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881B1 -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881B1
KR101105881B1 KR1020110086745A KR20110086745A KR101105881B1 KR 101105881 B1 KR101105881 B1 KR 101105881B1 KR 1020110086745 A KR1020110086745 A KR 1020110086745A KR 20110086745 A KR20110086745 A KR 20110086745A KR 101105881 B1 KR101105881 B1 KR 101105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layer
coating
parts
formwor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재 거푸집의 표면에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목재 거푸집 판넬 표면을 코팅하고, 코팅재가 목재 거푸집 내부까지 함침되어 목재 거푸집 판넬의 내부에 함침된 코팅재가 목재 거푸집 판넬 표면의 코팅층을 일체로 합성되어 코팅층의 박리를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은 콘크리트의 타설면을 형성하는 타설판(11)과; 상기 타설판의 타설면에 막의 형태로 형성되는 코팅층(12)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코팅재가 상기 타설판(11)의 타설면에 도포를 통해 내부에 함침되면서 표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제조 방법은,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재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재를 목재 거푸집의 타설면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코팅재를 도포하면서 상기 타설면의 반대쪽에서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코팅재가 상기 목재 거푸집의 내부에 함침되면서 타설면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제조된 목재 거푸집을 건조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WOOD MOLD HAVING COATING-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목재 거푸집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거푸집의 표면에 콘크리트가 고착되지 않도록 목재 거푸집 판넬 표면을 코팅하고, 코팅재가 목재 거푸집 내부까지 함침되어 목재 거푸집 판넬의 내부에 함침된 코팅재가 목재 거푸집 판넬 표면의 코팅층을 일체로 합성되어 코팅층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의 공사시 벽체, 기둥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축물은, 내부 공간이 상기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 즉 거푸집을 먼저 만든 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구축물의 형성은 콘크리트 양생용 주형인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위 거푸집 판넬은 콘크리트 표면과 밀착되는 합판과 합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합판을 보강하여 주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종래에는 상기 합판 외에 상기 프레임까지도 각목과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 목재 거푸집 판넬이 주로 사용 되어 왔으나, 상기 목재 거푸집 판넬은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할 때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짧기 때문에 근래에는 상기 목재 프레임을 철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대체한 금속 거푸집 판넬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 판넬을 구성하는 합판까지 철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대체할 경우에는 그 중량이 과다하게 되어 사람이 다루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푸집 판넬의 판재로는 여전히 상기 합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합판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판넬은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하여야 하고, 양생된 콘크리트 구축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매끄럽게 양생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목재인 합판은 그 특성상 수분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과정 중에서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표면을 거칠게 만들게 되고, 양생 중인 콘크리트가 매끄럽지 못한 합판 표면에 결합되므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 판넬의 분리시 합판 표면에 결합된 콘크리트가 합판과 함께 콘크리트 구축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양생된 콘크리트 구축물의 표면은 더욱 거칠게 될 뿐 아니라, 해체된 거푸집 판넬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합판 표면에 부착된 콘크리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러움까지 초래되고,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합판 표면이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목재 합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가이며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석유피치를 합판의 표면에 코팅하여 사용하기도 했으나, 석유피치가 콘크리트 표면에 묻어나기도 하고 방수 효과도 떨어질 뿐 아니라 내구성 측면에서도 큰 효과가 없었다.
