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037B1 -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037B1
KR102160037B1 KR1020187020559A KR20187020559A KR102160037B1 KR 102160037 B1 KR102160037 B1 KR 102160037B1 KR 1020187020559 A KR1020187020559 A KR 1020187020559A KR 20187020559 A KR20187020559 A KR 20187020559A KR 102160037 B1 KR102160037 B1 KR 10216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result
information processing
attribute
terminal
referenc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701A (ko
Inventor
다이스케 아사이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0702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3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Abstract

단말로부터,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근거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어 있는 속성을 특정하여,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상의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표시되는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 및/또는 양을 상기 기준 위치와 추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

Description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단말에 표시되고 있는 지도상에, 점포나 관광 명소 등의 POI(Point Of Interest)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의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의 유저로부터 주변의 "편의점"에 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단말은, 서버 등의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주변의 편의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아이콘 등의 마크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시한다.
또한, 현재 위치 등의 기준 위치와 POI와의 거리에 따라 지도상의 아이콘 표시를 변경하는 것에 대해서도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위치에 가까운 POI일수록, 아이콘을 크게 표시하고, 현재 위치에서 떨어질수록, 아이콘을 작게 표시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특개2011-22077
그렇지만, 종래의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에 따라 POI의 표시 형태를 변경할 수 있었지만, 거리에 따라, 표시되는 POI에 관한 정보의 종류 및/또는 양을 조정하는 것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단말의 유저는, 지도상에 표시된 POI 중, 기준 위치에 가까운 POI일수록 방문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만, 기준 위치에서 먼 POI의 정보는 불필요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지도상에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의 종류 및/또는 양을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나의 형태로는, 단말로부터,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근거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어 있는 속성을 특정하여,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상의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표시되는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 및/또는 양을 상기 기준 위치와 추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지도상에 표시되는 위치에 관한 정보의 종류 및/또는 양을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POI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친구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고객 대응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그 두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그 세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타겟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그 세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플로우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플로우의 일례(그 첫 번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 1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처리 시스템 1은, 정보처리 장치 10과, 단말 20을 가진다. 정보처리 장치 10과 단말 20은 네트워크 2를 통해 접속된다. 네트워크 2는, 유선의 네트워크와, 무선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예를 들면 서버에 의해 실현된다. 단말 20은,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PC(Personal Computer), 휴대 전화기, 게임용 콘솔, 터치 패드, 전자 서적 리더, 또는 웨어러블 단말 등을 포함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의 유저에게, 단말 20에 표시된 지도와 대응되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정보처리 장치 10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말 20의 유저는, 단말 20에 지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고, 정보처리 장치 10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지도와 대응되는 정보 제공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단말 20의 유저는, 단말 20에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더하여 SNS의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는 것에 의해, 지도와 대응되는 정보 제공 서비스와, SNS를 연계하도록 할 수 있다. 연계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표시 제어 예 1>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표시 제어 예 1을 설명한다. 표시 제어 예 1에서는, 단말 20의 위치 등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단말 20에 표시되는 지도상의 점포나 관광 명소 등의 시설을 나타내는 POI(Point Of Interest)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201에서, 단말 20은,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다음으로, 단말 20은, POI의 표시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에서는, 표시 요청으로서 유저로부터 "서양식 레스토랑"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202에서, 단말 20은, 정보처리 장치 10에 표시 요청을 송신한다. 표시 요청에는, 단말 20의 현재 위치 등의 기준이 되는 위치 정보(기준 위치 정보) 및 입력된 키워드(검색 워드) "서양식 레스토랑"을 포함한다. 기준이 되는 위치 정보로서, 위도 경도 정보, 주소, 또는 지명 등이 이용된다.
단말 20은, 기준 위치 정보를 유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20이, "○○ 역"과 같은 지명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단말 20은, "○○ 역"을 기준 위치 정보로서 표시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S203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키워드 "서양식 레스토랑"에 연관하여 기억되고 있는 POI의 정보를 POI 관리 테이블로부터 추출한다. 즉, 정보처리 장치 10은, 키워드에 연관된 POI를 "검색 결과"로서 추출한다. 도 3에서 POI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의 POI 관리 테이블에서는 "POI명", "조직 식별자", "관련 키워드", "위치 정보" 및 "POI 속성 정보"가 대응되어 기억되고 있다.
"POI명"은, 지도상에 표시되는 POI의 명칭이며, 예를 들면, POI에 대응하는 점포명이 설정된다. "조직 식별자"는, POI가 속하는 조직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다. 예를 들면, 점포가 소속하는 체인 스토어와 브랜드의 식별자가 설정된다. POI에 대응하는 점포가 소정의 브랜드 "AAA Sports"의 점포인 경우, "AAA Sports"의 식별자가 설정된다. "관련 키워드"에는 POI와 관련된 키워드가 설정되며, 정보처리 장치 10은, 관련 키워드를 표시 요청의 대상이 되는 POI를 추출하기 위해 이용한다. "위치 정보"는 POI의 위치 정보가 설정된다. 설정되는 정보는 기준 위치 정보와 같다.
POI 속성 정보에는, POI의 속성이 설정된다. 도 3에서는, 속성 1에 POI가 속하는 조직의 아이콘("조직 아이콘")가 설정되고, 속성 2에 POI의 영업 시간이 설정되고, 속성 3에 POI의 쿠폰 정보가 설정되고, 속성 4에 POI의 사진이 설정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4개의 속성이 설정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억되는 속성의 수는 임의의 수로에 설정 가능하다.
