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862B1 - 신발 밑창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발 밑창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862B1
KR102155862B1 KR1020187031607A KR20187031607A KR102155862B1 KR 102155862 B1 KR102155862 B1 KR 102155862B1 KR 1020187031607 A KR1020187031607 A KR 1020187031607A KR 20187031607 A KR20187031607 A KR 20187031607A KR 102155862 B1 KR102155862 B1 KR 10215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lastic
shoe sole
manufacturing
hollow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477A (ko
Inventor
마티아스 하르트만
로메인 지라르드
Original Assignee
푸마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마 에스이 filed Critical 푸마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80128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2049/4807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by movable mould parts in the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49/4817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with means for closing off parison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9/00Use of polyacetals, e.g. POM, i.e. polyoxymethylene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91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29L2031/504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밑창(1)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 밑창을 경제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용이하게 선택 가능한 스프링 및 댐핑 특성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플라스틱 호스(plastic hose)(2)를 압출 성형하여 블로우 몰드(3) 내에 상기 플라스틱 호스(2)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플라스틱 호스(2)를 밑창 중공 바디(sole hollow body)(4) 내에 블로우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로우 성형 공정 동안에 상기 밑창 중공 바디(4)의 상호 대향하는 벽들(5, 6) 상에 리세스(recess)들(7, 8)이 도입됨으로써, 상기 벽들(5, 6)의 일 부분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상호 대향하는 벽들(5, 6) 사이에 지지 구조체(9)를 형성하는, 상기 블로우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블로우 성형된 밑창 중공 바디(4)를 상기 블로우 몰드(3)에서 제거하는 단계; d)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블로우 성형된 밑창 중공 바디(4)를 플라스틱체들(10)로 채우는 단계로서, 상기 플라스틱체들(10)은 상기 밑창 중공 바디(4)의 제 1 개구(11)를 통해 부가되는, 상기 채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밑창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발 밑창, 특히 스포츠 신발용의 밑창을 제조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포츠 신발용 신발 밑창의 생산은 이미 잘 알려진 기술이다. 이에 따르면 경제적인 제조 공정뿐만 아니라 신발 밑창 및 이에 따른 신발의 스프링 및 댐핑 거동(spring and damping behaviour)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도 함께 가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재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US 2009/0013558 A1에는 신발 밑창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신발이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상이한 중합체 재료가 사용된다. WO 2007/082838 A1에는 신발 밑창에 대해서도 E-TPU(expanded thermoplastic polyurethane)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이 문헌들에는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에 관한 세부 정보가 제공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문헌은 명시적으로 참조된다.
또한 DE 10 2011 108 744 B4에도 밑창에 대한 재료로서 E-TPU를 사용하는 신발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는, 대부분의 치수가 수 밀리미터가 되는 이러한 재료로 제조된 단일 발포 플라스틱 구체들이, 각각의 툴에 결합제를 공급함으로써 가능한 구현에 따라 밑창에 형성됨으로써 플라스틱 구체들이 서로 연결되어 밑창의 바디를 형성한다. 다른 공정에 따르면 플라스틱 구체들이 삽입되는 규정 압력 하에서 수증기가 툴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에 대한 부분 용융이 발생함으로써 플라스틱 구체들이 양성 물질 접합(positive substance jointing)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밑창의 바디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신발의 특성들, 특히 스프링 및 댐핑 거동에 관한 특성은 항시 완전히 만족스럽지만은 않다. 또한, 상기한 밑창 생산 공정은 때로는 노동 집약적이며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 밑창이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스프링 및 댐핑 거동이 원하는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발 밑창은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해야하며 또한 조절이 용이한 스프링 및 댐핑 특성들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목적의 해결책은 본 방법이,
a) 플라스틱 호스(plastic hose)를 압출 성형하여 블로우 몰드 내에 상기 플라스틱 호스를 공급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블랭크(plastic blank)를 사출 성형하여 블로우 몰드 내에 상기 플라스틱 블랭크를 공급하는 단계;
b) 플라스틱 호스 또는 플라스틱 블랭크를 밑창 중공 바디 내에 블로우 성형하는 단계로서, 블로우 성형 공정 동안에 밑창 중공 바디의 상호 대향하는 벽들 상에 리세스(recess)들이 도입됨으로써, 상기 벽들의 일부분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상호 대향하는 벽들 사이에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상기 블로우 성형하는 단계;