그 외에, 합판의 표면에 콘크리트 이형제를 피복시키거나, 합성수지 시트(sheet)를 부착하거나 우레탄 도료층을 형성시키기도 하였으나, 내구성에 있어서 현저한 개선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특히, 상기 우레탄 도료의 경우에는 종래의 아크릴 또는 페놀 수지도료 등에 비하여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박리성이 좋고, 콘크리트의 표면 상태가 양호하여 많이 사용되었으나, 수분을 함유한 합판에 우레탄 도료를 도포시 합판의 수분에 의해 도막 형성이 불량하게 될 수 있는, 우레탄 도막 형성의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동시에 거푸집 판넬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합판의 표면에 형성시킨 종래의 각종 피복층은 그 대부분이 합성수지를 이용한 것이었으나, 콘크리트와 접촉하게 되는 합판 표면의 코팅층은 콘크리트와의 마찰과 압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눌림과 같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가져야 하는 바, 상기 합성수지 피복층의 경우 경도가 강해질수록 취성이 증가하게 되어 거푸집을 세우거나 해체시 상기 코팅층이 쉽게 깨어질 수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8131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 판넬의 합판 표면에 피복되어 양생된 콘크리트 구축물의 표면으로부터 거푸집 판넬이 손쉽게 분리되고, 목재 거푸집 판넬의 코팅층이 박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목재 거푸집 판넬의 재활용성을 높이는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은,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코팅재가 도포 및 압착을 통해 내부에 함침되면서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제조 방법은,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재를 제조하고, 상기 코팅재를 목재 거푸집의 타설면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코팅재가 목재 거푸집 판넬의 타설면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면서 목재 거푸집 판넬의 내부에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코팅재가 타설판의 표면에 코팅됨과 아울러 목재 타설판의 내부에 함침되어 코팅층의 결속력이 증대됨에 따라 거푸집 패널의 탈형시 코팅층이 박리되지 않고 콘크리트가 코팅층 표면에 고착되지 않으므로 목재 거푸집 패널을 어려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목재 거푸집 패널을 다수회 예를 들어 10회 이상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제조 방법의 공정도.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10)은, 목재의 타설판(11)(합판 등), 타설판(11)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12)으로 구성된다. 타설판(11)과 코팅층(12)은 필수구성요소이며, 여기에 타설판(11)의 보강을 위한 보강재 등이 구성될 수 있다.
타설판(11)은 목재 거푸집 판넬(10)에서 사용되는 모든 목재가 사용 가능하다.
코팅층(12)은 코팅재의 도포, 분사 등을 통해 타설판(11)의 표면에 형성되며, 두께는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할 이유가 없다.
본 발명의 코팅층(12)을 형성하는 코팅재는, 페놀수지, 페놀 노블락(novolak)계 에폭시, 아세톤,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이산화철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상기 코팅재는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페놀 수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일 종류로서, 타설판(11)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로부터 떨어지는 특성이 있는 것이며, 75중량% 이하로 혼합되면 에폭시의 혼합량이 증가되어 타설판(11)(합판)에서 잘 떨어지지 않으며, 85중량% 이상 혼합되면 타설판(11)에 대한 접착력이 약하여 목재 거푸집 판넬의 탈형시 타설판(11)에서 박리된다.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는 페놀 수지를 타설판(11)의 표면과 내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 15중량% 이하 혼합되면 접착력이 약하여 코팅층(12)이 타설판(11)에서 박리되고 25중량% 이상 혼합되면 과도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코팅층(12)이 타설판(11)(합판)에서 떨어지지 않고 고착된다.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는 페놀 수지에 혼합되어 코팅재의 물성을 약알칼리성에서 약산성으로 산성화하며, 이에 따라 알칼리성의 콘크리트로부터 박리성이 좋아진다.
아세톤은 페놀 수지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가 균일하게 섞이도록 하는 용매로서, 페놀 수지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의 혼합물인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9~11중량부가 혼합된다. 9중량부 이하 혼합되면 페놀 수지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가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여 타설판(11)에 균일한 코팅층(12)을 형성할 수 없고 11중량부 이상 혼합되더라도 페놀 수지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의 혼합 정도에 큰 변화가 없다.
계면활성제는 코팅층(12)의 계면에 흡착하여 표면을 넓게 하며, 예를 들어 글리세린이 페놀 수지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가 혼합된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가 혼합된다. 1중량부 이하로 혼합되면 코팅층(12)의 표면을 넓게 하지 못하며 2중량부 이상 혼합되면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에 변화가 없다.
페놀 수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계면활성제는 액상 내지 겔상일 수 있다.
