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793B1 -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 Google Patents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793B1
KR102159793B1 KR1020197011195A KR20197011195A KR102159793B1 KR 102159793 B1 KR102159793 B1 KR 102159793B1 KR 1020197011195 A KR1020197011195 A KR 1020197011195A KR 20197011195 A KR20197011195 A KR 20197011195A KR 102159793 B1 KR102159793 B1 KR 10215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heet
slab
mixtur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127A (ko
Inventor
루카 톤셀리
Original Assignee
루카 톤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7086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597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루카 톤셀리 filed Critical 루카 톤셀리
Publication of KR2019004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67Using separating agents during or after moulding; Applying separating agents on preforms or articles, e.g. to prevent sticking to each other
    • B29C37/0075Using separating agents during or after moulding; Applying separating agents on preforms or articles, e.g. to prevent sticking to each other using releas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6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 B28B7/364Linings or coatings, e.g. removable, absorbent linings, permanent anti-stick coatings; Linings becoming a non-permanent layer of the moulded article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4Tre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8Release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2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 Fertilize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응집체의 혼합물로부터 슬래브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몰드(10)의 준비를 위한 방법은,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몰드에 도입되는 혼합물과의 후속 접촉을 위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PVA계 플라스틱 재료의 시트(15)를 몰드 표면 상에 적층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용액 내의 PVA를 포함하는 유동제의 층(14)이 시트(15)와 몰드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슬래브의 생성을 위한 방법 및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플랜트가 또한 설명된다.

Description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METHOD, PLANT AND MOLDS FOR FORMING SLABS OF AGGLOMERATE}
본 발명은 몰드를 준비하고, 응집체, 예를 들어 경화 수지로 결합된 석재 재료 입자 또는 분말의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준비된 몰드 및 슬래브의 생성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응집체의 슬래브의 생성에 있어서,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몰드로 주입되고 경화된 후,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진공 진동압축(vibrocompression) 이후, 몰드를 이와 같이 형성되는 슬래브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몰드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의 가요성 시스(sheath)의 형태로 제조되며, 일반적으로 에지를 갖는 트레이의 형태로 고무화된 직물의 바닥 시트 및 고무화된 직물의 최상부 폐쇄 시트로 통상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몰드는 응집체 혼합물로 채워지면, 그 다음, 슬래브를 성형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적절한 진공 진동압축력을 수용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화된 시트가 몰드, 특히 바닥 고무 시트 및 엘라스토머 몰드의 최상부 고무 시트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임의의 연관된 용매를 갖는 수지 바인더에 의한 공격으로부터 고무 시트를 보호하기 위한 시도로 다수의 솔루션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IT1311857에서는 혼합물을 트레이에 주입하기 전에 PVA(폴리비닐 알콜)에 기초한 용액에 의해 본질적으로 형성된 유체 분리/보호제를 고무화된 시트의 표면 상에 미리 분무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분리제가 건조된 후, 고무화된 시트의 표면에 적당히 부착되는 얇은 고체 및 탄성 필름이 이에 따라 형성된다. 고무화된 시트에 대한 PVA 필름의 부착은 약화되더라도, 진동압축 단계 동안 필름 상에 및 그에 따라 슬래브의 표면 상의 기복 또는 주름의 형성을 방지한다. 이러한 필름은 수지 및 스티렌과 같은 용매로부터 몰드의 시트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고, 또한 고온 촉매 공정의 끝에서 경화된 슬래브로부터 시트의 분리를 허용한다.
이것은, 혼합물이 주입되는 바닥의 고무화된 시트 및 혼합물을 커버하는 최상부의 고무화된 시트 둘 모두에서 발생한다.
그 대신 PVA 필름이 경화된 슬래브에 견고히 부착되고 슬래브와 함께 몰드로부터 추출된다. 슬래브를 습식 연마하고 사이징하기 위한 후속 공정 동안, 필름은 공정수(process water)에 의해 용해되고 습식 공정 슬러지와 함께 배출된다.
PVA 필름은 필요하다면 물에 용해되는 대신 슬래브로부터 기계적으로 박리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은 효과적이지만 보호/분리제가 일반적으로 분무 수단에 의해 도포되고 그 다음 건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체라는 사실과 연관된 다수의 단점을 갖는다.
충분히 콤팩트한 층을 획득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비교적 높은 양의 유체, 예를 들어 약 200 g/m²가 도포되어 건조 후 약 30 내지 40 g/m²의 필름을 획득한다.
그러나, 에이전트가 전체 몰드 위에 균일하게 분무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기포 또는 보이드(void)가 형성될 수 있는 실제 위험이 있고, 이는 건조 이후, 용매가 통과하여 결국 엘라스토머 몰드를 손상시킬 수 있는 위험을 갖는 필름 내의 구멍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충분한 유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예를 들어, 약 50℃)에서 유동제(fluid agent)를 분무하는 것이 또한 제안되었지만, 그 안에 존재하는 물이 도포 동안 과도하게 증발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층의 정확한 도포를 위해 요구되는 유체 특성의 손실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노즐을 정기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며, 이러한 동작은, 층의 균일한 분무를 보장하기 위해 용액의 끈적한 성질의 관점에서 결코 간단하지 않은 작업이다.
또한, 분무에 필요한 많은 양의 용액은 용액 내의 상당량의 물을 모두 제거하고 그와 동시에 분무되는 층의 두께를 충분히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건조 동안 시간 및 주의를 요구한다.
마지막으로, 분무 이후, PVA 용액의 건조는 혼합물을 몰드에 주입할 수 있기 전에 충분히 신속한 건조를 획득하기 위해 적절한 건조 오븐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븐 건조는 비등 및/또는 기포 및 피팅(pitting)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깊게 수행되어야 하는 섬세한 공정이다.
또한, 오븐의 존재는 플랜트의 전체 치수 및 비용에서의 증가 및 공정 동안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의 양에서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한다. 오븐은 건조 공정을 가속화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건조는 소정량의 시간을 요구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솔루션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혼합물에 주입하기 전에 바닥 몰드의 바닥 및 벽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적절한 재료의 고체 시트를 사용하여 몰드를 보호하는 것을 착안한다.
시트는 몰드의 슬래브로부터의 분리를 보호 및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몰드에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특성을 갖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는, 유기 증기, 특히 스티렌에 불침투성이고, 액체 수지에 불침투성이고, 수지의 촉매 온도에 저항성이고, 슬래브 생성 공정 동안 전개되는 용매 및 화학 증기에 대해 고온에서 저항성이어야 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재료(폴리프로필렌 또는 PET 또는 PVA)의 시트가 고안되었고; 이는 필요한 경우 약 40 내지 250g/m²의 전체 그램 중량을 갖는 종이 시트와 조합된다.
