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585B1 -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585B1
KR100753585B1 KR1020030077323A KR20030077323A KR100753585B1 KR 100753585 B1 KR100753585 B1 KR 100753585B1 KR 1020030077323 A KR1020030077323 A KR 1020030077323A KR 20030077323 A KR20030077323 A KR 20030077323A KR 100753585 B1 KR100753585 B1 KR 10075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ating composition
release
concret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394A (ko
Inventor
황인동
이완조
Original Assignee
삼부토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토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토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58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with liquid material, e.g. lubr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4Tre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1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thickener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a) 고분자 수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을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거푸집에 시멘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충진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고 콘크리트 성형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은 상기 코팅제 조성물에 의해 거푸집으로부터 이형되며,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제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형제, 거푸집, 콘크리트, 계면활성제, 고분자 수지,

Description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Methods for Manufacturing Concrete and Addition-typed Coating Compositions for Releasing Concrete}
도 1은 본 발명의 공법을 도시화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설명>
1: 거푸집, 2: 본 발명의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3: 콘크리트
본 발명은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멘트용 이형제들은 대부분 중유를 이용하거나 비점이 높은 광유, 실리콘 수지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푸집의 표면에 이형제를 도포한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었을 경우 쉽게 거푸집으로부터 콘크리트가 이탈되게 작용한다.
그러나 보통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 제품들은 충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충진을 시도하며, 이에 의하여 표면의 밀도가 발생하며 이러한 밀도차는 시멘트의 수화 반응을 서로 다르게 하여 표면의 얼룩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밀도의 차는 구조물에 있어 미관상 문제뿐만 아니라, 밀도의 차에 의한 열 전달계수의 차이 또는 시멘트의 반응에 의한 팽창력의 차이 등을 발생시켜, 장기간 사용시 미세 균열의 원인이 되어 대부분의 구조물에서 사용 중 도료에 의한 마감작업을 실시한다.
마감 작업의 종류로는 견출과 도색 등이 주로 이용되나 막대한 인건비의 발생에 의하여 균열의 발생이 크거나 매우 더러워진 경우 실시한다. 또한 현재의 이형제는 다량 사용시 소수성에 의한 시멘트 반응의 지연을 초래하고 표면의 약화의 원인으로 지적되나 사용량이 작은 경우 쉽게 이탈되지 않아 거푸집 탈형시 표면 파괴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허출원번호 제10-1982-0001034호에 개시된 콘크리트 제품의 수용성 이형제 제조방법에서는 경유에 송진을 혼합하고 유화하여 이형제를 제조하였으나, 거푸집의 표면에서 이형 작용에 국한되며 콘크리트의 제조 시 사용되는 감수제의 사용량에 따라 이형 능력이 크게 달라진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이형제를 개선하여, 콘크리트 제조 과정에서 이형 및 콘크리트 코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이형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 과, 고분자 수지에 적합한 HLB (친수-친유 발란스) 값을 갖는 계면활성제가 추가된 이형제가 이형 및 코팅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형과 코팅을 동시에 실시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고분자 수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을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거푸집에 시멘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충진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고 콘크리트 성형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은 상기 코팅제 조성물에 의해 거푸집으로부터 이형되며,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제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과 코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된 경우에 상기 거푸집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 의 이형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의 표면을 코팅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성형품 제조공법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성형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의 이형 및 그 표면의 코팅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이형 및 코팅을 동시에 실시하는 공법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개발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최초로 채택된 용어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공법에 이용되는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되는 이형제를 의미한다. 즉, 최종 제조되는 콘크리트의 이형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콘크리트의 표면을 코팅하는 작용도 동시에 하는 이형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에서, 고분자 수지는 도료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수지도 이용 가능하다. 적합하게는, 기계적ㆍ물리적인 특성이 자외선, 외력 등에 잘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열경화형 및 열가소성 수지로 분류할 수도 있고, 경화방식에 따라 용제증발형, 산화 중합형, 열 중합형 또는 이액 중합형 도료에 이용되는 수지로 분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고분자 수지의 예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알키드 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알킬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프티라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고무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틸렌 수 지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수지는 이액 중합형, 산화 중합형 및 열 중합형 수지와 같은 반응형 수지이다. 가장 바람직한 고분자 수지는 비닐 아세테이트계 수지 (예: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EVA 수지)이다. 본 발명의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에서, 고분자 수지의 양은 일반적으로 5-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이다. 고분자 수지의 양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에 대한 보호 기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고분자 수지는 용매에 용해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용매는 고분자 수지의 용해에 이용되는 어떠한 유기 용매도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벤젠 또는 톨루엔 용매를 제외한 고분자 수지를 잘 용해 및/또는 분산시키고, 거푸집의 표면 즉 고체 (스틸, 플라스틱 또는 합판)의 표면에 대한 흡착능이 우수하며 확산능이 우수한, 선형의 탄화수소 골격을 갖는 용매가 적합하다. 보통 용매로서 이용되는 것으로는 신너, 화이트 카본류, 케톤류 등의 폴리머를 용해시킬수 있는 용매 혹은 수용성 고분자의 경우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0-9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5-4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중량%이다. 그러나 용매가 사용되지 않는 무용제 타입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나 용제의 량이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막이 약하거나 필요로 하는 물성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HLB (친수-친유 발란스) 값이 작은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낮은 HLB 값을 갖는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갖는 작용 및 기능을 결정한다. HLB는 계면활성제의 기능 및 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계면활성제 분자 내의 친수기와 소수기의 균형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7 이하, 즉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이다. 만일, HLB 값이 8 보다 큰 경우에는 거푸집 표면에 고분자 물질이 달라 붙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HLB 값이 7 이하의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예: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카스터 오일, 에톡시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에테르계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의 일반적인 함유량은 0.1-1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6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4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이다. 계면활성제의 양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에서 이형작용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이형 후 계면 활성제가 용출되거나 고분자 도막의 물리적 성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은 보강제, 충진제, 발수제, 광촉매, 증점제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강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피막의 내충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보강제는 섬유가 바람직하며, 예컨대, 셀룰로오스 섬유가 있다. 보강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0.1-3 중량%, 바람직하게는 0.3-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중량%이다.