이산화철은 안료로서, 타설판(11)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목재 거푸집 판넬(10)의 표면을 유색으로 표현하며, 페놀 수지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가 혼합된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0중량부가 혼합된다. 0.5중량부 이하 혼합되면 색상을 표현하지 못하고 1.0중량부 이상 혼합되면 색상이 과하여 거부감을 줄 수 있다. 이산화철은 알갱이, 미분 등 다양한 입도로 사용될 수 있고, 단, 도포기를 막지 않지 않는 입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도 2참고).
1. 코팅재 제조.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재를 제조한다.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이산화철을 상기 혼합비율로 혼합한다.
2. 코팅재 도포.
타설판(11)(타설판(11) 또는 타설판(11)의 일측에 보강재 등이 결합된 상태 등)을 진공챔버에 넣고 코팅재를 일정 두께(예를 들어 1~5mm, 코팅재의 함침으로 표면에 도포된 두께가 얇아질 것이므로 이를 감안한 두께)로 도포한다.
3. 코팅층 형성.
가. 코팅재의 근적외선 복사열로 고분자 열운동을 유도한 자연 합판 침투와 강제 흡입을 통한 코팅층 및 함침층 형성.
진공챔버 내부에서 타설판(11) 표면에 도포된 코팅재를 근적외선 복사열로 고분자 열운동을 유도한 자연 합판 침투와 강제 흡입(suction) 및/또는 프레스 가압하여 코팅층(12)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타설판(11)은 다공성 테이블 위에 안착되어 코팅재가 도포되며, 상기 진공챔버는 흡입기와 밀폐 연결된다. 상기 흡입기를 가동하면 강제 흡입력에 진공챔버 내부의 공기가 타설판(11) 안의 숨구멍 등을 경유하여 흡입기로 유동하며, 이 과정에서 타설판(11) 표면에 도포된 코팅재가 타설판(11) 안의 숨구멍에 함침된다. 이때 조성된 재료는 근적외선 내부 침투복사열에 의해 나노고리를 형성하고 빠른 분자운동으로 타설판(11) 내부의 구멍에 자연 침투하도록 유도된다.
이로써, 타설판(11)의 표면에 코팅층(12)이 형성됨과 아울러 타설판(11)의 내부에 코팅재가 함침된다. 즉, 코팅재를 통해 타설판(11)과 코팅층(12)이 일체로 합성되어 목재 거푸집 판넬의 탈형시 코팅층(12)이 콘크리트 면에서 떨어질 수 있고 코팅층(12)이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나. 흡입과 프레스 가압을 통해 코팅층(12)과 함침층 형성.
코팅층(12)은 흡입과 프레스 가압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코팅재를 타설판(11) 표면에 도포한 후 프레스를 통해 타설판(11)의 표면을 약 200톤(TON)(170~220톤)에서 10~15분 가압하며 최초 프레스는 경화온도 135 ~ 150℃에서 26~33초 바람직하게 30초 동안 실시한다.
타설판(11)을 가압한 후 또는 가압과 동시에 흡입기를 가동(흡입압력은 700~800mb, 흡입시간은 10~15분이며, 상기 흡입압력과 흡입시간 범위 밖에서는 흡입이 약하여 함침을 유도하지 못하고 과다한 흡입이 일어날 수 있다)하며, 이 과정에서 코팅재가 타설판(11)의 표면에 코팅층(12)을 형성하고, 일부 코팅재가 타설판(11) 내부에 함침되어 함침층을 형성한다.
3. 건조.
