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982B1 -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 Google Patents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982B1
KR102154982B1 KR1020200058348A KR20200058348A KR102154982B1 KR 102154982 B1 KR102154982 B1 KR 102154982B1 KR 1020200058348 A KR1020200058348 A KR 1020200058348A KR 20200058348 A KR20200058348 A KR 20200058348A KR 102154982 B1 KR102154982 B1 KR 10215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haft
wheel
caster
res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영
박보영
박채영
Original Assignee
박지영
박보영
박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영, 박보영, 박채영 filed Critical 박지영
Priority to KR102020005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982B1/ko
Priority to JP2020573019A priority patent/JP7222490B2/ja
Priority to PCT/KR2020/014421 priority patent/WO20212304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3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type of wheels
    • B60B33/0042Double or twi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axle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9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uated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5Suit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31User-friendl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용 이동캐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의 구름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바퀴 주변에 부설된 레버를 발로 누르거나, 혹은, 바퀴 자체를 캐리어에서 탈거하는 과정 없이도, 단순히 캐리어 수납부를 손으로 누르거나 경사이동시켜 이동캐스터의 구속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이동캐스터의 주행모드 또는 정지모드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해 이동캐스터의 조작이 보다 간편해지고, 나아가, 캐리어 수납부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리어용 이동캐스터{Caster for carrier}
본 발명은 캐리어용 이동캐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의 구름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바퀴 주변에 부설된 레버를 발로 누르거나, 혹은, 바퀴 자체를 캐리어에서 탈거하는 과정 없이도, 단순히 캐리어 수납부를 손으로 누르거나, 경사이동시켜 이동캐스터의 구속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이동캐스터의 주행모드 또는 정지모드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해 이동캐스터의 조작이 보다 간편해지고, 나아가, 캐리어 수납부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물건을 넣어 휴대하고 다니기에 간편하게 만든 기구로서, 휴대 방식이나 모양, 크기, 구조 등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상기 가방을 휴대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손으로 들고다니는 핸드백과, 어깨에 메고 다니는 배낭, 노면에 놓고 바퀴를 이용하여 끌고 다니는 캐리어(여행용 가방)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수납공간이 넓고 캐스터가 달려 있어 여행중 이동이 용이하고 물건의 보관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캐리어에 장착된 캐스터는 캐리어의 이동 편의성을 위해 바닥면으로부터 자유롭게 구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캐스터가 쉽게 구름될 경우 불측의 사유로 캐리어를 놓치거나, 캐리어를 정지시켜놓는 등의 캐리어 취급과정에서 캐리어가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어 주변에 충돌하는 등 안전상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캐스터는 캐스터의 구름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함께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를 구비한 캐스터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74311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바퀴에 간단한 동작으로 잠금 및 해제를 가능토록 하는 기술을 제한하고 있으나, 잠금 및 해제시 사용자가 직접 발로 잠금페달을 밟아 가압해야 하기 때문에, 바퀴가 돌아져 있거나, 혹은 바퀴가 캐리어 수납부 등에 가려져 있을 경우, 잠금페달을 누르기 위해 발을 깊게 밀어넣어야 하는 등 잠금페달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한 쪽 발로 잠금페달을 밟는 과정에서 다른 한 쪽 발이 균형을 잃게 되어,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7431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바퀴의 구름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바퀴 주변에 부설된 레버를 발로 누르거나, 혹은, 바퀴 자체를 캐리어에서 탈거하는 과정 없이도, 단순히 캐리어 수납부를 손으로 누르거나, 경사이동시켜 이동캐스터의 구속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이동캐스터의 주행모드 또는 정지모드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해 이동캐스터의 조작이 보다 간편해지고, 나아가, 캐리어 수납부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캐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캐리어 수납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캐리어용 이동캐스터에 있어서, 캐리어 수납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바퀴;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 수납부를 아래로 누르거나 경사지게 기울이면 회동된 베이스부에 의해 누름조작됨에 따라 상기 바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된 베이스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회동축이 장착되는 제1 축장착구가 형성되고 타측 상면에는 상기 구속부가 장착되는 고정홀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축장착구와 고정홀 사이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복원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스프링장착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속부는, 상기 고정홀에 고정 장착되며 내주면에 상, 하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제1 걸림톱니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 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하단에는 제2 걸림톱니가 