혼합물의 층이 경화된 후, 이에 따라 획득된 경화된 슬래브는 그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시트와 함께 몰드로부터 추출된다. 그 다음, 시트는 슬래브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PVA로 제조되면 시트는 실온에서 단순히 물에 용해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고체 형태로 없애고 제거되어야 하는데, 즉, 슬래브로부터 기계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US2004/169303은 수용성 플라스틱 재료의 시트의 사용의 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절차는 또한 효과적이지만, 보호 시트가 고무화된 시트 상에 단순히 안착하고 그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몰드 내부의 혼합물의 진동압축 동안 혼합물의 층으로 침투하는 기복 또는 주름 또는 폴드(fold)를 형성하여 경화된 슬래브 내에 남아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슬래브의 사이징 및 연마 동안, 슬래브에 침투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임의의 흔적을 기계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혼합물에 침투한 종이 및/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인해, 일부 경우들에서, 또한 매우 클 수 있는 재료의 과도한 두께가 제거되어야 하는 것은 명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에 용해되는 PVA의 경우에도, 혼합물 내에서 시트의 포획 이후 슬래브에서 생성된 결함의 소실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슬래브의 재료 층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는, 한편으로는 제거될 적절한 여분의 두께를 획득하기 위해 더 두꺼운 슬래브의 생성을 요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더 큰 가공 깊이를 허용하는 후속 사이징을 요구하여, 슬래브에 포획된 종이 및/또는 PVA 또는 폴리프로필렌은 결과적인 결함을 피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가 채택되지 않으면, 저품질 슬래브를 처리하도록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무엇보다도 종래 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만족스러운 품질의 슬래브를 신속한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는 응집체의 슬래브의 생성을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는 응집체의 혼합물로부터 슬래브의 생성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법은, 응집체의 혼합물로부터 슬래브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몰드에 도입될 혼합물과의 후속 접촉을 위한 표면을 슬래브와 함께 형성하기 위해 PVA계 플라스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를 몰드의 표면 위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용액 내의 PVA를 포함하는 유동제(fluid agent)의 층은 시트와 몰드 표면들의 적어도 일부 영역들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디어는 또한 응집체의 슬래브의 생성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법은, 전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응집체의 혼합물을 몰드에 도입시키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진공 진동압축에 의해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 슬래브를 압밀하기 위해 몰드에 포함된 혼합물의 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시트와 함께 경화된 슬래브를 몰드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시트를 슬래브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거는 유리하게는 단순한 용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인 아이디어는 선행 청구항들의 방법에 따른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플랜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순차적으로, 몰드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들 상에 유동제의 층의 도포를 위한 제1 스테이션 및 층 상에 PVA계 플라스틱 재료의 시트의 적층을 위한 제2 스테이션, 및 콘베이어를 포함하며, 콘베이어는 제1 스테이션과 제2 스테이션 사이에서 이동하고, 유동제의 층의 도포 및 시트의 적층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된 몰드 위에 2개의 스테이션의 변위를 위해 몰드를 제1 및 제2 스테이션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인 아이디어는 응집체의 혼합물로부터 슬래브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베이스부, 및 시트와 PVA-포함 접착제의 층이 존재하는 몰드의 상기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들 사이에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몰드에 도입되는 혼합물과의 후속 접촉을 위해 의도되는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PVA계 플라스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커버되는 표면을 몰드 내에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몰드는 또한 진공에 의해 시트를 몰드 표면에 대해 평탄화 또는 신장시키기 위한 외부 흡입 수단에, 몰드 및 시트의 표면들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도록 의도되는 흡입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혁신적인 원리 및 그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이러한 원리를 적용한 실시예의 가능한 예가 첨부된 도면의 보조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준비된 몰드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의 개략적은 측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랜트의 스테이션의 더 큰 스케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라인 IV-IV를 따른 부분적이고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플랜트의 다른 스테이션의 동작 단계를 예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플랜트의 스테이션의 동작 단계들을 예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의 동작적 변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의 추가적인 공정 스테이션의 개략적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스테이션의 개략적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부사항의 더 큰 스케일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상이한 동작 위치에서 도 11에 도시된 스테이션의 세부사항의 확대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부분적이고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몰드(10)는 가요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타입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 고무로 제조된 몰드이고 바닥부(11) 및 최상부(12)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인 재료로 구성된 천 또는 직물 보강 층(도시되지 않음)이 또한 몰드를 형성하는 재료의 외부 또는 내부 표면 상에 또는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바닥부(11)는 바람직하게는 트레이의 형태로, 즉 상승된 주변 에지(13)와 함께 실현되고,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공지된 혼합물을 몰드 내부의 다이 캐비티에서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혼합물은 공지된 응집체 혼합물, 예를 들어 경화된 수지로 결합된 석재 입자 또는 분말의 응집체일 수 있다. 여기서, 용어 "다이 캐비티"는, 혼합물을 수용하고 따라서 상기 몰드의 내부 표면에 의해 몰드의 주변 에지 내에 한정되는 몰드의 캐비티를 언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최상부(12)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바닥부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를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몰드는 진공 진동압축에 의해 슬래브를 형성하는 공지된 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타입일 수 있는데, 즉, 혼합물이 주입되고 최상부에서 몰드가 폐쇄되면, 혼합물은, 진동 이동의 동시 적용과 함께 진공 압축 액션을 겪는 압축 스테이션으로 운반된다. 그 다음, 압축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열 적용에 의해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스테이션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타입의 몰드는 통상적으로 기계적 용어 "시스"로 표시된다.
혼합물을 몰드 내부에 분배하기 전에, 몰드는, 경화된 슬래브의 후속 추출을 용이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혼합물과 접촉하게 될 몰드 표면을 보호하도록 준비된다.
준비는 PVA계 플라스틱 재료의 시트(15)를 몰드(10)의 표면 위에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며, 표면은 바닥부(11) 또는 최상부(12)이고,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용액에 PVA(폴리비닐 알콜)를 포함하는 유동제의 층(14)은 시트(15)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몰드의 표면 사이에 개재된다.
시트(15)는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몰드에 도입되는 혼합물과의 후속 접촉을 위한 표면을 형성한다.
층(14)으로 사용되는 PVA 용액은 유리하게는 수용액에서 PV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의 첨가를 착안할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은 예를 들어 (중량 백분율을 참조하여) 약 1 % 내지 약 25 %의 PVA, 약 62 % 내지 약 95 %의 물 및 약 1 % 내지 약 10 %의 글리세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지된 소포제, 레벨링 및 침강 첨가제와 같은 첨가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조성물들이 테스트되었다(중량 백분율로 표현된 값들):
Figure 112019039926823-pat00001
조성물 1이 바람직한 조성물이지만,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조성물 2 내지 7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유동제의 층이 몰드의 표면에 대해 상기 유동제로 침지된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applicator element)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 몰드 표면 상에 도포되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도포 및 유체의 얇은 균일한 두께의 결과적 형성을 보장한다. 도포는 예를 들어 롤링(rolling) 또는 스폰지(spong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포되는 유동제의 평균 양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g/m2, 및 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g/m2일 수 있다.
이는, 작은 두께(바람직하게는 10 μm 미만)를 가져야 하는 과도한 양의 유동제를 사용함이 없이 커버리지의 충분한 균일성을 보장하여, 몰드의 표면에 고체 PVA 필름의 적절한 부착을 보장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필름의 가용화 및 손상의 위험을 회피한다.
