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54Y1 - 척추 측만증 교정구 - Google Patents

척추 측만증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54Y1
KR200482054Y1 KR2020160002072U KR20160002072U KR200482054Y1 KR 200482054 Y1 KR200482054 Y1 KR 200482054Y1 KR 2020160002072 U KR2020160002072 U KR 2020160002072U KR 20160002072 U KR20160002072 U KR 20160002072U KR 200482054 Y1 KR200482054 Y1 KR 200482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liosis
plate
user
bottom plate
swa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양규
Original Assignee
문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양규 filed Critical 문양규
Priority to KR2020160002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54Y1/ko
Priority to CN201790000768.6U priority patent/CN210631349U/zh
Priority to PCT/KR2017/004105 priority patent/WO20171838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비롯한 운동이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를 곧게 펼 수 있게 되어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정운동을 할 수 있어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데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됨에 따라, 측만증 교정 및 치료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경사진 발판에 올라서게 되면 발끝을 들어올려 혈액순환을 촉진시 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척추를 곧게 펼 수 있게 되어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게 되며,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종아리의 근육 등을 운동시켜 사용자의 건강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판과 경사판이 수평상태로 맞닿도록 형성하여 적층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에서도 보관이 용이하고, 또한, 미끄럼 방지패드의 고정 패드 또는 고정 패드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를 자석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혈액 속을 흐르는 피의 주성분인 철(Fe) 성분이 함유된 헤모글로빈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생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 측만증 교정구{SPINAL CURVATURE CORRECTOR}
본 고안은 척추 측만증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비롯한 운동이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를 곧게 펼 수 있게 되어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린이들은 과다한 영양 공급에 비해 놀이문화와 운동 활동의 부족으로 인해 비만해지고, 근력이 약해져서 성인병들이 발병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물론 신체 불균형 및 신체의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로 성장함에 따라 어린이들에게 척추측만증이란 증세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척추측만증이란 척추가 옆으로 굽고 휘어지는 병을 말하며, 특히 척추가 일직선을 이루는 정상적인 사람에 반하여, 허리가 역'S'자형으로 휘어지는 척추의 변형으로 인해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가 서로 다르거나 몸통이 한쪽으로 치우쳐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척추측만증은 크게 기능성 척추측만증과 구조성 척추측만증으로 구별되는데, 우선, 기능성 척추측만증이라 함은 척추 자체에는 문제가 없이 다른 외부의 원인으로 발생하여, 일종의 이차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척추측만증을 말하며, 흔히 의자에 앉는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경우나 가방을 한쪽으로만 들거나 메고 다녀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기능성(비구조성) 측만증의 경우에는 그 원인을 제거하면 측만증은 사라지게 되고 악화되는 경우도 거의 없기 때문에, 자세를 바로잡는 등 원인을 바로잡으면 교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척추측만증과는 달리 척추의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는 척추측만증을 구조성 척추측만증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대부분(80~85%)의 척추측만증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상기 구조성 척추측만증은 기능성 척추 측만증과는 달리 휘어짐이 악화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척추의 휘어짐이 심해져 심폐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심하면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각별히 유의해야 할 질병 중에 하나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척추측만증은 청소년기(10세에서 골격 성장이 멈출 때까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전체 청소년의 1.5~3% 정도의 빈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여러가지 교정기구들이 제안된 바 있는데, 특허문헌 1의 척추 측만증 교정기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대(11)와 한쌍의 팔받침(12) 및 등받침(13)으로 이루어진 의자부(10);와 상기 의자부(1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의자부(10) 방향으로 굽어져 돌출되며, 상부 저면 일정부분에 복수개의 고리(21)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프레임(20)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판(22);과 상기 고정판(22)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위치조절부(30);와 상체교정기(40)와 하체교정기(50)와 목견인기(60) 및 팔근력기(70)로 이루어진 교정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의 장비로써 일반인들이 구매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고, 특정한 장소 즉, 병원 등에 구비되는 것으로, 병원 등에 방문하여 척추측만증을 치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가 간편하며, 척추측만증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기구가 제안되었는 바, 특허문헌 2의 척추 받침대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 중앙 영역에 척추를 지압하는 지압볼(220)이 구비되고, 상기 지압볼(220)의 외주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부(240)가 마련된 커버(200); 상기 커버(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지지층(300); 상기 지지층(3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쿠션층(4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층(300)과 쿠션층(400)의 사이에는 에어의 주입량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며, 상기 지지층(300) 및 쿠션층(400)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에어층(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척추 받침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어층의 