단계 S204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수신한 기준 위치 정보와 추출된 POI의 위치 정보로부터, 기준이 되는 위치와 POI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정보처리 장치 10은,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존재하는 POI를 단말 20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결정한다. 또한, 정보처리 장치 10은, 산출된 거리에 따라,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하는 POI의 속성의 종류를 조정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 장치 10은, 기준 위치에서 1km 이내의 POI를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정보처리 장치 10은 기준 위치에서 300m 이내에 존재하는 POI에 대해서는, 속성 1~속성 4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20의 유저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 형태로 지도에서 표시하도록 하고, 기준 위치에서 500m 이내에 존재하는 POI에 대해서는, 속성 1 및 속성 2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20의 유저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 형태로 지도에서 표시하도록 하고, 기준 위치에서 500m보다 멀리 떨어져 존재하는 POI에 대해서는,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지도에서 표시하도록 하지 않고, POI가 존재함을 인식 가능한 마크를 표시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추출된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것을 단말 20에 지시한다. 이 때,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에 필요한, 조직 아이콘(속성 1) 및 사진(속성 4) 등을 단말 20에 송신한다.
단계 S206에서, 단말 20은 화면의 지도상에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아이콘이나 마크 등을 이용하여, 단말 20의 유저에게 인식 가능하도록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단말 20은 단말 20의 이동이나,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기준 위치가 변경된 것을 검지하면, 기준 위치의 변경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통지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통지를 받으면, 재차, 단계 S203~단계 S205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4는,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POI의 속성이 단말 20의 유저에게 인식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기준 위치는 마크 30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준 위치에서 300m의 범위는 범위 33으로 나타나고, 기준 위치에서 500m의 범위는 범위 35로 나타나고 있다.
기준 위치에서 300m의 범위에 있는 POI는, 속성 1~속성 4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POI 40은 조직 아이콘 40(속성 1)과, 개점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 60 또는 폐점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 61(속성 2)과, 쿠폰 배포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 62(속성 3)과, POI 40에 관한 사진 63(속성 4)과 함께 지도상에 표시된다. 덧붙여, POI 관리 테이블에 있어서, POI 40의 속성 3에 값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POI 40은 쿠폰 배포 중인 취지의 마크와 함께 표시되지 않는다.
기준 위치에서 300m보다 떨어져 있고 기준 위치에서 500m 이내에 있는 POI는 조직 아이콘 45(속성 1)과, 개점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 61 또는 폐점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 62(속성 2)와 함께 표시된다.
기준 위치에서 500m보다 떨어져 있는 POI는, POI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마크 50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덧붙여, 개점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 61 또는 폐점 중을 나타내는 마크 62 중 어느 것을 표시할지는, 정보처리 장치 10이 단말 20에 지시할 수도 있고, 단말 20이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POI의 영업 시간을 취득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처리 장치 10은, 쿠폰의 할인율이나 할인액 등과 같은 쿠폰의 유익한 정도에 따라, 쿠폰 배포 중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 62의 표시 형태를 변경할 것을 단말 20에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익한 정도가 클수록 마크 62를 하이라이트 등으로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의하면, 유저가 방문하는 가능성이 높은 기준 위치에서 가까운 POI일수록, 지도상에 많은 종류의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단말 20의 유저는 방문지의 POI를 선택하기가 쉽게 된다. 또한, 기준 위치에서 가까운 POI는 많은 종류의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되지만, 기준 위치에서 멀어질수록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는 적어진다. 이 때문에, 단말 20의 유저가 지도를 확인할 때의 시인성을 해치는 일이 없다.
<표시 제어 예 2>
표시 제어 예 1에서는, 정보처리 장치 10은 표시 요청에 포함되는 키워드를 근거로 POI를 추출하고, 기준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POI의 지도상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여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었다. 표시 제어 예 2에서는, 표시 제어 예 1의 실시 형태에 더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지도상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연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20의 유저의 POI와의 관계를 근거로, POI의 지도상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표시 제어 예 2와 관련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표시 제어 예 1과 중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를 이용하여, 표시 제어 예 2의 동작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501의 처리는, 단계 S201과 같다.
단계 S502에서, 단말 20은 정보처리 장치 10에 표시 요청을 송신한다. 표시 요청은 기준 위치 정보, 입력된 키워드 및 단말 20의 유저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503 및 단계 S504의 처리는, 단계 S203 및 단계 S204의 처리와 같다.
단계 S505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친구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계 S504에서, 지도상에 표시할 것이 결정된 POI와 유저가 관계를 가지는지 여부를 특정한다. 관계를 가진다는 것은, POI 또는 POI가 소속하는 조직이 유저의 단말 20에 "마음에 드는 것"으로서 등록되어 있거나, 회원으로서 등록되어 있거나, 또는 단말 20의 유저와 POI 또는 POI가 소속하는 조직이 SNS 상에서 "친구"의 관계를 가지는 것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SNS 상에서 "친구"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은, 예를 들면, 단말 20의 유저의 SNS의 어카운트에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이 "친구"로서 등록되어 있는 것이다.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과, 유저가 관계를 가지는 것이 특정된 경우,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의 화면에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를 표시하도록 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저와 관계를 가지는 POI의 위치가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포함되는(예를 들면, 500m 이내) 경우, 정보처리 장치 10은,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를 단말 20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결정한다.
도 6에서, 친구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친구 관리 테이블에서는, 유저가 SNS 상에서 "친구"의 관계를 가지는 조직의 식별자가 유저 식별자와 대응되어 기억되고 있다. 또한, 대응되어 있는 조직이, 서비스의 이용, 또는 물품의 구입 등을 근거로 포인트를 유저에게 부여하고 있는 경우, 포인트 획득 수, 포인트 상환 단위, 포인트 획득률 및 포인트 유효기간이 조직마다 기억된다. 여기서, 포인트 획득 수는 유저에게 부여된 포인트 수이며, 포인트 상환 단위는 포인트의 대가로서 서비스의 제공이나 경품의 상환 등을 받을 수 있는 포인트 수이다. 포인트 획득률은 포인트 획득 수를 포인트 상환 단위로 나눈 값이다. 포인트 유효기간은 점포 등에서의 포인트의 사용 가능한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에 더하여, 이러한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20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추출된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20의 유저에게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할 것을 단말 20에 지시한다(단계 S205와 같음). 또한, 정보처리 장치 10은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POI가 속하는 조직의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지도상에, 단말 20의 유저에게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할 것을 지시한다. 이 지시에는 표시할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면, 포인트 획득률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단말 20은, 화면의 지도상에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더하여,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의 범위의 거리(예를 들면, 500m)의 POI에 있어서의 고객의 대응 상황을 근거로, 화면의 지도상의 POI의 표시를 조정하도록 단말 20에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 장치 10은, 도 7에서 나타내는 고객 대응 테이블을 보관 유지하고, 추출된 POI의 고객의 대응 상황을 근거로, POI의 지도상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도 7의 고객 대응 테이블에는, "POI명", POI의 "조직 식별자", "채팅 대응" 및 "대응 실적"이 대응되어 기억된다.
