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507B1 -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 Google Patents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507B1
KR102160507B1 KR1020167015726A KR20167015726A KR102160507B1 KR 102160507 B1 KR102160507 B1 KR 102160507B1 KR 1020167015726 A KR1020167015726 A KR 1020167015726A KR 20167015726 A KR20167015726 A KR 20167015726A KR 102160507 B1 KR102160507 B1 KR 10216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safety switch
unlocking
clo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6098A (ko
Inventor
마르코 피자토
Original Assignee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피자토 일렉트리카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6009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02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wherein one single insertion movement of a key comprises an unlocking stroke and a switch actuating stroke, e.g. security switch for safety guar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8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5Proximity switches
    • H03K22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03K2217/958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involving 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1)는 보호 장치의 고정된 부분에 고정되도록 적응되고 컨트롤해야 할 공장에 연결되도록 적응된 개폐 수단 (5)가 제공된 개폐 장치 (2)와 개폐 수단 (5)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보호 장치의 이동 부분에 고정되도록 적응된 작동 장치 (3)을 포함한다. 개폐 장치 (2)는 개폐 수단 (5)와 결합되고 작동 장치 (3)을 선택적으로 보유/해방하도록 적응된 로킹(locking) 메커니즘 (9) 와 개폐 수단에 의한 급전 회로의 개폐에 대한 예정 시간 지연을 가지는 작동 장치 (3)을 언로킹(unlocking) 하기 위한 로킹(locking) 메커니즘 (9)와 작동상 결합된 수동언로킹(unlocking) 수단 (10)을 포함한다. 개폐 장치 (2)은 입구 신호의 기능으로서 작동 조건을 변경시키기 위한 개폐 수단 (5)와 작동상 결합된 감지기 수단 (13)을 가진다. 작동 장치 (3)은 또한 상기 발신기 (14)가 감지기 수단 (13)에서 예정 최소 거리에 위치 할 때 개폐 수단 (5)을 컨트롤하기 위한 감지기 수단 (13)에 의하여 입구 신호로 수신되는 근접 신호를 발신하도록 적응된 발신기 (14)를 포함한다. 로킹(locking) 메커니즘 (9)는 또한 언로킹(unlocking) 수단 (10)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개폐 수단 (5)와 감지기 수단 (13)의 연결을 위한 수단들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적응된 내부 통로 (2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HAND-OPERATED SAFETY SWITCH WITH TIME DELAY}
본 발명은 전기 안전 장치 분야에서 적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장벽과 보호 패널(panel)과 같은 기계 및 공업용 공장설비의 보호를 위한 구조물들은 일반적으로 접근 지역에 하나이상의 안전스위치들이 제공되어 시스템의 시동을 폐쇄된 보호장치의 안전한 상태에서만 허용하도록 하며, 보호장치의 개방시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특정 스위치들은 보호장치의 고정된 부분에 적용되도록 설계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그 안에 컨트롤되는 시스템에 스위치를 연결하기 위한 전기 및 전자 개폐 부품이 내장된다
또한, 패널(panel) 또는 다른 이동식 부품의 열기와 닫기에서 스위치에 연결된 하나이상의 회로들을 열기/닫기 위해 상기 스위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작동 요소는 보호장치의 문 또는 문을 여는 패널(panel)에 대응되게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시동은 오직 패널(panel)이 닫긴 안전한 보호상태에서만 가능하게 되며, 여기서 개폐 부분과 작동 요소사이의 상호 작용이 있게 된다.
이러한 컨텍스트에서, 보다 큰 확산을 가지는 스위치들은 케이스안의 슬롯(slot)을 이용하여 고정 케이스에 포함된 이동식 액추에이터들과 회로 부분들사이의 상호 작용을 제공한다.
US7456368과 DE10056458에서 개시된바와 같이, 이 구멍을 통하여 케이스에서 해당한 접촉을 로킹(locking)/언로킹(unlocking) 하기 위해 메커니즘에 작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의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키-형의 액추에이터를 삽입할 수 있을 것이다.
액추에이터는 또한 공장설비들이 계속 가동하고 있는 경우 문이 승인되지 않은 사람들에 의해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물에 의해 채워지는 케이스내에 설치된 로킹(locking)장치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보호장치를 열기 위하여서는 먼저 상기의 로킹(locking) 장치의 언로킹(unlocking)을 실행하여야 하며, 보호장치는 동일한 케이스에 제공된 개폐 수단에 적합하게 연결되게 되며 언로킹(unlocking)되는 경우 부득이 시스템의 전원장치회로의 개폐를 초래하며 뒤이어 시스템이 정지되게 된다.
전기적으로 시동되는 스위치들도 또한 알려져 있으며, 이는 WO2013098788에서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개폐수단들은 전자태그가 제공된 전자식 작동 장치에 의해 발신되고 케이스안에 설치된 안테나에 의해 잡힌 근접신호에 의해 시동된다.
WO2013/087183은 기계식 키 조작을 이용한 안전 스위치를 개시하지만 그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유도 솔레노이드를 가지는 시동 키와 연통하도록 적응된 근접 감지장치가 함께 제공된다.
근접 감지장치와 개폐 수단사이의 연결은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스위치들중에서 수동 컨트롤 수단에 의해 컨트롤되는 로킹(locking) 메커니즘을 가지는 스위치들도 알려져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비상 머쉬름(mushroom)-단추, 키 스위치 또는 이와 같은 하나이상의 커맨드들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특정 행동에 대응되게 로킹(locking) 메커니즘과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EP0849750에서는 상기에서 개시된 형태의 수동 안전 스위치가 알려져있으며 이 스위치는 시스템의 전원장치회로의 열기에 관하여 지연시간을 가지는 언로킹(unlocking)방식을 허용하도록 로킹(locking) 메커니즘과 상호 작용하도록 적응된 시간 지연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지연수단들은 액추에이터가 삽입되었을 때 액추에이터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로킹(locking) 로드(rod)의 병진 운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바퀴에 의해 외부로부터 조작되도록 적응된 스크류/나트결합으로 구성된다.
