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974B1 - 신체균형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신체균형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974B1
KR102156974B1 KR1020180125232A KR20180125232A KR102156974B1 KR 102156974 B1 KR102156974 B1 KR 102156974B1 KR 1020180125232 A KR1020180125232 A KR 1020180125232A KR 20180125232 A KR20180125232 A KR 20180125232A KR 102156974 B1 KR102156974 B1 KR 102156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balance
scaffolding
inclination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452A (ko
Inventor
김관명
가파스 말리카
Original Assignee
이정우
문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문양규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180125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974B1/ko
Priority to US17/053,618 priority patent/US11413503B2/en
Priority to EP19873948.4A priority patent/EP3868449B1/en
Priority to PCT/KR2019/013665 priority patent/WO2020080852A1/ko
Priority to CN201980028422.0A priority patent/CN112020382B/zh
Priority to JP2021506606A priority patent/JP7089111B2/ja
Publication of KR20200044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체균형 보조기구는 지면에 배치되는 지지부; 일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판부; 및 일단이 상기 발판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발판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도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균형 보조기구에 의하면, 경사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발판부와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발판부의 경사도에 따라 신체 균형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판프레임의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어, 경사도를 가지는 발판부 상에 발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더불어 발판부와 지지부 및 경사도조절부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평면형으로 절첩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어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이 용이하고, 공간활용도가 높다.

Description

신체균형 보조기구{Assisting apparatus for balancing the body}
본 발명은 신체균형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 균형운동을 통하여 근력, 유연성, 자세교정 등의 신체조정능력을 향상시켜 건강을 증진시키는 신체균형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체지방의 산화를 위한 유산소운동, 근력을 강화시키는 근력트레이닝 또는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신체불균형을 해소하는 신체균형운동 등이 있다. 상기한 운동 중 신체균형운동은, 신체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신체의 평균감각을 잡아주고 근력, 유연성, 자세교정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는 운동으로, 평균대를 이용하여 양팔을 벌리고 하나의 다리로 균형을 잡거나, 짐볼과 같은 물렁한 기구에 앉아 중심을 잡는 방법 또는 경사진 발판을 딛고 자세를 유지하는 운동방법 등이 있다.
종래의 신체균형 보조기구에 관한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63120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신체균형 보조기구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굴절부재를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하여 신체의 평형감각을 단련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되지 않은 경사각도를 형성시킴으로써 운동 중 낙상으로 인한 위험성이 있으며, 다양한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어려워 사용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시에 실내에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원룸, 오피스텔과 같이 좁은 집에서 보관하기에는 공간에 제약을 미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효율이 높고, 보관이 용이한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체균형 보조기구는 지면에 배치되는 지지부; 일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발판부; 및 일단이 상기 발판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발판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도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이 상기 발판부의 일단 중심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도조절부는, 타단 양측에 원통형상의 한 쌍의 걸림편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에 결합되며 곡면으로 형성되는 발판프레임과, 상기 발판프레임의 일측 상면에 상기 발판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프레임은, 상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균형 보조기구에 의하면, 경사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발판부와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발판부의 경사도에 따라 신체 균형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판프레임의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어, 경사도를 가지는 발판부 상에 발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더불어 발판부와 지지부 및 경사도조절부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평면형으로 절첩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어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이 용이하고, 공간활용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균형 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신체균형 보조기구의 발판부와 지지부 사이의 각도가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절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절첩시키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복수개 