"채팅 대응"에는, POI가 1 대 1의 SNS의 채팅을 이용하는 문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된다.
"대응 실적"은 다른 유저의 POI에 대응하는 점포에 대한 평가가 기록된다. 도 7에 예에서는, "대응 실적"에, "응답 시간", "응답 텍스트 수" 및 "유저 만족도"가 기억된다. 덧붙여, "대응 실적"은 점포가 속하는 조직마다 기억될 수 있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계 S505에서,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더하여, 고객 대응 테이블을 참조하여 채팅 대응의 가부나, 대응 실적의 내용에 따라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결정된 내용이 단계 S506에서 단말 20에 통지되고, 단계 S507에서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단말 20의 유저가 인식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된다.
도 8에서, 표시 제어 예 2와 관련되는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기준 위치(마크 30)에서 500m 이내의 POI에 대해서,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포인트의 획득률이 POI에 관한 속성과 함께, 단말 20의 지도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조직 아이콘 40B, 45B 및 45D로 나타낸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친구 마크 64)와 포인트 획득률 65가 조직 아이콘(40, 45)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도 8에서는, 기준 위치(마크 30)에서 500m 이내의 POI에 대해서, 조직 아이콘 40 등과 함께, 채팅의 가부나 고객의 평가가 높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가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조직 아이콘 40A 및 40B로 나타낸 POI가, 채팅에 대응되어 있는 취지의 마크 66과 함께 표시되고, 조직 아이콘 40B 및 45C로 나타낸 POI가 유저 만족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마크 67과 함께 표시되고 있다.
도 8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포인트 유효기간이 친구 마크 64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포인트가 실효되기까지의 기간에 따라, 포인트 유효기간의 표시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인트 실효까지가 1주일 미만인 경우, 단말 20의 유저의 주의를 촉구하기 위해 포인트의 유효기간을 적색 글씨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저 만족도가 낮은 것을 나타내는 마크가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고, 응답 시간의 장단이나 응답 텍스트의 길이를 나타내는 마크가 지도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의 친구 관리 테이블에서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과 유저와의 관계가 관리되고 있으나, 친구 관리 테이블에서는 점포와 유저와의 관계가 관리될 수도 있다.
표시 제어 예 2에 의하면, 표시 제어 예 1의 효과에 더하여, 단말 20의 유저와 POI와의 관계가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관계를 가지는 POI에 대응하는 점포 등, 예를 들면, 빈번하게 방문하는 점포를 특정하기가 쉽게 된다. 또한, 점포 등의 포인트를 나타내는 정보가 지도상에 표시되기 때문에, 단말 20의 유저의 점포에 대한 내방을 촉구하기가 쉽게 된다.
<표시 제어 예 3>
표시 제어 예 3에서는, 표시 제어 예 1 또는 표시 제어 예 2의 실시 형태에 더하여, 정보처리 장치 10이 단말 20의 유저의 속성과 POI가 타겟으로 하고 있는 유저와의 매칭의 처리를 실시하여,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표시 제어 예 3와 관련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덧붙여, 표시 제어 예 1 및 2와 중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는 표시 제어 예 3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901 내지 단계 S904의 처리는, 단계 S501 내지 단계 S504와 같다.
단계 S905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타겟 관리 테이블과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기준 거리로부터 소정의 거리의 범위 내(예를 들면 500m 이내)에 있는 것이 특정된 POI에 대응하는 점포나 점포가 속하는 조직이 타겟으로 하는 고객층과, 단말 20의 유저의 속성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매칭 처리)를 실시한다.
도 10a에서 타겟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a의 타겟 관리 테이블에는, 조직 식별자와 각 조직이 서비스의 제공이나 상품의 판매의 타겟으로 하는 고객의 "연령", "성별" 및 관심 사항("관심 1" "관심 2" "관심 3")가 대응되어 기억된다. 여기서, 관심 사항은 조직의 운영자가 상정하는 타겟으로 하는 고객의 관심 사항이다. 관심 사항은 서비스를 제공한 고객이나, 상품을 판매한 고객의 관심 사항을 근거로 설정될 수 있다. 관심 사항의 수는 임의의 수로 설정 가능하다. 도 10a에서는, 타겟이 조직마다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타겟은, 점포마다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b에서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b의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에서는 "유저 식별자"와, "유저명"과, 유저의 "연령"과, 유저의 "성별", 유저의 관심 사항("관심 1" "관심 2" "관심 3")이 대응되어 기억된다. 여기서, 관심 사항에는 유저가 자신의 취미, 좋아하는 음식 및 관심이 있는 사항 등이 설정된다.
도 10a-b에서 나타내는 타겟 관리 테이블과, 유저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는 매칭 처리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계 S904의 결과 추출된, POI에 대응하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이 타겟으로 하는 고객의 정보를 타겟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특정한다. 여기에서는, 단계 S904의 결과, 조직 식별자 "AAA", "BBB", "CCC", "DDD" 및 "EEE"가 POI가 속하는 조직으로서 추출된 것으로 한다.