에어가 새어나가 교정하는 중간에 에어를 다시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쿠션층이 메모리폼 또는 스폰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맞도록 에어를 주입하여도 사용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쿠션층이 하측으로 내려가므로 쿠션층이 하측으로 내려간 만큼 에어를 다시 주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족답식 허리 교정 지압기를 제안하고 있지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기의 지압판(5)은 경사각도(θ)가 너무 커서 지압판 위에 발바닥을 올린 다음 고정된 자세로 서서 있지를 못하는 구조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판(5) 위에 발을 올린 다음 반드시 벽(10)에 기대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발바닥을 지압판(5)에 올린 다음 서서 있을 경우 발바닥에 신체의 체중이 가해짐에 따라 발바닥에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지압판(5)에는 발바닥을 지압하기 위한 지압돌기(8)들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지압돌기(8)들은 발바닥에 압력을 가하여 근육을 이완시켜 주는 작용만 할 뿐 발바닥의 혈액순환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지지대(4)가 봉 또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어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647호(2014년 12월 12일 등록) 척추 측만증 교정기구 특허문헌 2 :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6599호(2011년 11월 02일 등록) 척추 받침대 특허문헌 3 :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67219호(2010년 06월 23일 등록) 족답식 허리 교정 지압기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비롯한 운동이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를 곧게 펼 수 있게 되어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척추 측만증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므로 척추 측만증 교정 및 치료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시켜 줄 수 있고, 특히 바닥판과 경사판이 수평상태로 맞닿도록 형성하여 적층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에서도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새로운 형태의 척추 측만증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에 발바닥을 고정시킨 자세로 있을 경우 압력이 가해진 발바닥에 혈류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미끄럼 방지패드의 고정 패드 또는 고정 패드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를 자석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혈액 속을 흐르는 피의 주성분인 철(Fe) 성분이 함유된 헤모글로빈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생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척추 측만증 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안치되고, 일측 상면에 다수개의 걸림홈(22)이 형성되는 바닥판(20)과; 상기 바닥판(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판(30)과; 일단이 상기 경사판(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닥판(20)의 걸림홈(22)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지지판(4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판(40)은 사용자에 따라 상기 바닥판(20)의 다수개의 걸림홈(22)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에 걸려 상기 경사판(3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에서 상기 경사판(30)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패드(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에서 상기 지지판(40)의 타단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에서 상기 지지판(40)의 크기는 상기 바닥판(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22)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에서 상기 미끄럼 방지패드(32)는 고정 패드(322)와, 상기 고정 패드(322)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32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패드(322)에 자석 분말이 혼합되거나, 또는, 미끄럼 방지부재(324)가 자석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에 의하면, 사용자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비롯한 운동이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를 곧게 펼 수 있게 되어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정운동을 할 수 있어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데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됨에 따라, 측만증 교정 및 치료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진 발판에 올라서게 되면 발끝을 들어올려 혈액순환을 촉진시 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척추를 곧게 펼 수 있게 되어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게 되며,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종아리의 근육 등을 운동시켜 사용자의 건강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판과 경사판이 수평상태로 맞닿도록 형성하여 적층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에서도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패드의 고정 패드 또는 고정 패드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 부재를 자석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혈액 속을 흐르는 피의 주성분인 철(Fe) 성분이 함유된 헤모글로빈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생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1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안치되고, 일측 상면에 다수개의 걸림홈(22)이 형성되는 바닥판(20)과, 바닥판(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판(30)과, 일단이 경사판(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바닥판(20)의 걸림홈(22)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지지판(40)을 포함하여, 지지판(40)은 사용자에 따라 바닥판(20)의 다수개의 걸림홈(22)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에 걸려 경사판(3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바닥판(20)에 결합되는 경사판(30) 및 경사판(30)에 결합되는 지지판(40)은 각각 회동부재(50)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경첩(52)으로 구성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판(20)에 회동가능하게 경사판(30)이 결합시 경첩(52)은 바닥판(20)과 경사판(30)의 외각 부분에 위치되어 결합되고, 경사판(3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판(40)이 결합시 경첩(52)은 경사판(30)과 지지판(40)의 내각 부분에 결합되도록 한다.
