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761B1 - 배관고정부재 - Google Patents

배관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761B1
KR102154761B1 KR1020190173039A KR20190173039A KR102154761B1 KR 102154761 B1 KR102154761 B1 KR 102154761B1 KR 1020190173039 A KR1020190173039 A KR 1020190173039A KR 20190173039 A KR20190173039 A KR 20190173039A KR 102154761 B1 KR102154761 B1 KR 10215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washer
flange
nut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균
Original Assignee
김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균 filed Critical 김덕균
Priority to KR102019017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761B1/ko
Priority to PCT/KR2020/000464 priority patent/WO202113279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배관(10)의 제1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플랜지(11)와 상기 제2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플랜지(21)의 외측에 반달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120)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은 상기 배관(10,20)의 외경의 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10,20)을 감싸는 배관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방지링(120)은,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링(121)과; 상기 외부링(1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23)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링(121)은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에 형성된 링결합공(11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링(121)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이중와셔(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고정부재{PIP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서로 결합된 배관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일정 길이로 제작된 복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된다. 이 때, 각 배관의 단부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이웃하는 배관의 플랜지는 서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배관을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이웃하는 배관을 고정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를 흐르는 기체 또는 유체의 흐름 또는 외력 등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볼트와 너트가 풀리게 되면 이웃하는 배관 사이로 기체나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웃하는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배관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배관(10)의 제1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11)와 상기 제2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플랜지(21)의 외측에 반달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120)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은 상기 배관(10,20)의 외경의 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10,20)을 감싸는 배관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방지링(120)은,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링(121)과; 상기 외부링(1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23)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링(121)은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에 형성된 링결합공(11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링(121)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이중와셔(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역회전방지링(120)은, 상기 외부링(12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결합영역에는 하부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캡(123)이 삽입되는 캡삽입홈(121b)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121)의 내경에는 외부이빨(121a)이 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121)의 바닥면에 상기 링결합공(113)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와셔안착면(121e)이 일정면적 구비되고, 상기 외부링(12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외부링(121)의 곡률에 대응되게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된 후크삽입장공(121c)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삽입장공(121c)이 형성된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바닥면에는 일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된 후크걸림턱(121d)이 구비되고, 상기 이중와셔(125)는 상기 와셔안착면(121e)에 안착되는 상부와셔(126)와, 상기 상부와셔(126)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링결합공(113) 내에 배치되는 하부와셔(127)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와셔(126)는 내경은 상기 볼트축(31)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와셔안착면(121e)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와셔(127)는 내경은 상기 볼트축(31)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링결합공(113)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123)은 상기 캡삽입홈(121b)에 삽입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123)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링(121)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부삽입관(123a)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삽입관(123a)의 가운데 영역에는 상기 너트(40)가 삽입되는 너트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삽입공의 내벽면에는 상기 너트(40)와 맞물리는 내부이빨(123b)이 형성되고, 상기 캡(123)의 외주연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삽입장공(121c)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상기 후크걸림턱(121d)에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123d)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삽입관(123a)의 외벽면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이빨(121a)에 걸림되는 역회전방지돌기(123c)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웃하게 배치된 제1시설물과 제2시설물이 맞닿는 양측 경계영역에 결합되어 제1시설물과 제2시설물을 고정시키는 시설물고정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설물고정부재는, 상기 제1시설물과 상기 제2시설물의 양측 경계영역에 결합되는 일정 면적을 갖는 한 쌍의 고정판본체(2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판본체(210)와 상기 제1시설물(70) 또는 제2시설물(8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30)와; 상기 복수개의 볼트(30)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너트(40)와; 상기 고정판본체(210)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220)을 포함하며, 상기 역회전방지링(220)은, 상기 고정판본체(210)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링(221)과; 상기 외부링(2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23)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링(221)은 상기 고정판본체(210)에 형성된 링결합공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링(221)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이중와셔(2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배관의 결합상태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함께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결합구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볼트와 너트가 접촉되는 역회전방지링 사이에 이중와셔가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를 접촉하며 지지하여 볼트와 너트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풀림을 방지하고, 체결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게 한다.