또한,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표시 요청을 송신한 단말 20의 유저의 속성을 특정한다. 여기에서는, 유저 식별자가 "abcdef"인 유저의 단말 20로부터 표시 요청이 송신된 것으로 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타겟 관리 테이블과, 유저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유저 식별자가 "abcdef"인 유저는 조직 식별자 "CCC"의 타겟으로 하는 고객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906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추출된 POI를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20의 유저에게 인식 가능하도록 표시할 것을 단말 20에 지시한다. 또한, 정보처리 장치 10은 매칭 처리의 결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POI를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할 것을 지시한다.
덧붙여, 도 10a의 타겟 관리 테이블은 조직마다 생성되어 있으나, 타겟 관리 테이블 조직마다 기억될 수도 있고, 점포 등의 POI마다 기억될 수도 있다.
단계 S907에서, 단말 20은 화면의 지도상에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에 더하여, 관심이 일치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마크 등)를 표시한다. 여기서, 관심이 일치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란, 점포 등이 타겟으로 하는 유저의 속성이 단말 20의 유저의 속성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도 11에서, 표시 제어 예 3과 관련되는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정보처리 장치 10이 기준 위치(마크 30)로부터 500m 이내의 POI이고, 매칭 처리의 결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POI에 대해서, 관심이 일치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마크(관심 매치 마크)가 함께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조직 아이콘 45A 및 45E로 나타낸 POI가 매칭 처리의 결과 관심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관심이 매치되는 취지의 마크(관심 매치 마크 68)와 함께 표시된다.
표시 제어 예 3에 의하면, 표시 제어 예 1의 효과에 더하여, 단말 20의 유저와 POI에 대응하는 점포 등 사이에서 매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유저의 요청에 해당하는 POI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게 되고, 유저가 방문지가 될 POI를 선택하기가 쉽게 된다.
<표시 제어 예 4>
상술한 표시 제어 예에서는, 유저와 POI와의 관계의 표시(표시 제어 예 2)와, 매칭 처리 결과의 표시(표시 제어 예 3)를 따로따로 실시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러한 제어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4가 실행된 후에, 단계 S505와 단계 S905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 장치 10은, 추출된 POI를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할 것을 단말 20에 지시함과 동시에, 단말 20의 유저가 관계를 가지는 POI에 대해서는 "POI가 유저와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할 것 및 관심이 일치하는 POI에 대해서는 "관심이 일치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할 것을 지시한다.
이것에 의해, 단말 20에 표시되고 있는 지도상에 POI의 속성을 나타내는 아이콘, 마크 및 사진 등(40, 45, 60, 61, 62, 63)과 함께, 친구 마크 64 및 관심 매치 마크 66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제어 예에서는, 지도상에 POI의 속성 등을 아이콘, 마크 및 사진으로 표시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단말 20의 유저에게 POI의 속성 등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으면 되고, 표시 방법은 아이콘이나 마크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이콘을 하이라이트하도록 할 수 있고, 색을 구별할 수도 있고, 애니메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고, 속성 등을 인식하게 하도록 할 수도 있고, 텍스트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저와 POI와의 관계나 매칭 처리의 결과를 근거로, 아이콘의 확대/축소, POI의 지도상의 표시/비표시 등의 표시 제어가 실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표시 제어 예에서는, 표시되는 POI의 속성의 종류가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POI의 속성에 관한 정보의 양이 조정될 수도 있고, 정보의 종류와 양이 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보의 양이란, 예를 들면, POI에 대응하는 점포 등의 영업 시간, 캠페인 정보 및 제공 메뉴 등이다.
다수의 POI가 추출된 경우,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의 유저와의 관계의 유무, 쿠폰의 유무 및 유저 만족도 등에 따라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되는 POI의 수가 소정의 수 이하에 되도록, 단말 20에 통지하는 표시 요청의 응답을 조정할 수 있다.
덧붙여, 정보처리 장치 10은 지도상에 표시할 마크 및 아이콘 등의 표시 부호 등을 미리 단말 20에 통지하고, 표시 요청의 응답시에는 표시 부호의 식별자를 통지할 수도 있고, 표시 요청의 응답시에 통지할 수도 있다.
<POI 선택시의 동작>
다음으로, 단말 20의 지도상에 표시되고 있는 POI가 선택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 20은, 유저로부터 탭 등의 동작에 의한 POI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SNS와의 연계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OI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POI에 대응하는 점포 사이에서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SNS의 채팅 메뉴를 기동할 수 있고, 예약 메뉴를 기동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20은, POI에 대응하는 점포의 SNS 어카운트로부터 쿠폰을 취득할 수 있다. 단말 20의 유저가 선택한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과 관계를 갖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SNS 상에서 "친구"의 관계가 확립되지 않은 경우, 단말 20은 SNS 상에서 관계를 확립하는 메뉴를 기동할 수 있다.
단말 20이 유저로부터 POI의 선택을 수신한 것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통지하고, 정보처리 장치 10은 통지를 수신함에 따라, 선택된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조직과 관계를 가지고, 또한 단말 20과의 유저와 관계를 가지는 유저를 추출하여, 추출된 유저의 리스트를 단말 20에 통지할 수 있다. 단말 20이 통지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단말 20의 유저에게 다른 유저의 점포 등과의 관계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고 점포에 대한 방문을 촉구할 수 있다.
단말 20의 지도 어플리케이션은, POI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목적지에 대한 내비게이션을 개시할 수 있고, 이 때, 단말 20은, POI에 대응하는 점포와의 채팅 메뉴를 기동할 수도 있다. 이 것에 의해, 단말 20의 유저는 이동 중에 점포에 대해 문의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단말 20은, POI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POI에 대응하는 점포 등의 SNS의 어카운트에 액세스하여, 상세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POI의 선택에 따라 SNS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단말 20의 유저의 점포 등의 방문의 판단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SNS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정보처리 시스템 1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장치 10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컴퓨터 300은, 예를 들면, CPU (Central Processing Unit) 301, RAM (Random Access Memory) 302, ROM (Read Only Memory) 303, 스토리지 장치 304, 입력장치 305, 표시장치 306, 통신 I/F (Interface) 307, 외부 I/F 308 및 버스 309 등을 가진다.
