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816B1 - 파이프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816B1
KR102094816B1 KR1020180090083A KR20180090083A KR102094816B1 KR 102094816 B1 KR102094816 B1 KR 102094816B1 KR 1020180090083 A KR1020180090083 A KR 1020180090083A KR 20180090083 A KR20180090083 A KR 20180090083A KR 102094816 B1 KR102094816 B1 KR 102094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part
clamp
body por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651A (ko
Inventor
성기섭
Original Assignee
성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섭 filed Critical 성기섭
Priority to KR102018009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8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16L23/10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with a pivoting or swinging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파이프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용 클램프가 제공된다. 파이프용 클램프는,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고,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 형태를 이루며 제1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체결부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몸체부를 사이에 두고 제1 체결부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고정하는 체결부와, 제1 체결부가 중앙을 통과하며 서로 중첩되어 제2 체결부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접하는 면에 래칫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일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복수 개의 와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용 클램프{Clamp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액체나 기체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운반, 설치 및 유지보수 등의 문제로 연결부위가 없는 하나로 형성하여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발생하여 다수개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수 개가 연결되어 배관을 형성하는 파이프는,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 즉, 양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서로 다른 플랜지를 연결하여 배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플랜지를 밀착 결합하기 위하여 클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배관은 내부에서 다양한 이유로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클램프의 결합부분의 나사부재가 서서히 풀리면서 클램프의 결합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클램프의 나사부재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다양한 종류의 클램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볼트와 너트에 와셔를 배치하여 나사부재의 체결효과를 높이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클램프는 나사부재 사이에 다수 개의 와셔가 배치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와셔가 볼트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나사부재가 회동 시에 몸체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구조가 간편하고 결합력이 뛰어나며 체결이 용이한 클램프를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6003호, (2017.11.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파이프용 클램프는,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고,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체결부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고정하는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가 중앙을 통과하며 서로 중첩되어 상기 제2 체결부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접하는 면에 래칫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일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복수 개의 와셔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를 따라 연장된 원통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는 상기 연장부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와셔의 이탈을 방지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에 상기 제1 체결부가 통과하는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의 양단부에 상기 와셔가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절개홈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를 관통하여 말단부가 상기 제2 체결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 체결부의 말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보조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말단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가 상기 제2 체결부의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내주면에 상기 경사부와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상기 경사부의 각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와셔와 접하는 면에 래칫형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용 클램프는, 구조가 간편하여 결합이 용이하며, 나사부재를 이중으로 고정시켜 나사부재의 풀림을 방지하며 독립된 파이프를 연결하는 플랜지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는 복수 개의 와셔가 볼트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나사부재가 회동 시 와셔에 의해 클램프의 몸체부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일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체결부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및 도 6은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의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1)는 결합구조가 간단하게 형성되어 파이프(도 7의 P참조)를 연결하는 플랜지(도 7의 F참조)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보조적인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플랜지(F)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있다. 아울러, 파이프용 클램프(1)는 암나사를 이루는 제1 체결부(20a)와 와셔(30)가 결합된 구조를 이루어 나사부재가 몸체부(10)의 외측에서 회동 시, 와셔(30)에 의해 체결부(20)가 몸체부(10)에 걸리지 않아 회동 및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용 클램프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일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1)는, 링 형상이 분할되어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를 포함하는 몸체부(10)와, 나사부재로 형성되어 분할 형성된 몸체부(10)를 분리 및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20)와, 수나사에 결합되어 나사부재로 이루어진 체결부(20)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1)는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고,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플랜지(F)가 삽입되는 만입부(11)가 형성된 몸체부(10)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 형태를 이루며 제1 몸체부(1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체결부(20a)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몸체부(10a)를 사이에 두고 제1 체결부(20a)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 체결부(20b)를 포함하여,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를 고정하는 체결부(20)와, 제1 체결부(20a)가 중앙을 통과하며 서로 중첩되어 제2 체결부(20b)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접하는 면에 래칫 기어(31)가 형성되어 서로 일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복수 개의 와셔(3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파이프(P)의 연결부위인 플랜지(F)에 직접 체결되는 구성으로, 플랜지(F)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중앙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만입된 만입부(11)가 형성되어 플랜지(F)가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F)는 몸체부(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에 배치되고, 외주면이 만입부(11)와 밀착되도록 삽입배치되어 몸체부(10)에 의해 외주면이 감싸질 수 있다. 몸체부(10)는 플랜지(F)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분할 형성된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는 중앙이 관통된 원형의 링이 이등분으로 분할된 반원형의 형상을 이루며,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양단부 중 일단부가 각각 서로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는 일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힌지부(14)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4)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타단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는 체결부(20)에 의해 타단부가 서로 결합 및 분리되거나 타단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20b)는 타단부가 서로 체결될 경우 원형의 형상을 이루며, 분리될 경우 힌지부(14)에 의해 회동하여 만입부(11)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의 내측에는 플랜지(F)가 삽입되는 만입부(11)가 형성되지만, 타단부의 외측에는 일부가 만입되어 체결부(20)가 배치되기 위한 연결홈(15)과 체결홈(17)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15)은 후술할 제1 체결부(20a)가 제1 몸체부(10a)에 힌지결합되기 위해 만입 형성된 홈으로, 제1 몸체부(10a)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입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15)은 제1 몸체부(10a)에 만입 형성되어 제1 체결부(20a)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더라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제1 체결부(20a)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체결홈(17)은 서로 나사결합된 체결부(20)가 연결홈(15)으로부터 회동하여 삽입 배치되기 위해 만입 형성된 홈으로, 제2 몸체부(10b)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만입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홈(15)과 체결홈(17)은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의 타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20)가 결합되거나 삽입 배치되기 위해 만입 형성된 홈을 의미할 수 있다.