또한, 캡에 고정후크를 추가하여 고정후크가 플랜지결합판의 하면에 걸림결합되어 캡과 외부링의 결합상태가 유지되어 볼트와 너트가 풀려지지 않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에 의해 이웃하는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가 배관에 결합되는 과정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의 역회전방지링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의 마주보는 한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결합된 상태의 배면구성을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회전방지링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시설물고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장치(100)에 의해 이웃하게 배치된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배관고정장치(100)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은 각각 양단에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가 구비된다.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각각의 배관플랜지(11,21) 표면에 관통형성된 볼트삽입공(13,23)으로 볼트(30)가 삽입되고, 너트(40)가 외부로 노출된 볼트축(31)에 체결되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결합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장치(100)는 서로 결합된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30)와 너트(40)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지지하여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배관고정장치(100)는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의 단면형상의 절반에 대응되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을 포함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에 상하로 배치되고,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은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상하로 배치된다.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은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제1플랜지결합판(11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이 서로 상하 또는 좌우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을 덮게 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판면에는 볼트(30)와 너트(40)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역회전방지링(120)이 구비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중심영역에는 제1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배관결합공(111)이 형성된다. 배관결합공(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10)을 외주연의 절반영역을 감싸 제1플랜지결합판(110)이 제1배관플랜지(11)에 배치되게 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링결합공(113, 도 2 참조)이 형성되고, 각 링결합공(113)에는 역회전방지링(120)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플랜지결합판(110)에는 두 개의 링결합공(113)이 구비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이 제1배관플랜지(11)에 결합되었을 때, 총 4개의 링결합공(113)은 각각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내측, 즉 제2플랜지결합판(110a)와 마주보는 영역에는 결합돌기(117)가 제2플랜지결합판(110a)을 향해 돌출되고, 제2플랜지결합판(110a)에는 결합돌기(117)가 결합되는 돌기결합홈(119)이 함돌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결합돌기(117)와 돌기결합홈(119)이 서로 맞물려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이 제1플랜지(11)에 결합되는 결합구속력을 증가시킬 수 잇다.
여기서, 결합돌기(117)와 돌기결합홈(119)은 경우에 따라 제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역회전방지링(120)은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링결합공(113)에 결합되어 볼트(30) 또는 너트(40)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도 3은 역회전방지링(120)을 형성하는 외부링(121)과 캡(123)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배면의 구성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배관고정부재(100)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역회전방지링(120)은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판면에 일체로 구비된 외부링(121)과, 외부링(121)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캡(123)을 포함한다. 외부링(121)은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판면에 링 형태로 형성된다. 외부링(121)은 제1플랜지결합판(110)과의 결합영역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캡삽입홈(121b)에 의해 구분된다. 캡삽입홈(121b)에는 캡(123)이 끼움결합된다.
외부링(121)의 내부는 링결합공(113)이 관통형성되어 볼트(30)가 삽입되고, 외부링(121)의 내벽면에는 외부이빨(121a)이 형성된다. 외부이빨(121a)은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외부링(121)의 바닥에는 링결합공(113)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 면적 연장된 와셔안착면(121e)이 구비된다. 와셔안착면(121e)에는 이중와셔(125)의 상부와셔(126)가 안착된다.
한편, 외부링(121)과 링결합공(113)의 사이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후크삽입장공(121c)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제1플랜지결합판(1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후크삽입장공(121c)에는 캡(123)의 고정후크(123d)가 결합된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삽입장공(121c)이 형성된 제1플랜지결합판(110)의 바닥면에는 일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된 후크걸림턱(121d)이 구비된다. 후크걸림턱(121d)에는 고정후크(123d)의 후크머리(123e)가 걸림결합되어 외부링(121)과 캡(123)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캡(123)은 외부링(1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너트(40)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지지한다. 캡(12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캡삽입홈(121b)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캡삽입홈(121b)에 끼움결합된다.
캡(123)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삽입관(123a)이 하부를 향해 형성된다. 내부삽입관(123a)의 가운데 영역에는 볼트(3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이 관통형성된다. 내부삽입관(123a)의 내벽면에는 내부이빨(123b)이 형성되고, 내부삽입관(123a)의 외벽면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의 역회전방지돌기(123c)가 구비된다.