그러나, 매우 작은 두께의 관점에서 수행하기 어렵더라도 분무에 의한 도포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PVA계 시트는 예를 들어 30 내지 50 μm, 바람직하게는 약 35 ㎛의 두께를 갖는 고체 필름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는 유리하게는 20 g/m2 내지 60 g/m2, 바람직하게는 30 g/m2 내지 50 g/m2의 그램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시트의 도포 이후, 시트와 하부 몰드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보이드 또는 기포를 감소 또는 바람직하게는 제거하기 위해 몰드 표면에 대해 시트의 평탄화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평탄화는 특히 후속 진공 진동압축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유리한데, 이는 시트 아래에 존재하는 임의의 기포가 진공 공정 동안 팽창하여 시트로부터 필름의 분리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이다. 유리하게는, 평탄화는 시트 상에 직접적인 기계적 액션에 의해 또는 시트와 몰드 사이의 공기의 흡입을 수반하는 공압 액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경우에서, 평탄화는 유리하게는 롤링 또는 브러싱에 의해, 즉, 예를 들어, 적절한 압력으로 시트 위에 전달되는 소프트 롤러 또는 브러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몰드 커버와 같은 얕은 몰드 부분의 경우 유리하다.
예를 들어, 혼합물을 수용하는 몰드의 트레이 또는 베이스와 같은 더 깊은 몰드 부분에 대해 바람직한 제2의 경우, 시트는 이의 확장가능한 성질로 인해 몰드와 시트 사이의 공기의 흡입에 의해 몰드 표면에 대해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에서 명백해질 바와 같이 주변 에지를 따라 몰드에 미리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몰드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시트 사이의 접착제 유체 층은 몰드 표면에 시트(15)의 적절한 적당한 접착을 보장한다. 이러한 부착은 시트를 제위치에 유지하고 후속 공정 단계 동안 시트에서 폴드 또는 주름의 형성을 방지하는데 유용하지만, 이와 동시에, 아래에서 명백해질 바와 같이 슬래브의 형성 이후 몰드로부터 시트의 연속적인 자발적 분리를 방지하지 않는다.
실제로, 매우 소량의 수성 유동제는 접착제를 형성하고 고체 PVA 필름 표면의 부분적으로 제한된 용해를 초래하여, 고무화된 몰드의 하부 표면에 필요한 부착을 허용한다. 접착제에 존재하는 소량의 물은 필름 구조 내에 통합된다.
유동제의 양은 임의의 경우 PVA 필름의 완전한 용해를 회피할만큼 충분히 작다.
따라서, 유체 층은 PVA계 시트의 구조 내에 통합되고, 따라서 후자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몰드에 대한 바람직한 부착을 보장할 뿐이다.
또한, PVA 용액으로 구성된 유동 접착제의 사용은 "패치 구역(patchy zones)", 즉, 유체에 의해 적절히 커버되지 않은 구역을 남길 위험 없이 도포가 매우 소량으로 수행되도록 허용함을 주목해야 한다.
접착제의 층은 시트가 몰드에 충분히 부착되는 것을 보장하지만,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몰드로부터 슬래브의 후속적인 용이한 제거를 보장한다.
유리하게는, PVA 용액 및 PVA계 시트를 사용하는 것은, 이들이 후속적으로 물에 의한 세척(또한 통상적인 기계적 슬래브 습식-연마 및 마감 동작들 동안)에 의해 또는 기계적 박리에 의해 간단히 슬래브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 대신,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착안되는 바와 같이, 몰드에 대한 시트의 접착 때문에, 깊은 기계적 제거 동작에 대한 어떠한 필요성도 없어서, 슬래브 형성 혼합물에 통합될 수 있는 주름 또는 폴드의 형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 2는 전술한 방법을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준비를 위한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아래의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몰드의 바닥부 또는 트레이의 준비가 참조될 것이지만, 당업자에게 명백할 바와 같이, 몰드의 최상부 또는 커버의 유사한 준비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에 비해 뒤집힌 위치에서 이러한 최상부를 플랜트에 삽입하기 위해 동일한 플랜트가 사용될 수 있다. 편의성을 위해, 바닥부와 최상부 사이를 구별함이 없이 아래에서 임의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몰드에 대해 참조될 것이다.
분명하게, 몰드의 최상부 및 바닥부의 준비를 위해 순차적으로 동일한 플랜트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2개의 플랜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즉, 하나는 최상부의 준비에 의도되고, 다른 하나는 몰드의 바닥부의 준비에 의도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플랜트(일반적으로 20으로 표시됨)는 몰드의 미리 결정된 구역에 유동제의 층을 도포하기 위한 제1 스테이션(21) 및 PVA계 플라스틱 재료의 시트를 적층하기 위한 제2 스테이션(22)을 포함한다.
2개의 스테이션들 사이에 콘베이어(바람직하게는 벨트 타입)(23)가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콘베이어는 제1 스테이션과 제2 스테이션 사이 및 아래에서 이어지고, 몰드를 순차적으로 2개의 스테이션에 운반하도록 의도되며; 대안적으로 고정되어 유지되는 몰드 위에서 2개의 스테이션이 변위될 수 있다. 즉, 스테이션은 또한 이동성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몰드를 스테이션 아래에 배치하는 대신에 몰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 디바이스가 시트 도포 구역의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액세서리 엘리먼트에 의해, 제2 스테이션(22)이 몰드의 전달 시에 몰드(10)의 표면에 대해 시트(15)의 기계적 평탄화를 수행하는 평탄화 디바이스(24)를 포함하거나 그에 후속하는 것이 유리하게 착안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21)은 콘베이어(23)에 의해 운반되고 위로 지향되어 처리될 표면을 갖는, 그 아래를 통과하는 몰드의 미리 결정된 표면 상의 유동제 층을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의도된다. 유동제의 도포는 시트가 후속 공정 동작을 위해 몰드에 적절히 고정되도록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제1 스테이션(23)은 유체 방출 구역(26)에서 그 아래를 통과하는 몰드의 표면 상에의 접촉에 의해 유동제를 이송하기 위해 유동제로 침지되거나 코팅된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applicator element, 2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가 유체로 침지되거나 코팅된 유체 저장소(예를 들어, 유체 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공급된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구역(28)과 유체 방출 구역(26) 사이에 이어지는 벨트(27)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동 움직임은 유리하게는 스테이션 아래의 몰드의 이동 방향으로 발생한다.
벨트는 소정량의 유체를 흡수 및/또는 수집하여 이를 방출 구역(26)으로 운반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제조되며, 여기서 유체는 몰드 표면의 원하는 영역 상으로 이송될 수 있다.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벨트(27)는 몰드의 이동을 가로지르는 2개의 롤러(29, 30) 둘레에 권취된다. 제1 롤러(29)는 벨트가 그 주위에 권취되어, 유체가 코팅될 몰드 표면의 원하는 부분과 접촉하게 되는 유체 방출 구역(26)에 위치되도록 바닥에 위치된다.
