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869B1 - 압연 보열설비 - Google Patents

압연 보열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869B1
KR102157869B1 KR1020180133166A KR20180133166A KR102157869B1 KR 102157869 B1 KR102157869 B1 KR 102157869B1 KR 1020180133166 A KR1020180133166 A KR 1020180133166A KR 20180133166 A KR20180133166 A KR 20180133166A KR 102157869 B1 KR102157869 B1 KR 10215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heat insulation
cover
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293A (ko
Inventor
정창규
김여은
송길호
최석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33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869B1/ko
Priority to PCT/KR2019/008786 priority patent/WO2020091189A1/ko
Priority to CN201980072418.4A priority patent/CN112996609B/zh
Priority to EP19877729.4A priority patent/EP3858504B1/en
Priority to ES19877729T priority patent/ES2953732T3/es
Priority to AU2019371023A priority patent/AU2019371023B2/en
Publication of KR2020005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21B37/76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압연 보열설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연 보열설비는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소재의 외측을 덮어 보열하는 보열커버를 포함하고, 보열커버는 소재의 상측을 덮는 상측커버부; 소재의 측방을 덮으며 상측커버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측방커버부; 및 제1 또는 제2측방커버부를 회전시켜 제1 또는 제2측방커버부의 펼침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 보열설비{HEAT KEEPING DEVICE FOR ROLLING CONVEYING LINE}
본 발명은 이송되는 소재의 크기에 따라 보열커버의 형태를 변경하여 보열효과를 높일 수 있는 압연 보열설비에 관한 것이다.
압연을 위한 소재는 가열로에서 대략 1300 ~ 1400℃로 가열된 후 조압연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처럼 가열된 소재는 조압연공정을 거치면서 냉각수나 대기의 영향으로 대략 온도가 900 ~ 1100℃로 하락하고, 길이가 늘어 나면서 길이방향의 온도편차가 생긴다.
조압연공정을 거친 소재는 대략 100여미터의 이송라인(롤러테이블)을 따라 마무리압연공정으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소재는 공냉에 의해 추가적인 온도하락이 발생한다. 마무리압연공정에서 압연시점을 기준으로 소재 선단부와 후단부의 온도편차는 더욱 커진다. 마무리압연공정에서 선단부가 압연되는 시점과 후단부가 압연되는 시점의 시간차는 수십초에 이른다. 따라서, 소재의 후단부가 압연될 때 온도는 선단부가 압연될 때 온도에 비하여 대략 50℃ 하락한다. 압연시점에서 소재의 후단부 온도가 이처럼 과도하게 하락하면, 압연제품의 재질이 불균일해지거나 꼬임이 생길 수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연 이송라인에는 보열커버로 이송되는 소재의 외측을 덮어 소재를 보열하는 보열설비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열설비에서 보열커버는 이송되는 소재를 보열해 소재 후단부의 온도 하락을 줄인다.