형성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의 하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걸림톱니와 치합되거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는 작동캠이 돌출 형성되는 캠축을 포함하는 작동축; 상기 작동축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축에 의해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상, 하 방향으로 승강하여 바퀴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구속판; 및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판을 상부로 탄성 가압하는 제2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퀴의 내륜에는 복수 개의 스포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판에는 인접한 스포크의 사이지점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홀의 하부에는 상기 구속판이 승강하기 위한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퀴의 구름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바퀴 주변에 부설된 레버를 발로 누르거나, 혹은, 바퀴 자체를 캐리어에서 탈거하는 과정 없이도, 단순히 캐리어 수납부를 손으로 누르거나, 경사이동시켜 이동캐스터의 구속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이동캐스터의 주행모드 또는 정지모드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해 이동캐스터의 조작이 보다 간편해지고, 나아가, 캐리어 수납부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캐리어에 장착된 이동캐스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캐스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이동캐스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이동캐스터를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이동캐스터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구속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캐리어 수납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이동캐스터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태에서 몸체의 부분 단면을 형성한 도면.
도 9는 아래로 눌리거나 경사지게 기울어진 캐리어 수납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a, 10b, 10c, 10d는 이동캐스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구속부와 바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주행모드 상태에서 정지모드가 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a, 11b, 11c는 이동캐스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구속부와 바퀴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정지모드 상태에서 주행모드가 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용 이동캐스터(10)는 바람직하게, 캐리어 수납부(20)의 하면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짐의 이동을 위해 구름수단을 필요로 하는 수레, 대차 등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캐리어에 적용된 이동캐스터(10)를 예로 들어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캐스터(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캐리어 수납부(20)의 하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100), 회동축(210)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200), 상기 몸체(200)에 장착되는 바퀴(300), 상기 몸체(200)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 수납부(20)를 아래로 누느거나 경사지게 기울이면 회동된 베이스부(100)에 의해 누름조작됨에 따라 상기 바퀴(300)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400) 및 상기 베이스부(100)와 몸체(200)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된 베이스부(10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5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 수납부(20)는, 수납공간을 형성한 함체 형상의 부재를 의미하며, 이러한 캐리어 수납부(20)의 하면에 복수 개의 이동캐스터(1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캐스터(10)의 주요 특징을 개관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캐스터(10)는 캐리어 수납부(20)를 아래로 누르거나, 한 쪽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통해 주행모드 또는 정지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캐리어 수납부(2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캐리어 수납부(20) 위치고정이 필요할 경우, 캐리어 수납부(20)를 아래로 누르거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이게 되면 이동캐스터(10)의 정지모드 상태가 되어 이동캐스터(10)의 구름이동이 제한되고, 정지모드의 상태에서 다시 한 번 캐리어 수납부(20)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이게 되면 이동캐스터(10)의 주행모드가 되어 이동캐스터(10)의 구름이동이 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먼저, 베이스부(100)는 캐리어 수납부(20)의 하면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도 9의 아래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수납부(20)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때 이와 연동해 경사지게 기울어지면서 몸체(200)에 장착된 구속부(400) 상단을 누름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반대로, 도 9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수납부(20)가 아래로 눌려지면, 베이스부(100)에 대해 몸체(200)가 상대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베이스부(100)는 캐리어 수납부(20)의 하면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110) 및 상기 고정부재(110)의 하부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110)와 회전부재(120)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되어 고정부재(110)에서 회전부재(120)의 상대회전을 보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200)의 자세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캐리어 수납부(20)의 이동 방향 선회를 자유롭게 보조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회전부재(120)에는 상기 회동축(210)이 삽입되는 제2 축장착구(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축장착구(130)에 삽입되는 회동축(210)을 매개로 몸체(200)가 베이스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몸체(200)는 바퀴(300), 구속부(400) 및 제1 복원스프링(500) 등의 부재를 지지한다.