내부이빨(123b)은 내부삽입관(123a)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요철이 반복되게 형성된다. 내부이빨(123b)에는 육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볼트(30) 또는 너트(40)의 모서리가 끼워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볼트(30) 또는 너트(40)가 회전될 때 내부삽입관(123a)과 일체로 형성된 캡(123)도 캡삽입홈(121b) 내부에서 함께 회전된다.
역회전방지돌기(123c)는 내부삽입관(123a)의 외벽면에서 외부링(121)의 외부이빨(121a)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역회전방지돌기(123c)는 캡(123)이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외부이빨(121a)을 타고 넘으며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며 캡(123)이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 역회전방지돌기(123c)는 캡(123)이 볼트(30)와 너트(4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외부이빨(121a) 사이에 끼워져 캡(123)이 회전되지 못하게 막는다.
한편, 캡(123)의 외주연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후크(123d)가 구비된다. 고정후크(123d)는 하부에 후크머리(123e)가 형성된다. 고정후크(123d)는 캡(123)이 외부링(121)에 끼워질 때, 탄성적으로 내측으로 오무려지며 후크삽입장공(121c)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후크삽입장공(121c)의 외부로 돌출된 후크머리(123e)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복귀되며 후크걸림턱(121d)에 걸려진다.
이렇게 후크머리(123e)가 후크걸림턱(121d)에 걸려지면서 캡(123)과 외부링(121)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중와셔(125)는 외부링(121)의 바닥면에 형성된 와셔안착면(121e)에 끼움결합되어 볼트(30) 또는 너트(40)의 풀림이 방지되게 하여 결합구속력이 향상되게 한다. 이중와셔(1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서로 다른 상부와셔(126)와 하부와셔(127)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부와셔(126)의 외경(R1)은 외부이빨(121a)에 내접하는 가상의 원 보다 작게 형성되어 와셔안착면(121e)에 안착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부와셔(126)의 내경은 볼트(30)의 볼트축(3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하부와셔(127)의 외경(R2)은 링결합공(113)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외부링(121)에 이중와셔(125)가 끼워졌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의 링결합공(113) 내부에 하부와셔(127)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하부와셔(127)의 내경은 상부와셔(126)와 동일하게 볼트(30)의 볼트축(3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부와셔(126)의 두께(d1)는 0.5mm 내외로 형성되고, 하부와셔(127)의 두께(d2)는 2mm 내외로 상부와셔(126) 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와셔(125)가 외부링(121)의 와셔안착면(121e)에 끼워진 후, 볼트(30) 또는 너트(40)가 결합되고 캡(123)이 외부링(121)에 결합되었을 때, 볼트(30) 또는 너트(40)의 하부가 상부와셔(126)를 압착하게 되고, 볼트축(31)이 하부와셔(127)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볼트(30)가 삽입된 후 너트(40)에 체결되면, 볼트(30)와 너트(40)의 체결력에 의해 상부와셔(126)와 하부와셔(127)가 링결합공(113) 측으로 가압되면서 볼트(30) 또는 너트(4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마찰면적이 커진 만큼 토크가 증가하여 풀림방지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서로 직경이 서로 다른 상부와셔(126)와 하부와셔(127)가 각각 볼트(30) 또는 너트(40)의 하부와 볼트축(31)을 함께 지지하여 접촉면적을 더 증가하게 되므로 마찰면적이 더 커지게 되므로 풀림방지 효과도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와셔(125)는 상부와셔(126)와 하부와셔(127)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이나, 경우에 따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100)를 이용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한다. 이 때,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60, 도 6 참조)을 삽입한다.
제1배관플랜지(11)에는 서로 마주보게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이 배치되고, 제2배관플랜지(21)에는 서로 마주보게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이 구비된다.
각각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는 외부링(121)의 와셔안착면(121e)에 이중와셔(125)를 결합시킨다. 외경이 링결합공(113)에 대응되는 하부와셔(127)는 링결합공(113) 내부에 위치되고, 상부와셔(126)는 와셔안착면(121e)에 안착된다.
이중와셔(125)가 조립된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제1볼트삽입공(13)에 역회전방지링(120)이 삽입되게 위치되고,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은 제2배관플랜지(21)의 제2볼트삽입공(23)에 역회전방지링(120)이 삽입되게 배치된다.