액추에이터의 반대 쪽의 로드(rod)는 회로의 개폐 접촉 장치에 연결되어 로드(rod)의 움직임의 제1부분에서는 액추에이터의 언로킹(unlocking)이 없이 오직 접촉 장치의 개방만이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제한된 수동 스위치들의 결점은 우선 이들의 상대적으로 낮은 안전도이며 이 스위치들에는 위험한 상태에서 공장 설비의 기동을 초래할 수 있는 부주의 또는 부정적인 행위들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들이 제공되지 않으며, 특히 특정하게 설계된 액추에이터들이 없는 스위치들을 언제든지 작동시킬수 있는 무보호상태에 있다.
또한 슬롯(slot)에 먼지 또는 오물이 들어갈수 있는 가능성은 위험요소로 된다.
또한 접촉장치의 개방과 액추에이터의 언로킹(unlocking)사이의 시간 지연은 오직 기계적 성질의 수단들에 의한 것이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실패율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스위치들에는 특별히 높은 안전도를 필요로 하는 그러한 모든 조건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컨트롤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효율과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여 상기 결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일 목적은 특별히 안전하며 관계되는 접근에서 승인되지 않은 열기/닫기를 방지하고 언제나 공장 설비의 시동이 보호장치가 닫긴 안전한 상태에서 진행되도록 담보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목적은 전자식 또는 전자 기계식 형태의 개폐 수단을 안에 수용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전자 부품들은 시간 지연 언로킹(unlocking)수단의 이동식 기계 부품과의 접촉으로 부터 보호된다.
또 다른 목적은 높은 안전성을 가지며 컨트롤되는 공장설비의 전원 장치 회로의 개방이 보호장치의 이동 부분의 언로킹(unlocking) 이전에 실행될 수 있도록 담보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들과 또한 다른 목적들은 하기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스위치에 의해 달성되며, 청구항 1에 따라 보호장치의 고정 부품에 정착된 개폐 장치와 적어도 시스템의 전원장치회로에 작동상 연결되도록 적응된 개폐 수단이 제공되며, 고정된 부분상의 이동 부분의 닫기에서 상기 개폐 수단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보호장치의 이동 부품에 정착되도록 적응된 작동 장치를 포함한다.
개폐 장치는 상기 개폐 장치와 관련된 그리고 상기 작동 장치를 유지/언로킹(unlocking) 하도록 적응된 로킹(locking)기계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를 이용하여 전원장치회로의 개폐에 관하여 예정된 시간지연를 가지고 상기 작동 장치의 언로킹(unlocking)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로킹(locking) 장치에 작동상 결합된 수동 언로킹(unlocking)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개폐 장치는 입력신호의 작용으로 자체상태를 수정하기 위한 상기 개폐수단에 작동상 결합된 감지 수단을 가지며, 상기 작동 장치는 발신기가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 예정된 최소 거리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감지 수단에 상기 개폐 수단을 컨트롤하기 위한 입력신호로 접수되도록 설계된 근접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발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로킹(locking)장치는 상기 언로킹(unlocking) 장치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상기 감지 수단과 상기 개폐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들의 통로를 허용하도록 적응된 내부축 통로를 포함한다.
특정 작동 장치는 스위치 장치에 충분히 가깝게 위치되어야 하므로 이 특정한 특성들의 배합으로 인해 수동 스위치들에도 상대적으로 높은 안전도를 보장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위험한 상태 및/또는 승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수단을 작동할 수 없게 될 것이며, 특히는 열린 상태에서의 보호가 제공되게 된다.
더우기, 전기연결수단용 내부통로의 존재는 그것이 언로킹(unlocking) 수단의 이동식 기계 부품들이 연결수단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으로 하여, 기계 형태의 언로킹(unlocking)수단을 전기적으로 시동되는 스위치에 즉 이미 높은 안전도가 제공되어 있는 스위치에 안전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동시에 내부통로는 예를 들어 작동 장치의 이동 부분과의 있을수 있는 접촉으로 인한 것과 같은 잠재적인 위험과 실패의 일반적인 원인으로 되는 감지 수단이 케이스의 외부의 연결 수단에 의해 개폐수단에 연결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유리하게, 작동 장치는 보호장치를 닫을 때 상기 로킹(locking) 메커니즘을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개폐 장치에 제공된 센터링구멍에 삽입되도록 적응된 센터링 핀(pin)을 가질수 있다.
상호 결합된 핀(pin)과 센터링구멍의 제공은 부품들사이의 엄밀하지는 않지만 충분한 정렬을 보장하여 스위치를 특별히 안전하게 만들며 정밀하지 않은 조립으로 인한 장치들사이의 임의의 세로 및/또는 가로 상의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를 회복하도록 한다.
적합하게,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작동 장치의 제1의 한계 로킹(locking)위치와 제2의 한계 언로킹(unlocking) 위치사이에서 예정된 최대 스트로크(stroke)로 세로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언로킹(unlocking) 수단과 기계적으로 관련된 세로 로드(rod)를 가지는 로킹(locking)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또한 개폐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기계식 또는 전자식 형태일 것이며 전자식 컨트롤 로직(logic)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최대 스트로크(stroke)보다 낮은 부분적인 세로 스트로크(stroke)에 대응한 상기 제2의 한계 위치에로의 상기 세로 로드(rod)의 병진이동을 검출하여 상기 컨트롤 로직(logic) 유닛에 급전 회로의 개방을 위한 컨트롤 신호를 보내도록 설치된 위치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 추가적인 특징은 공지된 수동 스위치들에서 전형적인 기계 부품들을 제거하도록 허용할 것이며 이러한 형태의 스위치를 보다 안전하도록 만들 것이다.
또한 로직(logic)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의 존재는 이러한 형태의 스위치에 전자 작동 스위치들에서 일반적으로 구현되는 서로 다른 컨트롤 기능들을 통합시킬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다.
적합하게, 작동 장치들은 식별 코드와 관련된 상기 근접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응답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한편 감지 수단은 상기 응답기가 상기 머리부로부터 예정된 최소 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근접 신호를 접수하고 상기 식별 코드를 상기 로직(logic) 컨트롤 유닛에 보낼수 있도록 적응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머리부에는 개폐수단의 컨트롤 메커니즘에 대한 작동 요소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전형적인 슬롯(slot)들이 없어지게 될 것이며, 따라서 이동식 부분에 적용된 요소를 제외한 다른 작동 요소들에 의한 개폐 수단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할 것이다.
