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976B1 -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976B1
KR102159976B1 KR1020190003277A KR20190003277A KR102159976B1 KR 102159976 B1 KR102159976 B1 KR 102159976B1 KR 1020190003277 A KR1020190003277 A KR 1020190003277A KR 20190003277 A KR20190003277 A KR 20190003277A KR 102159976 B1 KR102159976 B1 KR 10215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mmunity
composition
cells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914A (ko
Inventor
김종훈
김훈중
안창원
이영진
최정인
강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19000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9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아로니아(Aronia) 열매 추출물,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열매 추출물, 구기자(Lycium Chinese Miller) 추출물, 당귀(Angelica sp.) 추출물, 해백(Allium macrostemon Bunge) 추출물 및 만삼(Codonopsis pilosula) 추출물로 구성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3종이 배합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복합 식물 추출물은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을 모두 증진시킬 수 있다.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섭취, 복용할 수 있으며, 면역 증진을 위한 약품이나 기능성 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PHARMACEUTICAL AND FUNCTIONAL FOOD HAV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식물 추출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의약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비롯한 생명체는 외래의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이나 독소의 침입으로부터 생체를 지키기 위한 면역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포유류를 비롯한 고등생명체의 면역 시스템은 항원(antigen)과 특이적으로(specifically) 반응하는 항체(antibody)를 생산하거나, 자기와 다른 미생물 등에 감염된 세포를 특이적으로 공경하거나,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하여 대식세포나 그 밖의 면역세포에 작용하여 효과적으로 생체를 방어하거나 면역세포를 활성화하거나, 특이적인 기억(memory)을 보존하여 동일한 항원을 만나면 신속하게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현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감염,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 다양한 면역 저하 요인과 환경호르몬과 같은 교란인자, 류마티스와 같은 자가면역질환, 아토피나 알러지와 같은 면역과민반응의 증가 등 다양한 면역 기능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면역 기능이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항하여 생체의 비정상적인 면역 기능을 종하여 변화를 경감시키거나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면역 조절제 또는 면역 증진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면역 증진과 관련하여 식품의약품 안전처 고시에서는 인삼, 홍삼, 알로에 겔, 알콕시글리세롤 함유 상어간유, 클로렐라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면역력 증진과 관련한 개별인정 원료로서 L-글루타민, 게르마늄효모, 금사상황버섯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화학 합성 기법을 통하여 백신의 면역 반응을 촉진시키는 면역증강제(adjuvant)가 알려져 있다. 화학 합성을 통해 제조되는 면역증강제는 많은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면역 증진 효능이 있는 천연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생물 종의 새로운 생리학적 기능을 연구할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5121호는 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 및 면역기능 증진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천연 소재를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아무런 독성이 없어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약품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로니아(Aronia) 열매 추출물,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열매 추출물, 구기자(Lycium Chinese Miller) 추출물, 당귀(Angelica sp.) 추출물, 해백(Allium macrostemon Bunge) 추출물 및 만삼(Codonopsis pilosula) 추출물로 구성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3종이 배합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및 상기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은 상기 당귀 추출물, 상기 해백 추출물 및 상기 만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은 선천성 면역 활성 및 후천성 면역 활성을 모두 증진시킨다.