경사판(30)은 상면에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았을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패드(32)가 형성되고, 지지판(40)은 경사판(3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손잡이부(42)가 형성되어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지지판(40)의 크기는 바닥판(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22) 부분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10)의 작동상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 및 이동시에는 바닥판(20)의 상면에 경사판(30) 및 지지판(40)이 수평한 상태로 밀착되어 지고, 지지판(40)의 손잡이부(42)를 잡고 이동하도록 한다(도 7a 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적층시켜 보관이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도 7b 참조). 교정운동을 할 때는 바닥판(20)을 지면에 안치시키고, 경사판(30)을 바닥판(20)으로부터 경사지도록 하여 지지판(40)을 바닥판(20)의 걸림홈(22)에 걸리도록 한다(도 7c 참조). 이때, 경사판(30)의 각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설정한 후, 지지판(40)을 바닥판(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22) 중에서 경사판(30)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는 위치의 걸림홈(22)에 걸리도록 하여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경사판(30)의 각도를 조절한 후 사용자가 척추 측만증 교정구(1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a)와 같이 척추 측만증 교정구(10)를 일렬로 연결시켜 경사판(30)을 밟아 걷는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로 경사판(30)을 밟고 손의 깍지를 낀 상태로 팔을 머리 위로 올리면서 스트레칭을 하거나,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손을 모으고, 손이 지지판(40)과 맞닿거나 맞닿을 수 있도록 허리를 굽혀 스트레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 아래에 척추 측만증 교정구(10)를 위치시킨 후 양팔을 머리 위로 쭉 뻗는 등의 스트레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경사판(30)의 각도는 8~10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10)에 의하면, 사용자에 따라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비롯한 운동이나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를 곧게 펼 수 있게 되어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정운동을 할 수 있어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데에 전혀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됨에 따라, 측만증 교정 및 치료에 따른 부담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방지패드(32)는 고정 패드(322)와, 상기 고정 패드(322)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32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패드(322)에 자석 분말이 혼합되거나, 또는, 미끄럼 방지부재(324)가 자석 분말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324)는 분말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통상적인 소재로서 규사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패드(32)는 고정 패드(322) 및 미끄럼 방지부재(324)가 모두 자석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정 패드(322)는 합성수지판 또는 합성수지 필름이고, 상기 합성수지판 또는 합성수지 필름에 자석 분말이 혼합되어진다. 자석 분말의 혼합량은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 분말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 혼합할 경우 자기력이 약할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자석 분말이 합성수지에 과량 혼합되어 합성수지판 또는 합성수지 필름이 제대로 성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하지만, 자석 분말의 혼합량은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에만 반드시 제한되지 아니하고, 혼합하고자 하는 자석 분말의 자기력의 세기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를 사용하여 경사판(30)에 발바닥을 올려 놓고 서 있을 경우에도 미끄럼 방지패드(32)의 고정 패드(322) 또는 고정 패드(322)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324)를 자석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혈액 속을 흐르는 피의 주성분인 철(Fe) 성분이 함유된 헤모글로빈을 자극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생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한다.
특히,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척추 측만증 교정구(1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면, 도 8(a) 내지 도 8(c)의 경우 경사판이 경사져 있어 발가락 부분은 상측을 향하고, 발뒤꿈치는 하측을 향하기 때문에 혈액 순환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종아리의 근육 등을 운동시켜 사용자의 건강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 8(b)와 같은 경우는 비복근 이완운동에 도움을 주고, 도 8(c)와 같은 경우는 척추기립근 이완운동으로 허리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d)와 같이 허리의 아래에 척추 측만증 교정구(10)를 위치시키면 요추를 교정하는데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척추 측만증 교정구
20 : 바닥판 22 : 걸림홈
30 : 경사판 32 : 미끄럼 방지패드
40 : 지지판 42 : 손잡이부

Claims (5)

  1.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안치되고, 일측 상면에 다수개의 걸림홈(22)이 형성되는 바닥판(20)과;
    상기 바닥판(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판(30)과;
    일단이 상기 경사판(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닥판(20)의 걸림홈(22)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지지판(40)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판(40)은 사용자에 따라 상기 바닥판(20)의 다수개의 걸림홈(22)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에 걸려 상기 경사판(3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경사판(30)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패드(3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40)의 타단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부(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40)의 크기는 상기 바닥판(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홈(22)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패드(32)는 고정 패드(322)와, 상기 고정 패드(322)에 부착된 미끄럼 방지부재(32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패드(322)에 자석 분말이 혼합되거나,
    또는, 미끄럼 방지부재(324)가 자석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구.
