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820B1 -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820B1
KR102121820B1 KR1020190163972A KR20190163972A KR102121820B1 KR 102121820 B1 KR102121820 B1 KR 102121820B1 KR 1020190163972 A KR1020190163972 A KR 1020190163972A KR 20190163972 A KR20190163972 A KR 20190163972A KR 102121820 B1 KR102121820 B1 KR 10212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ating agent
weight
poly
micro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프시알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프시알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프시알엔디
Priority to KR102019016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3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4Agents for altering or buffering the pH;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및 열화인자를 제거하는 단계; b)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건조시키는 단계; c) 건조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하도층 코팅제를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 d) 양생된 하도층 위에 중도층 코팅제 및/또는 상도층 코팅제를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Coating material with microcapsules and repairing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신규 콘크리트 구조물 및 열화되어 보수 모르타르로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및 물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복합재료로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을 건설할 때 강재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이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주택이나 빌딩 등 건축물을 건설하거나 도로, 교량, 항만, 댐, 터널, 원형관거 등 각종 토목구조물을 건설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사용하면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염해나 중성화, 알칼리 골재 반응, 화학적 부식 외에 물의 침투에 의한 강재의 부식 팽창 등으로 구조물이 열화되면서 장기적으로 내구성과 사용성이 저하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는 계속 진행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을 저하시키고, 결국에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내부로 수분, 염분, 유해가스, 각종 화학물질 등 열화인자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시공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구성 저하 원인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도장은 시공이 간편하고 성능저하 방지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여 시설물 보수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에폭시계, 비닐에스테르계, 불소수지계, 아크릴 고무계, 염화고무계, 우레탄계 등의 도료를 이용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장 공법에 사용되는 코팅제는 도포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콘크리트와의 열팽창률 차이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등의 변형에 의해 부착력이 감소하여 콘크리트의 표면 보호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물과 접촉하는 경우 세균 번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물에 장기간 접해 있는 배수지, 정수지, 하수암거 등에서는 도막의 들뜸 및 탈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은, 균열이 발생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부위(A)를 선정하는 보수부위 선정 단계(S10); 선정된 보수부위(A)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을 소정 깊이 절삭하여 보수부위(A)의 철근(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표면 절삭 단계(S20); 표면으로 노출되는 철근(B)에 방청제를 도포하는 방청 처리 단계(S30); 절삭된 콘크리트 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S40);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콘크리트 면에 콘크리트 보수제를 도포하는 콘크리트 보수제 도포 단계(S50); 및 도포된 상기 콘크리트 보수제가 건조된 다음 표면에 중성화 방지 코팅제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마감 단계(S60) 등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과의 부착력을 대폭 향상시켜, 도포한 후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부착력이 저하되지 않아 탈락하지 않고, 콘크리트 보호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코팅제와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20384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크게 향상시켜 장기간 동안 콘크리트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및 열화인자를 제거하는 단계; b)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건조시키는 단계; c) 건조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하도층 코팅제를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 d) 양생된 하도층 위에 중도층 코팅제 및/또는 상도층 코팅제를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도층 코팅제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심물질과 벽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심물질은,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벽물질은, pH 반응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상기 c)단계에서, 상기 하도층 코팅제를 도포하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pH 10 이상의 알칼리 환경에서 상기 벽물질이 반응하여 상기 벽물질이 팽창하고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심물질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pH 반응성 고분자는, PEI(Poly Ethylene Imine), PEG(Poly Ethylene Glycol), PSS(Poly Styrene Sulfonate), PAA(Poly Acrylic Acid), PMA(Poly Methacrylic Acid), PAH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M(Poly 2-Hydroxyethyl Methacrylate), 4VP(4-Vinyl Pyridine), NIPAM(N-Isopropyl Acrylamide)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 하도층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55~75 중량%; 실란 0.6~2.5 중량%; 텍산올 0.6~2.5 중량%; 물 20~40 중량%; 마이크로캡슐 0.2~0.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중도층 코팅제 및 상도층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42~61 중량%; 실란 0.4~2.2 중량%; 텍산올 0.4~1.9 중량%; 물 5~10 중량%; 첨가제 0.2~3.5 중량%; 안료 9.5~27 중량%; 이산화티탄 7.5~15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물질과 벽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로서, 상기 심물질은,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벽물질은, pH 반응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pH 10 이상의 알칼리 환경에서 상기 벽물질이 반응하여 상기 벽물질이 팽창하고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심물질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한다.