CPU 301은, ROM 303이나 스토리지 장치 304 등의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RAM 302 상에서 읽어내어,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컴퓨터 300의 제어와 기능을 실현되는 연산 장치이다. ROM 303은, 컴퓨터 300의 기동시에 실행되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OS(Operating System)의 설정 및 각종 설정 등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고 있다. RAM 302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 유지하는 휘발성의 메모리이다. 스토리지 장치 304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이다.
입력장치 305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며, 유저가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표시장치 306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이며, 컴퓨터 300에 의한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덧붙여, 입력장치 305 또는/및 표시장치 306은 필요에 따라 접속하여 이용하는 형태일 수 있다.
통신 I/F 307은, 컴퓨터 300을 네트워크 2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I/F 308은,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장치에는, 외부기억매체 308a 등이 있다. 이것에 의해, 컴퓨터 300은 외부 I/F 308을 통해 외부기억매체 308a의 독출 및/또는 기입을 실시할 수 있다. 외부기억매체 308a에는 예를 들면, 각종의 광학 디스크나 각종의 메모리 카드 등이 포함된다.
CPU 301이 ROM 303 등에 저장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정보처리 장치 1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2) 단말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20은, CPU 201, ROM 202, RAM 203, 기억장치 204, 입출력 장치 205, 통신 I/F 206 및 디스플레이 207(표시장치)를 구비한다. 덧붙여, 단말 20의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208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기억장치 204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CPU 201은, 기억장치 2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ROM 202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ROM 202는 기억장치 2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CPU 201이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 203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주기억장치이다. RAM 203은 각종 프로그램이 CPU 201에 의해 실행될 때에 전개되는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장치 205는, 단말 20에 대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및 단말 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의 기능을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 205는, 디스플레이 207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207은, 터치 반응형 디스플레이(터치 패널)로 할 수 있다. 통신 I/F 206은, 네트워크 2를 통해 단말 20과 정보처리 장치 10과의 통신을 실시한다.
CPU 201이 기억장치 204 등에 저장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 2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기능 구성>
(1) 정보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
도 14를 이용하여 정보처리 장치 1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송수신부 110, POI 추출부 120, 거리 산출부 130, 표시 제어부 140, SNS 처리부 150, 정보 관리부 160을 가진다. 표시 제어부 140은, 표시 속성 결정부 141, SNS 표시 정보 결정부 142 및 매칭 처리부 143을 가진다. 또한, 정보 관리부 160은, POI 관리 테이블 161, 친구 관리 테이블 162, 고객 대응 테이블 163, 타겟 관리 테이블 164 및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 165를 가진다.
송수신부 110은 네트워크 2를 통해 단말 20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POI 추출부 120은 POI 관리 테이블 161을 참조하여, 단말 20의 표시 요청에 포함되는 키워드(검색 워드)에 대응하는 POI를 추출한다.
거리 산출부 130은 추출된 POI와 표시 요청에 포함되는 기준 위치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POI 추출부 120은 기준 위치와의 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인 POI를 추출된 POI로서 표시 제어부 140에 통지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 140은,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에 표시하는 POI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여, 결정된 POI의 표시 형태를 송수신부 110을 통해 단말 20에 통지한다.
표시 속성 결정부 141은 추출된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지도상에 표시하는 POI의 속성의 종류를 결정한다. 표시 제어부 140은, POI 관리 테이블 161을 참조하여, 지도상에 표시하는 POI의 속성의 종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 140은,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제1 거리의 범위 내인 경우, 속성 1 내지 속성 4를 나타내는 정보인 아이콘이나 마크와 함께 POI를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하고,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제1 거리로부터 제2 거리의 범위 내인 경우(제1 거리<제2 거리), 속성 1 및 속성 2를 나타내는 정보인 아이콘이나 마크와 함께 POI를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하고,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제2 거리보다 큰 경우, POI가 존재함을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SNS 표시 정보 결정부 142는,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의 범위 내, 예를 들면, 제2 거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POI에 대응하는 점포나 점포가 속하는 조직이 단말 20의 유저와 관계를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시에는, 표시 요청에 포함되는 유저의 식별자와 친구 관리 테이블 162가 이용된다. 관계를 가지는 경우, SNS 표시 정보 결정부 142는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과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또한, SNS 표시 정보 결정부 142는 이러한 점포 또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의 포인트에 관련된 정보를 친구 관리 테이블 162로부터 취득하여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SNS 표시 정보 결정부 142는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POI에 대응하는 점포 등의 SNS의 채팅에 의한 문의의 가부나, 대응 실적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매칭 처리부 143은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의 범위 내, 예를 들면, 제2 거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POI에 대응하는 점포나 점포가 속하는 조직과, 단말 20의 유저의 매칭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매칭 처리부 143은 타겟 관리 테이블 164와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 165를 참조하여, 유저의 관심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점포 등을 특정하여,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SNS 처리부 150은 단말 20으로부터의 SNS의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고 SNS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단말 20이 유저로부터 POI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SNS 서비스가 기동된 경우, 단말 20으로부터의 요청을 받아 SNS 처리부 150은 SNS 서비스를 제공한다. 덧붙여, SNS 처리부 150은 정보처리 장치 10과 다른 정보처리 장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정보 관리부 160은 각종 테이블을 기억한다. POI 관리 테이블 161에는, 도 3에서 나타낸 정보 요소가 기억된다. 친구 관리 테이블 162에는 도 6에서 나타낸 정보 요소가 기억된다. 고객 대응 테이블 163에는 도 7에서 나타낸 정보 요소가 기억된다. 타겟 관리 테이블 164에는 도 10a에서 나타낸 정보 요소가 기억된다.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 165에는 도 10b에서 나타낸 정보 요소가 기억된다.
(2) 단말
도 15를 이용하여, 단말 2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 20은 송수신부 210, 입력 접수부 220, 표시 제어부 230, SNS 연계 제어부 240 및 정보 관리부 250을 가진다.
송수신부 210은 네트워크 2를 통해 단말 20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한다.
