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701B1 - 책상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책상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701B1
KR101559701B1 KR1020150085712A KR20150085712A KR101559701B1 KR 101559701 B1 KR101559701 B1 KR 101559701B1 KR 1020150085712 A KR1020150085712 A KR 1020150085712A KR 20150085712 A KR20150085712 A KR 20150085712A KR 101559701 B1 KR101559701 B1 KR 101559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esk
connection bracket
fixing memb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5008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책상 연결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책상 연결장치는: 상판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판의 이웃하는 상판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부 및 연결브라켓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과 고정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 연결장치{CONNECTING APPARATUS FOR DESK}
본 발명은 책상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책상을 상호 연결하여 정렬 배치하거나 다양한 사이즈의 책상을 제공할 수 있는 책상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앉아서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사무를 보거나 할때에 앞에 놓고 쓰는 상을 의미하며, 강의실이나 사물실 및 회의실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책상은 회의용 및 강의용으로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상판 및 상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책상의 사용시에 다수의 책상을 정렬 배치하게 되는데, 연이어 정렬되는 책상을 육안에 의존하여 정렬 배치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학교나 학원 등에서 여러명이 한 조가 되어 수업을 받을 경우, 일상 책상이 아닌 실험대나 실습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실험대나 실습대 구비된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90951호 (2006.08.17, 발명의 명칭 : 강의용 책상)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을 상호 연결할 수 있어 다수의 책상을 정렬 배치할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책상을 형성할 수 있는 책상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는: 상판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상판의 이웃하는 상판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부 및 상기 연결브라켓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부재는 각각의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부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부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연결브라켓부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결속돌기부 및 상기 결속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연결브라켓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결속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돌기부와 상기 결속홈부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돌기부는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결속홈부는 상기 결속돌기부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결속돌기부와 상기 결속홈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결속돌기에 형성되는 로킹홈 및 상기 로킹홈에 결속되도록 상기 결속홈부에 형성되는 로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는 책상을 상호 연결할 수 있어 다수의 책상을 정렬 배치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사이즈의 책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저면에 구비되어 외관을 훼손하지 않고, 부품의 간소화는 물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대측 고정부재에 결합시키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결속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결속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100)는 회전축(110), 고정부재(120), 연결브라켓부(130) 및 결속부(140)를 포함한다.
회전축(110)은 상판(15)에 결합된다. 회전축(110)은 원형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판(15)의 저면에 결합된다. 즉, 회전축(110)의 중심부에는 복수개의 체결홀(112)이 형성되고, 체결홀(112)을 통해 체결부재(114)가 상판(15)의 저면에 회전축(110)을 결합시킨다.
고정부재(120)는 상판(15)의 이웃하는 상판(15)에 결합된다. 고정부재(120) 또한, 중심부에 복수개의 체결홀(122)이 형성되고, 체결홀(122)을 통해 체결부재(124)가 상판(15)의 저면에 고정부재(120)를 결합시킨다.
연결브라켓부(130)는 회전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브라켓부(130)는 회전축(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홀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110)에는 연결브라켓부(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홀부(132)에는 회전축(110)의 플랜지(115)가 수용될 수 있는 안착부(133)가 형성된다.
연결브라켓부(130)에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연결브라켓부(1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버(135)가 형성된다.
결속부(140)는 연결브라켓부(13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10)과 고정부재(120)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140)를 포함한다. 결속부(140)의 연결에 의해 상판(15)과 이웃하는 상판(15)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14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부(130)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결속돌기부(142) 및 결속돌기부(142)가 삽입되도록 고정부재(120)에 연결브라켓부(130)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결속홈부(144)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버(135)를 파지하여 연결브라켓부(130)를 회전시키면, 결속돌기부(142)가 고정부재(120)의 결속홈부(144)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이때,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는 연결브라켓부(130)의 회전방향과 대응되도록 곡률지게 형성된다.
결속돌기부(142)는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결속홈부(144)는 결속돌기부(142)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더욱이 결속돌기부(142)는 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이는 결속홈부(144)에 결속돌기부(142)의 진입시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결속부(140)는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150)를 포함한다. 로킹부(15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돌기부(142)에 형성되는 로킹홈(152) 및 로킹홈(152)에 결속되도록 결속홈부(144)에 형성되는 로킹돌기(154)를 포함한다. 로킹돌기(154)와 로킹홈(152)의 접촉에 의해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0)을 상판(15) 저면에 결합한다. 이때, 회전축(110)은 연결브라켓부(130)의 회전홀부(132)에 삽입된 상태로 상판(15)의 저면에 결합된다.
회전축(11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112)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14)에 의해 상판(15)의 저면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부(130)는 회전축(110)의 플랜지(115)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플랜지(115)는 회전홀부(1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안착부(133)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웃하는 상판(15)의 저면에 고정부재(120)를 결합한다. 고정부재(120) 또한, 중앙부에 체결홀(122)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24)에 의해 상판(15)의 저면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20)는 결속홈부(144)가 회전축(110)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홀부(132)에 회전축(110)을 삽입하고, 회전축(110)을 상판(15) 저면에 결합하고, 이웃하는 상판(15)에 고정부재(120)를 결합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판(15)의 저면에 설치되므로 외관의 이미지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후, 책상(10)의 상판(15)을 서로 맞닿게 배치한 후, 회전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브라켓부(130)를 회동시키면, 상판(15)과 이웃하는 상판(15)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레버(135)를 파지하여 연결브라켓부(130)를 회동시키면, 연결브라켓부(130)의 회동에 의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부(130)의 결속돌기부(142)가 고정부재(120)의 결속홈부(144)로 삽입된다. 결속홈부(144)에 진입된 결속돌기부(142)는 연결브라켓의 회동에 의해 계속 진입되다가 로킹홈(152)과 로킹돌기(154)가 맞닿게 되어 결속됨으로써,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의 결합에 의해 상판(15)과 이웃하는 상판(15)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넓은 접촉면적을 지녀 결속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결속돌기부(142)는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결속홈부(144)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결속돌기부(142)의 단부로 갈수록 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됨으로써, 결속돌기부(142)와 결속홈부(144)의 결합이 용이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100)에 의해 복수개의 책상(10)이 상호 연결될 수 있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배열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의 책상(10)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책상 연결장치(100)가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또 다른 책상(10)을 연결할 수 있어 요구되는 형태 또는 사이즈에 즉각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 연결장치에 의하면, 책상을 상호 연결할 수 있어 다수의 책상을 정렬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사이즈의 책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책상 연결장치 110 : 회전축
112 : 체결홀 114 : 체결부재
115 : 플랜지 120 : 고정부재
122 : 체결홀 124 : 체결부재
130 : 연결브라켓부 132 : 회전홀부
133 : 안착부 135 : 레버
140 : 결속부 142 : 결속돌기부
144 : 결속홈부 150 : 로킹부
152 : 로킹홈 154 : 로킹돌기