c) 블로우 성형된 밑창 중공 바디를 블로우 몰드에서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블로우 성형된 밑창 중공 바디의 중공 일부분 또는 중공 전체를 플라스틱체들로 채우는 단계로서, 상기 플라스틱체들은 밑창 중공 바디의 제 1 개구를 통해 부가되어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스틱체들로서는 특히 구체, 타원체 또는 원통체가 사용된다. 3개의 공간 방향에 있어서 단일 플라스틱체들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13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3 mm 내지 6 mm이다. 플라스틱체들은 특히 발포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플라스틱체들에 대한 재료로서는, E-TPU(expand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E-TPE(expanded thermoplastic elastomere), 특히 E-TPO(expanded thermoplastic elastomere based on olefin), 및/또는 EPP(expanded polypropylene)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밑창 중공 바디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E(thermoplastic elastomere), PA(polyamide) 및/또는 고무 재료로 구성된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기 단계 d) 이후에 제 1 개구의 밀봉, 특히 용접이 이루어지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단계 d) 동안에 또는 그 이후에, 밑창 중공 바디로부터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제 1 개구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서 배치된 제 2개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라스틱체들은 서로 연결됨 없이 밑창 중공 바디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단일의 구체들 또는 타원체들이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 없이 밑창 중공 바디 내에 루즈하게(loosely) 배치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체들은 밑창 중공 바디에 풀 패키지(full package)로, 바람직하게는 가압하에 배치된다.
지지 구조체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변형 툴(deformation tool)에 의해 상기 벽들 중의 한쪽의 벽 내에 폐쇄 단부 영역(closed end region)을 가진, 상기 리세스들 중의 한쪽의 리세스를 생성하고 또한 제 2 변형 툴에 의해 다른쪽의 벽 내에 개방 단부 영역(open end region)을 가진 다른쪽의 리세스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리세스들 중의 한쪽의 리세스의 폐쇄 단부 영역은 다른쪽의 리세스의 개방 단부 내에 들어가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매우 유용하게는, 이와 같은 피스톤-실린더-시스템에서 각각의 스프링 및 댐핑 요소가 실현된다. 전술한 신발 밑창이 구비된 신발의 의도된 사용에 따라,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리세스 간의 상대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신발 밑창이 땅에 스탠드온 되어 있을 때). 2개의 리세스의 기하학적 구조의 선택, 특히 한편의 폐쇄 단부 영역 및 다른 한편의 다른 리세스의 개구의 선택에 의해,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밑창의 스프링 레이트(spring rate) 및 그것의 댐핑 거동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본 방법의 일 실시예는 블로우 몰드를 폐쇄하고 상기 단계 b)를 수행하기 이전에 삽입체(insert)가 블로우 몰드 내에 배치됨으로써, 삽입체가 블로우 성형 공정 동안에 밑창 중공 바디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한다.
삽입체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사전 제작될 수 있다. 삽입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U자형 설계를 갖는다. 이 삽입체는 특히 신발 밑창 후방 영역의 힐 클립(heel clip)으로서 배치된다.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로 구성된다.
블로우 성형 공정에 의해서 다른 것과 분리된 수 개의 중공들을 밑창 중공 바디의 내부에 생성한 후에 이 내부를 각각의 플라스틱체들로 채우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것은 더 높은 생산 요구사항들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경우에는 이들이 신발 밑창의 스프링 및 댐핑 특성들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이한 물리적 특성들을 가질 수도 있다.
플라스틱체들은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0 쇼어(Shore) A,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85 쇼어 A의 경도를 갖는다. 플라스틱체들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kg/m3의 부피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블로우 성형된 밑창 중공 바디 내에 삽입되는 플라스틱체들에 대한 E-TPU(expanded thermoplastic polyurethane)에 관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참조한다: 이 재료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신발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Huntsman International LLC의 "PearlFoam" 또는 BASF SE의 "Infinergy"라는 명칭으로 입수할 수 있다. 이 재료와 관련하여, WO 2005/066250 A1을 명시적으로 참조하며, 이 문헌에서는 이 재료의 세부 내용 즉 E-TPU(expand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및 그 제조 방법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우레탄계의 공지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와 관련하여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스티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제를 함유하는 팽창 열가소성 중합체 블렌드가 개시되어 있는 WO 2010/010010 A1을 명시적으로 참조한다. 따라서, 중합체 블렌드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추가 열가소성 중합체로서는 특히 PA(polyamid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chloride), 셀룰로오스 및 POM(poly-oxymethylene)이 각각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우 성형된 밑창 중공 바디에 있어서 특히 팽창성 플라스틱 발포 구체들 또는 타원체들은 밑창 베이스 바디(상기 밑창 베이스 바디는 구체들 및 타원체들용으로 각각 미리 제작되는 "케이지(cage)"로 불려질 수도 있음)에 생성된 중공 공간 내에 채워지는 특히 E-TPU, E-TPE 또는 EPP(예를 들어, 매우 가벼운 밑창을 제조하기 위해)의 사용에 의해서 활용된다.