절첩시켜 보관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균형 보조기구(10)는 지지부(100), 발판부(200), 경사도조절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100)는 지지프레임(110)과 한 쌍의 지지블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직육면체 판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일단이 후술(後述) 할 발판부(20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부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폭은 상기 발판부(200)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판부(200)의 중심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블럭(1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타측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지지블럭(12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타측 양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블럭(120)의 폭 및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폭을 합한 크기와 상기 발판부(200)의 폭의 크기는 서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블럭(120)은 후술(後述)할 경사도조절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걸림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21)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부(200)는 상면에 발이 배치되어 발로 딛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지지부(10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발판부(200)는 회동바(210), 발판프레임(220), 걸림턱(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바(210)는 상기 지지부(10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즉 상기 회동바(210)의 중심부에 상기 지지부(10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회동바(210)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10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바(210)의 중심부에 상기 지지부(10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프레임(220)은 발을 지지하는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바(2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발판프레임(220)은 상기 회동바(210)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100)와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발판프레임(220)은 중심부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발판프레임(220)은 회동함으로써,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사진 곡면의 상기 발판프레임(220)의 상면에 서서 신체균형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판프레임(220)은 미끄럼방지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1)는 복수개의 돌기(222)가 형성되며, 상기 발판프레임(220)의 상면에 구비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미끄럼방지부(221)의 상면에 발을 딛고 신체균형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21)는 상기 발판프레임(220)의 상면에 상기 발판프레임(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발판프레임(220)에 사용자의 발이 배치되었을 때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돌기(222)를 통하여 발에 지압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걸림턱(230)은 발이 상기 걸림턱(230)에 의하여 지지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발판프레임(220)의 일측 상면에 돌출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걸림턱(230)은 삼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판프레임(220)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발판프레임(220)의 상면을 딛고 신체균형운동을 수행할 시, 발이 상기 발판프레임(220)의 외측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신체균형을 단련시킬 수 있다.
상기 경사도조절부(300)는 상기 발판부(200)와 상기 지지부(1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발판부(20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경사도조절부(300)는 타단이 상기 지지부(100)에 지지되어 상기 발판부(200)와 상기 지지부(1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도조절부(300)의 타단이 상기 지지부(100)에 지지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발판부(200)의 경사도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경사도조절부(300)는, 한 쌍의 걸림편(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걸림편(310)은 상기 경사도조절부(300)의 타단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편(310)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지지블럭(120)의 상기 걸림홈(121)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걸림편(310)은 상기 걸림홈(121)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310)이 상기 걸림홈(121)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경사도조절부(300)의 타단이 상기 지지부(100)에 지지되어 상기 발판부(20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편(3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부(10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121)이 상기 지지블럭(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편(310)이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12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발판부(200)의 경사도를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경사도조절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발판부(200)와 상기 지지부(100) 사이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상기 발판부(200)의 경사도에 따라 신체 균형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체균형 보조기구(10)는 상기 지지부(100), 상기 발판부(200) 및 상기 경사도조절부(300)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평면형으로 절첩하여 보관이 용이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신체균형 보조기구(10)를 평면형으로 절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살펴보자. 