몸체(20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회동축(210)이 장착되는 제1 축장착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동축(210)은 몸체(200)의 제1 축장착구(220)와 회전부재(120)의 제2 축장착구(130)를 상호 관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캐리어 수납부(20)를 아래로 누르거나 경사지게 기울이면, 베이스부(100)와 몸체(200)는 회동축(210)을 회전기준으로 해 서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몸체(200)의 타측 상면에는 상기 구속부(400)가 장착되는 고정홀(230)이 상,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 수납부(20)가 아래로 눌리거나 경사지게 기울어지면 베이스부(100)의 고정부재(110) 하면이 상기 고정홀(230)에 장착된 구속부(400)의 상단을 누름 가압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고정홀(230)의 하부에는 상기 구속부(400)가 승강하기 위한 작동공간(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공간(240)은 몸체(200)의 일부 면이 절개 형성된 빈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작동공간(240)은 후술 될 구속부(400)의 구속판(440)이 승강하고, 제2 복원스프링(450)이 작동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상기 제1 축장착구(220)와 고정홀(230) 사이의 몸체(200) 상면에는 상기 제1 복원스프링(500)의 하부가 수용되는 스프링장착홈(25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복원스프링(500)의 상단은 회전부재(12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스프링장착홈(250)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캐스터(10)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외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1 복원스프링(500)은 회동축(210)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베이스부(100)를 상부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베이스부(100)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켜 최종적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캐리어 수납부(20)를 원상태로 거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몸체(200)의 작동공간(240) 직하방으로는 바퀴장착구(2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퀴장착구(260)에 한 쌍의 바퀴(300)가 마주보게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속부(400)는 베이스부(100)에 의해 누름될 때마다 바퀴(300)의 구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한 번 누름될 경우 바퀴(300)를 구속하고, 다시 한 번 누름될 경우 바퀴(300)의 구속을 해제하여 바퀴(300)를 구름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속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230)에 고정 장착되며 내주면에 상, 하 방향으로 가이드홈(411)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제1 걸림톱니(412)가 형성되는 실린더(410), 상기 실린더(410)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410)의 내부에서 상, 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하단에는 제2 걸림톱니(421)가 형성되는 푸쉬로드(420), 상기 푸쉬로드(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축(431)과 상기 삽입축(431)의 하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걸림톱니(412)와 치합되거나 가이드홈(411)으로 삽입되는 작동캠(432a)이 돌출 형성되는 캠축(432)을 포함하는 작동축(430), 상기 작동축(430)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축(430)에 의해 상기 작동공간(240) 내에서 상, 하 방향으로 승강하여 바퀴(300)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구속판(440) 및 상기 작동공간(240)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판(440)을 상부로 탄성 가압하는 제2 복원스프링(4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실린더(410)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고정홀(230) 내부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홈(411)과 제1 걸림톱니(412)는 일정 각도 위상차를 두고 복수 개가 서로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제1 걸림톱니(412)군의 사이 사이마다 상기 가이드홈(41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가이드홈(411)은 실린더(410)의 내주면이 일정 깊이 함몰되는 형태 또는 실린더(410)의 외주면을 완전히 관통하는 형태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걸림톱니(412)에는 작동캠(432a)이 안내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면(412a)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축(430)의 작동캠(432a)이 제1 걸림톱니(412)의 경사면(412a)을 타고 이동하면, 작동축(430)의 각운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캠(432a)이 회전이동하여 한 쌍의 제1 걸림톱니(412) 사이에 치합되거나, 가이드홈(41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동캠(432a)이 한 쌍의 제1 걸림톱니(412) 사이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로 작동축(430)의 회전이동이 발생하면 제1 걸림톱니(412)와 작동캠(432a)의 상단이 치합되도록 구성되어 작동축(430)의 상승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작동캠(432a)이 가이드홈(411)에 대응되는 위치로 작동축(430)의 회전이동이 발생하면 작동캠(432a)이 가이드홈(411)에 의해 안내되면서 작동축(430)의 상승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푸쉬로드(420)는 베이스부(100)에 의해 눌림되는 부분으로, 실린더(410)의 내부에서 작동축(430)을 하방으로 견인한다. 푸쉬로드(420)에 의해 작동캠(432a)이 제1 걸림톱니(412)와 가이드홈(411) 모두에서 이탈된 하자점으로 이동되면 작동축(430)을 소정 각도 회전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푸쉬로드(420)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로 작동축(430)의 삽입축(431)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걸림톱니(421)에는 캠축(432)의 작동캠(432a)이 미끄럼 접촉될 수 있다.