상기한 지지 구조체는 의도된 사용시의 하중하에서 밑창이 최적의 방식으로 발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그렇지 않을 경우 플라스틱체들이 서로 연결됨 없이 루즈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밑창 중공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체들이 발에 대하여 충분하지 못한 지지 기능을 제공하게 될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 필수적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E-TPU로 제조되는 각각의 구체들, 타원체들, 원통체들이 신발의 댐핑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중공 공간이 채워져 있는 밑창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중창으로서 사용된다.
밑창은 공지의 재봉 또는 접착에 의해서 신발 상부(부틀레그(bootleg))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완전한 형태 부분으로서의 밑창 제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물론, 본 발명은 밑창의 일 부분만이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되고, 그것이 다른 밑창 부분과 연결될 수 있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호스의 압출 및 그것의 온간 상태에서의 블로우 몰드 내로의 즉각적인 공급이 바람직하지만, 대안적으로는 - 전술한 바와 같이 - 그것이 나중에 블로우 몰드로 공급되는 플라스틱 블랭크의 사출 성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블랭크를 위한 사출 성형 공정을 먼저 수행하고; 이 플라스틱 블랭크를 블로우 성형기로 이송하여 그것에 블로우 성형하여야 하는 경우, 그 전에 이것을 다시 가열함으로써 밑창 중공 바디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 제조의 제 1 공정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공정 단계를 수행한 이후의 신발 밑창에 대한 평면도이며, 여기서는 신발 밑창의 밑창 중공 바디가 아직 채워져 있지 않다.
도 3은 신발 밑창의 밑창 중공 바디가 플라스틱체들로 채워지는 후속 공정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단면 A-B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는 신발 밑창 제조 공정의 시작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압출기(18)가 플라스틱 재료를 가소화하고 압출 헤드(17)를 통해 이것을 출력함으로써 전체 둘레가 폐쇄된 플라스틱 호스(2)가 제조된다. 이것의 길이가 충분히 길 경우, 이중 화살표의 방향으로 다른 것에 대하여 움직인 후에 공지의 방식으로 블로우 성형용 플라스틱 호스(2)를 둘러싸게 되는 2개의 몰드 절반부들로 구성된 블로우 몰드(3) 내에 이것이 배치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는 나중에 블랭크 몰드(3)에서 변형되는 플라스틱 블랭크의 사출 성형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 블로우 성형 공정에 의해, 내부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밑창 중공 바디(4)(도 2 및 도 3 참조)가 제조된다.
제 1 변형 툴(13) 및 제 2 변형 툴(15)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블로우 몰드(3)의 몰드 절반부들이 폐쇄될 경우, 이 툴들(13, 15)은 화살표 방향으로 다른 툴에 대해 이동된다. 툴들(13, 15)에 의해서, 지지 구조체들(9)(도 2 내지 도 4 참조)이 밑창 중공 바디(4) 내에 형성된다.
도 1에는 단지 한 쌍의 툴(13, 15)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툴(13, 15)이 제공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한 지지 구조체들(9)이 현재 생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은 신발 밑창(1)의 표면 상에 있는 발의 접촉 영역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지지 기능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의 체중이 가해졌을 때에 신발 밑창(1)이 조절되지 않는 방식으로 측면으로 굽혀지지 않는다.