하지만, 이러한 보열설비는 보열커버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송되는 소재의 폭이나 두께가 변할 경우 보열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송되는 소재의 크기에 따라 보열커버의 형태를 변경하여 보열효과를 높일 수 있는 압연 보열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반사패널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반사패널의 열변형을 허용하여 반사패널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 보열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소재의 외측을 덮어 보열하는 보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열커버는 소재의 상측을 덮는 상측커버부; 소재의 측방을 덮으며 상기 상측커버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측방커버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측방커버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또는 제2측방커버부의 펼침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측커버부는 상측프레임과, 상기 상측프레임에 완충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널지지장치와, 상기 패널지지장치에 교체 및 열변형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반사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측방커버부는 상기 상측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측방프레임과, 상기 측방프레임에 지지되는 측방반사패널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열커버는 상기 상측커버부, 상기 제1 및 제2측방커버부의 단면구조가 원호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패널지지장치는 상기 상부반사패널을 수용하며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의 패널프레임; 상기 패널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둘레를 지지하며,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열변형을 허용하는 복수의 결속부재; 및 상기 패널프레임을 상기 상측프레임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완충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지지장치는 상기 패널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소재의 충돌로부터 상기 상부반사패널을 보호하는 충돌범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범퍼는 상기 패널프레임의 하방으로 돌출하고,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패널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널프레임은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장착 및 열변형을 위해 상기 상부반사패널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측면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속부재는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둘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과, 결합홈으로부터 밴딩상태로 연장되어 상기 패널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폭방향 변형을 허용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완충연결부재는 한쪽이 상기 패널프레임의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상측프레임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프레임은 상기 패널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측방프레임은 원호형으로 밴딩되고, 상기 측방반사패널은 반사면이 내곡면을 형성하도록 밴딩된 상태에서 상기 측방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측방커버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2측방커버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연 보열설비 상부반사패널과 측방반사패널이 방사율이 낮고 반사율이 높은 소재에 의해 마련되어 소재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에너지의 대부분을 소재 쪽으로 신속히 반사시킬 수 있고, 보열커버의 단면구조가 원호형태를 이루어 반사되는 에너지를 소재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소재의 보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연 보열설비는 이송되는 소재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측방커버부와 제2측방커버부를 접거나 펼치는 방식으로 보열커버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의 보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연 보열설비는 이송되는 소재가 보열커버의 하면에 충돌하더라도 충돌범퍼가 상부반사패널을 보호할 수 있고, 복수의 완충연결부재가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보열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연 보열설비는 상부반사패널이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결속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패널프레임의 측면슬롯이 상부반사패널의 폭방향 열변형을 허용하기 때문에 상부반사패널의 열변형(폭방향 신장)에도 불구하고 상부반사패널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연 보열설비는 상부반사패널이 패널프레임의 측면슬롯을 통해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복수의 결속부재를 탄성 변형시켜 쉽게 결속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반사패널의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가 적용된 압연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의 보열커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의 정면도로, 제1 및 제2측방커버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의 정면도로, 제1 및 제2측방커버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의 보열커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의 제1패널지지장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의 제1패널지지장치를 상부에서 내려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의 제1패널지지장치를 하부에서 올려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의 제2패널지지장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열설비가 적용된 압연설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연설비는 압연을 위한 소재를 가열하는 가열로(10), 가열로(10)에서 가열된 소재(20)를 압연하는 조압연기(30), 조압연을 거친 소재(20)를 압연하는 마무리압연기(40), 소재(20)를 가열로(10)로부터 조압연기(30)로 이송하고 또 조압연기(30)로부터 마무리압연기(40)로 이송하는 이송라인(50, 롤러테이블)을 포함한다.
보열설비(100)는 조압연기(30)와 마무리압연기(40) 사이 이송라인(50)에 설치될 수 있다. 보열설비(100)는 조압연기(30)를 거쳐 마무리압연기(40)로 이송되는 소재(20) 외측을 덮어 이송과정에서 소재(20)의 온도가 과도하게 하락하는 방지한다. 마무리압연기(40)로 진입하는 소재(20)의 온도 하락을 줄여 소재(20) 후단부 쪽 압연이 마무리압연기(40)에서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는 보열설비(100)가 조압연기(30)와 마무리압연기(40) 사이의 이송라인(50)에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보열설비(100)의 설치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열설비(100)는 소재(20)의 온도 하락 방지를 위해 압연설비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보열설비의 보열커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보열설비의 정면도로, 제1 및 제2측방커버부가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보열커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보열설비(100)는 이송라인(5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송라인(50)을 따라 이송되는 소재(20)의 외측을 덮어 보열하는 보열커버(101)와, 보열커버(101)를 승강시키며 필요시 보열커버(101)를 개방할 수 있는 개폐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열커버(101)는 소재(20)의 상측부분을 덮는 상측커버부(110), 소재(20)의 양 측방을 덮을 수 있도록 상측커버부(11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측방커버부(120)와 제2측방커버부(130), 제1측방커버부(120)를 회전시켜 제1측방커버부(120)의 펼침을 조절하는 제1구동부(140), 제2측방커버부(130)를 회전시켜 제2측방커버부(130)의 펼침을 조절하는 제2구동부(150)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측커버부(110), 제1 및 제2측방커버부(120,130)는 각각의 단면구조가 원호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보열커버(101)는 상측커버부(110), 제1측방커버부(120), 제2측방커버부(13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단면구조가 원호형인 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터널형 보열커버(101)는 소재(20)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에너지를 소재(20) 쪽으로 재 반사시킴으로써 소재(20)의 보열효과를 높여 줄 수 있다.
