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110B1 -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110B1
KR102158110B1 KR1020190165347A KR20190165347A KR102158110B1 KR 102158110 B1 KR102158110 B1 KR 102158110B1 KR 1020190165347 A KR1020190165347 A KR 1020190165347A KR 20190165347 A KR20190165347 A KR 20190165347A KR 102158110 B1 KR102158110 B1 KR 10215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elease agent
weight
agent composit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건
Original Assignee
(주)애니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폼 filed Critical (주)애니폼
Priority to KR102019016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4Tre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with liquid material, e.g. lubric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2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7/2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07/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monomers having an unsaturated radical bound to a carboxyl radical, e.g. 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6Metal compounds
    • C10M2201/062Oxides; Hydroxides; Carbonates or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5/00, C10M2209/00, C10M2213/00, C10M2217/00, C10M2221/00 or C10M2225/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9/02Unspecified siloxanes;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55Particles related characteristics
    • C10N2020/06Particles of special shape o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6Release agents or mold release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023Multi-layer lubricant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 표면상에 도포되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콘크리트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하며 반복 사용에도 이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은 거푸집에 적용시 코팅층의 내구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거푸집을 10회 이상 사용하더라도 탑코팅이 탈락하지 않고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MOLD RELEASING LAYER COMPOSITION FOR FORMWORK}
본 발명은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거푸집 표면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상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직접 면하도록 형성된 상도층을 구성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30 내지 70중량% 범위의 아크릴 또는 실리콘 아크릴 수지인 제1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1경화제, 1 내지 5중량% 범위의 레벨링제 및 나머지 용제를 포함한 제1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상도층은 ABS,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3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1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2경화제, 5 내지 20중량% 범위의 구형 세라믹 볼 및 나머지 용제를 포함한 제2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 재료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 되었다. 콘크리트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미리 형태를 잡아 놓은 공간 내부로 시멘트, 골재 및 물 등을 혼합하여 유동화된 레미콘의 형태로 투입되어 일정 기간 동안 양생을 거친 후 거푸집을 탈형하여 형태를 갖추게 된다. 최근에는 거푸집이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하나, 여전히 국내외 공사 현장에서는 목재 거푸집이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합판 등 목재 판상재를 금속제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형태의 것이 유로폼이라는 명칭으로 거의 표준화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거푸집은 주로 목재로 이루어지고 그 특성상 수분을 잘 흡수하여 콘크리트 양생 과정 중에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흡수한다. 이는 양생된 콘크리트 표면을 거칠게 만들고, 양생 중인 콘크리트가 목재 합판 표면에 결합되어 분리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거푸집 탈형시 거푸집과 콘크리트가 상호 접착되지 않도록 거푸집 표면에 이형제 내지 박리제를 미리 도포하게 된다. 과거에는 거푸집 표면에 주로 윤활유, 등유, 경유,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석유류에 적당량의 점착제를 용해시킨 것을 도포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박리제는 대부분 콘크리트 타설시 그 효과 지속성이 1회에 그쳐 탈형시 콘크리트 표면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오염과 대기오염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유성 이형제 조성물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수용성 이형제가 개발되기도 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31885호의 특허공보에는 미네랄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페놀수지 6~12 중량부, 지방산 6~12 중량부 및 아민 4~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용성 콘크리트 이형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적정량의 물과 혼합하여 분산시킨 에멀전 타입의 수용성 이형제 반제품 또는 완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수성 박리제는 오염의 문제를 일부 저감시킬 수는 있으나 도포 후 열처리과정이 요구되며 수용성 성분이 물을 사용하는 콘크리트와 상호 친화력으로 인하여 탈형시 콘크리트 표면이 거칠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성 박리제 역시 그 성질상 다회성 사용이 불가능하고 1회성에 그치기 때문에 탈형 후 세척 및 재도장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거푸집 표면에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이형제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57423호에는 4원공중합 고분자수지와 3원공중합 고분자수지로 구성되는 복합 공중합 고분자수지를 한 종 이상의 혼합 유기용제와 혼합하여 용액화하고 이에 계면활성제, 왁스, 표면강화제 그리고 도포성 증강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공중합 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769086호에는 에틸렌 글리콜 55 내지 75 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144 내지 170 중량부 및 네오펜틸 글리콜 103 내지 123 중량부로 이루어진 글리콜 및 말레산(maleic acid) 160 내지 170 중량부 및 프탈산 245 내지 265 중량부로 이루어진 다가산을 축합 반응시켜 제조된 불포화도가 68 내지 72%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70 내지 84 중량%; 무기 안료 6 내지 12 중량%; 및 유리 섬유질성 광물 파우더 10 내지 18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합판용 도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문헌에서는 박리제를 거푸집에 코팅 후 10회 이상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주장하고 있으나, 도장면의 두께에 따라 콘크리트의 시멘트 분말이 7~8회에서도 거푸집에 들러붙을 수 있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한 원인은 반복 사용시 거푸집 외측 도장층의 강도 자체가 낮고 목재인 거푸집과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해 거푸집의 반복 사용시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열, 전단력과 도장층의 응력 등에 의해 도장층이 탈락되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31885호 대한민국 특허 제1057423호 대한민국 특허 제769086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목재 거푸집에 도장되어 방수효과는 물론 내구성과 이형성을 극대화하여 별 다른 재처리 없이도 거푸집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 거푸집 표면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상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직접 