지지 구조체의 세부 사항은 도 4로부터 명백하다. 여기서, 밑창 중공 바디(4)가 상부 벽(5)과 하부 벽(6)을 포함하며, 이 벽들은 블로우 성형 공정을 수행한 후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상기한 서로 간의 중공 공간을 둘러싸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변형 툴들(13 및 15)에 의해서, 도 2로부터 명백한 위치들에 리세스들(7 및 8)이 형성되며, 즉 제 1 변형 툴(13)에 의해 리세스(7)가 형성되고, 제 2 변형 툴(15)에 의해 리세스(8)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7)는 폐쇄 단부 영역(closed end region)(14)을 가지며, 리세스(8)는 그것의 축 방향 단부가 니들(needle) 형상으로 설계된 제 2 변형 툴(15)에 의해 개구를 갖는다. 이 개구는 폐쇄 단부 영역(14)을 가진 리세스(7)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지지 구조체(9)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상기한 신발 밑창(1)을 갖는 신발의 예정된 사용시) 상부 벽(5)과 하부 벽(6)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각각 방지한다.
상기한 밑창 중공 바디(4)가 완성되면, 그것에 포함된 중공 공간이 플라스틱체들(10)로 채워진다. 이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충전 노즐(19)이 밑창 중공 바디(4)의 개구(11)에 삽입된다. 그 다음, 충전 노즐(19)을 통해, E-TPU(expanded thermoplastic polyurethane)으로 제조된 구형 또는 타원형 플라스틱체들(10)이 밑창 중공 바디(4) 내에 채워지며(경우에 따라 가압 공기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음), 이것은 밑창 중공 바디(4)가 플라스틱체(10)들로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 플라스틱체들(10)의 재료와 관련해서는, 각각의 공보에 대한 힌트들에 대하여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다.
본질적으로, 플라스틱체들(5)은 말하자면 루즈한 재료(loose material)로서 밑창 중공 바디(4)의 중공 공간 내에 채워져서, 서로 연결됨 없이 중공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라스틱체들(10)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밑창 중공 바디(4)의 충전 이후에, 플라스틱체들(10)은 사실상 서로를 지지하지만, 서로에 대해 루즈하게(loosely) 배열된다.
이에 따라 밑창(따라서 신발)의 댐핑 거동이 매우 유익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동시에 생산 공정을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공기의 배출에 의해, 즉, 밑창 중공 바디의 제 2 개구(12)에서의 진공의 적용에 의해, 충전 공정이 지원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공정의 완료 이후에 공기가 밑창 중공 바디(4)의 내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개구(12)의 화살표 참조).
각각의 개구들(11, 12)은 플라스틱체들(10)로의 충전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는, 특히 이 개구들의 용접(welding)이 고려된다. 따라서, 루즈하게 배치된 플라스틱체들(10)로 채워지는 신발 밑창(1)에는 밀폐식으로 폐쇄된 중공이 생성된다.
지지 구조체(9)와 협력하여, 특정 범위에서 신발 밑창의 스프링 및 댐핑 거동에 임의로 영향을 미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발 밑창과 함께 제공되는 신발의 의도된 사용시에 밑창의 양호한 안정성으로 발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제공될 가능성이 제공된다.
또한, 도 2에는 상기한 공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블로우 몰드(3)를 폐쇄하기 이전에 이것의 캐비티(cavity)에 삽입되는 U자형 삽입체(16)가 도시되어 있다. 블로우 성형 공정에 의해, 삽입체(16)가 밑창 중공 바디(4)의 플라스틱 호스(2)와 단단히 연결(용접)된다.
삽입체(16)는 신발 밑창(1)의 지지 기능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체(16)는 후방 영역, 즉 뒤꿈치 영역에 신발 밑창이 구비되는 신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힐 쉘(heel shell)로서 사용된다.