제2 롤러(30)는 그 대신 최상부 위치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벨트가 유체 저장소로부터 유체를 제거하도록 설계된 상향 지향 측으로 콘베이어(23)의 전진 이동 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2개의 롤러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갖도록 위치된다. 이동 벨트(27)가 방출 구역에 도달하기 전에, 몰드에 도포될 유제를 벨트 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은 유리하게는 기울어진 섹션을 따라 존재한다. 이러한 수단은 당업자가 쉽게 상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벨트의 상향 지향 측과 접촉하여 배치된 제1의 2개의 롤러에 평행한 제3 롤러(31)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3개의 롤러 및 벨트는 분명히 콘베이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처리될 몰드 표면의 전체 폭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의 주입을 위한 제거 구역(28)은 벨트와 제3 롤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는 벨트와 제3 롤러 사이에 누적되고 방출 구역(26)을 향해 벨트에 의해 소량으로 전달된다.
제3 롤러(31)는 벨트 상에 유체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벨트(27)에 대해 역회전하도록 배열된다.
벨트는 기본적으로 유체를 제거하고 이를 방출 구역(26)에서 벨트와 접촉하는 몰드의 표면 상에 분배하는 스탬핑 머신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유체의 분배는 본질적으로 롤링 또는 스폰징(sponging)에 의해 발생한다.
유체 도포 디바이스에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상승된 몰드 부분들(예를 들어, 테두리(13))의 통과를 허용하고, 코팅되지 않아야 할 부분을 유체로 오염시키지 않도록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의 수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공압 피스톤(32)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몰드가 스테이션 아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콘베이어를 오염시키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디바이스가 상승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존재하는 경우 제2 스테이션(22) 및 평탄화 디바이스(24)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제2 스테이션(22)은 미리 정확한 길이로 준비된 단일 시트를 방출할 수 있는 방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이션(22)이, 방출 디바이스 아래에서 몰드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축을 갖는 릴(33)로부터 풀리고 그 다음 크기에 맞게 커팅되는 필름(15b로 표시됨)의 연속적 스트립의 형태로 시트(15)를 방출하는 공급기 디바이스(16)를 포함하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필름의 풀림은, 플라스틱 필름이 방금 도포된 접착제 유체로 인해 몰드의 표면에 부착하기 때문에 자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필름의 느린 공급으로 인해, 과도하게 빠른 공급, 또는 찢김 또는 마모로 인한 주름 없이 필름의 정확한 도포를 보장한다.
특히, 플라스틱 필름 공급기 디바이스의 가능한 구조에 따르면, 릴(33)로부터 풀린 플라스틱 필름(15b)은 필름이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전달 롤러(34)로부터 및 그 다음 필름이 접촉하는 몰드의 표면 위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확장하는 기능을 갖는 최종 롤러(35)로부터 이어진다.
적어도 최종 롤러(35)는 아래에서 더 완전히 설명될 바와 같이, 각각 커버될 표면에 대해 적절한 힘으로 필름을 가압하고 그리고/또는 트레이의 주변 테두리가 아래를 통과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하부 콘베이어(23)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수직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도 4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공압 피스톤(36, 37)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플라스틱 필름의 릴(33) 위에, 바람직하게는 부드럽고 브러시형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추가적인 롤러(38)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롤러는 릴(33)의 주변에 대해 탄성적으로 밀리고, 몰드 내의 시트와 적층 표면 사이의 기포의 후속 포획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몰드 상에 도포되기 전에 시트의 주름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플라스틱 필름을 평활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롤러(38)는 또한 릴의 제어되지 않은 풀림을 방지하여, 릴과 후속 롤러(34 및 35) 사이의 플라스틱 필름의 정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몰드 상에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필름 스트립의 크기로 커팅을 수행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커팅 디바이스(39)가 제공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풀린 필름 스트립을 가로질러 배열되고 유리하게는 롤러(35)의 하류에 위치된다.
특히, 필름의 재료를 용융시키는데 필요한 온도로 가열되고 몰드의 공급 방향을 가로질러 배열되는 와이어(40)를 커팅 디바이스(39)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모터 구동 수단(41)(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공압 피스톤)은, 명령 시에, 와이어(40)를, 플라스틱 필름과 간섭하지 않는 비동작 상승 위치와 와이어가 플라스틱 필름에 대해 배열되는 동작적, 하강된 커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는 유리하게는, 콘베이어(23)의 측면 상에 위치되고 그 위에서 모터 구동 수단(41)이 연결부 및 연결 장치(44 및 45)를 통해 작동하는 2개의 단부(42, 43) 사이에서 지지 및 인장된다. 2개의 비동작 위치와 동작 위치 사이에서 와이어의 이동은 필름이 몰드 상에 적층되면 필름 위로 하강되도록 수직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와이어는 금속성이며, 그 2개의 단부(42 및 43)에 연결된 전력 공급(도시되지 않음)으로 인해 흐르는 전류를 통해 줄 효과(Joule effect)에 의해 가열된다.
도 3에서 다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택적인 평탄화 디바이스(24)(본 발명의 제1 가능한 실시예에서 기계적 평탄화 액션을 위해 사용됨)는 바람직하게는, 콘베이어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고 콘베이어를 향해 밀려서 몰드 표면 상에 적층된 시트 상에 작용하고 몰드가 그 아래를 통과할 때 이를 몰드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회전 축을 갖는 가압 롤러(46)를 포함한다. 이러한 푸싱 액션은 예를 들어 롤러(46)의 적절한 탄성 지지, 롤러의 무게 그 자체, 롤러의 주변 표면의 항복(yielding) 설계 또는 이러한 3개의 특성의 조합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가압 롤러(46)는 예를 들어 부드럽고 압축 가능한 주변 표면 또는 브러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플랜트의 사용 동안, 처리될 몰드 부분(트레이 또는 커버)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될 측면이 상향 지향되어 콘베이어(23) 상에서 이동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플랜트와 관련된 도면은 간략화를 위해 바닥 몰드부 또는 트레이(11)를 도시한다. 몰드 내부에 혼합물을 폐쇄해야 하는 몰드의 최상부 또는 커버(12)에 유사한 처리가 적용될 수 있다.
초기에, 유동제의 층을 도포하기 위한 스테이션(21) 및 플라스틱 재료의 시트를 적층하기 위한 제2 스테이션(22) 둘 모두는 이들의 정지 위치에 있는데, 즉, 상승된 유체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25) 및 플라스틱 필름 공급 디바이스를 각각 갖는다.
몰드의 전단부(전단부 및 후단부는 플랜트를 따른 몰드의 이동에 관련하여 이해됨)가 제1 스테이션(21)에 도달하는 경우, 유체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25)는 하강되어, 유체로 처리될 몰드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능한 제1 도포 절차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1 절차에 따르면,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25)는 추후에 시트를 수용해야 하는 몰드의 전체 표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도록(필요한 경우 트레이(11)의 오직 테두리만 회피함) 하강된다. 특히, 유체는 몰드의 바닥 상에 도포된다.
몰드의 전진 이동은 도 5에서 명백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몰드의 전체 표면 위에 원하는 유체 층의 적층이 처리되도록 허용한다. 몰드의 후단부는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25)에 의해 통과될 때 상승되고 유체의 도포가 종료된다.
몰드의 전단부가 제2 스테이션(22)에 도달할 때, 플라스틱 필름(16)을 공급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플라스틱 시트의 분배를 시작하도록 동작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플랜트의 경우, 롤러(35)는, 플라스틱 필름의 전단부가 유체로 커버된 몰드의 표면을 향해 밀리도록 하강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도 6에서 명백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몰드의 전진 이동은 필름이 몰드 표면 상에 전달 및 적층되도록 허용한다. 몰드의 후단부는 롤러(35)에 의해 통과되면 상승되고 필름의 도포는 종료된다.