제1측방커버부(120)와 제2측방커버부(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소재(20)가 이송될 경우 양측으로 펼쳐져 보열영역을 넓힐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소재(20a)가 이송될 경우 안쪽으로 접히도록 회전하여 보열영역을 좁힐 수 있다. 즉 이송되는 소재(20,20a)의 크기에 대응하여 보열커버(101)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소재(20,20a)의 보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1 및 제2측방커버부(120,130)가 접힐 때는 상측커버부(110)가 상승하고, 제1 및 제2측방커버부(120,130)가 펼쳐질 때는 상측커버부(110)가 하강할 수 있다.
제1 및 제2구동부(140,150)는 한쪽이 상측커버부(11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제1 또는 제2측방커버부(120,130)에 연결되며, 신축에 의해 제1 또는 제2측방커버부(120,130)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측방커버부(120)와 제2측방커버부(130)를 각각 구동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제1구동부(140)와 제2구동부(150)를 제시하였으나, 제1측방커버부(120)와 제2측방커버부(130)는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커버부(110) 위에 설치된 하나의 구동부로부터 제1 및 제2측방커버부(120,130) 쪽으로 동력을 전달해 제1 및 제2측방커버부(120,130)가 동시에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상측커버부(110)는 원호형의 상측프레임(111), 상측프레임(111) 하부에 완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패널지지장치(160)와 제2패널지지장치(170), 제1 및 제2패널지지장치(160,170)에 교체 및 열변형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상부반사패널(181)과 제2상부반사패널(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방커버부(120)와 제2측방커버부(130)는 상측프레임(11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원호형의 측방프레임(121,131)과, 측방프레임(121,131) 하부에 결합되는 측방반사패널(183)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측프레임(11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소재(20)의 이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측프레임들(1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112)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측방프레임(121,131)도 상측프레임(111)과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소재(20)의 이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연결프레임(122)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측방커버부(120,130)의 측방프레임(121,131)은 한쪽 단부가 상측프레임(11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측프레임(111) 하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로부터 측방으로 제1패널지지장치(160)와 제2패널지지장치(17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제1 및 제2패널지지장치(160,170)는 같은 방식으로 보열커버(101)의 길이방향으로도 연속하여 설치된다. 도 5는 보열커버(101)의 한쪽 편만을 도시하였으나, 제1 및 제2패널지지장치(160,170)는 보열커버(101)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패널지지장치(160)는 제1상부반사패널(181)을 수용하며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의 패널프레임(161), 패널프레임(161)에 설치되어 제1상부반사패널(181)의 둘레를 지지하며 탄성변형에 의해 제1상부반사패널(181)의 열변형을 허용하는 복수의 결속부재(162), 패널프레임(161)을 상측프레임(111)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완충연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반사패널(181)은 패널프레임(161)에 수용될 수 있도록 패널프레임(161)보다 작은 사각의 패널형태일 수 있다. 제1상부반사패널(181)은 복사에너지의 방사율이 매우 낮아 복사에너지의 대부분을 반사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산화아연,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소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패널프레임(161)은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부반사패널(181)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측면슬롯(164)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는 패널프레임(161)의 네 측면 모두에 각각 측면슬롯(164)이 형성된 경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측면슬롯(164)은 제1상부반사패널(181)을 패널프레임(161)의 측방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제1상부반사패널(181)이 열변형에 의해 폭방향으로 신장할 때 변형을 수용해 제1상부반사패널(181)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결속부재(16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부반사패널(181)의 둘레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패널프레임(161)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각 결속부재(162)는 판스프링의 절곡 성형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각 결속부재(162)는 제1상부반사패널(181)의 둘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62a)과, 결합홈(162a)으로부터 밴딩상태로 연장되어 패널프레임(161)에 고정되며 제1상부반사패널(181)의 폭방향 변형을 허용하는 탄성변형부(1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반사패널(181)의 둘레는 복수의 결속부재(16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패널프레임(161)과 이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완충연결부재(163)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이 패널프레임(161)의 모서리부 상측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쪽이 상측프레임(111)에 각각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여기서는 코일스프링을 예시하였으나 복수의 완충연결부재(163)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스프링일 수도 있다.