상기 충진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은폐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충진제는 일반적인 도료에 있어서 충진제로 이용되는 어떠한 것도 이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실리카, 체질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실리카 및 체질안료의 혼합물이다. 상기 체질안료는 도막의 보강·증량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굴절률이 작은 흰색 안료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탈크, 산화바륨 (중토)분, 실리카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충진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5-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이다. 충진제의 양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이형 후 은폐력이 나빠 표면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이 갈라지거나 너무 단단해져 충격에 의해 표면에서 이탈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발수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도막이 흡수에 의한 손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발수제는 일반적인 도료에 있어서 발수제로 이용되는 어떠한 것도 이용 가능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발수제이다. 발수제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이다. 발수제의 양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내수성이 나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과 표면의 약화가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촉매는, 오염에 대한 방어능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광촉매는 일반적으로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나타제형 산화티탄이다. 광촉매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0.5-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4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증점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거푸집 표면에 코팅되는 경우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증점제는 아라비아고무, 알기닌산나트륨, 카제인나트륨, 덱스트린, 트라가칸타, 폴리비닐알코올, 셀룰로오스계 (결정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이다. 증점제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0.5-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4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들이 혼합물로도 이용할 수 있지만, 성분들을 분할하여 다성분계로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을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을 하면, 용매가 증발하거나 또는 반응에 의해 경화되어,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을 형성한다. 형성된 코팅에서 계면활성제는 거푸집 표면에 접한 면에 위치하고, 고분자 수지는 그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계면활성제의 작은 HLB 값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어, 거푸집에 시멘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경화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시멘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가 혼합 재료로 이용되는 모든 건축용 재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예컨대, 모르타르 등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경화는 약 20℃에서 12-48 시간 동안 실시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경화 과정에서 상기 거푸집 표면에 형성된 코팅에서 고분자층의 피막이 이탈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되어 콘크리트에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탈은 고분자 수지의 수소 또는 산소와 시멘트 성분 Ca(OH)2에 있는 수소 또는 산소 사이에 형성된 많은 수소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수소 결합 하나는 작은 인력이지만, 그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이탈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면, 고분자 수지 피막이 형성된 콘크리트 성형품을 얻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콘크리트 제조 과정 중에서 이형 및 코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종래의 방법에서 필수적으로 실시하였던 견출 등의 마감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공사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실시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표면에 형성된 피막은 내알칼리성과 내산성 (즉 내부식성 및 내화학성), 및 내염성이 우수하고, 흡수율도 매우 낮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이형 코팅제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이형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의 조성 (중량%)
고분자 용제 셀룰로스 섬유 계면 활성제 마이크로 실리카 광촉매 체질안료 및 발수제
20 40 1 2 10 2 25
이때 고분자로는 EVA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경화제로써 석유수지를 이용하였고, 용제는 고분자 레진을 용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환경오염성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용제로서 DSP 80/130을 이용하였다.
셀룰로스 섬유의 경우 섬유가 표면에 노출되지 않을 정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내충격성을 고려하여 직경이 40 마이크론인 것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의 경우 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이 작은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HLB 값이 5인 IGEPAL CA-210을 이용하였다.
마이크로 실리카와 체질 안료는 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며, 광촉매의 경우 오염에 대한 방어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발수제의 경우 흡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실리콘계 발수제가 사용되었다. 여기에 벽체에서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증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험예 1: 이형 코팅제의 제조
표 1의 조성을 갖는 이형 코팅제를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용 몰드 거푸집 표면에 도포하고, 24시간 경과 후 탈형하고 표면상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몰드를 5% 가성소다 수용액과 5% 황산 용액에 각각 72시간 동안 침지한 후 표면을 젖은 수건으로 잘 닦은 후 표면을 관찰하였으며, 흡수율은 기존 이형제를 처리한 것의 24시간동안의 압축강도 몰드의 무게 변화를 100으로 할 때의 상대적인 값으로 하였다 (참조: 수학식 1).