푸쉬로드(420)가 눌리게 되면 제2 걸림톱니(421)가 작동캠(432a)을 눌러 작동축(430)을 하강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작동캠(432a)이 제1 걸림톱니(412)에 치합되어 있을 경우, 작동캠(432a)이 제1 걸림톱니(412)로부터 이탈되고, 작동캠(432a)이 가이드홈(411)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 작동캠(432a)이 가이드홈(411)으로부터 빠져나와 하사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축(430)의 하사점에서 작동캠(432a)이 제2 걸림톱니(421)에 미끄럼 이동되어 작동축(430)이 소정 각도 회전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동축(430)은 푸쉬로드(420)의 누름작용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하단에 장착된 구속판(440)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때, 작동축(430)은 구속판(440)에서 헛돌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작동축(430)은 실린더(410)의 제1 걸림톱니(412)에 걸림되어 상승이동이 제한되거나, 또는 실린더(410)의 가이드홈(411)을 따라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구속판(440)의 상, 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작동축(430)을 구성하는 삽입축(431)과 캠축(432)은 서로 동축상에 형성될 수 있다. 캠축(432)의 외주면에는 상, 하 방향으로 작동캠(432a)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캠(432a)은 캠축(432)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작동캠(432a)의 상단은 제1 걸림톱니(412)와 제2 걸림톱니(421)에 미끄럼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며, 특히, 제1 걸림톱니(412)의 경사면(412a)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432b)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캠축(432)의 하단에 구속판(440)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구속판(440)은 승강하는 작동축(430)에 연동되어 작동공간(240) 내부에서 바퀴(300)의 구름을 단속한다.
한편, 바퀴(300)의 내륜에는 복수 개의 스포크(310)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구속판(440)에는 인접한 스포크(310)의 사이지점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4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포크(310)는 바퀴(300)의 중앙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바퀴(300)의 내륜에서부터 바퀴(300)의 중앙을 향해 소정 거리 연장 형성되도록 해 구속판(440)이 하강하였을 때 걸림돌기(441)에 걸림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복원스프링(450)은 구속판(440)의 하방에서 구속판(440)을 상부로 탄성가압하고, 이 탄성가압력에 의해 작동축(430)이 상부로 탄성 견인될 수 있다.
작동캠(432a)이 가이드홈(411)에 삽입되면 제2 복원스프링(45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작동축(430)이 상사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쉬로드(420)도 함께 상승 이동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캐스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캐리어 수납부(20)의 눌림 또는 경사 기울임에 따른 이동캐스터(10)의 주행모드 또는 정지모드의 변환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설명의 앞서, 이동캐스터(10)의 주행모드는 이동캐스터(10)의 바퀴(300)가 구름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정지모드는 바퀴(300)가 구속판(440)의 걸림돌기(441)에 의해 걸림되어 구름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이동캐스터(10)의 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캐리어 수납부(20)의 위치고정이 요구될 경우, 도 8에 도시된 상태의 캐리어 수납부(20)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래로 누르거나 경사지게 기울인다.
캐리어 수납부(20)가 아래로 눌리거나 경사지게 기울어지면, 회동축(210)을 기준으로 베이스부(100)가 회동되면서 푸쉬로드(420)를 1회 가압한다.