도 6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패널지지장치(160)는 패널프레임(161)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재(20)의 충돌로부터 제1상부반사패널(181)을 보호하는 충돌범퍼(165)를 포함할 수 있다. 충돌범퍼(165)는 패널프레임(161)의 하방으로 돌출하고, 소재(2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양단이 패널프레임(161)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패널프레임(161)은 패널프레임(161)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보강부(166a,166b)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66a,166b)는 소재(20)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패널프레임(161)을 횡단하여 연결함으로써 패널프레임(161)을 보강할 수 있다.
도 5와 도 9를 참조하면, 제2패널지지장치(170)도 제1패널지지장치(160)와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패널지지장치(170)도 제2상부반사패널(182)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사각의 패널프레임(171), 복수의 결속부재(172), 복수의 완충연결부재(173), 충돌범퍼(17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패널지지장치(170)는 원호형 상측프레임(111)의 곡률에 대응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갈수록 패널프레임(171)의 두께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제2상부반사패널(182)도 제1상부반사패널(181)과 동일한 소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고, 패널프레임(171)에 제1상부반사패널(181)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측방커버부(120,130)에 설치되는 측방반사패널(183)은 반사면이 내곡면을 형성하도록 밴딩된 상태에서 측방프레임(121,131)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측방커버부(120,130)는 소재(20)와의 충돌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측방반사패널(183)이 고정나사 체결 등에 의해 측방프레임(121,131)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측방반사패널(183)도 제1 및 제2상부반사패널(181,182)과 동일한 소재에 의해 마련될 수 있고, 고정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되므로 필요 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보열커버(101)는 다수의 제1 및 제2상부반사패널(181,182)과 다수의 측방반사패널(183)이 방사율이 낮고 반사율이 높은 소재에 의해 마련되어 소재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에너지의 대부분을 소재 쪽으로 신속히 반사시킬 수 있다. 또 보열커버(101)는 단면구조가 원호형태를 이루어 반사되는 에너지를 소재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소재(20)의 보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보열설비(100)는 이송되는 소재(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측방커버부(120)와 제2측방커버부(130)를 접거나 펼치는 방식으로 보열커버(101)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재(20)의 보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보열설비(100)는 이송되는 소재(20)가 보열커버(101)의 하면에 충돌하더라도 충돌범퍼(165,175)가 제1 및 제2상부반사패널(181,182)을 보호할 수 있고, 복수의 완충연결부재(163,173)가 충격을 흡수해 보열커버(10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보열설비(100)는 제1 및 제2상부반사패널(181,182)이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결속부재(162,172)에 의해 지지되고, 패널프레임(161,171)의 측면슬롯(164,174)이 제1 및 제2상부반사패널(181,182)의 폭방향 열변형을 허용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상부반사패널(181,182)의 열변형(폭방향 신장)에도 불구하고 제1 및 제2상부반사패널(181,182)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보열설비(100)는 제1 또는 제2상부반사패널(181,182)이 패널프레임(161,171)의 측면슬롯(164,174)을 통해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복수의 결속부재(162,172)를 탄성 변형시켜 쉽게 결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상부반사패널(181,182)의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10: 가열로, 20: 소재,
30: 조압연기, 40: 마무리압연기,
50: 이송라인, 100: 보열설비,
101: 보열커버, 102: 개폐장치,
110: 상측커버부, 111: 상측프레임,
120: 제1측방커버부, 121,131: 측방프레임,
130: 제2측방커버부, 140: 제1구동부,
150: 제2구동부, 160: 제1패널지지장치,
161,171: 패널프레임, 162,172: 결속부재,
163,173: 완충연결부재, 164,174: 측면슬롯,
165,175: 충돌범퍼, 170: 제2패널지지장치,
181: 제1상부반사패널, 182: 제2상부반사패널,
183: 측방반사패널.

