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125B1 - 배관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125B1
KR101935125B1 KR1020170000071A KR20170000071A KR101935125B1 KR 101935125 B1 KR101935125 B1 KR 101935125B1 KR 1020170000071 A KR1020170000071 A KR 1020170000071A KR 20170000071 A KR20170000071 A KR 20170000071A KR 101935125 B1 KR101935125 B1 KR 10193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s
nut
clamp
fixed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657A (ko
Inventor
이수용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이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용 filed Critical 이수용
Priority to KR1020170000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1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가 분할 결합되는 제1,2클램프의 조임부분인 개구부에 조임어셈블리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배관들에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클램프에 있어서의 제1클램프의 개구부의 끝단에 2단 볼트의 기초부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하고, 또한 이 2단 볼트는 정방향나사와 역방향나사로 각각 성형하여, 상기 2단 볼트에 정방향나사와 역방향나사의 제1,2너트들이 각각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내를 흐르는 유체 자체의 진동 또는 외부의 진동과 충격에 의해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에 정,역의 방향으로 풀림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2단 볼트에 체결되어 있는 제1,2너트가 상기 정,역방향에 대응하는 역,정방향의 조임력의 발생으로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클램프가 분할 결합되는 제1,2클램프의 조임부분인 개구부에 조임어셈블리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배관들에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클램프에서, 상기 클램프(1)의 제1클램프(10)의 개구부의 끝단에 2단 볼트(30)의 기초부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2단 볼트(30)에 제1,2너트(40,50)들이 각각 서로 다른방향으로 조임 고정되어, 상기 2단 볼트(30)와, 이 2단 볼트(30)에 고정된 제1,2너트(40,50)들이 제2클램프(20)의 유지시트(21)에 결합 고정되는 배관용 클램프에서의, 상기 제1너트(40)에, 원통형상으로 정방향나사구멍(41)과, 제2너트(50)가 수용되어 이동과 회전가능한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43)이 형성되는 배관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40)의 자유로운 구멍(43)에는,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쪽으로 직교나사구멍(44)들이 형성되고, 상기 직교나사구멍(44)들에 무두렌치볼트(45)가 체결되어, 상기 자유로운 구멍(43)에서 제2너트(50)의 유동제어부(52)가 제어되어 이동과 회전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클램프{Clamp for pipe}
본 발명은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분의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가 분할 결합되는 제1,2클램프의 조임부분인 개구부에 조임어셈블리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배관들에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클램프에 있어서의 제1클램프의 개구부의 끝단에 2단 볼트의 기초부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하고, 또한 이 2단 볼트는 정방향나사와 역방향나사로 각각 성형하여, 상기 2단 볼트에 정방향나사와 역방향나사의 제1,2너트들이 각각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내를 흐르는 유체 자체의 진동 또는 외부의 진동과 충격에 의해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에 정,역의 방향으로 풀림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2단 볼트에 체결되어 있는 제1,2너트가 상기 정,역방향에 대응하는 역,정방향의 조임력의 발생으로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 배관뿐만 아니라, 수도관, 송유관, 화학 플랜트에서 독성가스 또는 독성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배관 등에서 유체가 누출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스 배관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노후화, 부식화 또는 공사 중 파손에 의한 가스 누출시에는 가스배관에 대한 안전조치가 완료될 때 까지 가스공급을 중단하기 때문에 수요자들의 불만의 한 요인이 된다. 또한 가스누출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폭발, 화재발생 등의 대형사고로 발전하기도 한다.