도 6에서 다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탄화 디바이스(24)가 존재하는 경우, 이는 플라스틱 필름이 몰드의 표면에 부착되게 하여 기포의 포획을 방지하도록 동작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의 도포가 완료되면, 롤러(35)는 상승되고 이러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 대신, 커팅 디바이스(39)는 몰드 상에 분배된 필름의 부분을 커팅하고 분리하여, 새로운 몰드의 도달 시에 발생하는 다음 분배 동작을 위한 새로운 전단부를 생성하도록 동작된다. 그 대신, 평탄화 디바이스는 자신의 액션을 계속하고 동작을 완료한다.
앞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시트에 의해 커버되어야 하는 몰드의 전체 표면 위에 유체의 도포는 얕은 몰드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절차는 유리하게는 몰드의 커버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 깊은 몰드의 경우, 시트의 순수한 기계적 도포가 항상 만족스럽지는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트 도포 구역의 하류에 배열되고 전술한 기계적 디바이스(24)를 갖는 시스템 대신에 진공 시스템에 의해 작동하는 평탄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시트의 "공압" 평탄화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진공 평탄화 액션의 경우, 시트에 의해 커버되어야 하는 몰드 표면들의 일부 구역들 상에만 유체가 도포되면 유리한 것으로 또한 판명되었다.
특히,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중앙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몰드의 주변 구역들에만 유체를 도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러한 변형은 도 8에 예시의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에 따르면, 몰드의 전단부가 제1 스테이션(21)에 도달하는 경우, 유체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25)는 하강되어 몰드의 주변 에지 또는 테두리에만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작동 스테이션에서, PVA계 접착제는 앞서 이미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그러나 몰드의 최상부 주변 에지(예를 들어, 트레이) 상에만 분배된다.
도 9에서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다음, 이렇게 처리된 몰드는 시트 도포 스테이션(22)으로 이동되어, 시트는 접착제 유체로 처리된 몰드의 주변 테두리에 부착되도록 몰드 상에 신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는 수평으로 유지되고 몰드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되며, PVA계 접착제 및 그 가벼움으로 인해, 몰드 다이 캐비티 위에서 (드럼의 피부처럼) 완전히 제위치에 유지된다.
스테이션(22)에서, 선택적 평탄화 디바이스(24)는 사용되지 않는다(따라서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 공기 흡입이 후속적으로 사용되면, 이는 유리하게는 몰드의 주변 에지에 의해 정의되는 몰드 내부에 돌출하도록 몰드에 배열되는 흡입 덕트를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흡입 수단은 평탄화 디바이스(24) 대신에 제공될 것이다.
특히, 도포된 시트를 갖는 몰드(11)는 도 10의 상면도에서 및 도 11의 단면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혼합물 분배 및 확산 스테이션으로 지칭되는 후속 스테이션(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션에서 혼합물은 통상적으로 몰드에 주입되고, 스테이션은 통상적으로, 몰드 내에서 혼합물을 정확한 양으로 분배할 수 있는 공지된 분배 유닛(52)에 대향하여 몰드(11)를 이동시키는 운송 수단(51)(예를 들어, 공지된 벨트 콘베이어)을 포함한다. 고체 필름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몰드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스테이션(50)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상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공지된 타입일 것이다.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몰드 및 분배 유닛(52)의 종방향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몰드 내로 주입 되며, 분배 유닛은 몰드의 전체 폭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분배 유닛 및 몰드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여기에서 추가로 예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쉽게 상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스테이션(50) 내부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몰드를 따라 이동하는 유닛(52)일 것이다. 그러나,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유닛(52) 아래의 몰드의 이동 또는 몰드 및 유닛의 결합된 이동이 또한 원하는대로 사용될 수 있다.
분배는 유리하게는, 몰드 내부의 혼합물의 자유 표면을 평탄하게 하기 위해 혼합물이 확산되는 공지된 "느슨하게 하는" 액션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물의 주입 전에, 이미 앞서 설명된 단계 동안 몰드 상에 배열된 시트의 평탄화가 수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이 몰드의 최상부 주변 에지 상에 고정되었고 아직 평탄화되지 않았다면, 스테이션(50)에 진공 평탄화 또는 신장 디바이스(53)가 직접 존재하여, 혼합물의 분배 전에 및 일부 경우에서는 또한 그 동안 시트와 몰드 사이에 포획된 공기의 흡입에 의해 평탄화/신장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확산 스테이션(50)은 유리하게는, 진공 평탄화 디바이스(53)를 형성하고 스테이션에 도달하는 몰드(11)에 적절히 연결되는 흡입 수단을 포함하여 시트(15)와 몰드 표면 사이에 포획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흡입 수단은 상기 몰드에 존재하는 적절한 흡입 덕트(예를 들어, 약 6 내지 10 mm의 직경을 갖는 덕트)와 링크(연결)되도록 몰드의 주변 에지를 따라 스테이션(50)에 배열될 수 있고, 시트(15) 아래에서 몰드의 내부 캐비티를 몰드의 외부에 연결한다.
유리하게는, 스테이션(50) 내로 몰드를 가져오는 동일한 운반 이동에 의해 흡입 수단(53) 사이에 몰드가 배열될 수 있도록, 흡입 수단이 배열되는 몰드의 에지는 2개의 대향 종방향 에지일 수 있다.
몰드 내부의 통로 및 연관 흡입 수단은 유리하게는, 도 10에서 명확하게 가시적인 바와 같이, 몰드에 도포된 시트 아래에 포획된 공기를 균일하게 흡입하도록 몰드의 에지를 따른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수단은 몰드의 일측 상의 4개의 커넥터 및 대향 측 상의 4개의 커넥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유리하게는, 몰드의 바닥은 바람직하게는 몰드의 바닥과 고체 PVA 필름 사이의 공기의 더 양호한 배출을 허용하도록 매끄럽지 않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매끄러운 대신에 그 사이에 PVA 시트와 함께 혼합물이 적층되는 몰드의 고무 면은 적절한 표면 거칠기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널링된(knurled) 임프린트 등으로 바람직하게는 표면 천 또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몰드의 내부 표면의 거칠기 때문에, 공기의 통과를 위한 미세 채널이 생성되며, 이는 공기가 몰드의 테두리에 가깝게 뿐만 아니라 몰드(또는 트레이)의 중심으로 흡입되도록 허용하여, 고체 PVA 필름은 임의 퍼커링(puckering)을 초래할 위험 없이 트레이의 바닥 전체 위에 완벽하게 안착된다.
또한, 몰드의 내부 표면이 천으로 제조되면, 천은 고무보다 더 양호한 그립 특성을 갖기 때문에 PVA 필름은 트레이의 바닥에 더 양호하게 부착된다.
도 12는 몰드 내에 존재하는 전술한 흡입 덕트와 자동 제어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설계된 (도 11의 파선 원으로 표시된 구역에서의) 흡입 수단의 유리한 실시예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54로 표시된) 흡입 덕트는 바람직하게는 바닥에 가깝게 몰드의 내부 캐비티 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고, 따라서 PVA 시트가 몰드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기 시작하는 경우에도 공기의 정확한 흡입을 허용한다.