Claims (12)

  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소재의 외측을 덮어 보열하는 보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보열커버는,
    소재의 상측을 덮는 상측커버부;
    소재의 측방을 덮으며 상기 상측커버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측방커버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측방커버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또는 제2측방커버부의 펼침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커버부는 상측프레임과, 상기 상측프레임에 완충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널지지장치와, 상기 패널지지장치에 교체 및 열변형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반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지지장치는,
    상기 상부반사패널을 수용하며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의 패널프레임;
    상기 패널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둘레를 지지하며,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열변형을 허용하는 복수의 결속부재; 및
    상기 패널프레임을 상기 상측프레임에 완충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완충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측방커버부는 상기 상측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측방프레임과, 상기 측방프레임에 지지되는 측방반사패널을 각각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열커버는 상기 상측커버부, 상기 제1 및 제2측방커버부의 단면구조가 원호형으로 마련되는 압연 보열설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지지장치는 상기 패널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소재의 충돌로부터 상기 상부반사패널을 보호하는 충돌범퍼를 더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범퍼는 상기 패널프레임의 하방으로 돌출하고, 소재의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패널프레임에 고정되는 압연 보열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프레임은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장착 및 열변형을 위해 상기 상부반사패널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측면슬롯을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부재는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둘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과, 결합홈으로부터 밴딩상태로 연장되어 상기 패널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반사패널의 폭방향 변형을 허용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완충연결부재는 한쪽이 상기 패널프레임의 모서리부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상측프레임에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프레임은 상기 패널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측방프레임은 원호형으로 밴딩되고,
    상기 측방반사패널은 반사면이 내곡면을 형성하도록 밴딩된 상태에서 상기 측방프레임에 고정되는 압연 보열설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측방커버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2측방커버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KR1020180133166A 2018-11-01 2018-11-01 압연 보열설비 KR102157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166A KR102157869B1 (ko) 2018-11-01 2018-11-01 압연 보열설비
PCT/KR2019/008786 WO2020091189A1 (ko) 2018-11-01 2019-07-16 압연 보열설비
CN201980072418.4A CN112996609B (zh) 2018-11-01 2019-07-16 轧制保热装置
EP19877729.4A EP3858504B1 (en) 2018-11-01 2019-07-16 Heat-retaining rolling equipment
ES19877729T ES2953732T3 (es) 2018-11-01 2019-07-16 Equipo de laminado con retención de calor
AU2019371023A AU2019371023B2 (en) 2018-11-01 2019-07-16 Heat-retaining rolling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166A KR102157869B1 (ko) 2018-11-01 2018-11-01 압연 보열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93A KR20200050293A (ko) 2020-05-11
KR102157869B1 true KR102157869B1 (ko) 2020-09-21

Family

ID=7046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66A KR102157869B1 (ko) 2018-11-01 2018-11-01 압연 보열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858504B1 (ko)
KR (1) KR102157869B1 (ko)
CN (1) CN112996609B (ko)
AU (1) AU2019371023B2 (ko)
ES (1) ES2953732T3 (ko)
WO (1) WO202009118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411A (ja) * 1999-02-03 2000-08-15 Sumitomo Metal Ind Ltd 被加熱材の保温部材および保温装置