상기 pH 반응성 고분자는, PEI(Poly Ethylene Imine), PEG(Poly Ethylene Glycol), PSS(Poly Styrene Sulfonate), PAA(Poly Acrylic Acid), PMA(Poly Methacrylic Acid), PAH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M(Poly 2-Hydroxyethyl Methacrylate), 4VP(4-Vinyl Pyridine), NIPAM(N-Isopropyl Acrylamide)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하도층 코팅제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하도층 코팅제를 제공한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 55~75 중량%; 실란 0.6~2.5 중량%; 텍산올 0.6~2.5 중량%; 물 20~40 중량%; 상기 마이크로캡슐 0.2~0.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코팅제에 포함되는 pH 감응형 마이크로캡슐의 벽물질이 pH 반응성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벽물질의 내부에는 심물질로서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코팅제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표면에 도포되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표면의 높은 pH(10~11)에 반응하여 마이크로캡슐의 벽물질이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벽물질이 열리게 되면 심물질인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가 흘러나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표면에 존재하는 미수화 CaO 또는 Ca(OH)2와 만나 고강도 C-S-H 조직을 형성하게 되어, 코팅제와 콘크리트 표면이 일체화가 될 수 있어 코팅제의 부착력이 크게 향상된다.
pH 반응성 고분자에 의해 마이크로캡슐의 벽물질을 형성함으로써,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가 콘크리트의 표면과 만나기 전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차단하여 이들의 반응성을 억제하고, 콘크리트에 도포된 이후에는 벽물질이 열려 반응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여, 도막과 콘크리트와의 일체화 반응을 얻을 수 있다.
도 1, 2는 마이크로캡슐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다.
도 3, 4는 도막에 대한 부착강도 시험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1에 대한 부착강도 시험 결과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1에 대한 부착강도 시험 결과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2에 대한 부착강도 시험 결과 사진이다.
도 8은 비교예2에 대한 부착강도 시험 결과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팅제는 하도층, 중도층, 상도층을 형성하게 되는 도료가 된다(하도층 코팅제, 중도층 코팅제, 상도층 코팅제). 상기 코팅제를 도포한 도막층은 하도층, 중도층, 상도층 3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콘크리트 보호층을 보다 두텁게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도층을 두 번 이상 형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중도층 없이 하도층 위에 상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도층은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과 일체화하여 도막층의 부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하고, 중도층은 하도층과 상도층 도막의 중간에서 도막 전체의 방식효과와 외부로부터의 유해인자 침투 저지효과, 염분 등의 이온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며, 상도층은 마무리 층으로서 자외선, 강우 등에 저항하고 외부에서의 부식 유발 물질에 대한 차단성을 확보하고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성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도층 코팅제는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과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제의 조성물에 pH 감응형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하도층 코팅제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중도층 코팅제 및 상도층 코팅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도층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55~75 중량%; 실란 0.6~2.5 중량%; 텍산올 0.6~2.5 중량%; 물 20~40 중량%; 마이크로캡슐 0.2~0.5 중량%를 포함한다.
수지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피막을 형성할 때 보다 치밀한 막을 형성할 수 있고, 코팅제의 공극 속으로 쉽게 들어가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필러들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더욱 튼튼한 피막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인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입자크기는 300~400 ㎚ 정도이고, 콘크리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수지의 경우 약 400~500 ㎚로 아크릴 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자크기가 큰데, 본 발명에서는 내수성을 향상시켜 열화물질의 차단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입자크기를 100~150 ㎚로 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Sc)의 함량을 최소한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적용하였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본 발명의 하도층 코팅제의 전체 조성비에서 55~75 중량%를 사용하는데, 55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에멀젼 수지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은 상태로 소지면 상부에 도포되기 때문에 코팅층의 생성이 균질하지 않게 되거나 부분적으로 도막이 결여될 수 있고 충분한 접착력과 방식성능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고, 7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평활한 도막층을 구현할 수 없고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란은 형성된 도막의 표면부를 강화하여 외부의 충격 등에 코팅제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하도층 코팅제의 전체 조성비에서, 0.6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표면부를 강화하기에 충분하지 않고, 2.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강화성능의 증진이 미미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텍산올은 흡착성, 내스크럽, 세척성, 색상, 열유연성 등의 도료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하도층 코팅제의 전체 조성비에서, 0.6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막의 유연성확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2.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코팅제의 점성을 높여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코팅제 구성 물질의 재료분리를 일으키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캡슐의 내부에 존재하는 심물질과 심물질을 둘러싸는 쉘(shell)의 기능을 하는 벽물질을 포함한다. 도 1, 2에는 마이크로캡슐의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사진이 나타나 있다.