코팅층(12)이 형성된 타설판(11)을 진공챔버에서 꺼내어 건조기에 넣어 건조한다. 건조기는 예를 들어 근적외선 히터가 사용되며, 45~95℃의 온도로 10~15분 1차 건조 숙성하고, 이어서 135~150℃ 5~10분간 건조 경화한다.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은 상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45~95℃ 온도 범위 밖에서는 건조 숙성 시간이 오래 걸리고 급속한 온도 변화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45~95℃ 범위에서 코팅재는 반건조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135~150℃ 5~20분간 경화한다. 상기 온도와 시간은 코팅재 재료의 특성에 따른 온도로서 이 온도 범위 밖에서는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경화시간이 길어지거나 코팅재의 변질이 유발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페놀 수지 1kg에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250g, 아세톤 125g, 이산화철 12.5g을 넣어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가로 1200mm, 세로 2400mm, 두께 12mm의 타설판 표면에 코팅재를 1.6mm로 도포하고, 코팅재가 경화되지 전에 흡입기를 통해 760mb로 13분 동안 흡입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10)은 타설판(11)의 표면에 1~1.5mm 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1의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10)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거하여 틀을 제작한 후, 이 틀 안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였다.
콘크리트의 양생 후 공지된 방법을 통해 목재 거푸집 판넬(10)을 탈형하였다. 이때, 목재 거푸집 판넬(10)의 탈형이 용이하고 목재 거푸집 판넬(10)의 타설면에 콘크리트가 묻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페놀 수지 1kg에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250g, 아세톤 125g, 글리세린 12.5g을 이산화철 12.5g을 넣어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가로 1200mm, 세로 2400mm, 두께 12mm의 타설판 표면에 코팅재를 1.6mm로 도포하고, 코팅재가 경화되지 전에 흡입압력 760mb로 13분간 흡입기를 통해 흡입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10)은 타설판(11)의 표면에 1~1.5mm 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2의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10)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거하여 틀을 제작한 후, 이 틀 안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였다.
콘크리트의 양생 후 공지된 방법을 통해 목재 거푸집 판넬(10)을 탈형하였다. 이때, 목재 거푸집 판넬(10)의 탈형이 용이하고 목재 거푸집 판넬(10)의 타설면에 콘크리트가 묻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페놀 수지 1kg에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250g, 아세톤 125g, 글리세린 12.5g, 이산화철 12.5g을 넣어 코팅재를 제조하였다.
가로 1200mm, 세로 2400mm, 두께 12mm의 타설판 표면에 코팅재를 1.6mm로 도포하고, 코팅재가 경화되지 전에 흡입압력 760mb로 13분 간 흡입기를 통해 흡입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10)은 타설판(11)의 표면에 4mm 두께의 코팅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3의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10)을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거하여 틀을 제작한 후, 이 틀 안쪽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였다.
콘크리트의 양생 후 공지된 방법을 통해 목재 거푸집 판넬(10)을 탈형하였다. 이때, 목재 거푸집 판넬(10)의 탈형이 용이하고 목재 거푸집 판넬(10)의 타설면에 콘크리트가 묻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의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10)은 이산화철에 의해 타설면이 자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실시예 1,2와 비교할 때 시각적으로 다른 심미감을 주는 차이가 있다.
10 : 목재 거푸집 판넬,
11 : 타설판, 12 : 코팅층

Claims (6)

  1. 콘크리트의 타설면을 형성하는 타설판(11)과;
    상기 타설판의 타설면에 막의 형태로 형성되는 코팅층(12)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코팅재가 상기 타설판(11)의 타설면에 도포를 통해 내부에 함침되면서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페놀수지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 계면 활성제 1~2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페놀수지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산화철 0.5~1.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4.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재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재를 목재 거푸집의 타설면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코팅재가 도포된 목재 거푸집의 타설면을 프레스하면서 상기 타설면의 반대쪽에서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코팅재가 상기 목재 거푸집의 내부에 함침되면서 타설면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제조된 목재 거푸집을 건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제조 방법.
  5. 페놀수지 75~85중량%와 페놀 노블락계 에폭시 15~25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톤 9~11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재를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코팅재를 목재 거푸집의 타설면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코팅재를 도포하면서 상기 타설면의 반대쪽에서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코팅재가 상기 목재 거푸집의 내부에 함침되면서 타설면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제조된 목재 거푸집을 건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제조 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목재 거푸집을 45~95℃의 온도로 10~15분간 근적외선의 복사열로 1차 숙성 건조하고, 상기 1차 숙성 건조된 타설판을 135~150℃의 온도로 5~10분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제조 방법.