KR100775487B1 (ko) 2001-12-05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대기재 보열 및 예열장치
KR101568612B1 (ko) * 2014-09-26 2015-11-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서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330Y2 (ko) * 1978-05-19 1982-03-17
EP0042656B1 (en) * 1978-11-07 1984-08-08 Encomech Engineering Services Limited Heat shield arrangements
BE893565A (fr) * 1982-06-18 1982-10-18 Cockerill Sambre Sa Tunnel thermique pour bancs de rouleaux de transfert de laminoirs
DE3508060C1 (de) * 1985-03-07 1986-02-27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Wärmehauben für Warmbandwalzstraßen
FR2607036B1 (fr) * 1986-11-24 1992-07-03 Usinor Aciers Tunnel amovible de maintien en temperature d'un produit lamine a chaud dans un train de laminage continu
JPH0289515A (ja) * 1988-09-26 1990-03-29 Sumitomo Metal Ind Ltd 高温鋼材用保温カバー
KR910006321Y1 (ko) * 1989-11-15 1991-08-2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딜레이 테이블(Delay Table)에 설치한 스트립(Strip)의 방풍보열 장치
EP1452245B1 (en) * 1997-11-26 2006-03-22 Ishikawajima-Harima Heavy Industries Co., Ltd. A hot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KR200301639Y1 (ko) * 1998-12-23 2003-04-08 주식회사 포스코 보열커버내열판의변형방지구조
IT1400003B1 (it) * 2010-05-18 2013-05-09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colata continua e relativo procedimento
KR200462426Y1 (ko) * 2010-12-09 2012-09-10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결로 방지막 설비
KR101424429B1 (ko) * 2012-10-29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411A (ja) * 1999-02-03 2000-08-15 Sumitomo Metal Ind Ltd 被加熱材の保温部材および保温装置
KR100775487B1 (ko) 2001-12-05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대기재 보열 및 예열장치
KR101568612B1 (ko) * 2014-09-26 2015-11-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 서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93A (ko) 2020-05-11
CN112996609B (zh) 2023-11-24
ES2953732T3 (es) 2023-11-15
AU2019371023B2 (en) 2022-10-13
EP3858504B1 (en) 2023-06-07
EP3858504A1 (en) 2021-08-04
WO2020091189A1 (ko) 2020-05-07
CN112996609A (zh) 2021-06-18
EP3858504A4 (en) 2021-11-03
AU2019371023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9000B1 (en) Heat shields for rolling mills
US2736140A (en) black
US8789392B2 (en) Apparatus for shaping glass and methods
KR102157869B1 (ko) 압연 보열설비
WO2008000282A1 (en) Protective device for a solar panel collector
US4343168A (en) Heat shield arrangements for a rolling mill
CN102324625B (zh) 射电望远镜主动反射面结构
CN109937192A (zh) 在骨架和反骨架之间通过重力弯曲玻璃
JPS62265138A (ja) ガラス板を付形する型および方法
EP0677337B1 (en) Heat shields for roller tables
RU2720334C1 (ru) Закалочная рам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закалки стеклянных панелей
KR20160029873A (ko) 판재 성형을 위한 가열 형상적응 가능한 개방형 가열시스템
KR102249972B1 (ko) 반사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 보열설비
RU2693987C1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A2465290A1 (en) Furnace doors for coiler furnaces
ES2248740T3 (es) Caja de bobina, que esta dispuesta entre trenes de laminacion previos y de acabado.
ITTO20130621A1 (it) Struttura di uno specchio concentratore di energia solare.
CA2024659C (en) Method of reducing windshield residual stresses
ES2320987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hoja de puerta de chapa de metal asi como de la correspondiente hoja de puerta.
KR19980027979U (ko) 조질압연용 워크롤 가열장치
KR20200070939A (ko) 롤러테이블 하부보열장치
EP0857523B1 (en) Method and means of temperature control
JPH0213527Y2 (ko)
KR20190046075A (ko) 압연 이송라인의 보열설비
KR100339584B1 (ko) 냉장고 인너케이스용 진공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