체결부(20)는 분할 형성된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의 타단부를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일종의 나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 형태를 이루는 제1 체결부(20a)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나사 형태를 이루어 제1 체결부(20a)와 결합되는 제2 체결부(20b)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20a)는 일종의 수나사로 일단부가 연결홈(15)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체결홈(17)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체결부(20b)는 일종의 암나사로 제1 체결부(20a)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며, 연장부(21), 확장부(22), 볼홈(26) 및 머리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2 체결부(20b)는 내주면이 제1 체결부(20a)의 외주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부와 타단부에 연장부(21)와 머리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는 제2 체결부(20b)의 일단부가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체결부(20a)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는 제2 체결부(20b)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외주면에 후술할 와셔(30)가 배치되기에, 복수 개의 와셔(30)가 배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는 끝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22)는 연장부(21)의 외주면에 배치된 와셔(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체결부(20b)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와 확장부(22)는 제2 체결부(20b)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체결부(20b)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장부(21)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체결부(20b)의 일단부에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체결부(20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볼홈(26)은 체결홈(17)에 돌출 형성된 돌기(25)가 삽입되기 위한 홈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제2 체결부(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머리부(27)는 제2 체결부(20b)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2 체결부(20b)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일종의 육각너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머리부(27)는 제2 체결부(20b)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체결부(20b)와 분리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보조체결부재(도 7의 40참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체결홈(17)은 적어도 일부에 제1 체결부(20a)가 통과하는 절개홈(12)과, 절개홈(12)의 양단부에 와셔(30)가 걸리는 걸림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2)은 제1 체결부(20a)가 통과하는 홈으로, 체결홈(17)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2)은 체결홈(17)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체결홈(17)과 연통 형성되어 제1 체결부(20a)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20a)는 적어도 일부는 절개홈(12)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체결홈(17)에 삽입배치될 수 있다. 절개홈(12)은 체결홈(17)보다 작은 관통구를 형성하여 체결홈(17)과의 경계부분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걸림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부(13)는 체결홈(17)과 절개홈(12)의 경계부분에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 체결부(20a)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20b)의 일단이 걸릴 수 있다. 제2 체결부(20b)의 일단에 형성되는 확장부(22)는 제1 체결부(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하다가 걸림부(13)에 걸리게 되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3)는 제2 체결부(20b)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제2 체결부(20b)가 체결홈(17)과 절개홈(12)에 삽입되고 제2 몸체부(10b)의 일측 방향을 향하도록 용이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걸림부(13)는 와셔(30)가 회전하다가 밀착되어 걸리게 되면서, 제2 체결부(20b)가 제1 체결부(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다가 체결홈(17)의 일단을 향하여 돌출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와셔(30)는 제1 체결부(20a)와 제2 체결부(20b)가 느슨해 지거나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체결부(20b)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와셔(30)는 중앙이 관통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장부(2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와셔(30)는 내주면이 연장부(21)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와셔(30)는 제1 체결부(20a)가 중앙을 통과하며 서로 중첩되어 제2 체결부(20b)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접하는 면에 래칫기어(31)가 형성되어 서로 일방향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와셔(30)는 내경이 연장부(2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장부(21)의 외주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와셔(30)는 내경이 확장부(2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장부(21)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더라도 확장부(22)에 의해 연장부(2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체결부의 작동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일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체결부의 작동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20b)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체결부(20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와셔(30)는 제2 체결부(20b)의 일단부에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제2 체결부(20b)와 함께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와셔(30)는 제2 체결부(20b)에 형성된 연장부(2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하더라도 확장부(22)에 의해 제1 체결부(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와셔(30)는 제2 체결부(20b)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1 체결부(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만 제2 체결부(20b)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면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20b)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체결부(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조이거나 풀릴 수 있다. 