면하도록 형성된 상도층을 구성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30 내지 70중량% 범위의 아크릴 또는 실리콘 아크릴 수지인 제1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1경화제, 1 내지 5중량% 범위의 레벨링제 및 나머지 용제를 포함한 제1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상도층은 ABS,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3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1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2경화제, 5 내지 20중량% 범위의 구형 세라믹 볼 및 나머지 용제를 포함한 제2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합성수지와 제1경화제 및 제2합성수지와 제2경화제가 각각 독립적으로 1: 0.1 내지 1 무게비 범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벨링제가 폴리실록산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화제가 에폭시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또는 우레탄계 경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용제 및 제2용제가 케톤, 에스테르 또는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형 세라믹 입자가 평균입경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카오린(kaolin), 탈크(talc) 및 칼사이트(calci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은 거푸집에 적용시 코팅층의 내구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거푸집을 10회 이상 사용하더라도 탑코팅이 탈락하지 않고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1의 거푸집의 10회 반복 사용 후 이형성 및 표면상태를 관찰한 결과 사진
도 2는 실시예 3-4의 거푸집의 5회 반복 사용 후 이형성 및 표면상태를 관찰한 결과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6의 거푸집의 3회 반복 사용 후 이형성 및 표면상태를 관찰한 결과 사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의 용어는 거푸집의 일표면에 코팅되는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에 형성되는 상도층을 구성하는 조성 모두를 통칭하여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은 거푸집 일표면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상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직접 면하도록 형성된 상도층을 구성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30 내지 70중량% 범위의 아크릴 또는 실리콘 아크릴 수지인 제1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1경화제, 1 내지 5중량% 범위의 레벨링제 및 나머지 용제를 포함한 제1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상도층은 ABS,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3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2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2경화제, 5 내지 20중량% 범위의 구형 세라믹 입자 및 나머지 용제를 포함한 제2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제1박리제 조성물 중제1합성수지는 친수성인 목재 거푸집과 소수성인 상도층 모두에 친화성을 나타내어 양자의 결합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도층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중 상기 합성수지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거푸집과 결합력이 우수하며 상도층을 구성하는 성분과 상용성이 우수하여 결합력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면 족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합성수지는 아크릴(acrylic), 비닐(vinyl), 에폭시(epoxy),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알키드 폴리올(alkyd polyol)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박리제 조성물에 포함된 레벨링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에테르변성폴리디메틸실록산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된다. 목재 거푸집은 그 특성상 미세구조에서 매끈한 표면을 갖지 못하고 또한 도장시 용제 등의 성분이 목재 거푸집 내부로 흡수되기도 하기 때문에, 도장면이 목재 거푸집 표면 형태를 따르게 되어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늘어나 이형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제1박리제 조성물에 레벨링제를 사용하여 거푸집 표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표면에서 셀프 레벨링이 되도록 하여 프라이머층 상에 형성되는 상도층이 미세구조에서 매끈하면서도 균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05 내지 0.5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0.05 중량% 미만에서는 레벨링 효과의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고 0.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레벨링 효과 상승을 기대할 수 없고 경도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단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상에 형성되는 상도층은 상도층은 ABS,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3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2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2경화제, 5 내지 20중량% 범위의 구형 세라믹 입자 및 나머지 용제를 포함한 제2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도층은 콘크리트와의 친화성이 낮아야 하고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 내후성이 우수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도층에 포함되는 제2합성수지는 하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유성 합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적 예로는 ABS,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합성수지를 포함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도층에 사용되는 구형(球形) 세라믹 입자는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카오린(kaolin), 탈크(talc) 및 칼사이트(calcite)를 1종 이상 사용하고, 그 입도는 10 마이크론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형 세라믹 입자는 내후성을 증대시켜 상도층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박리제 조성물 및 제2박리제 조성물은 각각 제1 및 제2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경화제는 수지를 경화시켜 경도를 향상시키고 거푸집과 하도층 또는 하도층과 상도층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경화제는 전술한 역할만 수행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또는 우레탄계 경화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는 합성수지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위 경화제 단독 또는 배합된 경화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합성수지를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경화제로 에폭시계 경화제를, 제2합성수지를 ABS를 사용하는 경우 우레탄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제1합성수지와 제1경화제 또는 제2합성수지와 제2경화제는 각각 무게비로 1: 0.1 내지 1 범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의 혼합비율이 무게비로 0.1 미만인 경우 경화 정도가 낮아 내구성이 떨어지는 반면, 상기 혼합비율이 무게비로 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장 표면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균열 사이로 물 또는 콘크리트 조성물이 스며들어 거푸집 의 탈형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은 유기용제를 포함한다. 각각 제1박리제 조성물과 제2박리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1용제 및 제2용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가 빠르고 목재 거푸집 및 콘크리트에 영향이 없으며 각 조성물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및 경화제 성분을 적절히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족하더. 상기 제1용제 및 제2용제의 적절한 예로는 케톤계, 에스테르계 및/또는 알콜계 용제 등에 용해 내지 분산시킨 용액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인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1(제1박리제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 중 하도 조성물인 제1박리제 조성물의 조성을 정리한 것이다.