KR1020110086745A 2011-05-09 2011-08-29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 KR101105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43340 2011-05-09
KR1020110043340 2011-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5881B1 true KR101105881B1 (ko) 2012-01-16

Family

ID=4561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745A KR101105881B1 (ko) 2011-05-09 2011-08-29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8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793B1 (ko) 2011-05-09 2013-05-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에폭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및 이 제조 방법
KR101265792B1 (ko) 2011-05-09 2013-05-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코팅막이 형성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제 거푸집 패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제 거푸집 패널
KR101721331B1 (ko) 2015-09-23 2017-03-30 현대건설주식회사 거푸집 내측면 박리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2148626B1 (ko) * 2020-02-24 2020-08-26 이장엽 판재의 성형 및 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679A (ja) 1986-12-30 1988-07-15 Kobunshi Giken Kk コンクリ−ト型枠用板の表面コ−テイング方法
KR200291754Y1 (ko) 2002-05-24 2002-10-11 신광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용 패널
KR20020091754A (ko) * 2001-05-31 2002-12-06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표시 장치용 격벽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42394A (ko) * 2003-11-03 2005-05-09 (주)폴리뱅크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KR20100109725A (ko) * 2009-04-01 2010-10-11 이학재 용제가역형 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코팅 합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679A (ja) 1986-12-30 1988-07-15 Kobunshi Giken Kk コンクリ−ト型枠用板の表面コ−テイング方法
KR20020091754A (ko) * 2001-05-31 2002-12-06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표시 장치용 격벽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291754Y1 (ko) 2002-05-24 2002-10-11 신광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용 패널
KR20050042394A (ko) * 2003-11-03 2005-05-09 (주)폴리뱅크 콘크리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부가형이형용 코팅제 조성물
KR20100109725A (ko) * 2009-04-01 2010-10-11 이학재 용제가역형 수지를 이용한 거푸집용 코팅 합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793B1 (ko) 2011-05-09 2013-05-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에폭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및 이 제조 방법
KR101265792B1 (ko) 2011-05-09 2013-05-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코팅막이 형성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제 거푸집 패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제 거푸집 패널
KR101721331B1 (ko) 2015-09-23 2017-03-30 현대건설주식회사 거푸집 내측면 박리제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2148626B1 (ko) * 2020-02-24 2020-08-26 이장엽 판재의 성형 및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793B1 (ko) 에폭시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및 이 제조 방법
KR101105881B1 (ko) 코팅층을 갖는 목재 거푸집 판넬 및 이 제조 방법
US4911969A (e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0102463A1 (zh) 一种墙体饰面砖模具及使用该模具现制墙体饰面砖的方法
CN106381763A (zh) 一种浸渍胶膜纸饰面人造板及制作方法
WO2019101149A1 (zh) 一种一体化预制泵站底座的制造工艺
US2332703A (en) Cement-fiber board
RU2685213C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с внешней мембраной
JPH0547361B2 (ko)
GB1236414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anels
JP2009172929A (ja) 長繊維板の製造方法
KR101105882B1 (ko)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제 거푸집 패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제 거푸집 패널
KR101280697B1 (ko) 주조용 목형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통해 얻어진 목형
KR20220068715A (ko) 톱밥마네킹과 그 제조방법
DK141777B (da) Fremgangsmåde ved belægning af kanterne af spån- og træfiberplader og lignende på cellulose baserede formlegemer.
CN1119234A (zh) 酚醛复膜模板及其加工方法
JP2001260103A (ja) 樹脂強化化粧板の製造方法
CN101424122B (zh) 一种超薄实木地板及其制造和安装方法
KR101265792B1 (ko) 코팅막이 형성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제 거푸집 패널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제 거푸집 패널
JP2984972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材の製造方法
JPH03136801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JPH0324904A (ja) ヒノキの強化材
JPH0780810A (ja) 軽量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01152001A (ja) 化粧合板の端面処理法
KR20090124347A (ko) 거푸집의 문양조성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