입력 접수부 220은 단말 20의 유저로부터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의 지시, 키워드의 입력, 표시 요청의 송신 지시 등을 수신한다.
표시 제어부 230은 단말 20의 화면에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지도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표시 요청의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표시 제어부 230은 응답에 포함되는 지시에 따른 표시 형태로 POI를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표시 제어부 230은 표시 부호 관리 테이블 251을 참조하여, 지도상에 POI를 표시하도록 할 때에 이용하는 아이콘, 마크 등을 특정한다.
SNS 연계 제어부 240은, 입력 접수부 220이 지도상에 표시된 POI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SNS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정보처리 장치 10에 SNS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송신한다. SNS 연계 제어부 240은, POI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SNS 어플리케이션의 소정의 메뉴 예를 들면, 채팅 메뉴나, 친구 추가 메뉴를 기동할 수 있다.
정보 관리부 250은, 표시 부호 관리 테이블 251을 가진다. 표시 부호 관리 테이블 251은,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의 아이콘(40, 45) 개점 중을 나타내는 마크 60, 폐점 중을 나타내는 마크 61, 쿠폰 배포 중을 나타내는 마크 62 등의 표시 부호와, 표시 부호의 식별자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동작 플로우>
도 16을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장치 10의 동작 플로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601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의 송수신부 210이 단말 20로부터 기준 위치와 키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POI 추출부 120은 POI 관리 테이블 161을 참조하여, 소정의 영역 내에 존재하고, 키워드에 대응하는 POI를 추출한다. 소정의 영역이란, 예를 들면, ○○구, ○○ 역 주변 등이다.
단계 S1602에서, 거리 산출부 130은 추출된 POI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한다.
단계 S1603에서, 표시 속성 결정부 141은 추출된 POI가 제1 거리(예를 들면 500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추출된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하인 경우 단계 S1604에 진행된다. 한편, 추출된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보다 긴 경우 단계 S1609에 진행된다.
단계 S1604에서, 표시 속성 결정부 141은 추출된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지도상에 표시하는 POI의 속성의 종류를 결정한다. 표시 속성 결정부 141은 POI 관리 테이블 161을 참조하여 표시하는 속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표시 속성 결정부 141은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가 제2 거리(예를 들면 300m) 이하인 경우, 속성 1 내지 속성 4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POI를 지도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표시 속성 결정부 141은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가 제2 거리보다 떨어져 있는 경우, 속성 1 및 속성 2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POI를 지도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단계 S1605에서, SNS 표시 정보 결정부 142는 친구 관리 테이블 162를 참조하여,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조직과 단말 20의 유저가 관계를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단계 S1605 Yes), 단계 S1605를 진행한다. 한편, 관계를 갖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단계 S1605 No), 단계 S1607을 진행한다.
단계 S1606에서, SNS 표시 정보 결정부 142는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과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단계 S1607에서, 매칭 처리부 143은 타겟 관리 테이블 164와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 165를 이용하여 매칭 처리를 실시한다. 매칭 처리의 결과, POI에 대응하는 점포 또는 점포가 속하는 조직이 유저의 관심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단계 S1607 Yes), 단계 S1608을 진행한다. 한편, 유저의 관심과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609으로 진행된다.
단계 S1608에서, 매칭 처리부 143은 유저의 관심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POI를 특정하여,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단계 S1603 No"의 경우, 단계 S1609에서, 표시 속성 결정부 141은 POI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표시를 할 것을 결정한다.
단계 S1610에서, 표시 제어부 140은 추출된 모든 POI에 대해서, 단계 S1602 내지 단계 S1609의 순서가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추출된 모든 POI에 대해서 이러한 순서가 실행된 경우(단계 S1601 Yes), 단계 S1611을 진행한다. 한편, 추출된 모든 POI에 대해서 이러한 순서가 실행되지 않은 경우(단계 S1601 No), 단계 S1602로 돌아간다.
단계 S1611에서, 송수신부 110은 결정된 POI의 표시 형태를 단말 20에 통지한다.
다음으로, 도 17을 이용하여 단말 20에 있어서의 동작 플로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701에서, 단말 20의 송수신부 210이 표시 요청의 응답을 수신한다.
단계 S1702에서, 표시 제어부 230은 응답에 포함되는 지시에 따른 표시 형태로 POI를 단말 20의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단계 S1703에서, 입력 접수부 220가 POI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SNS 연계 제어부 240은 SNS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여기서, SNS 연계 제어부 240은 SNS의 소정의 메뉴를 기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1704에서, SNS 연계 제어부 240의 지시를 받아, 송수신부 210은 정보처리 장치 10에 SNS 서비스의 제공 요청을 송신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20이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표시 형태로 POI를 표시하고 있었지만, 단말 20에서 POI의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기능 구성>
도 18을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장치 1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장치 10은,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20에서 POI의 표시 형태의 결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정보처리 장치 10이 표시 제어부 140을 갖지 않는다.
거리 산출부 130은 추출된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송수신부 110은 추출된 POI와 거리의 산출 결과를 단말 20에 송신한다. 여기서, 송수신부 110은 산출된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내인 POI와, 해당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를 단말 2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9를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2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20의 표시 제어부 230A는 표시 속성 결정부 231, SNS 표시 정보 결정부 232 및 매칭 처리부 233을 가진다.
송수신부 210이, 표시 요청의 응답으로서, 추출된 POI와 이러한 POI와 기준 위치와의 거리를 수신함에 따라, 표시 제어부 230은 기준 위치에서 제1 거리(예를 들면 500m) 이하의 POI를 특정한다. 표시 제어부 230A는 제1 거리보다 떨어져 있는 POI에 대해서는, POI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마크를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결정한다. 한편, 기준 위치에서 제1 거리 이하인 POI에 대해서는 POI의 속성 등과 함께 표시할 것을 결정한다.