일례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은 T-세포 증식, B-세포 증식 및 NK 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을 증진시킨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성물 중에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은 0.01 내지 1000 ㎍/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 중에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및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각각 20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 중에 상기 당귀 추출물, 상기 해백 추출물 및 상기 만삼 추출물은 각각 20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약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로니아(Aronia) 열매 추출물,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열매 추출물, 구기자(Lycium Chinese Miller) 추출물, 당귀(Angelica sp.) 추출물, 해백(Allium macrostemon Bunge 또는 Allum bakeri Regel) 추출물 및 만삼(Codonopsis pilosula) 추출물로 구성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3종이 배합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성분인 식물 추출물은 천연 소재로서 인체에 대하여 아무런 부작용이 없어서 안전하게 복용, 섭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선천성 면역은 물론이고, 후천성 면역을 모두 증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면역 증진을 위한 약품이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a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선천성 면역과 관련한 Nitric oxid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은 음성 컨트롤, LPS는 양성 컨트롤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A는 아로니아 추출물, H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G는 구기자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선천성 면역과 관련한 Nitric oxid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은 음성 컨트롤, LPS는 양성 컨트롤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AM은 해백 추출물, AS는 당귀 추출물, CP는 만삼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선천성 면역과 관련한 사이토카인인 IL-6, IL-12 및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은 음성 컨트롤, LPS는 양성 컨트롤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A는 아로니아 추출물, H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G는 구기자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후천성 면역과 관련한 사이토카인인 IL-2 및 IFN-γ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은 음성 컨트롤, ConA는 양성 컨트롤인 concanavalin A, A는 아로니아 추출물, H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G는 구기자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선천성 면역과 관련한 사이토카인인 IL-6, IL-12 및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은 음성 컨트롤, LPS는 양성 컨트롤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AM은 해백 추출물, AS는 당귀 추출물, CP는 만삼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세포에 투여하여, 후천성 면역과 관련한 사이토카인인 IL-2 및 IFN-γ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은 음성 컨트롤, ConA는 양성 컨트롤인 concanavalin A, AM은 해백 추출물, AS는 당귀 추출물, CP는 만삼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조성물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고, 마우스에서 적출한 비장을 배양한 뒤, T-세포와 B-세포의 증식 능력을 MTT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근경은 해백 추출물/당귀 추출물/만삼 추출물을 배합한 식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것을 나타내고, 과실은 아로니아 추출물/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구기자 추출물을 배합한 식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것을 나타낸다. (저)는 배합된 식물 추출물을 200 ㎎/㎏으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것을 나타내고, (고)는 배합된 식물 추출물을 400 ㎎/㎏으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도 같은 의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NK 세포주인 YAC-1 세포를 분리된 비장세포와 배양한 뒤, YAC-1 세포의 활성 정도를 MTT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 추출한 대식세포를 배양한 뒤, 배양 상층액에서 분비되는 선천성 사이토카인인 IL-6, IL-12,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3개의 식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 추출한 대식세포를 배양한 뒤, 배양 상층액에서 분비되는 후천성 사이토카인인 IL-2, IFN-γ의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필요한 경우에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면역 증진용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로니아(Aronia) 열매 추출물,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열매 추출물, 구기자(Lycium Chinese Miller) 추출물, 당귀(Angelica sp.) 추출물, 해백(Allium macrostemon Bunge) 추출물 및 만삼(Codonopsis pilosula) 추출물로 구성되는 식물 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3종이 배합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등 생명체의 면역 시스템은 크게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으로 구분된다.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은 비특이적 면역, 자연면역, 내재 면역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비-특이적인 방법으로 숙주가 감염되지 않도록 방어하는 세포나 면역 메커니즘을 가리킨다. 특정의 병원체, 항원을 기억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 시스템으로서, 모든 종류의 식물과 동물은 선천성 면역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대식세포와 같은 식세포나 체내의 항생 물질 등이 체내 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선천성 면역과 관련해서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이 인터류킨6(IL-6), 인터류킨12(IL-12),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이다.
아로니아는 장미목 장미과 아로니아속에 해당하는 관목이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아로니아속(Aronia sp.) 관목의 열매에서 유래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베리(berry)류 중에서도 아로니아 열매에는 항산화제인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높다. 아로니아는 심장 및 혈관질환, 뇌졸중 등 혈액과 관련한 질병을 치료하거나,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사용될 수 있는 아로니아는 블랙 초크베리(Aronia melanocarpa), 레드 초크베리(Aronia arbutifolia) 또는 이들의 자연잡종인 퍼플 초크베리(Aronia prunifolia)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니베리'로 알려진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산토끼꽃목 안동과의 낙엽활엽 관목이다. 해발고도 700 내지 2,300 m 습지에서 서식하며, 대한민국, 일본, 쿠릴열도,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구기자는 가짓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se Miller)의 열매로서, 베타인(betaine), 제아잔틴(zeazanthin), 카로틴(carotene), 티아민(thiamine), 비타민A, B1, B2,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만성간염, 간경변증 등의 염증을 제거하고, 시력 감퇴에 효과가 있으며, 백내장 초기 증상에 활용되기도 한다.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는 당귀는 산형과 당귀(Angelica sp.)의 건조시킨 뿌리를 말한다. 당귀는 피를 생성해주는 보혈 작용과,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 작용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항암 효과 및 혈압 강하 작용과 같은 생리적 효능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또는 카이당귀(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var. sugiyamae Hikino)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백은 산달래(Allium macrostemon Bunge) 또는 염부추(Allium bakeri Regel)의 뿌리줄기이다. 소근산(小根蒜) 또는 해백두(白頭)라고도 한다. 폐경, 위경에 작용하며, 천식, 화상 등에 사용된다.