1 구두 밑창
2 플라스틱 호스
3 블로우 몰드
4 밑창 중공 바디
5 벽
6 벽
7 리세스
8 리세스
9 지지 구조체
10 플라스틱체
11 제 1 개구
12 제 2 개구
13 제 1 변형 툴
14 폐쇄 단부 영역
15 제 2 변형 툴
16 삽입체
17 압출 헤드
18 압출기
19 충전 노즐

Claims (15)

  1. 신발 밑창(1) 제조방법으로서,
    a) 플라스틱 호스(plastic hose)(2)를 압출 성형하여 블로우 몰드(3) 내에 상기 플라스틱 호스(2)를 공급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블랭크(plastic blank)를 사출 성형하여 블로우 몰드(3) 내에 상기 플라스틱 블랭크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플라스틱 호스(2) 또는 상기 플라스틱 블랭크를 밑창 중공 바디(sole hollow body)(4) 내에 블로우 성형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로우 성형 공정 동안에 상기 밑창 중공 바디(4)의 상호 대향하는 벽들(5, 6) 상에 리세스(recess)들(7, 8)이 도입됨으로써, 상기 벽들(5, 6)의 일 부분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상호 대향하는 벽들(5, 6) 사이에 지지 구조체(9)를 형성하는, 상기 블로우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블로우 성형된 밑창 중공 바디(4)를 상기 블로우 몰드(3)에서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블로우 성형된 밑창 중공 바디(4)의 중공 일부분 또는 중공 전체를 플라스틱체들(10)로 채우는 단계로서, 상기 플라스틱체들(10)은 상기 밑창 중공 바디(4)의 제 1 개구(11)를 통해 부가되어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되,
    3개의 공간방향에서 단일 플라스틱체들(10)의 치수는 1mm 내지 13mm이고, 상기 플라스틱체들(10)은 E-TPU(expand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E-TPE(expanded thermoplastic elastomere) 및 EPP(expanded 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구조체(9)의 제조는, 제 1 변형 툴(deformation tool)(13)에 의해 상기 벽들 중의 한쪽의 벽(5) 내에 폐쇄 단부 영역(closed end region)(14)을 가진, 상기 리세스들 중의 한쪽의 리세스(7)를 생성하고 또한 제 2 변형 툴(15)에 의해 다른쪽의 벽(6) 내에 개방 단부 영역(open end region)을 가진 다른쪽의 리세스(8)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리세스들 중의 한쪽의 리세스(7)의 상기 폐쇄 단부 영역(14)은 다른쪽의 리세스(8)의 상기 개방 단부 내에 들어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체들(10)로서 구체, 타원체 또는 원통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3개의 공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단일 플라스틱체들(10)의 치수는 3mm 내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체들(10)은 발포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체들(10)은 E-TPO(expanded thermoplastic elastomere based on olefin)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 중공 바디(4)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E(thermoplastic elastomere), PA(polyamide) 및 고무 재료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따른 단계 d) 이후에, 상기 제 1 개구(11)의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항에 따른 단계 d) 동안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밑창 중공 바디(4)로부터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체들(10)은 서로 연결됨 없이 상기 밑창 중공 바디(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체들(10)은 상기 밑창 중공 바디(4)에 풀 패키지(full package)로 가압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몰드(3)를 폐쇄하고 제 1 항에 따른 단계 b)를 수행하기 이전에 삽입체(insert)(16)가 상기 블로우 몰드(3) 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삽입체(16)가 상기 블로우 성형 공정 동안에 상기 밑창 중공 바디(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16)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사전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16)는 U자형 설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16)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제조방법.
KR1020187031607A 2016-12-08 2016-12-08 신발 밑창 제조방법 KR102155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6/002066 WO2018103811A1 (de) 2016-12-08 2016-12-08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477A KR20180128477A (ko) 2018-12-03
KR102155862B1 true KR102155862B1 (ko) 2020-09-15

Family

ID=5773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607A KR102155862B1 (ko) 2016-12-08 2016-12-08 신발 밑창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856606B2 (ko)
EP (1) EP3551422B1 (ko)
JP (1) JP6756851B2 (ko)
KR (1) KR102155862B1 (ko)
CN (1) CN109070433B (ko)
WO (1) WO2018103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1682S1 (en) 2017-09-14 2021-03-02 Puma SE Shoe
USD855953S1 (en) 2017-09-14 2019-08-13 Puma SE Shoe sole element
USD910290S1 (en) 2017-09-14 2021-02-16 Puma SE Shoe
USD911683S1 (en) 2017-09-14 2021-03-02 Puma SE Shoe
USD953709S1 (en) 1985-08-29 2022-06-07 Puma SE Shoe
USD850766S1 (en) 2017-01-17 2019-06-11 Puma SE Shoe sole element
ES2884263T3 (es) 2017-08-11 2021-12-10 Puma SE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zapato
USD975417S1 (en) 2017-09-14 2023-01-17 Puma SE Shoe
EP3784086B1 (de) 2018-04-27 2021-06-16 Puma Se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DK3790423T3 (da) 2018-05-08 2021-11-15 Puma SE Sål til en sko, navnlig en sportssko