작동 요소는 로직(logic) 유닛에서 한가지 뜻으로 인식되게 되는 고유 식별 코드를 특징으로 한다.
공지된 키 액추에이터와 같은 것을 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슬롯(slot)의 결여는 스위치의 청소문제를 개선하며, 보다 효율적이며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 개폐 장치는 상기 센터링 구멍과 상기 감지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머리부에 관하여 실제로 중심인 회전축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관하여 상기 센터링 구멍 및/또는 상기 감지수단의 배향을 변경시킬수 있도록 이동식으로 체결된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위치 구성은 간단하고 빠른 방식으로 변경되어 스위치가 설치되는 장벽 또는 보호장치의 특정 구성에 적응되도록 특히는 보편적인 방식으로 돌쩌귀가 달린 장벽과 미끄럼식 장벽에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단일한 회로 차단기를 적응시키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유리하게,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에 관하여 세로 움직임을 방지 또는 제한하도록 적응된 상기 머리부의 축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편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자유회전을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이 구성은 특히 전자기계적인 또는 전자 형태의 개폐수단의 존재하에서 특히 유리할 것이며 여기서 감지 수단들은 스위치가 항상 조립된 상태에서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케이블에 의해 로직(logic) 유닛에 연결되지만 최종사용자가 머리부의 최적배향을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남겨두며 후자는 적합한 체결수단을 통해 잠그기 위한 설비가 없는 이상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며, 이것이 없으면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케이스에는 상기 머리부의 관식 축 돌출부의 삽입을 위한 원통형 개구부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원통형 개구부와 상기 관식 돌출부에는 상기 머리부의 회전 시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적합한 접합 요소들이 제공되어 360°보다 적은 값으로 제한할 것이다.
구성은 개폐 수단에 감지 수단을 연결하기 위해 머리부가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한번 이상의 완전 회전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케이블이 감기는 파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것이다.
발명의 유리한 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따라 획득된다.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과 장점들은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의 일부 바람직하지만 비독점 실시례들의 자세한 설명의 견지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첨부도면의 도움으로 비제한 실시례의 방식으로 설명되게 되며, 여기서:
도1은 제1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본 발명의 스위치의 분해도이다;
도2는 제2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본 발명의 스위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제3의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본 발명의 스위치의 분해도이다;
도4는 도1의 스위치의 개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5는 A-A구역 평면에 따르는 도4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6은 두가지 서로 다른 작업 조건에서 도1 또는 도3의 스위치의 개폐 장치의 구체적인 확대단면도이다.
도7은 B-B와 C-C구역 평면에 따르는 두가지 서로 다른 자름면과 관련된 도2의 스위치의 개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8은 머리부가 제1의 각 배향으로 설치된 그리고 D-D구역평면에 따라 단면과 관련된 도2의 개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9는 도8에 관하여 180°로 회전된 제2의 각 배향으로 설치된 머리부를 가지는 그리고 E-E구역평면에 따르는 단면과 관련된 도2의 스위치의 개폐 장치의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발명에 따르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의 두가지 바람직한 비독점 실시례들을 보여주며, 이 스위치들은 바람직한 비독점 방식으로 작동 중에 기계 또는 공업용 공장설비에 대한 위험한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장벽형식 또는 이동식 패널(panel)형식의 보호장치에 적용되도록 설계되었다.
공지된 방식에서, 스위치는 접근이 차단된 상태에서만 체계의 시동을 허용하기 위한 그리고 이러한 접근 차단용 문 또는 차단 패널(panel)을 여는 경우 기계 또는 공장설비의 작동을 실제로 즉시 정지시키기 위한 접근에 대응하는 보호장치에 적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도1은, 일반적으로 (1)로 표기된, 감시되는 접근 구역근처의, 보호장치의 고정된 부분에 정착되도록 적응된 개폐 장치(2)와 이동 부분의 닫는 움직임에서 개폐 장치(2)부근에 대한 접근을 막도록 설계된 보호장치의 이동 부분에 정착되도록 적응된 작동 장치(3)를 포함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스위치의 제1실시례를 보여준다.
개폐 장치(2)는 일체식으로 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본질상 세개의 모듈로 구성된다
특히, 개폐 장치(2)는 세로 축X를 따라 연장되는 하부 케이스(4)를 포함하며 내부에 공장 설비의 전원 공급 회로와 작동상 연결되도록 적응된 그리고 또 가능한 경우에는 공장 설비를 컨트롤하기 위한 공장설비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커맨드 및/또는 봉사 회로에 연결된 개폐 수단(5)을 수용한다.
케이스(4)에는 또한, 도2의 구성에서 실례로 제공된바와 같이, 개폐 수단(5)을 특정한 위험 조건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동 비상 단추(7)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오직 이 요소만이 이전과 본질상 다르다.
비상 단추(7)는 임의의 가능한 전자 컨트롤를 무시하고 개폐 수단(5)을 직접 작동시키는데 적합한 도에서와 같은 비상 머쉬름(mushroom)-단추들, 언로킹(unlocking) 키 장치들 또는 기타 수동 언로킹(unlocking) 장치들사이에서 선택될 것이다.
특히, 비상 단추(7)는 보호장치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동일물의 내부로부터 시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작동자가 안전 장벽이 닫긴 다음 안전 장벽안에 남아있을 경우 체계가 시동되는 위함한 정황에서 체계의 비가동시간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모듈(6)위에는 또한 보호장치의 닫기 단계에서 작동 장치(3)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된 상부 머리부(8)가 있다.
이러한 제1의 구성에서, 케이스(4)는 실제로 세로축X를 따라 연장될 것이며 동일물을 지나는 세로면에 관하여 대칭으로 연장될 것이며 머리부(8)는 케이스(4)에 관하여 실제로 중심일 것이다. 도3은 스위치 장치(2)의 제3의 구성을 도시하며 이는 케이스(4)가 기본 세로 연장을 갖지 않으며 머리부(8)가 그에 비대칭으로 놓인다는 사실로부터 도1과 본질적으로 차이난다.
케이스(4)의 특정 구성에는 관계없이, 개폐 수단(5)과 관련된 그리고 개폐 수단(5)에 의해 전원 공급 회로의 열기/닫기후에 작동 장치(3)를 선택적으로 유지/언로킹(unlocking)시키도록 적응된 로킹(locking) 장치(9)는 케이스안에 수용될 것이다.