다시 도 12에서, 흡입 수단(53)이, 각각의 덕트(54)에 대해, 적절한 액추에이터(56)(예를 들어, 공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몰드 외부로 돌출하는 덕트(54)의 단부에 대해 밀리는 밀봉된 연결 단부(55)(예를 들어, 흡입 컵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다. 유리하게는, 액추에이터(56)는 덕트(54)의 외측 단부에 대해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밀봉된 연결 단부(55)를 도 12의 실선으로 도시된 수축 위치와 도 12에 파선으로 도시된 전진된 동작 위치 사이에서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연결 단부(55)는 제어된 진공 소스 또는 진공 플랜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통로(54)를 통해 몰드의 내부 캐비티 내로 공기를 흡입한다. 유리하게는, 몰드 내부로 개방되는 덕트(54)의 단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허용하지만 예를 들어 시트(50)가 덕트(54)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절한 필터(57)가 제공된다.
플랜트의 동작 동안, 몰드(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에 따라 준비됨)가 확산 스테이션(50)에 도달할 때, 흡입 수단(53)은 몰드 내에 존재하는 덕트(54)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트레이의 형태인) 몰드의 바닥과 몰드의 에지에 적용되는 고체 필름(15)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동작된다.
결과적으로, 도 12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형태를 가정하기 위해, 이의 확장가능한 성질로 인한 고체 필름은 테두리의 내부 표면 및 몰드의 바닥에 대해 신장되고 안착된다.
몰드의 내부 표면에 대해 고체 필름이 완벽하게 배열되기 위해 필요한 흡입 시간은 단지 수 초로 단축될 수 있다. 그러나, 더 큰 신뢰도를 위해, 혼합물을 주입하기 전에 흡입이 더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시트(15)가 몰드의 바닥에 대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전체 혼합물 분배 및 확산 동작 동안 흡입이 또한 유지될 수 있다.
일단 혼합물이 주입되면, 이전에 흡입에 의해 성형된 필름이 그 위에 분배된 혼합물의 중량에 의해 작용하기 때문에 몰드의 표면에 부착된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공기 흡입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확산 스테이션(50)은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을 포함하기 위한 주변 테두리(58)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혼합물은 프레임(59)에 의해 구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하강되고 혼합물이 주입되기 전에 그 주변 에지 근처에서 트레이의 바닥 상에 배치된다. 테두리는 예를 들어, 도 11의 상승된 위치 및 도 13의 확대도에서 몰드 내의 하강된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테두리는 또한 그와 함께 적어도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분배 유닛(5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주변 테두리의 기능은 혼합물이 트레이 내부에 분배되어 있을 때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돕고, 그 일부가 우발적으로 트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단 포함 테두리가 하강되면, 공기 흡입이 여전히 활성화되어 혼합물이 트레이 내부로 분배된다. 일단 혼합물의 분배가 완료되면, 테두리를 포함하는 주변은 다시 상승될 수 있고, 흡입 수단으로부터 분리된 몰드는 후속 슬래브 생성 단계를 위해 이송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몰드가 혼합물로 충전되면, 예를 들어, 앞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도포된 PVA 필름으로 미리 처리된 적절한 커버에 의해 최상부에서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스테이션(실질적으로 자체로 공지되고 따라서 도시되지 않음)은 커버를 픽업하고, 뒤집어서 트레이 내부에 포함된 혼합물의 최상부 상에 적층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렇게 폐쇄되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트레이는 형성 스테이션(또한 자체로 실질적으로 공지되고 따라서 도시되지 않음)으로 이송될 수 있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혼합물의 진공 진동압축의 공지된 단계가 수행된다.
몰드의 덕트(54)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필터(57)는 또한 진동압축 동안 혼합물이 통로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 PVA 필름을 찢는 것 및/또는 경화 이후 트레이로부터 슬래브의 추출을 방지할 돌출부들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생성 라인의 끝에서, 커버는 최종적으로 제거되어 경화된 슬래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및 트레이에 대한 복귀 라인이 제공될 수 있어서 세정될 수 있고, 그 다음, 고체 PVA 필름의 도포를 위해 다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몰드 준비 및 슬래브 생성 사이클이 반복된다.
슬래브는 촉매 작용 및 경화 이후, 그 대신, PVA 시트의 제거를 위해 운반될 수 있다. 시트는 상기 슬래브로부터 기계적으로(수동 또는 자동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박리될 수 있거나, 슬래브는 여전히 시트가 도포된 습식 연마 및 사이징 라인에 이송될 수 있고, 여기서 공정수는 공정 슬러지와 함께 추후에 제거되는 시트의 용해를 초래한다.
이 시점에서, 미리 정의된 객체가 어떻게 달성되었는지는 명백하다. 본 발명의 원리로 인해, 몰드의 표면이 적절히 보호되고, 생성된 슬래브는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몰드의 준비 및 사용 동안 몰드에 대한 보호 시트의 충분한 부착이 보장된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혁신적인 원리를 적용하는 실시예의 앞서 제공된 설명은 이러한 혁신적인 원리의 예로서 제공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권리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몰드의 길이 및 스테이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유체 층을 도포하고 고체 층을 적층하는 단계는, 유체 도포 스테이션이 몰드의 후방부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시트 적층 스테이션이 몰드의 전방부 상에서 이미 동작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시적으로 완전히 분리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적층 및 임의의 평탄화가 완료되면, 몰드는 준비 플랜트를 떠나고, 또한 일시적 저장 기간 이후에 필요한 경우 후속 슬래브 제조 단계를 계속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후속 단계들 동안, 바람직하게는 슬래브를 형성하는 응집체의 혼합물은 몰드에서 분배될 것이고, 몰드는 필요한 경우 최상부에서 커버로 폐쇄되며; 슬래브가 형성될 것이고; 슬래브는 경화 공정을 겪도록 허용되고; 슬래브는 시트 또는 시트들과 함께 몰드로부터 추출되고; 시트는 슬래브로부터 제거된다.
그 다음, 성형 공정은 선택적으로 진공 하에서 진동압축 및 혼합물의 후속 고온 경화에 의한 압축을 위한 공지된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의 제거는 기계적으로 및/또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습식-연마 및 사이징을 포함하는 슬래브 표면을 마감하기 위한 기계적 공정 동안) 물에 시트를 용해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후속 공정 스테이지는,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여기에 제공된 설명의 관점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상상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더 상세히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모든 연관된 이점으로 고무 트레이가 사용될 수 있고, 혼합물이 진동압축을 겪는 경우에도 보호 시트의 부분 또는 흔적이 슬래브 내에 포획되어 유지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경화된 슬래브의 사이징 및 평활화 동안, 제거될 여부의 두께의 재료는 성질상 더 작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트레이 내부에 분배될 혼합물 층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슬래브에 대해 엄격하게 요구되는 혼합물의 양이 사용될 수 있다.
슬래브의 처리에 필요한 도구의 비용 및 에너지 비용에서의 감소 뿐만 아니라 슬러지를 처리하는 양에서의 감소가 또한 존재한다.