만삼(Codonopsis pilosul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인데, 본 발명과 관련해서는 만삼의 뿌리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6개의 식물 추출물 중에서 적어도 3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식물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용매는 물,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C1~C5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C1~C5 알코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식물 추출물은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추출 용매를 이용한 식물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건조된 이들 식물 원료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여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한 양의 추출 용매를 첨가, 가열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필요한 경우,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과정을 수회 이상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각각의 식물에 대한 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진 식물 추출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식물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유기 용매 또는 열수를 이용하여 얻어진 식물 추출물은 추가적인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수 또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어진 식물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획용매는 메탄올 수용액, 물,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일 수 있다.
분획 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위에서 얻어진 식물 추출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할 수도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분획물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수행하여 특정 유효 성분을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 추출물은 각각의 식물 원료를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이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복합 식물 추출물은 과일 또는 열매에 속하는 아로니아 추출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합 식물 추출물 중에 아로니아 추출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및 구기자 추출물은 각각 20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용어 중량부는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배합되는 성분의 상대적인 중량 비율을 나타낸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복합 식물 추출물은 근경에 속하는 당귀 추출물, 해백 추출물 및 만삼 추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합 식물 추출물 중에 당귀 추출물, 해백 추출물 및 만삼 추출물은 각각 20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한편, 특이적 면역, 적응 면역(adaptive immunity), 획득 면역 등으로도 불리는 후천 면역(acquired immunity)은 질병에 걸렸거나(자연적 후천 면역) 예방 접종(인공적 후천 면역) 등을 통하여 유도되는 면역 시스템이다. 후천 면역은 항원 에 노출된 후에 유도되는데, 미래에 같은 항원에 노출되면 기억된 면역 작용이 유도된다. 고등 생명체에서 병원체에 노출된 개체의 감염 초기에 후천 면역이 작동하지 않는 기간에는 선천 면역이 우선 작동하고, 뒤이어 보다 효율적인 후천 면역이 작동한다. 후천 면역 과정은 B-세포나 T-세포 등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후천 면역과 관련한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은 인터류킨2(IL-2)와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 IFN-γ)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식물 추출물, 예를 들어 아로니아/댕댕이나무 열매/구기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과실 유래의 복합 식물 추출물과, 당귀/해백/만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근경 유래의 복합 식물 추출물은 선천성 면역은 물론이고(도 1a 내지 도 2c; 도 4a 내지 도 4c; 도 8a 내지 도 8c 참조), 후천성 면역도 활성화시킨다(도 3a 내지 도 3b; 도 5a 내지 도 5b; 도 9a 내지 도 9b 참조).