상기 심물질은,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벽물질은, pH 반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pH 반응성 고분자는 PEI(Poly Ethylene Imine), PEG(Poly Ethylene Glycol), PSS(Poly Styrene Sulfonate), PAA(Poly Acrylic Acid), PMA(Poly Methacrylic Acid), PAH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M(Poly 2-Hydroxyethyl Methacrylate), 4VP(4-Vinyl Pyridine), NIPAM(N-Isopropyl Acrylamide)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중 2개 이상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본 발명의 하도층의 전체 조성비에서 0.2~0.5 중량%를 사용하는데, 마이크로캡슐에 포함되는 재료들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마이크로캡슐의 심물질은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가용성 실리케이트는 알칼리금속과 실리카를 결합하여 만든 화합물로서, 알칼리금속으로 리튬(Li), 소듐(Na), 포타슘(K), 루비듐(Rb), 세슘(Cs), 프랑슘(Fr)을 사용하고, 실리카(SiO2)와 상기 알칼리금속을 1,100~1,200℃로 용융시켜 고압 스팀과 함께 물에 녹여 제조한다.
알칼리금속은 반응성이 좋은 리튬(Li), 소듐(Na), 포타슘(K)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칼리금속과 실리카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각각 리튬(Li) : 실리카(SiO2) = 1 : 9~10, 소듐(Na) : 실리카(SiO2) = 1 : 1.5~2.0, 포타슘(K) : 실리카(SiO2) = 1 : 2.0~3.2로 혼합한다.
nSiO2 + M2O + xH2O = M2O · nSiO2 · xH2O (M : 알칼리금속)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시작물질로 가용성 실리케이트를 이온교환법으로 제조한다. 제조과정에서 가용성 실리케이트에 존재하고 있는 알칼리금속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나노입자 실리카(SiO2)를 얻을 수도 있다.
pH 반응성 고분자는 수소결합, 공유결합,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결합 또는 물리적 결합 등에 의해 가교된 친수성 고분자로서 수용액 상에서 물에 팽윤할 수 있는 친수적인 3차원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가짐으로써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pH 반응성 고분자물질은 피리딘의 질소원자의 양성자에 의해 양전하를 띠게 되어 이온 반발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알칼리 또는 산 영역에서 양이온과 음이온간의 상호작용으로 수축, 팽창현상이 발생하여 pH에 대한 반응성이 생기게 된다. 상기 열거된 반응성 고분자들은 이와 같이 합성방법에 따라서 이온 반발력이 가지는 Wall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들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재료들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에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유화시키고(이때 비이온성계면활성제는, 부피비로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 양의 3/1,000 ~ 6/1,000을 첨가한다), 이 용액을 호모나이저를 이용하여 9~11분간 11,000~13,000 rpm으로 강하게 교반하여 완전히 분산된 에멀젼을 제조한다.
pH 반응성 고분자에 가교제 MBAm(Methylene bis Acrylamide)를 혼합하여(이때 가교제 MBAm은, 중량비로 pH 반응성 고분자 양의 6/100 ~ 8/100을 혼합한다)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제조하고, 상기 프리폴리머에 상기 에멀젼을 첨가하여 60±5 ℃에서 250±20 rpm으로 3±0.5 시간 동안 교반 중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은 중성과 산성 환경에서는 단단한 벽을 유지하지만 pH 10 이상의 알칼리 환경에서는 벽물질이 팽창하고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심물질을 방출하게 된다.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의 표면은 pH 10 이상의 알칼리 환경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포함된 하도층 코팅제를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표면에 도포하게 되면, 벽물질인 pH 반응성 고분자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알칼리 환경에 노출되어 높은 pH에 반응하여 마이크로캡슐이 열리게 되어,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는 심물질이 흘러나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표면과 만나게 된다.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표면에 존재하는 미수화 CaO 또는 Ca(OH)2와 만나 고강도 C-S-H 조직을 형성하여 하도층 코팅제와 콘크리트 표면과의 재료적 일체화를 통해 부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위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Si-O-K+ 또는 ≡Si-O-Li+으로 표시되는 가용성 실리케이트가 반응성 물질과 만나게 되면 ≡Si-O-M-O-Si≡로 중축합이 발생하여 3차원적으로 발달하게 되고 콘크리트 표면의 Ca+2이온을 치환시켜 ≡Si-O-Ca-O-Si≡ 형태의 칼슘실리케이트수화물(C-S-H)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표면과 일체가 된다.