KR2020160002072U 2016-04-18 2016-04-18 척추 측만증 교정구 KR200482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72U KR200482054Y1 (ko) 2016-04-18 2016-04-18 척추 측만증 교정구
CN201790000768.6U CN210631349U (zh) 2016-04-18 2017-04-17 脊柱侧凸矫正工具
PCT/KR2017/004105 WO2017183871A1 (ko) 2016-04-18 2017-04-17 척추 측만증 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72U KR200482054Y1 (ko) 2016-04-18 2016-04-18 척추 측만증 교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54Y1 true KR200482054Y1 (ko) 2016-12-08

Family

ID=5757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72U KR200482054Y1 (ko) 2016-04-18 2016-04-18 척추 측만증 교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82054Y1 (ko)
CN (1) CN210631349U (ko)
WO (1) WO2017183871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71A1 (ko) * 2016-04-18 2017-10-26 이정우 척추 측만증 교정구
WO2018217047A1 (ko) * 2017-05-24 2018-11-29 김소용 교체 장착이 가능한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KR20190030394A (ko) 2017-09-14 2019-03-22 박병기 척추 측만 및 곡만 교정기
KR20190085008A (ko) 2016-12-05 2019-07-17 조용선 계측분석방법을 적용한 측만증 교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방법
WO2020080852A1 (ko) * 2018-10-19 2020-04-23 이정우 신체균형 보조기구
KR20210114658A (ko) * 2020-03-11 2021-09-2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재활기구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519B1 (ko) * 2017-12-18 2019-10-17 문양규 척추 측만증 교정 장치
CN112603623B (zh) * 2020-12-29 2022-09-02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无创伤膝关节骨关节病矫治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646U (ko) * 1989-09-20 1991-05-02
KR200199661Y1 (ko) * 2000-04-27 2000-10-02 박원학 나무로 된 근육, 관절 스트레칭 운동 기구
JP2007044218A (ja) * 2005-08-09 2007-02-22 Kiyomitsu Nakazawa 突起材
KR20100012275A (ko) * 2008-07-28 2010-02-08 황성민 족답식 허리 교정 지압기
KR200456599Y1 (ko) 2010-03-09 2011-11-08 정기은 척추 받침대
KR200475647Y1 (ko) 2013-07-05 2014-12-17 이명기 척추 측만증 교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13B1 (ko) * 2012-05-18 2014-01-27 육영희 근육 이완기
KR200482054Y1 (ko) * 2016-04-18 2016-12-08 문양규 척추 측만증 교정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646U (ko) * 1989-09-20 1991-05-02
KR200199661Y1 (ko) * 2000-04-27 2000-10-02 박원학 나무로 된 근육, 관절 스트레칭 운동 기구
JP2007044218A (ja) * 2005-08-09 2007-02-22 Kiyomitsu Nakazawa 突起材
KR20100012275A (ko) * 2008-07-28 2010-02-08 황성민 족답식 허리 교정 지압기
KR100967219B1 (ko) 2008-07-28 2010-07-05 황성민 족답식 허리 교정 지압기
KR200456599Y1 (ko) 2010-03-09 2011-11-08 정기은 척추 받침대
KR200475647Y1 (ko) 2013-07-05 2014-12-17 이명기 척추 측만증 교정기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71A1 (ko) * 2016-04-18 2017-10-26 이정우 척추 측만증 교정구
KR20190085008A (ko) 2016-12-05 2019-07-17 조용선 계측분석방법을 적용한 측만증 교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척추 측만증 교정방법
WO2018217047A1 (ko) * 2017-05-24 2018-11-29 김소용 교체 장착이 가능한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KR101935587B1 (ko) * 2017-05-24 2019-01-04 김소용 교체 장착이 가능한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KR20190030394A (ko) 2017-09-14 2019-03-22 박병기 척추 측만 및 곡만 교정기
WO2020080852A1 (ko) * 2018-10-19 2020-04-23 이정우 신체균형 보조기구
US11413503B2 (en) 2018-10-19 2022-08-16 Yang Gyu Moon Apparatus aiding body balance
KR20210114658A (ko) * 2020-03-11 2021-09-24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재활기구 세트
KR102305699B1 (ko) * 2020-03-11 2021-09-27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재활기구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631349U (zh) 2020-05-29
WO2017183871A1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054Y1 (ko) 척추 측만증 교정구
US109602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exercise chairs
AU2021205072B2 (en) Multidimensional mobilization of lumbar, pelvic and hip joints
JP3178780U (ja) ヨガブロック
US7951054B2 (en) Rehabilitation and exercise apparatus
WO2006118377A1 (en) Chair type exercising apparatus for exercise of lower part of body having foot sole massaging function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2532823B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US8192377B2 (en) Physical therapy device
CN215275654U (zh) 瑜伽砖结构
EP2767313A1 (en) Therapeutic device for improving neuromuscular balance and pain conditions
KR20120002156A (ko) 다리베개용 지지구
Swann Good positioning: the importance of posture
KR200454037Y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JP7395781B1 (ja) 健康器具及び健康器具セット
KR102615718B1 (ko) 운동용 침대
JP2005218818A (ja) 腰の伸展支持運動具
KR20150035217A (ko) 통증완화 겸용 신체교정장치
KR200473823Y1 (ko) 지압기
KR20230000498U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KR200323500Y1 (ko) 간이 운동구를 갖는 침대
RU2361565C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матрац
JP2001029371A (ja) 整体器
JP3091610U (ja) 母指球歯と傾斜度付健康下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