중간모듈(6)은 또한 외부에서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그리고 하기에서 개시된 작동 절차에 따라 개폐 수단(5)에 의해 전력 회로의 개폐에 관하여 예정된 시간 지연를 가지는 작동 장치(3)의 언로킹(unlock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로킹(locking) 장치(9)에 작동상 결합된 언로킹(unlocking) 수단(10)을 수용한다.
머리부(8)는 보호장치의 폐쇄시 작동 장치(3)로부터 가로로 돌출하여 센터링구멍(11)에 삽입되는 센터링 핀(pin)(12)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센터링구멍(11)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로킹(locking) 메커니즘(9)를 결합시키고 작동 장치(3)와 머리부(8)가 충분히 정확히 정렬되도록 허용할 것이다.
머리부(8)에는 또한 작동 장치에서 보내는 입력신호에 따라 그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개폐 수단(5)에 작동상 결합된 감지 수단(13)이 제공된다.
이 후자에는 또한 발신기(14)가 예정된 최소 거리에 위치되었을 경우 공장 설비의 공급회로의 폐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감지 수단(13)으로부터 입력으로 접수되고 후자에 의해 개폐 수단(5)에 전송되도록 설계된 근접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발신기(14)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발신기 (14)는 감지수단(13)에 근접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응답기 또는 이와 같은 것일 것이며, 또한 작동 장치(3)와 머리부(8)사이의 거리가 보호장치가 닫긴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을만큼 충분한 예정 최소 값과 적어도 동일한 경우 신호를 접수하도록 적응된 하나이상의 수신기(15)가 제공된다.
구멍(11)과 센터링 핀(pin)(12)은 따라서 스위치(1)의 조립 또는 사용에 의해 초래된 이들 요소사이의 유극(play) 또는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를 회복하기 위하여 발신기(14)와 수신기(15)를 정확히 정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머리부(8)는 케이스(4)의 중간 모듈(6)상에 회전방식으로 적합하게 설치되어 센터링구멍(11)과/또는 감지 수단(13)을 케이스(4)에 관하여 동일한 회전 축R주위로 회전시킬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머리부(8)에 관하여 세로 및 실제상 중심으로 회전시킬수 있을 것이며, 이는 케이스의 대칭의 세로 축X와 일치될 수도 또는 일치되지 않을수 있다.
머리부(8)를 회전시킬수 있는 능력은 각 배향을 케이스(4)에 관하여 변경시킬수 있도록, 그리고 스위치 장치(2)의 구성을 작동 장치(3)의 관계 위치에 맞게 그리고 보호장치의 닫기형식에 맞게 적응시킬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다.
첨부도면에서 머리부(8)는 센터링구멍(11)과 감지 수단(13)이 오직 서로 통합된 상태에서만 회전할 수 있는 단일한 본체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선택적인 구성에 따라 머리부(8)는 상호 독립적인 방식으로 케이스(4)에 관하여 그들의 각 배향을 허용하도록 센터링구멍(11)과 감지 수단(13)이 따로따로 제공된 두개의 다른 부분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유사하게, 중간 모듈(6)도 케이스(4) 및/또는 머리부(8)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비상 단추(7) 및/또는 언로킹(unlocking) 수단(10)을 독립적인 방식으로 센터링구멍(11)과 감지 수단(13)에 관하여 배향할 수 있을 것이다.
작동 장치(3)는 직접적인 방식으로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합한 설치 브래킷을 이용하여 보호장치의 이동 부분에 정착되도록 설계되었으며 그안에 발신기(14)를 내장하는, 센터링 핀(pin)(12)아래에 적합하게 배열되게 되는 기부(16)를 본질상 포함한다.
후자는 기부(16)로부터 가로로 돌출되며 기본상 원통 모양을 가질 것이며 내부 단면이 기부(16)에 삽입되어 센터링구멍(11)과의 예상되는 비직렬현상을 바로잡는데 유용한 약간의 진동을 가질수 있게 된다.
핀(pin)(12)는 센터링구멍(11)안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둥근 또는 뾰족한 외부 단면(12')을 가질 것이며 하기에서 설명된바와 같이 개폐수단(5)에 의해 작동할 것이다.
핀(pin)(12)은 또한 로킹(locking) 메커니즘(9)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중간 외주 오목부(17)을 가질 것이며 여기에는 도에는 도시되지 않은 센터링구멍(11)에 배열될 수도 있는 유지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센터링구멍(11)은 바람직하게는 머리부(8)에 대하여 가로로 통과하는 구멍일 것이며 수신기(15)의 위치에는 관계없이 양쪽 횡단면구역들로부터 센터링 핀(pin)(12)에 의해 접속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센터링구멍(11)은 센터링 핀(pin)(12)을 위한 삽입구역을 한정하고 상대적으로 현저한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의 존재하에서도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나의 또는 두개의 플레어(flared) 단부 구역을 가지는 실제상 원통형일 것이다.
로킹(locking) 메커니즘(9)는 케이스(4)와 중간 모듈(6)을 거쳐 세로 방향으로 기본 연장되며 작동 장치(3)의 제1의 한계 로킹(locking) 위치와 제2의 한계 언로킹(unlocking) 위치사이에서 예정된 최대 스트로크(stroke)로 세로로 이동하기 위한 언로킹(unlocking) 수단(10)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세로 로드(rod)(18)를 포함할 것이다.
도5는 제1의 한계 로킹(locking) 위치에 있는 세로 로드(rod)(18)을 보여주며 여기서 로드(rod)는 센터링 핀(pin)(12)의 오목부(17)를 결합하고 머리부(8)상의 작동 장치(3)을 잠그어 승인없이 보호장치를 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센터링 구멍(11)으로 돌출되는 상부 단면(18')을 가진다.
언로킹(unlocking) 수단(10)은 로킹(locking) 메커니즘(9)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 제1의 분리된 작동 조건에 있게 될 것이다.