가용성 실리케이트가 콘크리트와 만났을 때 칼슘실리케이트수화물로 반응하는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M2nSiO2·xH2O + CaO or Ca(OH)2 = zCaO· nSiO2 · xH2O
여기서 : M : 알칼리 금속
그리고 콜로이드 실리카가 콘크리트와 만났을 때에는 아래와 같은 반응에 의해 칼슘실리케이트수화물이 된다.
nSiO2·xH2O + CaO or Ca(OH)2 = zCaO· nSiO2 · xH2O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는 반응성이 높으므로 캡슐화에 의한 안정적 처리없이 코팅제에 혼입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표면에 완전히 일체화되기 전에 경화가 시작되어 코팅제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의 높은 반응성을 마이크로캡슐의 벽물질(pH 반응성 고분자)에 의해 억제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 후에는 벽물질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의 높은 반응성과 콘크리트와의 일체화 반응을 활용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완전히 일체화되는 도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본 발명의 하도층의 전체 조성비에서 0.2~0.5 중량%를 사용하는데, 0.2중량% 미만 사용시에는 부착력 증가효과가 거의 없고, 0.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부착력 증가 효과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중도층 코팅제와 상도층 코팅제는, 동일한 조성물을 사용하고, 각각 아크릴 에멀젼 수지 42~61 중량%; 실란 0.4~2.2 중량%; 텍산올 0.4~1.9 중량%; 물 5~10 중량%; 첨가제 0.2~3.5 중량%; 안료 9.5~27 중량%; 이산화티탄 7.5~1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중도층과 상도층에서도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입자크기를 100~150 ㎚로 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Sc)의 함량을 최소한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적용하였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본 발명의 중도층과 상도층 각각의 전체 조성비에서 42~61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첨가제로는 제조과정과 제품형성 과정에서 불필요한 기포를 제거하는 소포제, 재료간의 유동성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계면활성제, 체질안료나 각종 필러의 재료분리를 방지하는 점도조절제, 수밀한 도막형성과 편평한 막의 형성을 위한 레벨링제, 체질안료와 이산화티탄의 균질한 분산을 도와주는 분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안료는 체질안료를 사용할 수 있고, 체질안료는 탄산칼슘, 탈색되어 백색의 색상을 가지는 천연석고분말, 유색안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도층과 상도층 각각의 전체 조성비에서 안료를 9.5 중량% 이하로 사용할 경우 색상 발현이 미미하고, 27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도막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과 안료는 입경 0.2~2.0 ㎛인 분말 형태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하도층 코팅제, 중도층 코팅제, 상도층 코팅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포하기 전에 상기 코팅제들을 도포할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및 열화인자를 먼저 제거하여야 한다.
이는 도포될 코팅제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으로, 오물, 콘크리트 조각, 레이턴스, 구도막 등을 제거한다.
위와 같은 청소과정에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후에는 도막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그리고 건조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하도층 코팅제를 도포하고 양생하는데, 양생은 최대 24시간 소요될 수 있다.
하도층 코팅제를 도포하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벽물질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높은 pH와 만나 열리게 되고, 심물질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와 일체화되어 매우 높은 부착력을 갖게 된다.
하도층 코팅제를 도포하는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신축 콘크리트 구조물이 될 수도 있고, 구조물의 열화로 보수용 모르타르로 단면복구된 면이 될 수도 있으며, 보수, 보강이 필요한 기사용 중인 콘크리트 구조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양생된 상기 하도층 위에 중도층 코팅제와 상도층 코팅제를 도포하고 양생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도층 없이 중도층만 도포할 수도 있고, 중도층이 1회 이상 도포될 수도 있다.