특히,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대규모 산업설비에서는 안정적인 가스공급이 필수적인데, 배관의 파손에 의하여 가스공급이 중단됨에 따라서 불량품이 발생되고, 가스공급사가 책임져야 하는 경우도 발생되며, 이에 따라서 사회적으로 기업 이미지와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한,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제조되는 반도체 제품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턴스를 박막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액정표시장치 제조 분야는 액정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 등을 박막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박막 공정에 사용되는 맹독성 화학 가스는 매우 미량이 누설되더라도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고, 맹독성 화학 가스 중 일부는 대기 중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발화하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맹독성 화학 가스가 저장된 탱크 및 반도체 제조 장치는 이음 부위가 없는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하는 것이 누설방지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며, 실제로는 여러 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배관과 배관의 이음부분은 맹독성 화학 가스의 누설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위와 같이 가스 등의 배관 및 파이프 등의 이음부분에서 가스 등의 유체의 누출되기 쉬운데, 상기 배관 및 파이프 등을 연장 또는 고정하는 수단으로 클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그 형상은 매우 다양하나 대략 그 특징부를 살펴보면, 한 쌍의 제1,2클램프와 일측에는 상기 제1,2클램프를 연결하는 힌지축이 개재되어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2클램프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는 유체나 기체 등이 흐르는 관로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유체나 기체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클램프에게도 그 영향이 미치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클램프의 체결수단인 너트나 볼트 등에도 전달되어 체결수단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달되는 진동의 강도가 미세하더라도 시간의 경과나 기타 외부환경에 따라 체결수단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체결수단의 풀림을 방지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클램프가 느슨해지거나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배관사이를 연결하는 클램프에 결합되는 결속유지 클립으로, 클립의 둘레면에 복수의 관통홀과 이 관통홀에 대향하는 쪽에 걸어지는 고정편을 형성하여, 이 고정편이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관으로부터 클램프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10-1200719호에 기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회전부재(100)의 장공(110) 내부에 위치하여 제1회전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장공(110)까지 설치되는 고정부재(120)에 탄성부재(600)와 함께 탄성력을 가지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쪽에 끼움공(510)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걸림턱(540)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돌출부(520)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걸림돌기(530)가 형성되어 그 걸림돌기(530)가 끼움홈(130)에 끼워지는 너트(800)의 풀림방지홈(81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게 되는 가동부재(500)와; 제1회전부재(100)의 장공(110)을 관통하는 연결부(420)의 양단에는 회전노브(410)가 설치되고, 연결부(420)의 한쪽 외측둘레에는 가동부재(500)의 돌출부(520)를 작동시키는 캠부(421)가 형성된 작동부재(400);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 연결용 클램프 장치에 따르면 클램프 장치의 결속력을 유지시켜주는 볼트와 너트가 진동 또는 외부의 영향에 의해 쉽게 풀리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배관의 진동에 따라 클램프의 결속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기밀이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너트에 풀림방지홈이 형성된 부품과 또한 가동부재 등을 별도로 제작으로, 설계 및 제작비용의 상승에 따른 제조원가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가동부재가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하여 너트의 풀림방지홈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스프링의 부세력이 떨어져 가동부재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0071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분의 클램프가 분할 결합되는 제1,2클램프의 조임부분인 개구부에 조임어셈블리가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배관들에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분의 클램프에서 클램프를 조임장치가 2단 볼트와, 이 2단 볼트의 1단의 볼트에 결합되는 제1너트와, 또한 상기 2단 볼트의 2단 볼트에 체결되는 제2너트로 구성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2클램프가 한쪽의 힌지에 의하여 움직임이 자유로은 부분의 대향되는 개구부의 제1클램프에 2단 볼트의 기초부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단 볼트는 직경이 서로 다른 정방향나사와 역방향나사가 각각 성형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단 볼트에 정방향나사와 역방향나사의 제1,2너트들이 각각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내를 흐르는 유체 자체의 진동 또는 외부의 진동과 충격에 의해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에 정,역의 방향으로 풀림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2단 볼트에 체결되어 있는 제1,2너트가 상기 정,역방향에 대응하는 역,정방향의 조임력의 발생으로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램프를 조임 고정하는 조임어셈블리가 볼트와 너트 이외의 다른 별도의 볼트, 너트 풀림방지용 래치트 등을 사용하는 일이없어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램프가 