도 4의 (a)는, 상기 발판부(20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도록 배치시킨 상태인 것으로, 상향경사진 상기 발판부(200)의 상면에 발을 딛어 신체균형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블럭(120)을 상기 지지프레임(110) 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양측으로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블럭(120)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121)이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도조절부(300)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100)의 하측으로 배치시킨다. 상기 경사도조절부(300)가 상기 지지부(100)의 하측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걸림편(310)이 상기 한 쌍의 걸림홈(121)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도조절부(300)를 회동시켜 상기 걸림편(310)이 상기 걸림홈(121) 내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신체균형 보조기구(10)가 평면형으로 안정적이게 절첩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판부(200)가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100)가 상기 발판부(200)의 하측으로 배치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체균형 보조기구(10)가 평면형으로 절첩가능하여 복수개의 상기 신체균형 보조기구(10)를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한편, 상기 회동바(210)는 상기 걸림홈(121)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신체균형 보조기구(10a)의 걸림홈(121)에 다른 하나의 신체균형 보조기구(10b)의 상기 회동바(210)를 안착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신체균형 보조기구(10a)을 절첩한 상태에서 상호 결합이 가능하다. 즉 상기 복수개의 신체균형 보조기구(10a,10b)를 서로 결합시켜 절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균형 보조기구에 의하면, 경사도조절부를 이용하여 발판부와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발판부의 경사도에 따라 신체 균형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판프레임의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되어, 경사도를 가지는 발판부 상에 발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더불어 발판부와 지지부 및 경사도조절부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평면형으로 절첩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어 신체균형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이 용이하고, 공간활용도가 높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신체균형 보조기구 100 : 지지부
110 : 지지프레임 120 : 지지블럭
121 : 걸림홈 200 : 발판부
210 : 회동바 220 : 발판프레임
221 : 미끄럼방지부 222 : 돌기
230 : 걸림턱 300 : 경사도조절부
310 : 걸림편

Claims (5)

  1. 지면에 배치된 직육면체 판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반원통형상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블럭으로 구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바와, 상기 지지프레임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고 중심부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에 결합되는 발판프레임과, 상기 발판프레임의 상면에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발판부; 및
    중심부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전단이 상기 발판프레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후단 양측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걸림편이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발판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상기 발판부 및 상기 경사도조절부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미사용 시 평면형으로 접철하여 길이 및 높이를 줄임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 상기 발판부 및 상기 경사도조절부를 접철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므로 접철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균형 보조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5232A 2018-10-19 2018-10-19 신체균형 보조기구 KR102156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232A KR102156974B1 (ko) 2018-10-19 2018-10-19 신체균형 보조기구
US17/053,618 US11413503B2 (en) 2018-10-19 2019-10-17 Apparatus aiding body balance
EP19873948.4A EP3868449B1 (en) 2018-10-19 2019-10-17 Apparatus aiding body balance
PCT/KR2019/013665 WO2020080852A1 (ko) 2018-10-19 2019-10-17 신체균형 보조기구
CN201980028422.0A CN112020382B (zh) 2018-10-19 2019-10-17 身体平衡辅助器具
JP2021506606A JP7089111B2 (ja) 2018-10-19 2019-10-17 身体均衡補助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232A KR102156974B1 (ko) 2018-10-19 2018-10-19 신체균형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452A KR20200044452A (ko) 2020-04-29
KR102156974B1 true KR102156974B1 (ko) 2020-09-16

Family

ID=7028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232A KR102156974B1 (ko) 2018-10-19 2018-10-19 신체균형 보조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13503B2 (ko)
EP (1) EP3868449B1 (ko)
JP (1) JP7089111B2 (ko)
KR (1) KR102156974B1 (ko)
CN (1) CN112020382B (ko)