도 10a에 도시된 상태에서 푸쉬로드(420)가 가압되면, 제1 걸림톱니(412)에 치합되어 상승이동이 제한되던 작동축(430)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로드(420)의 하강이동에 따라 이와 연동해 하강하여 하사점으로 이동된다. 작동축(430)의 하사점에서 작동캠(432a)이 제2 걸림톱니(421)에서 미끄럼 회전이동하여 작동축(430)이 일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동캠(432a)이 상기 가이드홈(411)으로 안내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 복원스프링(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상태의 캐리어 수납부(20)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원상복원되면, 제2 복원스프링(450)의 탄성 가압력에 구속판(440) 및 작동축(430)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캠(432a)의 경사면(432b)이 제1 걸림톱니(412)의 경사면(412a)에 가이드되면서 작동캠(432a)이 가이드홈(411)으로 안내되어 상승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판(440)의 걸림돌기(441)가 인접한 스포크(310)의 사이지점으로 개재되어 바퀴(300)가 구름될 수 없는 정지모드가 된다.
정지모드 상태에서 다시 주행모드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 캐리어 수납부(20)를 다시 한 번 누르거나 경사지게 기울임에 따라, 도 11a에 도시된 상태(정지모드)에서 푸쉬로드(420)가 가압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축(430)이 이와 연동해 하강하다가 작동캠(432a)이 제2 걸림톱니(421)에서 미끄럼 회전이동하여 작동축(430)이 일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동캠(432a)이 가이드홈(411)과 교번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걸림톱니(412) 사이로 안내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 복원스프링(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상태의 캐리어 수납부(20)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원상복원되면, 제2 복원스프링(450)의 탄성 가압력에 구속판(440) 및 작동축(430)이 상승하게 되며, 이때,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캠(432a)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걸림톱니(412) 사이에 치합되어 작동축(430)의 상승이동이 제한되고, 최종적으로, 작동축(430) 및 구속판(440)의 상승이동이 제한되면서 구속판(440)의 걸림돌기(441)가 인접한 스포크(310)의 사이지점으로부터 이탈되어 바퀴(300)가 구름될 수 있는 주행모드가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캐스터(10)는 종래 이동캐스터(10)와 같이 바퀴(300)의 구름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바퀴(300) 주변에 부설된 레버를 발로 누르거나, 혹은, 바퀴(300) 자체를 캐리어에서 탈거하는 과정 없이도, 단순히 캐리어 수납부(20)를 손으로 누르거나 경사이동시켜 이동캐스터(10)의 구속부(400)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이동캐스터(10)의 주행모드 또는 정지모드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해 이동캐스터(10)의 조작이 보다 간편해지고, 나아가, 캐리어 수납부(20)를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부 200: 몸체
300: 바퀴 400: 구속부
500: 제1 복원스프링

Claims (5)

  1. 캐리어 수납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캐리어용 이동캐스터에 있어서,
    캐리어 수납부의 하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바퀴;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 수납부를 아래로 누르거나, 경사지게 기울이면 회동된 베이스부에 의해 누름조작됨에 따라 상기 바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된 베이스부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회동축이 장착되는 제1 축장착구가 형성되고 타측 상면에는 상기 구속부가 장착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장착구와 고정홀 사이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복원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스프링장착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하부에는 구속판이 승강하기 위한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고정홀에 고정 장착되며 내주면에 상, 하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제1 걸림톱니가 형성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상, 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하단에는 제2 걸림톱니가 형성되는 푸쉬로드;
    상기 푸쉬로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축과 상기 삽입축의 하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걸림톱니와 치합되거나 가이드홈으로 삽입되는 작동캠이 돌출 형성되는 캠축을 포함하는 작동축;
    상기 작동축의 하단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축에 의해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상, 하 방향으로 승강하여 바퀴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구성되는 구속판; 및