각각의 식물 추출물은 선천성 면역이나 후천성 면역과 관련하여 특정 사이토카인의 분비만을 촉진, 활성화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3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병용하면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과 관련한 모든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 활성화시킨다는 점은 예상치 못한 결과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식물 추출물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 이외에도, B-세포와 T-세포의 증식(proliferation)을 촉진하고(도 6a 및 6b 참조),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의 표적 세포인 YAC-1 세포의 살해 성능도 활성화시킨다(도 7 참조).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복합 식물 추출물은 면역 증진용 조성물 중에 0.01 내지 1000 ㎍/mL,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L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품 및 기능성 식품]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약품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면역 증진용 약품은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며,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면역 증진용 약품은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약품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와 같은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약품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및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약품은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 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로는 치약, 구강세정제, 국소 투여제(크림, 연고, 드레싱 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국소 투여제의 제형의 일예로는, 유효 성분인 복합 식물 추출물을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로 만든 거즈 등의 담체에 함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크림 또는 연고의 경우, 치주병 또는 치은병 환부나 그 주위에 직접 도포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분무제의 경우, 유효 성분으로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분무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압축용기나 기타 분무용기에 충전 포장하여 구강질환 부위에 수시로 분무 도포하여 면역 기능을 증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드레싱 용액의 경우, 유효 성분으로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드레싱 용액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약품의 제형은 사용 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 과립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리모나데제, 산제, 시럽제, 안연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 연고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전제, 침제, 점안제, 정제, 좌제, 주사제, 주정제, 캅셀제, 크림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약품은 당해 기술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 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면역 증진용 약품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약품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100 내지 1000 ㎎/㎏ 단위로 동물에 투여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기능식품, 음료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한다. 기능성 식품은 복합 식물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과 같은 식품 보조 첨가제 성분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은 물론이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 또는 감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천연 향미제/감미제;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그 외에도 기능성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중에는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식물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식물 추출물 제조
아로니아 열매, 댕댕이나무 열매, 구기자, 당귀, 해백, 만삼을 원료로 하는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원료를 건조하고 분쇄한 뒤, 원료가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원료 대비 10배 내지 20배 가량 부피로 가수하고, 90 내지 100℃에서 4시간 내지 6시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고액 분리하여, 액만 회수한 후, 이를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과실의 경우 아로니아(A), 댕댕이나무 열매(H), 구기자(G)를 활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아로니아 추출물과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1:1로 혼합(A+H),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과 구기자 추출물을 1:1로 혼합(H+G), 구기자 추출물과 아로니아 추출물을 1:1로 혼합(G+A), 아로니아 추출물/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구기자 추출물을 1:1:1로 혼합(A+H+G)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근경의 경우, 해백(AM), 당귀(AS), 만삼(CP) 추출물을 활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해백 추출물과 당귀 추출물을 1:1로 혼합(AM+AS), 당귀 추출물과 만삼 추출물을 1:1로 혼합(AS+CP), 만삼 추출물과 해백 추출물을 1:1로 혼합(CP+AM), 해백 추출물/당귀 추출물/만삼 추출물을 1:1:1로 혼합(AM+AS+CP)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세포 실험을 통한 면역 증진 효과 분석
(1) 선천성 면역 증진 효과 분석
복합 식물 추출물의 선천성 면역 증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과실 복합 추출물과 근경 복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Nitric oxide 생성량과 선천성 면역과 관련한 사이토카인인 IL-6, IL-2,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Nitric oxide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Mouse RAW 264.7 세포를 1Х105 cells/well의 농도로 48-well-plate에 넣은 후 LPS를 positive control로 하고 각각의 시료를 100 ㎍/mL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얻었으며, Griess reagent를 활용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IL-6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Mouse RAW 264.7 세포를 1Х105 cells /well의 농도로 48-well-plate에 넣은 후 LPS를 positive control로 하고 시료를 100 ㎍/mL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얻었으며, ELISA kit를 이용하여 IL-6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IL-12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Mouse RAW 264.7 세포를 1 Х 105 cells/well의 농도로 48-well culture plates에 넣은 후 LPS를 positive control로 하고 시료를 100 ㎍/mL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얻었으며, ELISA kit를 이용하여 IL-12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TNF-α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Mouse RAW 264.7세포를 1Х105 cells /well의 농도로 48-well-plate에 넣은 후 LPS를 positive control로 하고 시료를 100 ㎍/mL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얻었으며, ELISA kit를 이용하여 TNF-α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과실 복합 식물 추출물과 근경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 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산량 측정 결과는 도 1a 내지 도 1b에 나타난다. 