상대 흡수율 (%) = {(이형코팅처리 몰드의 24시간 물에 담근 후의 무게 - 이형코팅처리 몰드의 물에 담그기 전의 무게)/(기존 이형제의 24시간 물에 담근 후의 무게 - 기존 이형제의 물에 담그기전의 무게)} x 100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시험항목 기존 이형제 처리 본 발명의 이형코팅제 처리
표면 기공 다수발생 없음
5%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72시간) 표면 변화 없음 표면 변화 없음
5% 황산 수용액(72시간) 표면 연화 표면 변화 없음
상대 흡수율(%) 100 8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는 표면 기공이 없는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된 피막은 내알칼리성과 내산성 (즉 내부식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내수성도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형과 코팅을 동시에 실시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콘크리트 제조 과정 중에서 이형 및 코팅을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며, 이에, 종래의 방법에서 필수적으로 실시하였던 견출 등의 마감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결국 전체적이 공사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에 형성된 피막은 내화학성, 내염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Claims (22)

  1. (a) 고분자 수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을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거푸집에 시멘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충진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고 콘크리트 성형품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은 상기 코팅제 조성물에 의해 거푸집으로부터 이형되며, 상기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제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과 코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용제증발형, 산화 중합형, 열 중합형 또는 이액 중합형 도료에 이용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알키드 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알킬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프티라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고무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 리스틸렌 수지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HLB (친수-친유 발란스) 값이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HLB 값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은 보강제, 충진제, 발수제, 광촉매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마이크로 실리카, 체질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는 실리콘계 발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고분자 수지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거푸집의 표면에 코팅된 경우에 상기 거푸집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의 이형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 조된 콘크리트 성형품의 표면을 코팅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용제증발형, 산화 중합형, 열 중합형 또는 이액 중합형 도료에 이용되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알키드 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알킬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프티라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고무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틸렌 수지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HLB (친수-친유 발란스) 값이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HLB 값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은 보강제, 충진제, 발수제, 광촉매 및 그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마이크로 실리카, 체질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는 실리콘계 발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형 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22. 삭제
KR1020030077323A 2003-11-03 2003-11-03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KR10075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23A KR100753585B1 (ko) 2003-11-03 2003-11-03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23A KR100753585B1 (ko) 2003-11-03 2003-11-03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394A KR20050042394A (ko) 2005-05-09
KR100753585B1 true KR100753585B1 (ko) 2007-08-30

Family

ID=3724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323A KR100753585B1 (ko) 2003-11-03 2003-11-03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110B1 (ko) * 2019-12-12 2020-09-22 (주)애니폼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81B1 (ko) * 2011-05-09 2012-01-16 서보산업 주식회사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
KR102506654B1 (ko) * 2022-08-29 2023-03-06 휴안 주식회사 고강도 콘크리트 제품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428A (ja) * 1991-09-12 1993-03-23 Kao Corp コンクリート離型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428A (ja) * 1991-09-12 1993-03-23 Kao Corp コンクリート離型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110B1 (ko) * 2019-12-12 2020-09-22 (주)애니폼 거푸집 박리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394A (ko) 2005-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8857B1 (en) Cellulose microfibrils as air release agent
KR101227380B1 (ko) 습윤면에 부착성이 우수한 복합도막 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도장공법
CA2031405A1 (en) Water-based composites with superior cure in thick films, and chemical and shock resistance
US991466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uring concrete
KR101736146B1 (ko)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6318053B (zh) 水工混凝土表面疏水耐污涂层及其施工方法
KR100478446B1 (ko) 건축용 수지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228695B1 (ko) 탄성 몰탈 도막방수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64049B1 (ko) 저취 에폭시 논슬립 및 항균성을 갖는 친환경 에폭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ice-d 에폭시 도포 시공방법
ITRM20120525A1 (it) Formulazione per pellicole idrosolubili di copertura e protezione provvisoria di superfici.
KR101056825B1 (ko) 수성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CN114195455A (zh) 一种防水拉毛混凝土界面处理剂及其施工方法
KR100753585B1 (ko)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WO2007143997A1 (en) A method for impregnation of porous objects
KR20010108597A (ko) 건축용 수지모르타르와 그 시공 방법
US20180319970A1 (en) Solid hydrophobic polymeric surfacing
KR102121820B1 (ko)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100682540B1 (ko) 칼라무늬 콘크리트 습식 매트 공법용 이형제 조성물 및이의 시공방법
US6248822B1 (en) Composite product
KR101002094B1 (ko) 테트라에톡시 씰란을 용매로 사용하여 습윤 상태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며 부착성이 유지되는 변성실란 세라믹 메탈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공법
CN113321997B (zh) 一种自清洁水性防滑涂料及其制备方法
KR100644768B1 (ko) 콘크리트 표면 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표면처리방법
US20090042044A1 (en) Novel nanocomposite coating for the reduction of pigment particles loss and UV fade and chemical degradation for decorative &amp; structural products made from concrete and concrete composites
KR102178499B1 (ko) 보강 및 변형 억제부재 모듈, 콘크리트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단면 복구 공법
CN101772472B (zh) 用于水泥复合制品的涂层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