제2볼트삽입공(23)을 통해 볼트(30)의 볼트축(31)이 삽입되고, 제1볼트삽입공(13)을 통해 볼트축(31)이 외부로 노출된다. 작업자는 제1볼트삽입공(13)을 통해 노출된 볼트축(31)에 와셔(50)와 너트(40)를 삽입한다. 그리고, 너트(40)를 볼트(30)와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너트(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123)이 외부링(121)을 중심으로 너트(40)와 함께 회전하여 너트(40)가 볼트축(31)에 체결되게 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에 형성된 3개의 너트(40)를 모두 체결한다.
이에 의해 볼트(30)는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의 역회전방지링(120)에 끼워지고, 너트(40)는 제1플랜지결합판(1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의 역회전방지링(120)에 끼워진다.
너트(40)를 볼트(30)와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볼트축(31)에 나사결합되면, 너트(40)와 볼트(30)의 하부는 이중와셔(125)와 접촉되고, 이중와셔(125)는 압착되며 마찰력을 작용하여 너트(40)와 볼트(3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구속력이 증대되게 한다.
캡(123)이 일정 각도 회전되며 캡삽입홈(121b)에 끼워지고, 고정후크(123d)는 후크걸림턱(121d)에 끼워진다. 그리고, 후크머리(123e)는 후크걸림턱(121d)에 걸려져 캡(123)과 외부링(121)의 고정이 완료된다.
볼트(30)와 너트(40)는 각각 역회전방지링(120)의 캡(123)에 형성된 내부삽입관(123a)의 내부이빨(123b)에 외접되게 결합된다. 캡(123)은 한 쌍의 역회전방지돌기(123c)에 의해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므로, 볼트(30)와 너트(40)는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풀려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고정후크(123d)에 의해 외부링(121)과 캡(123)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볼트(30)와 너트(40)는 작업자가 별도로 분리하지 않는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함께 고정되며 이중와셔(125)와 역회전방지링(120)의 결합구조에 의해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를 결합시킨 볼트(30)와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플랜지결합판에 적용되는 역회전방지링(120a,120b)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회전방지링(120)은 외부이빨(121a)과 내부이빨(123b)이 서로 맞물려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변형예의 역회전방지링(120a)는 외부링(121')에 원통관(122)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캡(123')에는 각 원통관(122)의 핀삽입공(122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핀(123f)가 원통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변형예의 역회전방지링(120b)는 외부링(121")에 사각관(122b)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고, 캡(123")에는 사각관(122b)의 사각공(122c)에 끼워지는 사각핀(123g)이 사각관(1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 외에도 경우에 따라 외부링에는 "ㄱ"자 형태의 끼움구조가 형성되고, 캡에는 "ㄱ"자의 끼움구조에 끼워지는 사각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시설물고정부재(200)가 제1시설물(70)과 제2시설물(80)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배관고정부재(100)는 반원 형상의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이 원형의 배관플랜지(11,21)에 결합되어 배관(10,20)을 결합시키는 구조였다.
반면, 다른 실시예인 시설물고정부재(200)는 평평한 구조를 갖는 제1시설물(70)과 제2시설물(80)이 나란하게 위치되었을 때, 제1시설물(70)과 제2시설물(8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시설물고정부재(200)는 사각판 형태의 고정판본체(210)와, 고정판본체(21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역회전방지링(220)을 포함한다. 고정판본체(210)는 평판 형태 인것을 제외하면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와 구조가 동일하며, 역회전방지링(220)은 역회전방지링(120)과 구조가 동일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고정부재(200)은 제1시설물(70)과 제2시설물(80)의 경계영역의 양측에 마주보게 배치되며,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30)와 너트(40)가 체결된다.