이때, 와셔(30)는 제2 체결부(20b)의 일단부에 결합된 구조로 인해, 제2 체결부(20b)와 함께 회전하여 제1 체결부(20a)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20b)가 제1 체결부(20a)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 체결부(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 몸체부(20b)의 부딪혀 회동이 제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와셔(30)는 체결부(20)가 수직하게 배치되었을 때 제2 체결부(20b)로부터 분리되어 나사산을 타고 이동하면서 회전 시에 절개홈(12)에 걸려 회동이 제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파이프용 클램프가 회동하여 개폐하고, 체결부(20)에 의해 체결되는 작동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및 도 6은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작동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1)는 체결부(20)에 의해 타단부가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파이프용 클램프(1)는 내측에 플랜지(F)를 배치하고 타단부를 체결하기 위해 제1 체결부(20a)와 제2 체결부(20b)를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2 체결부(20b)의 일부분만 제1 체결부(20a)에 결합한다. 제2 체결부(20b)를 제1 체결부(20a)에 완전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할 경우 와셔(30)가 절개홈(12)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제2 체결부(20b)의 일부분만 체결한 상태에서 제1 체결부(20a)를 회동시켜 체결홈(17)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일부분만 체결된 체결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시켜 방향을 전환하더라도 와셔(30)가 제1 체결부(2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아 용이하게 회전시켜 체결홈(17)에 삽입 배치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0b)는 체결홈(17)에 삽입배치되고,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체결부(20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홈(17)에 돌출 형성된 돌기(25)가 볼홈(26)에 삽입되고, 제2 체결부(20b)가 회전하면서 볼홈(26)에 돌기(25)가 삽입되면서 걸릴 수 있다. 제2 체결부(20b)를 특정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면 제1 몸체부(10a)와 제2 몸체부(10b)의 타단부는 더욱 밀착 배치될 수 있으며, 와셔(30)는 걸림부(13)에 걸리게 되어 제2 체결부(20b)의 일단부가 제2 몸체부(10b)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용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1)는 파이프(P)의 일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F)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파이프용 클램프(1)는 파이프(P)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F)의 외주면에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1)는 와셔(30)가 제2 체결부(20b)에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고 이동하여, 와셔(30)가 제1 체결부(20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체결부(20a)의 회동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한 구조로 플랜지(F)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이프용 클램프(1)는 와셔(30)가 제2 체결부(20b)의 일단부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조가 간편하고 결합이 용이하며, 제1 체결부(20a)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체결부(20b)가 회동 시 와셔(30)에 의해 클램프의 몸체부(10)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의 체결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1의 파이프용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의 체결부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파이프용 클램프(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200)는 보조체결부재(40)를 포함하고, 제1 체결부(200a)와 제2 체결부(200b)에 경사부(23)와 경사면(24)이 형성된 점을 제외하면, 이미 설명한 일 실시예의 체결부(20)와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200)는 보조체결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체결부재(40)는 제1 체결부(20a)의 말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일종의 암나사로, 제2 체결부(20b)를 관통하여 말단부가 제2 체결부(20b)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보조체결부재(40)는 육각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체결부(20b)의 타단부에 위치하여 제1 체결부(20a)에 결합되어 제1 체결부(200a)와 제2 체결부(200b)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보조체결부재(40)는 제2 체결부(200b)와 접하는 일단에 탄성재질로 형성된 링부(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링부(41)는 제2 체결부(200b)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제2 체결부(200b)와 접하는 단면에 래칫기어가 형성되고 제2 체결부(200b)의 일단면에도 래칫기어가 형성되어 더욱 용이하게 결합되며,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마찰력이 높아져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부(200a)와 제2 체결부(200b)는 각각 경사부(23)와 경사면(24)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체결부(200a)는 말단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23)를 포함한다. 경사부(23)는 제2 체결부(200b)의 내주면과 밀착 배치된다. 아울러, 제2 체결부(200b)는 내주면에 경사부(23)와 접하는 경사면(24)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4)은 각도가 경사부(23)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제1 체결부(200a)는 제2 체결부(200b)에 나사결합되면서 경사부(23)와 경사면(24)이 서로 끼움 결합되어 마찰력이 발생하여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체결부재(40)는 일 실시예의 제2 체결부(20b)에서 머리부(27)가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파이프용 클램프