분할 결합되는 제1,2클램프의 조임부분인 개구부에 조임어셈블리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배관들에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클램프에서, 상기 클램프의 제1클램프의 개구부의 끝단에 2단 볼트의 기초부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2단 볼트에 제1,2너트들이 각각 서로 다른방향으로 조임 고정되어, 상기 2단 볼트와, 이 2단 볼트에 고정된 제1,2너트들이 제2클램프의 유지시트에 결합 고정되는 배관용 클램프에서의 상기 제1너트에, 원통형상으로 정방향구멍과, 제2너트가 수용되어 이동과 회전가능한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이 형성되는 배관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의 자유로운 구멍에는,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쪽으로 직교나사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직교나사구멍들에 무두렌치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자유로운 구멍에서 제2너트의 유동제어부가 제어되어 이동과 회전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클램프가 분할 결합되는 제1,2클램프의 조임부분인 개구부에 조임어셈블리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배관들에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클램프에 있어서의 제1클램프의 개구부의 끝단에 2단 볼트의 기초부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하고, 또한 이 2단 볼트는 정방향나사와 역방향나사로 각각 성형하여, 상기 2단 볼트에 정방향나사와 역방향나사의 제1,2너트들이 각각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내를 흐르는 유체 자체의 진동 또는 외부의 진동과 충격에 의해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에 정,역의 방향으로 풀림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2단 볼트에 체결되어 있는 제1,2너트가 상기 정,역방향에 대응하는 역,정방향의 조임력의 발생으로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배관용 클램프의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배관용 클램프의 조임어셈블리의 분리 단면도,
도 3a,b,c,d 는 본 발명의 배관용 클램프의 조임어셈블리의 결합예의 단면도,
도 4a,b 는 본 발명의 배관용 클램프에 조임어셈블리의 조립예의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관용 클램프에 조임어셈블리가 완전 결합된 상태의 종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들(도시생략)의 이음부분을 조임 고정하는 클램프(1)는 배관들의 위에 조임 고정될 수 있는 칫수의 내경을 가지며, 또한 분할 결합가능한 반구형상의 내경을 가지는 제1,2클램프(10,20)로 제작된다.
이 반구형상의 제1,2클램프(10,20)들은 한쪽이 고정브라켓(11)에서 힌지(12)들에 의하여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12)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된 개구부(22) 끝단들에는 후술하는 2단 볼트(30)과 제1,2너트(40,50)이 결합되는 힌지축(13)과 유지시트(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시트(21)는, 후술하는 조임어셈블리인 2단 볼트(30)과 제1너트(40)이 한쪽이 개방된 2개의 턱이진 턱에 의하여 걸림이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제1,2클램프(10,20)의 힌지축(13)과 유지시트(21)들에 결합되는 조임어셈블리는 2단 볼트(30)과 제1,2너트(40,5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2단 볼트(30)에 제1너트(40)과 제2너트(50)이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1)의 제1,2클램프(10,20)들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2단 볼트(30)는, 기초부에 힌지구멍(31)이 형성되어, 클램프(1)의 제1클램프(10)의 힌지축(13)에 결합되어서,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2단 볼트(30)의 힌지구멍(31)의 위쪽에는, 정,역방향나사(32,33)들이 서로 다른 직경으로 연이어서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아래쪽은 큰직경이며 오른쪽 나사의 정방향나사(32)이고, 또한 위쪽은 작은직경으로 왼쪽 나사의 역방향나사(3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너트(40)은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써 내경에는, 정방향의 나사구멍(41)과, 이 나사구멍(41)과의 구획턱(42)으로 구획된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43)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구멍(41)에는 2단 볼트(30)의 정방향나사(32)와 체결되고, 또한 상기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43)에는 제2너트(50)이 이동과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된다. 상기 구획턱(42)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43)의 아래쪽에 와셔(54)가 결합되고, 제1너트(40)의 위쪽에 렌치 등으로 체결할 수 있는 머리부(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너트(40)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43)에는,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쪽으로 직교나사구멍(44)들이 형성되고, 상기 직교나사구멍(44)들에 무두렌치볼트(45)가 체결되어, 후술하는 제2너트(50)의 유동제어부(52)가 제어되어 이동과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면서, 제1너트(40)로부터 제2너트(50)이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너트(50)는, 내경에 왼나사인 역방향나사구멍(51)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역방향나사구멍(51)은 상기 2단 볼트(30)의 역방향나사(33)와 체결될 수 있는 직경이다. 또한 위쪽 둘레면에 렌치 등으로 결합될 수 있는 머리부(53)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53)의 아래쪽은 상기 머리부(53) 보다 작은 직경으로써, 제2너트(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양쪽으로 턱이져 있는 유동제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c와 같이 상기 유동제어부(52)에는 앞서 설명한 제1너트(40)의 무두렌치볼트(45)의 끝단이 돌출되어 제1너트(40)에 제2너트(50)이 결합된 후, 길이방향으로 위,아래의 턱이진 부분까지 이동이 자유로우면서 또한 제1너트(40)에서 제2너트(50)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너트(50)는, 제1너트(40)에 결합된 상태에서 2단 볼트(30)의 역방향나사(51)와 체결 유지된다.