표시 속성 결정부 231, SNS 표시 정보 결정부 232 및 매칭 처리부 233의 기능에 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속성 결정부 141, SNS 표시 정보 결정부 142 및 매칭 처리부 143의 기능이 갖는 기능과 동일하다. 이러한 기능 블록은 제1 거리 이하인 POI의 표시 형태를, 정보처리 장치 10의 정보 관리부 160에서 기억되고 있는 각종 테이블을 송수신부 110을 통해 참조하여, 결정한다.
덧붙여, 제2 실시 형태에서 거리 산출부 130은 정보처리 장치 10에 배치되어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단말 20에 배치할 수도 있다.
[그 외]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POI로서 점포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POI는 신사, 절 및 랜드마크 등의 관광 스폿이나, 도서관 및 체육관 등 공공 시설일 수 도 있다. SNS의 유저가 관광지와 SNS 상에서 친구 관계를 가지는 경우나, 공공 시설이 속하는 공공단체와 친구 관계를 가지는 경우에는, 관광 스폿이나 공공 시설이 유저의 단말 20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관계를 가진다는 취지가 표시되도록, 단말 20 및/또는 정보처리 장치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송수신부 110은 수신부의 일례이다. POI 추출부 120 및 거리 산출부 130은 추출부의 일례이다. 송수신부 210은 송신부 및 취득부의 일례이다. 또한, 검색 결과는 점포 등의 시설의 일례이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를 정보처리 장치 10 및 단말 2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 장치 10 및 단말 20이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내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술의 실시 형태가 달성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기억 매체에는 상술한 표시 제어 방법을 정보처리 장치 10 및 단말 20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로부터,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근거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어 있는 속성을 특정하여,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상의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단계를 정보처리 장치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표시되는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 및/또는 양은 상기 기준 위치와 추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또한,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근거로 추출된 검색 결과와 해당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되어 있는 속성을 특정하여,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된 지도상의 상기 위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단말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표시되는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 및/또는 양은 상기 기준 위치와 추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억 매체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 장치가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뿐만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 장치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치환을 더할 수 있다.
1 정보처리 시스템
2 네트워크
10 정보처리 장치
20 단말
110 송수신부(정보처리 장치)
120 POI 추출부
130 거리 산출부
140 표시 제어부(정보처리 장치)
141 표시 속성 결정부
142 표시 정보 결정부
143 매칭 처리부
150 SNS 처리부
160 정보 관리부
161 관리 테이블
162 친구 관리 테이블
163 고객 대응 테이블
164 타겟 관리 테이블
165 유저 속성 관리 테이블
210 송수신부(단말)
220 입력 접수부
230 표시 제어부
230A 표시 제어부(단말)
231 표시 속성 결정부(단말)
232 표시 정보 결정부(단말)
233 매칭 처리부(단말)
240 연계 제어부
250 정보 관리부
251 표시 부호 관리 테이블
본 국제 출원은, 2016년 1월 29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016345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해당 출원의 전부의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서 원용한다.

Claims (20)

  1. 정보처리 장치가,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속성의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해, 서비스의 이용 또는 물품의 구입을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유저에 대해 부여되는 포인트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인트의 획득 수를 상기 포인트를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 가능한 단위로 나눈 값인 포인트 획득률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포인트 획득률을 상기 정보처리 단말에서 표시시키는 단계
    를 실행하는, 정보처리 방법.
  2. 정보처리 장치가,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속성의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단말에서 표시시키는 단계
    를 실행하고,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채팅을 이용하는 문의에 대한 대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시되는 각각의 상기 검색 결과의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거리가 짧을수록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 또는 해당 검색 결과가 속하는 조직과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유저가 관계를 가지는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화면의 상기 지도에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시키는 단계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상에서, 상기 유저의 어카운트에 상기 검색 결과 또는 상기 조직이 친구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지도에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시키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 또는 해당 검색 결과가 속하는 조직의 다른 유저로부터의 평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지도에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유저의 속성이, 상기 검색 결과 또는 해당 검색 결과가 속하는 조직의 타겟으로 하는 유저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유저의 속성과 일치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화면의 상기 지도에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아이콘, 마크, 하이라이트 표시, 애니메이션 표시, 텍스트 표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처리 방법.
  9.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속성의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해, 서비스의 이용 또는 물품의 구입을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유저에 대해 부여되는 포인트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인트의 획득 수를 상기 포인트를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 가능한 단위로 나눈 값인 포인트 획득률을 취득하고,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포인트 획득률을 상기 정보처리 단말에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10. 정보처리 장치가,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속성의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고,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단말에서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채팅을 이용하는 문의에 대한 대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11. 정보처리 장치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속성의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해, 서비스의 이용 또는 물품의 구입을 기초로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유저에 대해 부여되는 포인트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인트의 획득 수를 상기 포인트를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 가능한 단위로 나눈 값인 포인트 획득률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포인트 획득률을 상기 정보처리 단말에서 표시시키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정보처리 장치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검색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속성의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단말에서 표시시키는 단계
    를 실행시키고,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채팅을 이용하는 문의에 대한 대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단말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추출된 검색 결과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상기 검색 결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해 서비스의 이용 또는 물품의 구입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유저에 대해 부여되는 포인트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인트의 획득 수를 상기 포인트를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 가능한 단위로 나눈 값인 포인트 획득률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포인트 획득률을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단말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추출된 검색 결과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상기 검색 결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고,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채팅을 이용하는 문의에 대한 대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의 선택을 수신하는 것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소정의 메뉴를 기동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메뉴는, 채팅 서비스의 메뉴, 또는 친구 등록의 메뉴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7. 단말이,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추출된 검색 결과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상기 검색 결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해 서비스의 이용 또는 물품의 구입을 기초로 상기 단말의 유저에 대해 부여되는 포인트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인트의 획득 수를 상기 포인트를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 가능한 단위로 나눈 값인 포인트 획득률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포인트 획득률을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정보처리 방법.