WO2019214815A1 (de) 2018-05-08 2019-11-14 Pum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hle eines schuhs, insbesondere eines sportschuhs
USD944504S1 (en) 2020-04-27 2022-03-01 Puma SE Sho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5974A1 (en) * 1985-08-23 1987-04-01 Ing-Chung Huang Air-cushioned shoe sole components and method for their manufacture
JP2002306280A (ja) * 2001-04-19 2002-10-22 Apas:Kk 圧力分散体
JP2013502304A (ja) 2009-08-20 2013-01-24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ッション要素、履物、インソール、変形可能な充填物、及び包被
JP2016182332A (ja) * 2015-03-23 2016-10-20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5920A (en) * 1964-04-27 1967-06-20 Rosemount Eng Co Ltd Ski boot
US3608215A (en) * 1969-06-14 1971-09-28 Tatsuo Fukuoka Footwear
US4658515A (en) * 1985-02-05 1987-04-21 Oatman Donald S Heat insulating insert for footwear
JPS6379705U (ko) * 1986-11-15 1988-05-26
US5392534A (en) * 1992-10-23 1995-02-28 Grim; Tracy E. Vacuum formed conformable shoe
US20020113342A1 (en) * 1999-09-17 2002-08-22 Tsai Shuang Chu Method of making an elastic pad
US7229518B1 (en) * 2000-11-02 2007-06-12 Nike, Inc. Process for improving interfacial adhesion in a laminate
USD460852S1 (en) * 2001-04-12 2002-07-30 Candie's, Inc. Bean bag shoe lower
DE10326138A1 (de) * 2003-06-06 2004-12-2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thermoplastischen Elastomeren
US7086179B2 (en) 2003-12-23 2006-08-0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DE102004001204A1 (de) 2004-01-06 2005-09-0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uhen
US7484318B2 (en) * 2004-06-15 2009-02-03 Kenneth Cole Productions (Lic), Inc. Therapeutic shoe sole desig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ducts constructed therefrom
US20060130363A1 (en) * 2004-12-17 2006-06-22 Michael Hottinger Shoe sole with a loose fill comfort support system
EP1979401B1 (de) 2006-01-18 2010-09-29 Basf Se Schaumstoffe auf basis thermoplastischer polyurethane
EP2048982A2 (en) * 2006-07-24 2009-04-22 Naalei Sof Haderech Ltd. Adaptable orthopedic insoles
US7941941B2 (en) 2007-07-13 2011-05-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foam-filled elemen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foam-filled elements
WO2010010010A1 (de) 2008-07-25 2010-01-28 Basf Se Thermoplastische polymer blends auf der basis von thermoplastischem polyurethan und styrolpolymerisat, daraus hergestellte schaumstoffe und zugehörige herstellungsverfahren
DE102010046278A1 (de) * 2010-06-28 2011-02-24 Stuart Wolfe Schuh mit einem Schuh-Oberteil und einer Sohle
DE102011108744B4 (de) 2011-07-28 2014-03-13 Pum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hle oder eines Sohlenteils eines Schuhs
EP3226710B1 (en) * 2014-12-02 2022-04-27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hollow polymeric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5974A1 (en) * 1985-08-23 1987-04-01 Ing-Chung Huang Air-cushioned shoe sole components and method for their manufacture
JP2002306280A (ja) * 2001-04-19 2002-10-22 Apas:Kk 圧力分散体
JP2013502304A (ja) 2009-08-20 2013-01-24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ッション要素、履物、インソール、変形可能な充填物、及び包被
JP2016182332A (ja) * 2015-03-23 2016-10-20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33251A1 (en) 2019-05-09
JP2019518624A (ja) 2019-07-04
JP6756851B2 (ja) 2020-09-16
WO2018103811A1 (de) 2018-06-14
KR20180128477A (ko) 2018-12-03
US10856606B2 (en) 2020-12-08
EP3551422B1 (de) 2020-11-11
US20210085022A1 (en) 2021-03-25
EP3551422A1 (de) 2019-10-16
CN109070433B (zh) 2021-06-04
CN109070433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862B1 (ko) 신발 밑창 제조방법
JP6934561B2 (ja) 靴を製造する方法
KR102419348B1 (ko)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
CN101505625B (zh) 具有包含分瓣的流体填充腔室的鞋底结构的鞋
EP3598913B1 (en) Cushioning element for sports apparel
EP2644047B1 (en)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CN100450389C (zh) 一种在鞋底结构中设置有瓣形流体填充腔的鞋
US2014015191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ole or a sole part of a shoe
US7128796B2 (en)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US10362835B2 (en) Strobel lasted injected footwear
CN113194777A (zh) 鞋、具体为运动鞋及其制造方法
WO2002102180A1 (en) Airbag for sho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