식물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에는 Nitric oxide 생산량이 발현만이 소폭 증가한 반면, 3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에는 Nitric oxide 생산량이 대폭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과실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 세포에서 선천성 면역 사이토카인 생산량 측정 결과를 도 2a 내지 도 2c에, 근경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 세포에서 선천성 면역 사이토카인 생산량 측정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다. 식물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에는 특정 사이토카인의 발현만이 증가한 반면, 3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에는 모든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모두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2) 후천성 면역 증진 효과 분석
복합 식물 추출물의 선천성 면역 증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과실 복합 추출물과 근경 복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후천성 면역과 관련한 사이토카인인 IL-2, IFN-γ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IL-2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Mouse 비장세포를 2Х106 cells/well의 농도로 48-well-plate에 넣은 후 ConA를 positive control로 하고 시료를 100 ㎍/mL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얻었으며, ELISA kit를 이용하여 IL-2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IFN-γ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Mouse 비장세포를 2Х106 cells /well의 농도로 48-well-plate에 넣은 후 ConA를 positive control로 하고 시료를 100 ㎍/mL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얻었으며, ELISA kit를 이용하여 IFN-γ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과실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 세포에서 후천성 면역 사이토카인 생산량 측정 결과를 도 3a 내지 도 3b에, 근경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 세포에서 후천성 면역 사이토카인 생산량 측정 결과를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낸다. 식물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에는 특정 사이토카인의 발현만이 증가한 반면, 3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에는 모든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모두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동물 실험을 통한 면역 증진 효과 분석
(1) 시료 및 실험 동물
건조된 시료를 증류수에 용해하여 마우스에게 경구투여 하였다. 7~8주령,체중은 20~24g된 BALB/C 마우스 50마리를 멸균된 고형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공급하면서 3일 정도 실험동물실의 IVC시설에서 순화시킨 후 무작위로 10마리씩 5개 군으로 나누어 28일간 각종 시료를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환경은 온도22±2℃, 습도는 40~60%로 유지하고, 명암 주기(Light and dark cycle)는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2) 시료 투여
과실 조합(아로니아+댕댕이나무 열매+구기자)과 근경 조합(해백+당귀+만삼)을 각각 200 mg/kg(저농도), 400 mg/kg(고농도)의 조합 그룹으로 나누어 매일 경구투여하고, 대조군은 증류수 10mL/kg을 경구투여하였다. 과실 조합은 아로니아, 댕댕이나무 열매, 구기자를 각각 1:1:1로 혼합하여 처리하였고, 근경 조합도 해백, 당귀, 만삼을 각각 1:1:1로 혼합하여 처리하였다.
(3) 비장 세포 분리
마우스의 비장을 무균적으로 적출하여 살균된 PBS로 세척한 후 멸균 유리봉으로 가볍게 분쇄하여 세포를 유리시켰다. 분리된 세포현탁액을 200 mesh stainless steel sieve에 통과시킨 후, 3,000 rpm/min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Tris-buffered ammonium chloride(NH4Cl, pH 7.2)에 현탁 후 5분간 처리하여 적혈구를 제거하였다. 3.0Х106 cells/mL 농도로 96-well plate에 첨가 후 세포 증식능 측정에 이용하였다.
(4) 세포 증식 측정
96-well plate에 각 군당 양성 대조군으로서 Con A 와 LPS를 각각 첨가한 후, 각 plate를 37℃, 5% CO2 incubator에서 68시간 배양한 다음 MTT법을 이용하여 비장세포 증식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6a 및 6b에 나타낸다. 3가지 근경 복합 식물 추출물과, 3가지 과실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에서 T-세포와 B-세포를 모두 증식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5) NK cell 활성 측정
96 well culture plate에 4Х105 cells /mL가 되도록 YAC-1세포를 첨가하여 분리된 비장세포와 같이 배양하였다. 비장세포 수는 effector-to-target세포 비가 20:1이 되도록 세포 수를 조정하였다. plate를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MTT법을 이용하여 NK cell 활성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3가지 근경 복합 식물 추출물과, 3가지 과실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에서 NK 세포의 표적 세포인 YAC-1 세포의 살해 활성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6) 사이토카인 분비량 측정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복강 내 대식세포를 추출하여 배양시킨 다음 배양 상층액으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IL-6, IL-12, TNF-α, IL-2, IFN-γ) 분비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비부착성 세포를 제거하고 부착성 세포만을 얻은 후, 10%-FBS RPMI 1640에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미토젠을 가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분리하여 배양액에 축적된 사이토카인의 양을 ELISA 사이토카인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선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 측정 결과를 도 8a 내지 8c에, 후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 측정 결과를 도 9a 내지 9b에 각각 나타낸다. 3가지 근경 복합 식물 추출물과, 3가지 과실 복합 식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비장에서 선천성 사이토카인은 물론이고, 후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토대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점은, 첨부하는 청구범위에서 분명하다.