10: 몸체부 10a: 제1 몸체부
10b: 제2 몸체부 11: 만입부
12: 절개홈 13: 걸림부
14: 힌지부 15: 연결홈
16: 볼부 17: 체결홈
20, 200: 체결부 20a, 200a: 제1 체결부
20b, 200b: 제2 체결부 21: 연장부
22: 확장부 23: 경사부
24: 경사면 25: 돌기
26: 볼홈 27: 머리부
30: 와셔 31: 기어
40: 보조체결부재 41: 링부
P: 파이프 F: 플랜지

Claims (8)

  1.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고,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플랜지가 삽입되는 만입부가 형성된 몸체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수나사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체결부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체결부와 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를 고정하는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가 중앙을 통과하며 서로 중첩되어 상기 제2 체결부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접하는 면에 래칫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일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복수 개의 와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를 관통하여 말단부가 상기 제2 체결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말단부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가 상기 제2 체결부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2 체결부는 내주면에 상기 경사부와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상기 경사부의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말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 형태의 보조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를 따라 연장된 원통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는 상기 연장부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와셔의 이탈을 방지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에 상기 제1 체결부가 통과하는 절개홈과, 상기 절개홈의 양단부에 상기 와셔가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부는 상기 절개홈 내측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용 클램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와셔와 접하는 면에 래칫형 돌기가 더 형성되는 파이프용 클램프.
KR1020180090083A 2018-08-01 2018-08-01 파이프용 클램프 KR102094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083A KR102094816B1 (ko) 2018-08-01 2018-08-01 파이프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083A KR102094816B1 (ko) 2018-08-01 2018-08-01 파이프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51A KR20200014651A (ko) 2020-02-11
KR102094816B1 true KR102094816B1 (ko) 2020-03-30

Family

ID=6956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083A KR102094816B1 (ko) 2018-08-01 2018-08-01 파이프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333B1 (ko) 2020-06-24 2021-12-02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온 가열기능을 구비한 반도체설비용 플랜지 클램프
KR102633036B1 (ko) * 2023-03-16 2024-02-02 주식회사 아토즈 클램프히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0430A1 (en) * 2008-08-14 2010-02-18 Mckinlay Alistair Neil Low-profile cam locking threaded fastener
KR200464096Y1 (ko) * 2012-05-24 2012-12-11 (주)보영테크 진공 배관용 클램프
KR101796003B1 (ko) * 2016-03-16 2017-12-01 한효신 너트 제어수단을 갖는 진공배관용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35394A (en) * 1993-06-30 1995-01-12 Huck International, Inc. Fastener with structure for aligning openings in workpieces
KR101935125B1 (ko) * 2017-01-02 2019-01-03 이수용 배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0430A1 (en) * 2008-08-14 2010-02-18 Mckinlay Alistair Neil Low-profile cam locking threaded fastener
KR200464096Y1 (ko) * 2012-05-24 2012-12-11 (주)보영테크 진공 배관용 클램프
KR101796003B1 (ko) * 2016-03-16 2017-12-01 한효신 너트 제어수단을 갖는 진공배관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51A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816B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930006017B1 (ko) 가요성 비금속도관 및 가요성 비금속튜브용 방수콘넥터
US3394950A (en) Hose coupling attachment
US3966234A (en) Flange joint
US8430432B2 (en) Pipe coupling
MX2007006041A (es) Abrazadera para tubo con sujetador mejorado.
US2456203A (en) Coupling for tubular members
US928237A (en) Hose-coupling.
RU2433329C2 (ru) Зажимный хомут
US3010172A (en) Integrally reinforced v-band clamp
KR101887676B1 (ko) 배관 피팅 장치
JP2020512516A (ja) 管継手
US10344459B2 (en) Faucet mounting mechanism
KR20160004978A (ko)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CN203797193U (zh) 一种链式管箍
US604224A (en) bennik
KR200491624Y1 (ko) 로프 연결 장치
US3238985A (en) Threaded devices with antirotational means
KR102434910B1 (ko) 배관용 클램프
EP0307780B1 (fr) Joint à diamètres variables pour étanchéité entre un tube ou orifice externe et des tubes ou tiges internes
KR100745653B1 (ko) 전방 삽입형 유니언
KR102162858B1 (ko) 파이프용 클램프
US20200386352A1 (en) Cap loosening prevention device
CH367363A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à emboîtement de deux éléments de canalisation
JPH0727269A (ja) パイプ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