Claims (7)

  1. 상판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상판의 이웃하는 상판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브라켓부 및 상기 연결브라켓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연결브라켓부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결속돌기부; 및
    상기 결속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연결브라켓의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결속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결속돌기부와 상기 결속홈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결속돌기에 형성되는 로킹홈; 및
    상기 로킹홈에 결속되도록 상기 결속홈부에 형성되는 로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고정부재는 각각의 상기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부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부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결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부와 상기 결속홈부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부는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결속홈부는 상기 결속돌기부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연결장치.
  7. 삭제
KR1020150085712A 2015-06-17 2015-06-17 책상 연결장치 KR101559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12A KR101559701B1 (ko) 2015-06-17 2015-06-17 책상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12A KR101559701B1 (ko) 2015-06-17 2015-06-17 책상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701B1 true KR101559701B1 (ko) 2015-10-13

Family

ID=5434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712A KR101559701B1 (ko) 2015-06-17 2015-06-17 책상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664B1 (ko) * 2018-12-18 2019-05-10 (주)코아스 책상
KR101980541B1 (ko) 2018-12-12 2019-08-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연결 고정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344A (ja) * 2002-03-29 2003-06-10 Itoki Crebio Corp 机天板の案内・連結装置
JP2013130270A (ja) * 2011-12-22 2013-07-04 Yamada Kogyo Kk 連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の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344A (ja) * 2002-03-29 2003-06-10 Itoki Crebio Corp 机天板の案内・連結装置
JP2013130270A (ja) * 2011-12-22 2013-07-04 Yamada Kogyo Kk 連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の連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541B1 (ko) 2018-12-12 2019-08-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연결 고정구
KR101976664B1 (ko) * 2018-12-18 2019-05-10 (주)코아스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8548B2 (en)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268372B1 (en) Multi-joint synchronous rotary axle structure
TWM523265U (zh) 螢幕之支架裝置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10136714B2 (en) Tablet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30180934A1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KR101559701B1 (ko) 책상 연결장치
US20130256492A1 (en) Thin-type collapsible foot stand
CN203786371U (zh) 滤镜支架、包括该滤镜支架的镜头及镜框组件
KR101559275B1 (ko) 책상 연결장치
USD927893S1 (en) Desk
EP2630895A1 (en) Securing element,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with tablet-arm chairs
USD966765S1 (en) Tabletop
KR101585832B1 (ko) 책상 연결장치
KR101557613B1 (ko) 책상 연결장치
JP4537691B2 (ja) パネル付き椅子
TWM307925U (en) Positioning structure of detachable anti-shock speaker in flat panel TV
CN208153977U (zh) 一种多角度调节连接组件
KR101980541B1 (ko) 테이블 연결 고정구
CN212307181U (zh) 一种翻转茶几
JP2015139662A (ja) 調整可能な角度を有する机の構造
KR101522869B1 (ko) 책걸상용 받침다리 보호캡
CN104197158B (zh) 平板电脑支架
USD884655S1 (en) Under desk raceway
KR102000601B1 (ko) 가림판의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