품명 1-1 1-2 1-3 1-4 1-5
합성수지 아크릴 수지 75 60 - 60 67
아크릴 실리콘 수지 - 20 70 20 -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25 20 - 10 33
우레탄
경화제
- - 20 20 -
레벨링제 1.0 - 0.2 0.5 2.0
에스테르계 용제 30 30 30 30 30
(단위: gram)
위 실시예에서 레벨링제는 모두 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제2박리제 조성물의 제조)
또한, 아래 표 2는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 중 상도 조성물인 제2박리제 조성물의 조성을 정리한 것이다.
품명 2-1 2-2 2-3 2-4
합성수지 ABS 75 60 20 50
폴리에스테르 - 20 60 -
경화제 에폭시
경화제
25 20 - 50
우레탄
경화제
- - 20 -
에스테르계 용제 30 30 30 30
구형 세라믹 입자(입경: 10마이크론) 10 10 - 5
(단위: gram)
위 실시예에서 구형 세라믹 입자는 모두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거푸집에의 코팅)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에서 각각 제조한 제1 및 제2박리제 조성물을 이용해 합판 거푸집에 코팅을 한 후, 실제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며 거푸집의 표면 상태를 관찰하였다. 우선, 10ㅧ20cm 크기의 거푸집(두께 0.5cm)을 준비한 다음, 각각의 거푸집에 각각 제1박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50마이크로미터 두께로 하도 코팅을 수행한 다음, 제2박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50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상도층을 코팅하였다. 거푸집을 3일간 방치하며 충분히 건조한 후 이렇게 제조한 거푸집을 사면에 둘러 콘크리트를 채운 후 3일간 양생과정을 거치고 거푸집을 제거한 후 거푸집의 표면 상태를 관찰하였고, 거푸집을 고압수로 세척한 다음 동일한 과정을 계속 반복하며 거푸집의 이형성 및 표면상태를 관찰하였다. 아래 표 3은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제1박리제 제2박리제 시험회수 시험 결과 비고
3-1 실시예 1-1 실시예 2-1 10회 이상 10회 이상에서도 이형성 우수
3-2 실시예 1-1 실시예 2-2 10회 이상 10회 이상에서도 이형성 우수
3-3 실시예 1-1 실시예 2-3 7회 5회부터 상도층 거칠어짐
3-4 실시예 1-2 실시예 2-1 5회 3회부터 이형성 저하
3-5 실시예 1-2 실시예2-3 5회 3회부터 이형성 저하 및 상도층 균열
3-6 실시예 1-2 실시예2-4 3회 × 3회후 상도면이 거칠어짐. 프라이머층 일부분 분리
3-7 실시예 1-3 실시예 2-1 5회 4회부터 콘크리트 이형성 저하
3-8 실시예 1-3 실시예 2-3 5회 × 3회부터 이형성 저하 및 상도층 균열
3-9 실시예 1-4 실시예 2-2 10회 7회시 상도면이 거칠어짐.
3-10 실시예 1-4 실시예 2-4 7회 5회후 상도면이 거칠어짐
3-11 실시예 1-5 실시예 2-2 10회 10회 이상에서도 이형성 우수
3-12 실시예 1-5 실시예 2-3 5회 4회 반복 시 상도면이 거칠어짐.