유체 층의 더 균일한 방출 및 그 작은 두께에 걸친 더 큰 제어를 획득하기 위해, 특히 앞서 설명된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를 갖는 디바이스를 사용한 접촉에 의해 유체의 도포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유동제 층을 도포하기 위한 제1 스테이션(21)은 또한 대안적으로 구역을 통과하는 몰드의 표면을 향해 직접 유체를 분무하기 위한 유체 방출 구역에 위치된 적절한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공지된 접촉 도포 엘리먼트 및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몰드와 시트 사이에서 유체의 도포 및 시트의 도포는 또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비해 훨씬 더 짧은 시간 간격 및 훨씬 더 작은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는 시트가 부착되어야 하는 몰드 표면에 접촉하기 직전에 시트 적층 스테이션에서 직접 도포되어, 시트와 몰드 표면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반드시 미리 몰드 표면 위에 확산될 필요는 없다.
몰드 및 플랜트의 다양한 부분의 형태, 치수 및 비율은 특정 요건에 따라 여기에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플랜트는 그 관리, 동작의 동기화, 다양한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위한 몰드 부분의 통과 방향 등을 위한 공지된 액세서리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매우 넓은 몰드를 보호하기 위해, 평행하게 배열된 고체 필름의 2개 이상의 롤이 또한 사용되어, 각각의 롤의 필름이 몰드의 표면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당한 폭의 슬래브가 생성되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Claims (26)

  1. 응집체의 혼합물로부터 슬래브의 생성을 위한 방법으로서,
    응집체의 혼합물로부터 슬래브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몰드(1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몰드에 도입될 혼합물과의 후속 접촉을 위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15)를 상기 몰드의 표면 위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시트(15)와 상기 몰드 표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 사이에 용액 내의 유동제(fluid agent)의 층(14)을 개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의 층(14)의 개재로 상기 몰드(10)의 표면 위에 상기 시트(15)의 적층 이후, 상기 몰드 표면에 대해 상기 시트(15)를 평탄화 또는 신장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또는 신장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15) 상에서 기계적 액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또는 신장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15)와 상기 몰드(10) 사이에서 공기의 흡입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0)는 상기 몰드의 주변 에지(13)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의 흡입은, 상기 주변 에지(13)에 의해 정의되는 몰드 내부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몰드의 주변 에지를 따라 존재하는 흡입 덕트(54)를 통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은 상기 몰드 내부에서 상기 혼합물의 분배 단계 전에 또는 그 동안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의 층(14)은 상기 유동제와 함께 침지(soaked) 또는 코팅된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applicator element)와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0)는,
    엘라스토머 재료 및 천 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된, 몰드 또는 가요성 시스(shea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0)는 트레이형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중첩될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시트(15)를 평탄화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와 상기 몰드 사이의 공기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고 또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시트를 평탄화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 상의 기계적 액션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내부에 이전에 적층된 플라스틱 재료(15)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를 갖는 상기 몰드(10)에, 상기 슬래브를 형성하는 상기 응집체의 혼합물을 도입시키는 단계;
    진공 진동압축에 의한 압축 단계를 갖는, 슬래브 형성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슬래브를 압밀하기 위해 상기 슬래브의 경화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시트와 함께 상기 슬래브를 상기 몰드(10)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용해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상기 시트(15)를 물에 용해하는 단계와 함께 상기 슬래브로부터 상기 시트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른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플랜트(20)로서,
    상기 플랜트는 순차적으로,
    상기 몰드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들 상에 상기 유동제의 층(14)의 도포를 위한 제1 스테이션(21); 및
    상기 층 상에 플라스틱 재료(15)의 상기 시트의 적층을 위한 제2 스테이션(22);을 포함하는 플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21)은 상기 유동제로 침지 또는 코팅된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25)를 포함하여, 상기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25)의 유체의 방출을 위해 구역(26)을 통과하는 상기 몰드 표면 상에서의 접촉에 의해 상기 유동제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엘리먼트(25)는 유체로 침지 또는 코팅되도록 상기 유체의 제거를 위한 구역(28)과 상기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상기 구역(26) 사이에서 이어지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은 릴(33)로부터 풀리는 필름(15b)의 스트립의 형태로 상기 시트를 방출하기 위한 디바이스(33, 34, 35) 및 상기 시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필름의 스트립을 횡방향으로 커팅하기 위한 디바이스(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22)은 상기 몰드 표면에 대해 상기 시트를 평활화하기 위한 평탄화 디바이스(24, 53)를 포함하거나 그에 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디바이스(24)는, 상기 몰드 상에서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회전 축을 갖고 상기 몰드의 표면에 존재하는 상기 시트 상에서 작용하도록 밀리는 가압 롤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디바이스는 상기 시트와 상기 몰드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수단(53)은 상기 몰드에서 상기 혼합물을 분배 및 확산하기 위한 스테이션(50)에 배열되고, 명령 시에 상기 몰드에 존재하는 상기 흡입 덕트(54)로 연결/분리되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22. 응집체의 혼합물로부터 슬래브를 형성하도록 의도된 몰드(10)로서,
    베이스부(11), 및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몰드에 도입되는 혼합물과의 후속 접촉을 위해 의도되는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15)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로 커버되도록 설계된 상기 몰드의 내부 표면을 갖는 커버(12)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10)는 진공에 의해 상기 시트를 몰드 표면에 대해 평탄화 또는 신장시키기 위한 외부 흡입 수단에, 상기 몰드 표면과 상기 시트 사이에 정의/포함되는 공간을 연결하도록 의도되는 흡입 덕트(54)를 더 포함하는 몰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 (54)는 바닥에 가깝게 상기 몰드의 내부 캐비티 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는 몰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이 적층되는 상기 몰드의 고무 면은,
    널링된(knurled) 임프린트를 갖는 표면 천 또는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몰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덕트(54)는 상기 몰드로 유도되는 상기 덕트의 일 단부에 배열되는 필터(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내부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널링된(knurled) 표면을 갖는 천 또는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KR1020197011195A 2016-07-20 2017-07-14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KR102159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76298A IT201600076298A1 (it) 2016-07-20 2016-07-20 Metodo, impianto e stampi per la formatura di lastre di agglomerato
IT102016000076298 2016-07-20
PCT/IB2017/054265 WO2018015854A1 (en) 2016-07-20 2017-07-14 Method, plant and molds for forming slabs of agglomerat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203A Division KR102040583B1 (ko) 2016-07-20 2017-07-14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079A Division KR102216955B1 (ko) 2016-07-20 2017-07-14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127A KR20190044127A (ko) 2019-04-29
KR102159793B1 true KR102159793B1 (ko) 2020-09-28

Family