후자는 또한 로드(rod)(18)의 하부 단면(18')에 작동상 결합된 슬라이더(19)를 포함하며 이는 언로킹(unlocking)수단에 의한 제1의 위치에서 제2의 제한 위치에로의 슬라이딩에 따라 동일물에 의해 하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도6에서 보다 명백하게 보여주는 바와 같이, 언로킹(unlocking) 수단(10)은 중간 모듈(6)에 내장될 것이며 회전Z의 가로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수동으로 움직이는 바퀴에 의해 한정된 외부 구동 요소(21)을 가지는 나트/스크루 형태의 기계장치를 포함할 것이다.
키네마틱 메커니즘 (20)은 바퀴(21)과 결합되기 위한 스레드(thread) 식 부분을 가지는 액추에이터(22)를 포함하며 안쪽으로 돌출되는 제1의 위치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2의 위치사이의 바퀴(21)의 회전을 따라 가로 방향에서 하향으로 끌어당겨질 것이며, 이들 위치에서 액추에이터(22)는 그의 특정 가로 크기의 작용으로 중간 모듈(6)에 완전히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수 있으며 또는 외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22)는 제1의, 그리고 제2의 한계 위치사이에서 로드를 움직이기 위한 로드(rod)(18)상에서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특히 로드(rod)(18)는 하부 단면(18'')과 관련된 그리고 로드(rod)(18)의 하향 슬라이딩에 따라 슬라이더(19)를 밀도록 배열된 밀기 요소(23)를 포함할 것이다.
밀기 요소(23)은 제1의 경사진 접촉 표면(24)을 마주하는 경사진 제2의 접촉 표면(26)을 가지는 액추에이터(22)의 경사면 단부 요소(25)와 상호 작용하도록 적응된 제1의 경사진 접촉 표면(24)을 가진다.
따라서 두개의 접촉 표면(24, 26)은 액추에이터(22)가 슬라이딩에 따라 로드(rod)(18)를 세로로 움직이기 위해 서로 슬라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작동상, 제1 위치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로의 액추에이터(22)의 슬라이딩은 밀기 요소(23)의 하향 슬라이딩과 이에 따르는 로드(rod)(18)의 하향 슬라이드를 초래하여 구멍(11)가 작동 장치(3)의 언로킹(unlocking)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로킹(locking) 수단(10)이 액추에이터(22)를 제2의 위치로부터 제1의 위치로 옮기면서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때, 경사면 단부요소(25)는 케이스(4)에 위치된 밀기 요소(23)를 자유롭게 하여 그것이 탄성 요소(50)의 움직임에 의해 상향으로 돌아오도록 허용할 것이다.
그러나 명백한 것은 언로킹(unlocking) 수단(10)과 관련된 동적 기계장치(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면서 도시된 것과 상당히 차이날수도 있다는 것이다.
개폐 수단(5)을 참조로 할 때, 도2에서 가장 명백히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전자기계적인 또는 전자 형태일수 있으며 전자 기판와 같은 로직(logic) 컨트롤 마이크로프로세서(27)를 포함하며 이는 공장 설비의 전원공급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 블록(28)과 관련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공장설비의 하나이상의 추가적인 컨트롤 및/또는 회로봉사와 관련될 수 있다.
단자 블록(28)은 기계 또는 공장설비를 로킹(locking) 메커니즘(9)의 시동작용으로서 개방과 폐쇄상태사이에서 전환시킬수 있도록, 기계 또는 공장설비의 컨트롤 및/또는 봉사 회로에 연결 케이블을 각기 연결하기 위한 두개 이상의 단자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례의 방식으로서, 개폐수단(5)은 보호장치의 열기에서 지연시간에 대한 커맨드을 주기 위해 기계 또는 공장설비의 전원공급회로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비상회로 또는 신호발생회로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개폐수단(5)은 보다 자세한 내용을 참조로 할 수 있는 동일한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WO2013098788에서 개시된 안전 스위치에서 제공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해되어야 할 것은 개폐 수단(5)의 특성들은 달라질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호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감지 수단(13), 특히는 수신기(15)와 발신기(14)는Tag/RFID형식의 결합을 한정하도록 상기 지적된 출원WO2013098788의 스위치에서 제공된 상사식 요소와 동일하게 또는 기술적으로 동등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술된바와 같이 발신기(14)는 식별 코드와 관련된 존재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응답기일수 있다.
수신기(15)는 로직(logic) 컨트롤 유닛(27)에 식별 코드를 보내기 위하여, 응답기(14)가 머리부(8)로부터 예정된 최소 거리에 위치였을 때 근접 신호와 식별코드를 함께 접수하기 위해 응답기(14)와 일렬 정렬되도록 적응된 안테나같은 것일수 있다.
바람직한 그러나 비독점구성에 따라, 컨트롤 로직(logic) 유닛(27)는 닫기 단계에서 공장설비의 시동에 대한 동의를 제공하기 위해 머리부(8)에 관하여 작동 장치(3)에 의해 도달되어야 할 최소 간격과 개방 단계에서 시스템의 지연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동일한 요소에 대한 보다 큰 값의 최대 간격를 한정하기 위하여, 폐쇄 단계를 보다 안전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임의의 유극에 주위를 돌리고 컨트롤 장치(27)가 문이 닫겼을 때 열려져 있는 것으로 신호를 잘못 받는 방지하기 위해 프로그램될 수 있을 것이다.
로직(logic) 컨트롤 유닛(27)는 메모리에 동일한 식별코드를 저장하여 오직 전송된 코드와 저장된 코드가 대응되는 경우에서만, 공장 설비의 급전 회로의 개방 단계로부터 폐쇄 단계에로의 전환을 허용하며, 따라서 시스템의 안전한 시동을 가능하게 한다.
적합하게, 수신기(15)는 머리부(8)에 완전히 포함될 것이며 하나 또는 두개의 반대 읽기 포인트가 제공될 것이며, 작동 장치(3)를 구멍(11)의 각각의 단부 구역들이 제공된 머리부(8)의 임의의 한쪽 방향에 대응하여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센터링구멍(11)의 개방 단부 구역의 하부에 위치되며, 따라서 머리부(8)의 배향 작동을 보다 단순화할 것이다.