하도층 코팅제, 중도층 코팅제, 상도층 코팅제의 도포 방식은 스프레이 분사에 의할 수도 있고, 붓, 롤러 등으로 바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포된 하도층의 부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중도층과 상도층은 동일하게 적용하고,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비교예1), 마이크로캡슐을 필요이상으로 포함한 경우(비교예2, 3)에 대해 부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구성성분의 함량과 시험 결과를 아래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도막층의 구성 성분 및 함량
구분 (중량%) 중도 상도 하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비교예3
아크릴 에멀젼 수지 55 68 68 68 68 68
실란 1.0 1.1 1.1 1.1 1.1 1.1
텍산올 1.4 2.0 2.0 2.0 2.0 2.0
8 28.9 28.7 28.4 28.3 27.9
첨가제 3.0 - - - -
체질안료 20.6 - - - -
이산화티탄 11 - - - -
마이크로캡슐 - 0 0.2 0.5 0.6 1.0
비교예와 실시예의 부착강도 시험 결과
시험결과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2 비교예3
부착강도(MPa) 1.42 2.53 2.81 2.82 2.84
상기 표 2의 시험 결과를 확인해 보면, 비교예1, 2, 3 및 실시예1, 2 모두 KS F 4936에서 규정하고 있는 콘크리트 도료의 부착강도 기준(1.0MPa)을 만족하고 있지만, 비교예1은, 마이크로캡슐을 0.2중량% 이상 혼입한 실시예1, 2 및 비교예2, 3에 비해 부착강도가 절반 수준에 지나지 않아 장기간동안 콘크리트 표면 보호성능을 유지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이크로캡슐을 0.2중량%를 혼합한 실시예1에서, 마이크로캡슐을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1보다 거의 2배 가까운 부착강도의 상승을 보여, 마이크로캡슐 0.2중량% 이상을 사용함으로써 장기적인 콘크리트 표면 보호성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마이크로캡슐 0.6중량% 이상을 사용한 비교예2와 비교예3에서는 마이크로캡슐의 사용량 증가에 비하여 부착강도의 증진은 미미한 수준이어서 경제적인 면에서 합리적이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이물질 및 열화인자를 제거하는 단계;
    b)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건조시키는 단계;
    c) 건조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하도층 코팅제를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
    d) 양생된 하도층 위에 중도층 코팅제 및/또는 상도층 코팅제를 도포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도층 코팅제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심물질과 벽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심물질은,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벽물질은, pH 반응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상기 c)단계에서, 상기 하도층 코팅제를 도포하면,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pH 10 이상의 알칼리 환경에서 상기 벽물질이 반응하여 상기 벽물질이 팽창하고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심물질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H 반응성 고분자는,
    PEI(Poly Ethylene Imine), PEG(Poly Ethylene Glycol), PSS(Poly Styrene Sulfonate), PAA(Poly Acrylic Acid), PMA(Poly Methacrylic Acid), PAH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M(Poly 2-Hydroxyethyl Methacrylate), 4VP(4-Vinyl Pyridine), NIPAM(N-Isopropyl Acrylamide)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인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55~75 중량%;
    실란 0.6~2.5 중량%;
    텍산올 0.6~2.5 중량%;
    물 20~40 중량%;
    마이크로캡슐 0.2~0.5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6.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도층 코팅제 및 상도층 코팅제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42~61 중량%;
    실란 0.4~2.2 중량%;
    텍산올 0.4~1.9 중량%;
    물 5~10 중량%;
    첨가제 0.2~3.5 중량%;
    안료 9.5~27 중량%;
    이산화티탄 7.5~15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7. 심물질과 벽물질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로서,
    상기 심물질은, 가용성 실리케이트 또는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고,
    상기 벽물질은, pH 반응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pH 10 이상의 알칼리 환경에서 상기 벽물질이 반응하여 상기 벽물질이 팽창하고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심물질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마이크로캡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H 반응성 고분자는,
    PEI(Poly Ethylene Imine), PEG(Poly Ethylene Glycol), PSS(Poly Styrene Sulfonate), PAA(Poly Acrylic Acid), PMA(Poly Methacrylic Acid), PAH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M(Poly 2-Hydroxyethyl Methacrylate), 4VP(4-Vinyl Pyridine), NIPAM(N-Isopropyl Acrylamide) 중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인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마이크로캡슐.