ID=577086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079A KR102216955B1 (ko) 2016-07-20 2017-07-14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KR1020197002203A KR102040583B1 (ko) 2016-07-20 2017-07-14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KR1020197011195A KR102159793B1 (ko) 2016-07-20 2017-07-14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079A KR102216955B1 (ko) 2016-07-20 2017-07-14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KR1020197002203A KR102040583B1 (ko) 2016-07-20 2017-07-14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843377B2 (ko)
EP (1) EP3487674B1 (ko)
KR (3) KR102216955B1 (ko)
CA (1) CA3031306C (ko)
ES (1) ES2798426T3 (ko)
IL (1) IL264085B (ko)
IT (1) IT201600076298A1 (ko)
PT (1) PT3487674T (ko)
WO (1) WO2018015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76298A1 (it) * 2016-07-20 2018-01-20 Luca Toncelli Metodo, impianto e stampi per la formatura di lastre di agglomerat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2242B2 (ja) * 1995-12-25 2006-05-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モールド成形品の製造方法
JP4676607B2 (ja) * 2000-12-18 2011-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
KR102040583B1 (ko) * 2016-07-20 2019-11-05 루카 톤셀리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863A (en) * 1959-12-04 1964-03-10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US3492384A (en) * 1964-07-10 1970-01-27 4D Research & Dev Co Ltd Method of moulding materials
DE2633900C3 (de) 1976-07-28 1979-10-04 Feldmuehle Ag, 4000 Duesseldorf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tonfertigteilen
US4836762A (en) * 1985-12-31 1989-06-06 Davis Jr Lindsey B Apparatus for molding concrete blocks or bricks
US4702877A (en) 1985-12-31 1987-10-27 Davis Jr Lindsey B Method for molding concrete blocks or bricks
IT1192004B (it) 1986-06-18 1988-03-31 Fonderie Officine Meccaniche B Sistema di fissaggio di membrana elastomerica allo stampo superiore per prodotti ceramici
JPH082550B2 (ja) 1987-03-27 1996-01-17 エイベリ インタナショナル コーポレイション 乾燥ペイントトランスファー生成物及び方法
GB2233640A (en) * 1989-01-11 1991-01-16 Frank Brendan Devlin Mineral composition
US5271882A (en) * 1990-11-09 1993-12-21 Tokai Kogyo Kabushiki Kaisha Blow molding process with sheet interposed between mold and product being molded
JP2546940Y2 (ja) 1991-07-10 1997-09-0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
CA2047787A1 (en) * 1991-07-24 1993-01-25 Z. Grant Kafarowski Decorative concrete slab
KR0169784B1 (ko) * 1994-04-25 1999-03-20 기타지마 요시토시 사출성형시 그의 제품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의 장치
DE19515192C2 (de) * 1994-04-25 1997-08-21 Dainippon Printing Co Ltd Verfahren zum Ausbilden eines Musters auf einem Artikel während dessen Spritzguß und Vorrichtung zu diesem Zweck
US5728333A (en) * 1995-12-25 1998-03-17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nd then removing a molded article of rigid polyurethane foam from a mold
GB9619139D0 (en) * 1996-09-13 1996-10-23 Unilever Plc Process for stamping detergent bars
IT1285535B1 (it) * 1996-10-22 1998-06-08 Tecnos Spa Sistema per applicare un foglio di materiale alla superficie di uno stampo
JP3044028B1 (ja) 1999-01-07 2000-05-22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基体表面にブリックを有する建材の製造方法及び表面ブリック付きのブロック
IT1311857B1 (it) * 1999-09-03 2002-03-19 Luca Toncelli Agente distaccante utilizzabile nella fabbricazione di manufatti inlastre costituite da un granulato o sabbie di materiale lapideo legate
ITRM20010390A1 (it) * 2001-07-04 2003-01-07 Franco Brutti Perfezionato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lastre in conglomeratodi marmo.
US20040207121A1 (en) * 2003-04-18 2004-10-21 Schiller Paul R.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stress-free thermosetting resin products in one mold
ITTV20040151A1 (it) * 2004-12-15 2005-03-15 Dario Toncelli Stampo a base di gomma usato nella produzione di lastre di conglomerato di materiale lapideo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ITTV20050155A1 (it) 2005-10-14 2007-04-15 Dario Toncelli Impianto per la fabbricazione di lastre di conglomerati in materiale lapideo.
ITMI20050428U1 (it) * 2005-12-06 2007-06-07 Persico Spa Stampo per materia plastica con film di rivestimento
DE102006050754A1 (de) * 2006-10-27 2008-04-30 Metten Stein + Design Gmbh & Co. Kg Verfahren zur Formgestaltung von Betonsteinen und/oder Betonplatten
JP5495287B2 (ja) * 2009-04-15 2014-05-2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JP5286152B2 (ja) * 2009-04-27 2013-09-11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樹脂モールド方法及び樹脂モールド装置
KR101306296B1 (ko) 2011-04-26 2013-09-09 덕양산업 주식회사 올레핀계 스프레이형 접착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부품 진공 성형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부품
JP2014205328A (ja) * 2013-04-16 2014-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装置および射出成形方法
IT201600076304A1 (it) * 2016-07-20 2018-01-20 Luca Toncelli Impianto e metodo per la formatura di lastre da un impasto di conglomerat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2242B2 (ja) * 1995-12-25 2006-05-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モールド成形品の製造方法
JP4676607B2 (ja) * 2000-12-18 2011-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
KR102040583B1 (ko) * 2016-07-20 2019-11-05 루카 톤셀리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487674T (pt) 2020-07-13
ES2798426T3 (es) 2020-12-11
KR102040583B1 (ko) 2019-11-05
WO2018015854A1 (en) 2018-01-25
KR20190032383A (ko) 2019-03-27
CA3031306A1 (en) 2018-01-25
IL264085B (en) 2022-03-01
EP3487674A1 (en) 2019-05-29
IL264085A (en) 2019-01-31
KR20200111825A (ko) 2020-09-29
KR102216955B1 (ko) 2021-02-22
US20190217499A1 (en) 2019-07-18
US10843377B2 (en) 2020-11-24
US20210031405A1 (en) 2021-02-04
KR20190044127A (ko) 2019-04-29
EP3487674B1 (en) 2020-04-01
CA3031306C (en) 2020-06-02
IT201600076298A1 (it) 2018-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579B1 (ko) 응집체의 혼합물로부터 슬래브를 생성하기 위한 플랜트 및 방법
CA219611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slabs of granulated stone materials and/or sands bound with a hardenable resin
KR102159793B1 (ko) 응집체의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플랜트 및 몰드
KR100861346B1 (ko) 피혁원단의 습식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EP36304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olidating a slab of natural or artificial stone material
US20080014063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material strand
JP2668273B2 (ja) 研磨装置および研磨方法
JP3243199B2 (ja) Vベルト用環状金型の組立装置とその方法
EP29522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moisture film
KR101265657B1 (ko) 홀로그램 인쇄 장치
KR101433013B1 (ko) 인조대리석 연속 성형장치
KR20150146174A (ko) 수분 필름의 연속 제조용 장치 및 방법
KR102200943B1 (ko) 진공 성형 방식을 통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 방법
KR102057758B1 (ko) 수분 필름의 연속 제조용 장치 및 방법
CN205769484U (zh) 一种用于水刺非织造布卷的卸料转运车
JP3098635U (ja) 再生用カーペットの製造装置
ITRM20070657A1 (it) Impianto e procedimento per l'applicazione di pellicole protettive su stampi per la produzione di lastre in conglomerato di marmo/quarzo/sabbia/ resina.
JPH03216328A (ja) プラスチック部品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