A (ko) * | 2016-05-20 | 2017-11-29 | 주식회사 진성기업 | 내구성을 향상시킨 학생용 책상 |
-
2018
- 2018-12-18 KR KR1020180164285A patent/KR1019766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65661A (ja) * | 2008-01-16 | 2009-07-30 | Kokuyo Co Ltd | 椅子のシェル |
JP2010099353A (ja) * | 2008-10-24 | 2010-05-06 | Okamura Corp | 机 |
KR20110011309U (ko) * | 2010-05-31 | 2011-12-07 | 김영선 | 절첩식 테이블 |
KR101116861B1 (ko) * | 2011-09-29 | 2012-03-07 | 주식회사 코아스 | 가구 |
KR101559701B1 (ko) * | 2015-06-17 | 2015-10-13 | 장근대 | 책상 연결장치 |
KR20170131114A (ko) * | 2016-05-20 | 2017-11-29 | 주식회사 진성기업 | 내구성을 향상시킨 학생용 책상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4574B1 (ko) * | 2020-07-16 | 2020-09-10 | (주)베스툴 | 확장 연결이 가능한 책상 |
KR102161558B1 (ko) * | 2020-07-16 | 2020-10-05 | (주)베스툴 | 확장 결합이 가능한 책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6664B1 (ko) | 책상 | |
US5035389A (en) | Mounting device | |
KR20200052257A (ko) | 휴대용 공기정화기 | |
US4949934A (en) | Computer stand | |
US4427391A (en) | Convertible drawing article of furniture | |
US20080173507A1 (en) | Computer case | |
US4162014A (en) | Vertical file construction | |
NL8002457A (nl) | Plantenbak. | |
US6296333B1 (en) | Ventilation of desktop workstation | |
US20030010660A1 (en) | Structure of toolbox | |
KR20210000094U (ko) | 상판 분리형 테이블 | |
US8371314B1 (en) | Cosmetic supply organizer assembly | |
KR101426898B1 (ko) | 표시패널 운반용 트레이조립체 | |
KR102003118B1 (ko) | 주방가구 하부장용 인출식 서랍 어셈블리 | |
KR101239302B1 (ko) | 디바이스의 하부 패널 아래에 부착되도록 의도된 주변 스커트, 및 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 |
KR102240372B1 (ko) | 사무용 칸막이 | |
JP3233519U (ja) | 芳香剤取付容器および風向誘導ユニット | |
CN105996954A (zh) | 筷篮组件及洗碗机 | |
KR102000601B1 (ko) | 가림판의 설치장치 | |
US9072374B2 (en) | Partition separating cooktop from underlying compartment | |
CN206473289U (zh) | 筷篮组件及洗碗机 | |
KR200464824Y1 (ko) | 로봇 제어기 케이스 | |
KR102445191B1 (ko) | 싱크대 물막이 | |
JP3989770B2 (ja) | 支柱 | |
KR102284764B1 (ko) | 멀티빔구조를 통한 부속의 결속이 용이한 칸막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