Claims (10)

  1. 아로니아(Aronia) 추출물,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열매 추출물 및 구기자(Lycium Chinese Miller) 추출물이 배합된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은 선천성 면역 활성 및 후천성 면역 활성을 모두 증진시키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은 T-세포 증식, B-세포 증식 및 NK 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에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은 0.01 내지 1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식물 추출물 중에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상기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 및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각각 20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된 면역 증진용 조성물.
  8. 삭제
  9. 제 1항 및 제 4항 내지 제 7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약품.
  10. 제 1항 및 제 4항 내지 제 7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기능성 식품.
KR1020190003277A 2019-01-10 2019-01-10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 KR10215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77A KR102159976B1 (ko) 2019-01-10 2019-01-10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277A KR102159976B1 (ko) 2019-01-10 2019-01-10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14A KR20200086914A (ko) 2020-07-20
KR102159976B1 true KR102159976B1 (ko) 2020-09-25

Family

ID=7183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277A KR102159976B1 (ko) 2019-01-10 2019-01-10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9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0473A1 (en) 2003-04-29 2006-05-25 Li Min Pharmaceutical Factory Of Livz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radix codonopsis pilosulae and radix astragali and hedysari, method of producing it and use thereof
KR100877669B1 (ko) * 2007-07-06 2009-01-08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3385B1 (ko) * 2016-05-11 2016-07-27 박명옥 아로니아 한방환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환
JP2017088549A (ja) 2015-11-11 2017-05-25 株式会社ダイセル 持久力向上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899A (ko) * 1993-10-04 1995-05-15 선종건 한약재 성분으로된 면역기능 증강제
KR20110033338A (ko) * 2009-09-25 2011-03-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3688B1 (ko) * 2011-07-29 2013-09-04 광주과학기술원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Th1-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0484B1 (ko) * 2012-06-27 2015-03-09 한국식품연구원 꿀풀과, 백합과 또는 비름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hTRPA1 활성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50012711A (ko) * 2013-07-26 2015-02-04 (주)바이오믹스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60074249A (ko) * 2014-12-18 2016-06-28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베리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60139632A (ko) * 2015-05-28 2016-12-07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을 가지는 달래추출물
KR20180000136A (ko) * 2016-06-22 2018-01-02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오신채를 유효성분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남성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0473A1 (en) 2003-04-29 2006-05-25 Li Min Pharmaceutical Factory Of Livz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radix codonopsis pilosulae and radix astragali and hedysari, method of producing it and use thereof
JP2011052005A (ja) * 2003-04-29 2011-03-17 Limin Pharmaceutical Factory Of Livzon Pharmaceutical Group 党参および黄耆の組成物、それら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KR100877669B1 (ko) * 2007-07-06 2009-01-08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7088549A (ja) 2015-11-11 2017-05-25 株式会社ダイセル 持久力向上剤
KR101643385B1 (ko) * 2016-05-11 2016-07-27 박명옥 아로니아 한방환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환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ffect of Lonicera caerulea var. emphyllocalyx Extracts on Murine Streptococcus pyogenes Infection by Modulating Immune System,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Article ID1797930, 12pages(2019.02.07)
IFST. 2012
J.BIOPHA. 2018
SHK.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14A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250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CN107106622B (zh) 含有爵床属植物的提取物或部位的组合物
KR102082106B1 (ko) 이리도이드 고함유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방법, 면역증진 활성물질 고함유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1484021B1 (ko) 울금포함 복합물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045031B1 (ko)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2159976B1 (ko)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80019839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 조성물
KR10189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0407A (ko) 개암나무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강화를 위한 조성물
KR20180019843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046878B1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89344B1 (ko) 패각 용해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오크라, 여주 및 노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0220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인삼열매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7657A (ko) 비파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90053145A (ko) 방사무늬김의 펩신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150089188A (ko) 능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200022580A (ko)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흡착 또는 제거용 조성물
KR102366763B1 (ko) 호흡기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24173B1 (ko) 산양삼 및 산돌배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308618B1 (ko)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190086961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38177B1 (ko) 효소처리 후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9507A (ko) 토사자 추출물 및 골담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