그리고, 볼트(30)와 너트(40)가 외부링(220)의 구조와 이중와셔(225)의 구조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어 제1시설물(70)과 제2시설물(8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시설물고정부재(200)는 하나의 역회전방지링(220)만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시설물고정부재(200)는 원판 또는 사각판상 형태로 구비되고, 판면에 하나의 역회전방지링(220)만 갖는 형태로 구비되어 하나의 볼트,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플랜지결합판과 역회전방지링은 플라스틱을 비롯한 합성수지, 다양한 금속재질, 그리고 탄소섬유 또는 탄소파우더 등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배관의 결합상태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함께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결합구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외부링의 바닥면에 외경이 서로 다른 와셔를 겹친 형상의 이중와셔를 배치하여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결합구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제1배관 11 : 제1배관플랜지
13 : 제1볼트삽입공 15 : 용접비드
20 : 제2배관 21 : 제2배관플랜지
23 : 제2볼트삽입공 30 : 볼트
31 : 볼트축 40 : 너트
50 : 와셔 60 : 가스켓
70 : 제1시설물 80 : 제2시설물
100 : 배관고정부재 110,110a,110b,110c : 플랜지결합판
111 : 배관결합공 113 : 링결합공
117 : 결합돌기 119 : 돌기결합홈
120 : 역회전방지링 121 : 외부링
121a : 외부이빨 121b : 캡삽입홈
121c : 후크삽입장공 121d : 후크걸림턱
121e : 와셔안착면 122 : 원통관
122a : 핀삽입공 122b : 사각관
122c : 사각공 123 : 캡
123a : 내부삽입관 123b : 내부이빨
123c : 역회전방지돌기 123d : 고정후크
123e : 후크머리 123f : 핀
123g : 사각핀 125 : 이중와셔
126 : 상부와셔 127 : 하부와셔
200 : 시설물고정부재 210 : 고정판본체
220 : 역회전방지링 221 : 외부링
223 : 캡 226 : 이중와셔

Claims (4)

  1. 제1배관(10)의 제1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11)와 상기 제2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플랜지(21)의 외측에 반달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120)을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은 상기 배관(10,20)의 외경의 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10,20)을 감싸는 배관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방지링(120)은,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링(121)과;
    상기 외부링(1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23)과;
    상기 외부링(121)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이중와셔(125)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링(121)은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에 형성된 링결합공(113)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링(12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결합영역에는 하부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캡(123)이 삽입되는 캡삽입홈(121b)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121)의 내경에는 외부이빨(121a)이 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121)의 바닥면에 상기 링결합공(113)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와셔안착면(121e)이 일정면적 구비되고,
    상기 외부링(12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외부링(121)의 곡률에 대응되게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된 후크삽입장공(121c)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삽입장공(121c)이 형성된 플랜지결합판(110,110a,110b,110c)의 바닥면에는 일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된 후크걸림턱(121d)이 구비되고,
    상기 이중와셔(125)는 상기 와셔안착면(121e)에 안착되는 상부와셔(126)와, 상기 상부와셔(126)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링결합공(113) 내에 배치되는 하부와셔(127)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와셔(126)는 내경은 볼트축(31)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와셔안착면(121e)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와셔(127)는 내경은 상기 볼트축(31)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링결합공(113)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123)은 상기 캡삽입홈(121b)에 삽입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123)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링(121)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부삽입관(123a)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삽입관(123a)의 가운데 영역에는 상기 너트(40)가 삽입되는 너트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삽입공의 내벽면에는 상기 너트(40)와 맞물리는 내부이빨(123b)이 형성되고,
    상기 캡(123)의 외주연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삽입장공(121c)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상기 후크걸림턱(121d)에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후크(123d)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삽입관(123a)의 외벽면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이빨(121a)에 걸림되는 역회전방지돌기(123c)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부재.