WO (1) WO20200808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076A (ko) 2021-04-14 2022-10-21 문양규 신체 균형 보조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4865S1 (en) * 2020-08-21 2022-06-14 Michael Tartell Exercise platform
GB2617535A (en) * 2021-12-09 2023-10-18 Okine Reginald Exercise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480A (ja) * 2000-05-08 2001-11-13 Kunio Kaminaga 足踏み指圧具
KR101556951B1 (ko) * 2015-03-04 2015-10-05 박영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7320A (en) * 1963-09-10 1967-01-10 Anarel Inc Device for stretch exercising muscles
US3401931A (en) * 1965-09-13 1968-09-17 George R. Mccafferty Adjustable starting block
DE2004031C3 (de) * 1970-01-29 1974-12-12 Gebrueder Junghans Gmbh, 7230 Schramberg Startblock für Laufwettbewerbe
US4111416A (en) * 1977-06-06 1978-09-05 Jinotti Walter J Exerciser
US4422635A (en) * 1982-01-27 1983-12-27 Herod James V Portable multiple use exerciser
US5087036A (en) * 1990-03-27 1992-02-11 Cooper James H Exercise device and method for foot muscle stretching
US6244992B1 (en) * 1998-12-17 2001-06-12 Donald Campbell Portable calf stretcher
JP2003180720A (ja) 2001-12-18 2003-07-02 Tatsuaki Hirayama アキレス腱伸張具
KR20040008329A (ko) * 2002-07-18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텔레비젼 수신기 및 그 방법
US7648444B2 (en) * 2004-01-12 2010-01-19 Johnson Ivan J Leg exercise device
JP2003245377A (ja) 2003-02-19 2003-09-02 Hidekazu Watanabe 健康運動用具
KR20040088329A (ko) * 2003-04-10 2004-10-16 오창렬 다리 스트레칭기구
CN2857999Y (zh) 2005-12-09 2007-01-17 曾国祯 多段式站姿拉筋的调整板
KR100967219B1 (ko) 2008-07-28 2010-07-05 황성민 족답식 허리 교정 지압기
US8444532B1 (en) * 2009-04-07 2013-05-21 Juan Carlos Barcena Fitness platform having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surfaces
JP2012005524A (ja) 2010-06-22 2012-01-12 Kazusuke Abe 3dステッパー
KR101177200B1 (ko) 2010-07-21 2012-08-24 임석재 다단 접이식 실용 독서대
KR200463120Y1 (ko) 2011-05-09 2012-10-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 평형감각 트레이닝용 운동기구
US9155954B2 (en) * 2012-12-18 2015-10-13 Terry Newman Sports swing improvement apparatus
US9364382B1 (en) * 2013-10-04 2016-06-14 Phoenix Foot Health, LLC Multi-planar device for stretching portions of a foot and lower leg
CN205252423U (zh) 2015-12-28 2016-05-25 中国人民解放军装甲兵工程学院 可任意调整倾斜角度的倒立、仰卧起坐体能训练器
KR200482054Y1 (ko) 2016-04-18 2016-12-08 문양규 척추 측만증 교정구
US20190088160A1 (en) * 2017-09-18 2019-03-21 Jian Liu Dance training device
US10772783B2 (en) * 2018-01-22 2020-09-15 Adrian Dunca Ankle rehabilitation device
CN207935657U (zh) 2018-01-23 2018-10-02 四川中誉瑞禾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节易收纳装置的一体展示机用移动挂架
KR101975220B1 (ko) 2018-04-10 2019-05-07 울산과학기술원 운동 및 재활치료를 위한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480A (ja) * 2000-05-08 2001-11-13 Kunio Kaminaga 足踏み指圧具
KR101556951B1 (ko) * 2015-03-04 2015-10-05 박영한 스쿼팅 운동용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076A (ko) 2021-04-14 2022-10-21 문양규 신체 균형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852A1 (ko) 2020-04-23
JP2021518802A (ja) 2021-08-05
US11413503B2 (en) 2022-08-16
EP3868449A1 (en) 2021-08-25
JP7089111B2 (ja) 2022-06-21
CN112020382A (zh) 2020-12-01
EP3868449A4 (en) 2021-12-08
US20210245008A1 (en) 2021-08-12
CN112020382B (zh) 2022-08-12
EP3868449B1 (en) 2023-08-16
KR20200044452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974B1 (ko) 신체균형 보조기구
US10130836B2 (en) Exercise wedge
US3598404A (en) Exercising apparatus including pivotally connected weight-supporting units
US10293206B2 (en) Stowable lower body fitness apparatus providing enhanced muscle engagement, body stability and range of motion
US10821325B2 (en) Balancing push up bar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WO2002038225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20329623A1 (en) Stretch assist block
CN111902193A (zh) 平衡板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US20130059706A1 (en) Massage device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US20140187395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s for using the exercise device
CA2770720A1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US20100062913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US11311773B2 (en) Balancing push up bar
US6676575B1 (en) Weight support for abdominal exercises
JP2004275737A (ja) ゴルフ練習用足のせ台
KR102557814B1 (ko) 신체 균형 보조기구
US10556142B2 (en) Core muscle exercise system
US20080064580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exercise using the same
KR102509674B1 (ko) 등 마사지 기능을 갖는 스쿼트 운동장치
JP2005074214A (ja) 筋力鍛錬器具
JP2001029371A (ja) 整体器
KR102531635B1 (ko) 고관절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