    상기 작동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구속판을 상부로 탄성 가압하는 제2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내륜에는 복수 개의 스포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판에는 인접한 스포크의 사이지점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KR1020200058348A 2020-05-15 2020-05-15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KR10215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48A KR102154982B1 (ko) 2020-05-15 2020-05-15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JP2020573019A JP7222490B2 (ja) 2020-05-15 2020-10-21 キャリア用移動キャスター
PCT/KR2020/014421 WO2021230438A1 (ko) 2020-05-15 2020-10-21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48A KR102154982B1 (ko) 2020-05-15 2020-05-15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982B1 true KR102154982B1 (ko) 2020-09-11

Family

ID=7247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348A KR102154982B1 (ko) 2020-05-15 2020-05-15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22490B2 (ko)
KR (1) KR102154982B1 (ko)
WO (1) WO20212304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5879A (zh) * 2021-08-06 2021-10-22 万燕斌 一种输电工程用便于搬运及防潮防震的电器仪表放置柜
WO2021230438A1 (ko) * 2020-05-15 2021-11-18 박지영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82Y1 (ko) * 1984-05-02 1986-05-23 장국환 가구용 바퀴
JP3148376U (ja) * 2008-11-27 2009-02-12 賀盛塑鋼股▲ふん▼有限公司 スーツケースに利用されるキャスタ
KR20160074311A (ko)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운반용 캐스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3605B2 (ja) * 2008-05-30 2013-04-03 トーヨーベンディング株式会社 床頭台固定装置
JP2011206199A (ja) * 2010-03-29 2011-10-20 Zero One Design:Kk 鞄用車輪のロック機構
JP3176002U (ja) * 2012-03-23 2012-06-07 陳首卯 ハンドルブレーキ式キャスター装置のロック構造
JP6202519B2 (ja) * 2013-05-30 2017-09-27 学校法人明星学苑 ロック付きキャスターならびに該キャスターを適用した歩行器及び椅子
KR20190002055U (ko) * 2018-02-02 2019-08-12 김가영 스토퍼가 내장된 여행용 캐리어
KR101899755B1 (ko) * 2018-03-21 2018-09-17 여신동 바퀴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카트
KR102154982B1 (ko) * 2020-05-15 2020-09-11 박지영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982Y1 (ko) * 1984-05-02 1986-05-23 장국환 가구용 바퀴
JP3148376U (ja) * 2008-11-27 2009-02-12 賀盛塑鋼股▲ふん▼有限公司 スーツケースに利用されるキャスタ
KR20160074311A (ko)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운반용 캐스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438A1 (ko) * 2020-05-15 2021-11-18 박지영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CN113525879A (zh) * 2021-08-06 2021-10-22 万燕斌 一种输电工程用便于搬运及防潮防震的电器仪表放置柜
CN113525879B (zh) * 2021-08-06 2024-02-02 万燕斌 一种输电工程用便于搬运及防潮防震的电器仪表放置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22490B2 (ja) 2023-02-15
WO2021230438A1 (ko) 2021-11-18
JP2022536563A (ja)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982B1 (ko) 캐리어용 이동캐스터
JPH02296504A (ja) キャスターロック組立体とホイールキャリッジ
US7124858B2 (en) Brake system
WO2018155027A1 (ja) 昇降装置
JP6501574B2 (ja) 駐輪装置
JP5361792B2 (ja) ブレーキ付きキャスター、キャスターユニット、それらを備えた移動車
US20130042436A1 (en) Wheel assembly with a wheel lock structure
JP4466890B2 (ja) 車両
KR200452726Y1 (ko) 록킹 캐스터
JP2006316412A (ja) 出没式柵柱
JP2010111332A (ja) 電動車
CN101448652B (zh) 用于购物推车的止动器
KR101701592B1 (ko) 계단용 카트의 적재부
JP3616391B1 (ja) 車輪の支持構造
JP2021038089A (ja) リフト装置
GB2616390A (en) Brake mechanism and stroller therewith
JP5252745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2002059838A (ja) リフトトラック
WO2023181632A1 (ja) 車両用積載補助装置
CN107416007A (zh) 一种婴儿车车轮锁定装置
JP2010075328A (ja) ハンドル付キャリーバッグ
JP2018134893A (ja) 昇降装置
JP2793150B2 (ja) 昇降機
JPH0640536Y2 (ja) 買物用手押し車のブレーキ機構
JP2018134957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