(15)는 하나이상의 케이블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전기적 또는 전자연결수단을 거쳐 로직(logic) 컨트롤 유닛(27)에 연결될 것이며, 이는 머리부(8)와 케이스(4)를 따라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드(18)를 통하여 연장되는 실제상 세로 통로(29)를 따라 연결되며, 따라서 케이블 일식을 위태롭게 하지 않으면서 머리부(8)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언로킹(unlocking) 수단(10)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개폐수단(5)은 또한 로직(logic) 컨트롤 유닛(27)에 연결된 전자 위치 감지기(30)를 포함하며, 이는 최대 스트로크(stroke)보다 적은 값을 가지는 부분적인 세로 스트로크(stroke)에서 제2의 한계 위치를 향한 세로 로드(18)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그리고 작동 장치의 언로킹(unlocking)을 허용하지 않는 위치에 예를 들어 전자 기판(27)의 동일한 지지연(31)상에 설치되며 케이스(4)에 내장된다.
추가적으로, 전자 감지기(30)는 전원 공급회로의 열기를 위한 컨트롤 신호를 로직(logic) 컨트롤 유닛(27)에 보내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바퀴(21)를, 또는 일치되는 선택적인 언로킹(unlocking)용 동적 기계장치를 수동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필요성은 비록 최소 시간일지라도 무시할 수 없는 일정한 시간이 커서(19)가 전원공급회로의 열기를 위해 감지기(30)와 상호 작용하는 순간부터 그리고 언로킹(unlocking) 수단(10)이 로드(18)을 내리밀고 개폐 장치(2)로부터 작동 장치(3)을 언로킹(unlocking) 하는 필요한 자기의 스트로크(stroke)를 완료하는 순간부터 필요되게 한다.
따라서 공장 설비의 정지를 가져오는 공급회로의 열기와 보호를 시작하는데 필요되는 작동 장치(3)의 언로킹(unlocking)사이에 필요한 지연시간이 결정될 것이다.
전자 위치 감지기(30)는 광학, 자성 및 이와 같은 형태의 감지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감지기(30)는 광전 다이오드조(32)로 구성되며 도2와 도5에서도 볼수 있으며, 로드(18)의 언로킹(unlocking)을 허용하는데 불충분한 값을 가지는 부분 스트로크(stroke)이후 슬라이더(19)가 교차되도록 설계된 공간을 한정하기 위해 서로 가로로 오프셋된 위치로 기판(20)의 지지체(31)상에 배열된다.
제1의 작동 방식에 따라, 슬라이더(19)는 부분 하향 움직임후에 두개의 광전 다이오드(32)사이의 공간을 자유롭게 하여 이들이 연통하여 로직 유닛(27)에 컨트롤 신호를 보내도록 허용하며 이에 따라 회로가 열리게 될 것이다.
또 다른 작동 방식에 따라, 개폐수단(5)는 거꾸로 움직이며, 슬라이더(19)가 두개의 광전 다이오드(32)사이에 위치되었을 때 컨트롤 신호를 전송하며 이들사이의 연통을 방해할 것이다.
유사하게, 로드(18)를 작동 장치(3)의 언로킹(unlocking) 위치로부터 로킹(locking) 위치에로 들어올리는데 대응되는 슬라이더(19)의 반대 방향의 통로는 제2의 신호를 발생시켜 작동 장치(3)의 로킹(locking) 조건에서 공장설비의 시동을 위한 전원 공급 회로의 닫기를 허용할 것이다.
추가적인 특히 유리한 측면에 따라, 케이스(4)는 케이스(4)에 대한 세로 움직임을 방지 또는 제한하도록 적응된 중간 모듈(6)의 제1의 축 체결수단(33)을 포함하지만, 동시에 그것이 중심 축(R)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특히, 케이스(4)에는 중간 모듈(6)의 제1의 축 관형 돌출부(35)의 삽입을 위한 원통형 상부 개구부(34)가 제공될 것이다.
제1의 돌출부(35)는, 예를 들어 외주홈(36')의 반대쪽에 의해 결합하도록 케이스(4)의 측벽(39)에 만들어진 대응되는 정 반대의 슬롯(38)에 가로로 삽입되도록 적응된 핀(pin)(37)의 쌍을 포함하는 제1의 축 체결수단(33)이 설치되는 외주홈(36')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핀(pin)(37)이 외주홈(36')에 각각의 슬롯(38)을 거쳐 삽입되게 되면 중간 모듈(6)이 케이스(4)로부터 제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것이다.
그러나 역시 최종 고정이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외주홈(36')은 바람직한 배향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중간 모듈(6)의 적어도 부분적인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핀(pin)(37)에 관하여 언제나 슬라이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간모듈(6)은 제1(35)과 유사한 머리부(8)의 제2의 축 관형 돌출부(40)를 수용하기 위해 실제로 관형일 것이며 머리부(8)를 축방향으로 로킹(lock)하기 위한 제1체결수단(33)과 실제로 유사한 중간 모듈(6)의 제2체결수단(41)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중간 모듈(6)에 삽입되도록 적응될 것이다.
제1관형 돌출부(35)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돌출부(40)는 또한 제2체결수단(41)의 핀(pin)들에 의해 결합되도록 적응된 별개의 외주 홈(42)을 포함한다.
제1과 제2돌출부(35, 40)는 모두 각각의 개스켓(미도시)을 내장하기 위한 추가적인 외주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1돌출부(35)에 속하는 홈(36?)은 도6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케이스(4)상에서 머리부(8)의 안정적인 고정설치는 이들의 상호 배향이 선택되게 되면 머리부(8)와 중간 모듈(6)과 케이스(4)의 적합한 자리에 삽입되게 되는 세로 나사(43)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도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케이스(4)와 중간 모듈(6)의 제1관형 돌출부(35)에는 또한 회전을 360° 보다 적은 값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상대적인 회전과정에 상호 작용하도록 적응된 제1(44)와 제2 접합요소(45)가 각각 제공될 것이다.
특히 제1접합요소(44)는 중간 모듈(6)의 회전으로 인해 제1관형 돌출부(35)로부터 내향으로 반경을 따라 연장되는 제2접합요소(45)에 영향을 주기 위해 원통형 개구부(34)의 측벽으로부터 내향으로 반경을 따라 돌출된다. 또한, 중간 모듈(6)은, 머리부(8)의 측면으로부터, 상대적인 회전을 360° 보다 적은 값으로 제한하기 위해 제2관형 돌출부(40)로부터 가로로 연장되는 제4접합요소(47)와 함께 상호 작용하도록 적응된 제3접합요소(46)를 포함한다.