(◎: 매우 좋음, ○:다소 좋음, △:다소 나쁨, ×:매우 나쁨)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1의 거푸집의 10회 반복 사용 후 이형성 및 표면상태를 관찰한 결과 사진이며, 도 2는 실시예 3-4의 거푸집의 5회 반복 사용 후 이형성 및 표면상태를 관찰한 결과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6의 거푸집의 3회 반복 사용 후 이형성 및 표면상태를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도장을 하는 경우 10회 이상 재사용시에도 거푸집의 이형성 및 내구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는 반면, 일반적인 거푸집의 경우는 이형층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약 3회 내지 7회 사용만으로도 이형층의 탈락 및 이형성에 저하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6)

  1. 각각 목재 거푸집 표면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상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 직접 면하도록 형성된 상도층을 구성하는 목재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30 내지 70중량% 범위의 아크릴 또는 실리콘 아크릴 수지인 제1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1경화제, 0.1 내지 1중량% 범위의 폴리실록산계 레벨링제 및 나머지 제1용제를 포함한 제1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상도층은 ABS,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올, 알키드 폴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3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2합성수지, 10 내지 50중량% 범위의 제2경화제, 5 내지 20중량% 범위의 구형 세라믹 입자 및 나머지 제2용제를 포함한 제2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합성수지와 제1경화제 및 제2합성수지와 제2경화제는 각각 독립적으로 1: 0.1 내지 1 무게비 범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경화제, 아민계 경화제 또는 우레탄계 경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제 및 제2용제는 케톤, 에스테르 또는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세라믹 입자는 평균입경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카오린(kaolin), 탈크(talc) 및 칼사이트(calci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KR1020190165347A 2019-12-12 2019-12-12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KR10215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47A KR102158110B1 (ko) 2019-12-12 2019-12-12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47A KR102158110B1 (ko) 2019-12-12 2019-12-12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110B1 true KR102158110B1 (ko) 2020-09-22

Family

ID=7270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347A KR102158110B1 (ko) 2019-12-12 2019-12-12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1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568A (ja) * 2002-06-19 2004-01-22 Terada Co Ltd 型枠用表面処理剤および型枠
KR100753585B1 (ko) * 2003-11-03 2007-08-30 삼부토건주식회사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KR100769086B1 (ko) 2006-09-01 2007-10-22 주식회사 씨케이페인트 콘크리트 거푸집 합판용 도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코팅 합판의 제조 방법
JP4642361B2 (ja) * 2004-02-18 2011-03-02 中国塗料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型枠板用硬化性アクリル樹脂上塗塗料組成物およびコンクリート用型枠板
KR101031885B1 (ko) 2010-11-26 2011-05-02 (주)제이원 새로운 수용성 콘크리트 이형제 조성물
KR101057423B1 (ko) 2011-01-12 2011-08-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합 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6047500A (ja) * 2014-08-27 2016-04-0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帯電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568A (ja) * 2002-06-19 2004-01-22 Terada Co Ltd 型枠用表面処理剤および型枠
KR100753585B1 (ko) * 2003-11-03 2007-08-30 삼부토건주식회사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JP4642361B2 (ja) * 2004-02-18 2011-03-02 中国塗料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型枠板用硬化性アクリル樹脂上塗塗料組成物およびコンクリート用型枠板
KR100769086B1 (ko) 2006-09-01 2007-10-22 주식회사 씨케이페인트 콘크리트 거푸집 합판용 도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코팅 합판의 제조 방법
KR101031885B1 (ko) 2010-11-26 2011-05-02 (주)제이원 새로운 수용성 콘크리트 이형제 조성물
KR101057423B1 (ko) 2011-01-12 2011-08-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합 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6047500A (ja) * 2014-08-27 2016-04-0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帯電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16047500 A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8857B1 (en) Cellulose microfibrils as air release agent
CN100519676C (zh) 用于聚碳酸酯基材的墨水
CN106794678B (zh) 层叠体、表面保护物品、层叠体的制造方法
US3784501A (en) Acrylic polyblend powder coating composition
KR101623154B1 (ko)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44418B1 (ko) 내마모성, 부착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킨 절연코팅제
US10035924B2 (en) Elimination of application streaks of coatings using short fibers
JP6785924B2 (ja)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及び積層フィルム
KR101544183B1 (ko) 대전방지용 수용성 에폭시 코팅제 및 대전방지를 위한 코팅 방법
CN104723428A (zh) 经水基组合物浸渍的木制品
US6265027B1 (en) Enhanced surface for wood
EP2032510B1 (en) A method for impregnation of porous objects
KR102228695B1 (ko) 탄성 몰탈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33567B1 (ko) 3액형 바닥용 초고강도 논슬립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EP0383273A1 (en) Air-drying paint
CN106590367B (zh) 一种碳纳米管自修复剂及其在抗静电粉末涂料中的应用
KR102158110B1 (ko)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KR20210001513A (ko) 가교 아크릴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412887A (zh) 一种地板漆
KR20150043254A (ko) 대전방지용 수용성 에폭시 코팅제 및 대전방지를 위한 코팅 방법
KR101905417B1 (ko) 고점도 접착제 및 신재 무연신 pet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1530676B1 (ko) 아미노반응기형 친환경 하이브리드 수성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재 시공방법
KR102431542B1 (ko) 내구성 및 미끄럼방지 효과가 우수한 포장재 조성물
KR101965224B1 (ko) 교면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
KR101937234B1 (ko) 철 및 콘크리트 구조물용 도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