  4. 이웃하게 배치된 제1시설물과 제2시설물이 맞닿는 양측 경계영역에 결합되어 제1시설물과 제2시설물을 고정시키는 시설물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시설물과 상기 제2시설물의 양측 경계영역에 결합되는 일정 면적을 갖는 한 쌍의 고정판본체(2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판본체(210)와 상기 제1시설물(70) 또는 제2시설물(8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30)와;
    상기 복수개의 볼트(30)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너트(40)와;
    상기 고정판본체(210)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220)을 포함하며,
    상기 역회전방지링(220)은,
    상기 고정판본체(210)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링(221)과;
    상기 외부링(2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23)과;
    상기 외부링(221)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하는 이중와셔(225)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링(221)은 상기 고정판본체(210)에 형성된 링결합공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링(221)과 상기 고정판본체(210)의 결합영역에는 하부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캡(223)이 삽입되는 캡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221)의 내경에는 외부이빨이 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221)의 바닥면에 상기 링결합공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와셔안착면이 일정면적 구비되고,
    상기 외부링(221)과 상기 고정판본체(210)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외부링(221)의 곡률에 대응되게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 관통형성된 후크삽입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삽입장공이 형성된 고정판본체(210)의 바닥면에는 일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된 후크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이중와셔(225)는 상기 와셔안착면에 안착되는 상부와셔와, 상기 상부와셔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링결합공 내에 배치되는 하부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와셔는 내경은 볼트축(31)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와셔안착면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와셔는 내경은 상기 볼트축(31)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링결합공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고정부재.
KR1020190173039A 2019-12-23 2019-12-23 배관고정부재 KR102154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039A KR102154761B1 (ko) 2019-12-23 2019-12-23 배관고정부재
PCT/KR2020/000464 WO2021132792A1 (ko) 2019-12-23 2020-01-10 배관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039A KR102154761B1 (ko) 2019-12-23 2019-12-23 배관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761B1 true KR102154761B1 (ko) 2020-09-10

Family

ID=7246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039A KR102154761B1 (ko) 2019-12-23 2019-12-23 배관고정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4761B1 (ko)
WO (1) WO20211327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570A (ko) * 2020-11-03 2022-05-10 박광현 파이프 연결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311U (ko) * 1990-07-11 1992-03-13
JP2003130014A (ja) * 2001-10-23 2003-05-08 Kobe Steel Ltd ボルト摩擦接合方法およびボルト摩擦接合用フィラー材
KR200391188Y1 (ko) * 2005-05-16 2005-07-29 이재웅 볼팅이 용이한 와셔볼트의 와셔 구조
KR102051059B1 (ko) * 2019-07-01 2019-12-02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097A (ko) * 2008-07-24 2010-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회전방지형 볼트부재
JP5650820B2 (ja) * 2013-08-09 2015-01-07 北海道電力株式会社 液漏れ阻止ナット、液漏れ阻止構造体、及び液漏れ阻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311U (ko) * 1990-07-11 1992-03-13
JP2003130014A (ja) * 2001-10-23 2003-05-08 Kobe Steel Ltd ボルト摩擦接合方法およびボルト摩擦接合用フィラー材
KR200391188Y1 (ko) * 2005-05-16 2005-07-29 이재웅 볼팅이 용이한 와셔볼트의 와셔 구조
KR102051059B1 (ko) * 2019-07-01 2019-12-02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570A (ko) * 2020-11-03 2022-05-10 박광현 파이프 연결 구조
KR102507889B1 (ko) 2020-11-03 2023-03-07 박천수 파이프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792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9761B2 (ja)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組立体
US4544188A (en) Pipe joint glands
US4163571A (en) Pipe couplings
US5362110A (en) Fluid coupling and fastener capture device
KR102051059B1 (ko) 배관고정부재
JP4906973B1 (ja) 管継手
KR102154761B1 (ko) 배관고정부재
JP2019518924A (ja) ねじ締結部品構成およびそのためのワッシャアセンブリ
JP3234710U (ja) 耐振ナットキット
WO2016006598A1 (ja) 雄ねじ体、連携部材、雌ねじ体、ねじ体の締結構造
WO2015060425A1 (ja)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KR102165208B1 (ko) 배관고정부재
JP6869458B2 (ja) ナイロン座金付ナット
KR102094816B1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08095928A (ja) 締結部材
KR102186509B1 (ko) 배관고정부재
BR102012033430B1 (pt) Montagem de roda de veículo desmontável, vedação para uso em tal montagem de roda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tal montagem de roda
JP2011106538A (ja) 配管用継手
JP2007078094A (ja) プラグ構造
TWI636198B (zh) 螺紋螺合構造
JP4549376B2 (ja) ヘッダー
TWM594651U (zh) 防鬆螺帽組
JP2596892Y2 (ja) 管継手
TWM588182U (zh) 雙邊防鬆脫及密封螺帽
JP2019219029A (ja) 継手及び継手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