도8과 9는 머리부를 가지는 스위치 장치(2)와 중간 모듈(6)을 케이스(4)에 관하여 각 배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두가지 구성으로 보여주며 여기서 머리부(8)와 모듈(6)은 180°로 회전된다.
상기로부터 자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가 지향된 목적들을 달성하며 특별히 안전하고 상대적인 접근의 승인되지 않은 열기 및/또는 닫기를 방지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를 제공하며 공장 설비의 시동이 언제나 폐쇄된 보호 장치의 안전한 조건에서 실행되도록 담보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치는 다양한 변경 및 개작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청구항에서 표현된 발명개념내에 속한다. 모든 세부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다른 기술적인 등가요소들로 교체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재료들이 달라질수 있을 것이다.
스위치들이 비록 첨부도면을 참고로 개시되었지만, 설명과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발명의 이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청구 범위에 제한으로 되지 않는다.

Claims (10)

  1. 특히 산용 공장의 보호 장벽 또는 패널(panel)용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에 있어서,
    - 보호 수단의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적응되고, 개방/폐쇄가 컨트롤 될 공장의 적어도 하나의 전원공급회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적응된 개폐 수단(5)을 구비하는 개폐 장치(2); 및
    - 고정 수단의 이동부에 고정되도록 적응되어, 상기 이동부가 고정부상에서 폐쇄하면 상기 개폐 수단(5)과 상호 작용하는 작동 장치(3);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장치(2)는 상기 개폐 수단(5)과 관련되며, 상기 작동 장치(3)를 선택적으로 유지/언로킹(unlocking)하도록 적응된 로킹(locking) 메커니즘(9), 및 상기 로킹 메커니즘(9)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 수단(5)을 이용하여 전원공급회로의 개폐에 관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 지연를 가지고 상기 작동 장치(3)를 언로킹시키는 수동 작동 가능한(hand-operable) 언로킹 수단(1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장치(2)는 입력신호의 기능으로 작동 조건을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 수단(5)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감지 수단(13)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 장치(3)는 발신기(14)가 상기 감지 수단(13)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최소 거리에 위치할 때, 상기 개폐 수단(5)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감지 수단(13)에 의해 입력으로 수신되는 근접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발신기(14)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메커니즘(9)은 상기 언로킹 수단(10)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상기 감지 수단(13)과 상기 개폐 수단(5)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들의 통로를 허용하도록 적응된 내부 통로(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3)는 보호 수단의 폐쇄 시, 상기 로킹 메커니즘(9)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2)내에 제공된 센터링 구멍(11)내로 도입되도록 적응된 센터링 핀(12)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 장치(2)는 세로 축(X)를 정의하며, 상기 개폐 수단(5) 및 상기 로킹 메커니즘(9)을 수용하며, 상기 센터링 구멍(11)과 상기 감지수단(13)을 구비하는 머리부(8)에 체결되는 케이스(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메커니즘(9)는 상기 언로킹 수단(10)과 기계적으로 관련된 세로 로드(18)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 장치(3)를 로킹하기 위한 제1의 한계 위치와 상기 작동 장치(3)를 언로킹하기 위한 제2 한계 위치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최대 스트로크로 세로로 병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5)은 전자 또는 전기 기계식 형태이고, 상기 감지 수단(13)과 연결되며, 상기 전원 공급 회로 및 선택적으로 개폐될 공장의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컨트롤 또는 서비스 회로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 블록(28)과 관련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로직 컨트롤 유닛(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5)은 상기 로직 컨트롤 유닛(27)에 연결되며, 상기 최대 스트로크 미만의 부분적인 세로 스트로크 시, 상기 제2 한계 위치를 향한 상기 세로 로드(18)의 병진 이동을 감지하는 그런 위치에 배치된 상기 케이스(4)내에 수용되는 전자 위치 감지기(30)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 공급 회로를 개방하기 위한 컨트롤 신호를 상기 로직 컨트롤 유닛(27)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위치 감지기(30)는 광학 및 자성 감지기 및 그와 유사한 형태의 감지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 수단(10)은 상기 로드(18)를 작동시키고 상기 세로 움직임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1의 위치와 제2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4)에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22)와 연결된 외부 핸들 요소(21)를 가지는 동적 기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18)와 상기 액추에이터(22)는 서로 마주한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22)의 슬라이딩 시, 상기 로드(18)의 세로 움직임을 결정하기 위해 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적응된 각각의 경사진 상호 접촉 표면(24, 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기(14)는 식별 코드와 관련된 상기 근접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응답기이고, 상기 감지 수단(13)은 상기 응답기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적응되는 수신기(15)를 포함하여, 상기 근접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상기 로직 컨트롤 유닛(27)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8)는, 상기 머리부(8)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중심인 회전축(R)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케이스(4)에 관하여 상기 센터링 구멍(11) 또는 상기 감지 수단(13)의 배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4)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KR1020167015726A 2013-12-06 2014-12-08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KR102160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291A ITVI20130291A1 (it) 2013-12-06 2013-12-06 Interruttore di sicurezza temporizzato ad azionamento manuale
ITVI2013A000291 2013-12-06
PCT/IB2014/066709 WO2015083144A1 (en) 2013-12-06 2014-12-08 Hand-operated safety switch with time d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098A KR20160096098A (ko) 2016-08-12
KR102160507B1 true KR102160507B1 (ko) 2020-10-15

Family

ID=4988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726A KR102160507B1 (ko) 2013-12-06 2014-12-08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19342B2 (ko)
EP (1) EP3020057B1 (ko)
JP (1) JP6434987B2 (ko)
KR (1) KR102160507B1 (ko)
CN (1) CN105531786B (ko)
BR (1) BR112016005979B8 (ko)
IT (1) ITVI20130291A1 (ko)
WO (1) WO2015083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3940A1 (it) * 2016-05-30 2017-11-30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ITUA20163941A1 (it) * 2016-05-30 2017-11-30 Pizzato Elettrica Srl Struttura modulare per interruttori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IT201600096402A1 (it) * 2016-09-26 2018-03-26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con rilevamento dell’azionamento di un comando ausiliario di sblocco