  9.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하도층 코팅제에 있어서,
    제7항 또는 제8항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하도층 코팅제.
  10. 제9항에 있어서,
    아크릴 에멀젼 수지 55~75 중량%;
    실란 0.6~2.5 중량%;
    텍산올 0.6~2.5 중량%;
    물 20~40 중량%;
    상기 마이크로캡슐 0.2~0.5 중량%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및 모르타르 표면 보호용 하도층 코팅제.




KR1020190163972A 2019-12-10 2019-12-10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10212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972A KR102121820B1 (ko) 2019-12-10 2019-12-10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972A KR102121820B1 (ko) 2019-12-10 2019-12-10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820B1 true KR102121820B1 (ko) 2020-06-11

Family

ID=7107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972A KR102121820B1 (ko) 2019-12-10 2019-12-10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8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20B1 (ko) * 2021-01-08 2021-07-26 강상수 부착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공법
KR102525839B1 (ko) * 2022-01-12 2023-04-27 주식회사 공정 교면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하는 교면 방수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797A (ko) * 2010-11-11 2012-05-21 (주) 캐어콘 마이크로캡슐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7399A (ko) * 2015-09-25 2017-04-04 삼중씨엠텍(주) 자기치유 기능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코팅제 시공방법
KR101931109B1 (ko) * 2017-10-13 2018-12-20 한국원자력연구원 유무기 혼성 졸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균열대응 자기밀봉 콘크리트
KR101941179B1 (ko) * 2018-05-14 2019-01-22 주식회사 유버스 고강도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038406B1 (ko) 2019-05-27 2019-10-30 김종옥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797A (ko) * 2010-11-11 2012-05-21 (주) 캐어콘 마이크로캡슐 혼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7399A (ko) * 2015-09-25 2017-04-04 삼중씨엠텍(주) 자기치유 기능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코팅제 시공방법
KR101931109B1 (ko) * 2017-10-13 2018-12-20 한국원자력연구원 유무기 혼성 졸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균열대응 자기밀봉 콘크리트
KR101941179B1 (ko) * 2018-05-14 2019-01-22 주식회사 유버스 고강도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공법
KR102038406B1 (ko) 2019-05-27 2019-10-30 김종옥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520B1 (ko) * 2021-01-08 2021-07-26 강상수 부착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공법
KR102525839B1 (ko) * 2022-01-12 2023-04-27 주식회사 공정 교면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하는 교면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160B1 (ko) 친환경 표면 보호 마감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마감 방법
KR101637987B1 (ko)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KR10179193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처리용 친환경 신소재 보호도막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7057B1 (ko) 고내구성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에폭시계 방수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도장공법
KR1019638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복합 중층막 보수공법
CN104017469B (zh) 无机鳞片水性环氧树脂涂料
KR101736146B1 (ko)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21820B1 (ko) 마이크로캡슐을 적용한 코팅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방법
KR1010627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방식 기능을 가지고 있는 침투형 보호코팅제 및 그 시공방법
KR102248278B1 (ko) 철 및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90990B1 (ko) 탄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54450B1 (ko) 축중합 스마트 세라믹계 도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또는 강구조물의 표면처리방법
KR101798953B1 (ko) 방수 방식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2435289B1 (ko) 친환경 무기계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보수방법
KR102461905B1 (ko) 분말형 탄성 도포방수재, 이를 이용한 방수처리방법 및 방수처리층
KR10183741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0632089B1 (ko) 에폭시를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 보수제 조성물과 이를적용하는 공법
KR101325558B1 (ko) 폴리머 시멘트 및 아크릴 코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551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용 모르타르를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CN104005478A (zh) 一种建筑室内墙体的背水面防潮抗渗结构
KR101862010B1 (ko) 중성화 및 염해 방지 성능을 향상시킨 친환경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재 구조물의 표면 코팅 공법
JP2011020891A (ja) コンクリートの防食方法及びこのコンクリートの防食方法により得られるコンクリート構造
KR100696987B1 (ko) 보수용 방청 몰탈 조성물
KR102281637B1 (ko) 콘크리트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