  18. 단말이,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추출된 검색 결과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상기 검색 결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하고,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채팅을 이용하는 문의에 대한 대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
  19.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추출된 검색 결과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상기 검색 결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해 서비스의 이용 또는 물품의 구입을 기초로 정보처리 단말의 유저에 대해 부여되는 포인트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인트의 획득 수를 상기 포인트를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 가능한 단위로 나눈 값인 포인트 획득률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포인트 획득률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단말.
  20. 기준 위치의 정보와 검색 워드를 포함하는 표시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워드를 기초로 추출된 검색 결과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종류 및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된 상기 검색 결과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부와,
    화면에 표시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지도상의 위치에,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채팅을 이용하는 문의에 대한 대응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단말.
KR1020187020559A 2016-01-29 2017-01-27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KR10216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7026800A KR102269373B1 (ko) 2016-01-29 2017-01-27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6345 2016-01-29
JP2016016345A JP6367847B2 (ja) 2016-01-29 2016-01-29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端末、及び表示制御方法
PCT/JP2017/002942 WO2017131161A1 (ja) 2016-01-29 2017-01-27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端末、及び表示制御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800A Division KR102269373B1 (ko) 2016-01-29 2017-01-27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701A KR20180096701A (ko) 2018-08-29
KR102160037B1 true KR102160037B1 (ko) 2020-09-25

Family

ID=593982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559A KR102160037B1 (ko) 2016-01-29 2017-01-27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KR1020207026800A KR102269373B1 (ko) 2016-01-29 2017-01-27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800A KR102269373B1 (ko) 2016-01-29 2017-01-27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329924A1 (ko)
JP (1) JP6367847B2 (ko)
KR (2) KR102160037B1 (ko)
CN (1) CN108496214B (ko)
WO (1) WO2017131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1265B1 (en) * 2016-06-28 2017-06-13 Snap Inc. System to track engagement of media items
US11315296B2 (en) * 2017-11-22 2022-04-26 Google Llc Dynamically varying visual properties of indicators on a digital map
JP7087832B2 (ja) * 2018-08-28 2022-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9582749A (zh) * 2018-10-17 2019-04-05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地图中多点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计算机设备
JP6690796B1 (ja) 2019-06-07 2020-04-2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管理プログラ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管理装置
JP2021135645A (ja) * 2020-02-26 2021-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
JP7480837B2 (ja) * 2020-03-26 2024-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
CN111930279B (zh) * 2020-07-24 2021-08-24 北京罗克维尔斯科技有限公司 适用于车辆的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911880A (zh) * 2021-01-29 2022-08-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电子地图的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7455920B1 (ja) 2022-09-15 2024-03-26 Lineヤフー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761A (ja) * 2002-02-28 2003-09-10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022077A (ja) * 2009-07-17 2011-02-03 Yahoo Japan Corp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装置の動作方法
JP2012203587A (ja) * 2011-03-24 2012-10-22 Gourmet Navigator Inc サーバ装置
KR101459005B1 (ko) 2014-05-29 2014-11-07 (주)이지스 3차원 지도의 관심지점 표시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743A (ja) * 2005-06-23 2007-01-11 Hitachi Ltd 地図データ配信サービスシステム、方法、サーバ、モバイル端末、記録媒体、
US20110214050A1 (en) * 2006-09-29 2011-09-01 Stambaugh Thomas M Virtual systems for spatial organization, navigation, an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JP4502005B2 (ja) * 2007-12-27 2010-07-1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30248A (ja) * 2008-03-19 2009-10-08 Fujifilm Corp 評価表示システム、サーバ装置、評価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06350B2 (en) * 2008-09-04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ed display and management of data objects based on social,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CN102163214B (zh) * 2011-03-07 2012-10-1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地图生成装置及方法
US8494770B2 (en) * 2011-03-15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savings routes with a portable computing device
US10422654B2 (en) * 2011-06-03 2019-09-2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mparing and selecting alternative navigation routes
CN103229205B (zh) * 2011-11-30 2015-09-30 乐天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及信息处理方法
JP6014341B2 (ja) * 2012-03-21 2016-10-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提示方法、情報提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761A (ja) * 2002-02-28 2003-09-10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022077A (ja) * 2009-07-17 2011-02-03 Yahoo Japan Corp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装置の動作方法
JP2012203587A (ja) * 2011-03-24 2012-10-22 Gourmet Navigator Inc サーバ装置
KR101459005B1 (ko) 2014-05-29 2014-11-07 (주)이지스 3차원 지도의 관심지점 표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96214A (zh) 2018-09-04
KR20200110481A (ko) 2020-09-23
KR102269373B1 (ko) 2021-06-28
WO2017131161A1 (ja) 2017-08-03
US20180329924A1 (en) 2018-11-15
JP2017134357A (ja) 2017-08-03
JP6367847B2 (ja) 2018-08-01
CN108496214B (zh) 2021-10-15
KR20180096701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037B1 (ko) 정보처리 장치, 프로그램, 단말 및 표시 제어 방법
US100094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in a pre-determined location
EP2675143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102919A (ko) 위치 기반 광고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04257A1 (en) U-chef service system using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6957411B2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
KR2012010118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맛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3149688A1 (en) Personal intelligence platform
KR20130049256A (ko) 이벤트 발생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로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서버
US20150379573A1 (en) Electronic content filtering server between a mobile computing device and an electronic receipt server
US11470133B2 (en)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in timeline area, object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US9299070B2 (en) Virtual receipts
JP5492029B2 (ja) 情報処理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およ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用プログラム
JP6420099B2 (ja) 広告表示システム、広告表示方法、及び広告表示プログラム
JP2011128806A (ja) 広告情報提供装置および広告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2002328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8045605A (ja) クーポン等利用システム、クーポン等利用プログラム及びクーポン等利用方法
JP2020118610A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2010079770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KR101451965B1 (ko) 장소 검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WO2005094186A1 (ja) 電子メール自動処理プログラム、電子メール自動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電子メール自動処理システム
JP202006775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69611B1 (ko) 일정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095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서버
KR101696863B1 (ko) 개인화 및 사회화 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