IT201600096401A1 (it) * 2016-09-26 2018-03-26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con rilevamento della corsa del meccanismo di sblocco
IT201600117298A1 (it) * 2016-11-21 2018-05-21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con cpu differenziate
CN108239952A (zh) * 2016-12-26 2018-07-03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具有延时拆卸保护结构的电动工具
EP3367569B1 (de) * 2017-02-22 2022-09-14 EUCHNER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er
CN107269128B (zh) * 2017-07-18 2022-08-19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验电锁装置
EP3474303B1 (de) * 2017-10-18 2023-05-17 EUCHNER GmbH + Co. KG Betätiger
JP7122851B2 (ja) 2018-04-13 2022-08-22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安全スイッチ
EP3557113A1 (de) * 2018-04-20 2019-10-23 EUCHNER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er
IT201800005914A1 (it) * 2018-05-31 2019-12-01 Maniglia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di macchine o impianti industriali
IT201800005913A1 (it) * 2018-05-31 2019-12-01 Maniglia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di macchine o impianti industriali
JP7224809B2 (ja) 2018-08-14 2023-02-20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シリアルカスケード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これに含まれるコネクタ部材並びにコネクタ部材と中継コネクタ部材との組み合わせ並びに安全コンポーネント
IT201900011697A1 (it) * 2019-07-12 2021-01-12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con pulsantiera
IT202100005243A1 (it) * 2021-03-05 2022-09-05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per il controllo di access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9750B1 (en) 1996-12-19 2002-03-06 Pizzato Elettrica S.r.l. Timed electromechanical safety switch
US20090321226A1 (en) 2008-06-26 2009-12-31 Eisenhower Jr Gary Safety switch
DE102011121235A1 (de) 2011-12-12 2013-06-13 Euchner Gmbh + Co. Kg Modul für einen Sicherheitsschalter, Sicherheitsschalter mit einem solchen Modul sowie Betätiger für einen solchen Sicherheitsschalter
WO2013098788A1 (en) 2011-12-29 2013-07-04 Pizzato Elettrica S.R.L.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protection b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1267B2 (ja) * 1992-01-31 2003-02-24 オムロン株式会社 キー使用型スイッチ装置
FR2755533B1 (fr) * 1996-11-04 1998-12-24 Schneider Electric Sa Interrupteur de securite a tete pivotante
ITVI980169A1 (it) * 1998-09-15 2000-03-15 Pizzato Elettrica Srl Assieme interruttore di sicurezza a chiave.
DE10056458C1 (de) 2000-11-14 2002-06-20 Siemens Ag Sicherheitspositionsschalter mit Zeitschaltglied
DE10348884A1 (de) * 2003-10-14 2005-05-25 Pilz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er, insbesondere Not-Aus-Schalter, zum sicheren Abschalten eines gefahrbringenden Gerätes
DE102005057108A1 (de) * 2005-11-28 2007-05-31 Pilz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er zum Erzeugen eines Freigabesignals in Abhängigkeit von der Position einer beweglichen Schutztür
JP4710648B2 (ja) 2006-02-23 2011-06-29 オムロン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
ITVI20060211A1 (it) * 2006-07-07 2008-01-08 Pizzato Elettrica Srl Dispositivo di riarmo per interruttore di finecorsa ed interruttore di finecors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CN201112239Y (zh) * 2007-03-23 2008-09-10 安士能有限公司 安全开关
IT1392603B1 (it) * 2008-12-23 2012-03-09 Pizzato Elettrica Srl Dispositivo di commutazione bistabile a fune
ITVI20090148A1 (it) * 2009-06-19 2010-12-20 Pizzato Elettrica Srl Assieme interruttore di sicurezza a maniglia
JP2011159401A (ja) * 2010-01-29 2011-08-18 Idec Corp 安全保持具
JP2013218820A (ja) * 2012-04-05 2013-10-24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ITVI20130290A1 (it) * 2013-12-06 2015-06-07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ad azionamento elettronico
CN106463919B (zh) * 2014-06-30 2019-04-26 彼扎特电气有限公司 用于安装电气单元的适配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9750B1 (en) 1996-12-19 2002-03-06 Pizzato Elettrica S.r.l. Timed electromechanical safety switch
US20090321226A1 (en) 2008-06-26 2009-12-31 Eisenhower Jr Gary Safety switch
DE102011121235A1 (de) 2011-12-12 2013-06-13 Euchner Gmbh + Co. Kg Modul für einen Sicherheitsschalter, Sicherheitsschalter mit einem solchen Modul sowie Betätiger für einen solchen Sicherheitsschalter
WO2013098788A1 (en) 2011-12-29 2013-07-04 Pizzato Elettrica S.R.L. Electronic safety device for a protection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05979A2 (pt) 2017-08-01
US9819342B2 (en) 2017-11-14
CN105531786A (zh) 2016-04-27
US20160156351A1 (en) 2016-06-02
EP3020057B1 (en) 2017-04-26
EP3020057A1 (en) 2016-05-18
BR112016005979B8 (pt) 2021-11-16
JP6434987B2 (ja) 2018-12-05
CN105531786B (zh) 2018-12-18
WO2015083144A1 (en) 2015-06-11
BR112016005979B1 (pt) 2021-11-03
ITVI20130291A1 (it) 2015-06-07
JP2017500724A (ja) 2017-01-05
KR20160096098A (ko)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507B1 (ko) 시간 지연형 수동 안전 스위치
EP3078048B1 (en) Electronic-operated safety switch
JP6600317B2 (ja) ロックアウト装置付安全スイッチ
WO2018104974A1 (en) Door-locking device with safety system
CN109791855B (zh) 一种可检测辅助解锁控制器驱动的安全开关
CN109314009B (zh) 用于通道控制的安全开关
US20140288687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achine, locking insert for such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US9659731B2 (en) Portable actuator assembly
JP7031889B2 (ja) 解除機構のストローク終了の検出を含む安全スイッチ
EP3576124B1 (en) Quick-action orthogonal motion conversion mechanism with direct-acting return feature
CN108025167B (zh) 用于作用到医用管道的封闭元件上的破坏器装置
CN117981032A (zh) 用于安全组件和相关安全组件的电子操作执行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