본 발명의 조임어셈블리의 조립은, 도 3a,b,c,d와 같이 순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너트(40)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43)에 제2너트(50)의 유동제어부(52)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1너트(40)에 결합된 제2너트(50)는, 제1너트(40)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43)에서 분리 이탈될 수 있는 상태이지만,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너트(40)의 직교나사구멍(44)들에 무두렌치볼트(45)들을 렌치 등을 이용하여 조임방향으로 조여서, 제2너트(50)의 유동제어부(52)가 무두렌치볼트(45)들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과 회전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너트(40)에 제2너트(50)이 결합된 상태에서 2단 볼트(30)의 정방향나사(32)에 제1너트(40)을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전한 체결이 아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조이고, 또한 2단 볼트(30)의 역방향나사(33)에 제2너트(50)을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역시 완전한 체결이 아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조인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1)의 제1클램프(10)의 힌지축(13)에 2단 볼트(30)이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단 볼트(30)에 제1,2너트(40,50)의 체결에 있어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단 볼트(30)을 클램프(1)의 제1클램프(10)의 힌지축(13)에 결합한 후, 2단 볼트(30)에 제1,2너트(40,5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위와 같이, 상기 클램프(1)의 제1클램프(10)의 개구부의 끝단에 2단 볼트(30)의 기초부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2단 볼트(30)에 제1,2너트(40,50)들이 각각 서로 정,역의 다른방향으로 조임 고정되어, 상기 2단 볼트(30)와, 제1너트(40)들이 제2클램프(20)의 유지시트(21)에 결합 고정됨에 따라서, 배관내를 흐르는 유체 자체의 진동 또는 외부의 진동과 충격에 의해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에 정,역의 방향으로 풀림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2단 볼트에 체결되어 있는 제1,2너트가 상기 정,역방향에 대응하는 역,정방향의 조임력의 발생으로 2단 볼트로부터 제1,2너트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클램프 10 : 제1클램프
11 : 고정브라켓 12 : 힌지
13 : 힌지축 20 : 제2클램프
21 : 유지시트 22 : 개구부
30 : 2단 볼트 31 : 힌지구멍
32 : 정방향나사 33 : 역방향나사
40 : 제1너트 41 : 정방향나사구멍
42 : 구획턱 43 :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
44 : 직교나사구멍 45 : 무두렌치볼트
46 : 머리부 47 : 와셔
50 : 제2너트 51 : 역방향나사구멍
52 : 유동제어부 53 : 머리부
54 : 와셔

Claims (5)

  1. 클램프가 분할 결합되는 제1,2클램프의 조임부분인 개구부에 조임어셈블리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배관들에 조임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용 클램프에서, 상기 클램프(1)의 제1클램프(10)의 개구부의 끝단에 2단 볼트(30)의 기초부가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고정되고, 상기 2단 볼트(30)에 제1,2너트(40,50)들이 각각 서로 다른방향으로 조임 고정되어, 상기 2단 볼트(30)와, 이 2단 볼트(30)에 고정된 제1,2너트(40,50)들이 제2클램프(20)의 유지시트(21)에 결합 고정되는 배관용 클램프에서의, 상기 제1너트(40)에, 원통형상으로 정방향나사구멍(41)과, 제2너트(50)가 수용되어 이동과 회전가능한 움직임이 자유로운 구멍(43)이 형성되는 배관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40)의 자유로운 구멍(43)에는,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쪽으로 직교나사구멍(44)들이 형성되고, 상기 직교나사구멍(44)들에 무두렌치볼트(45)가 체결되어, 상기 자유로운 구멍(43)에서 제2너트(50)의 유동제어부(52)가 제어되어 이동과 회전이 자유롭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00071A 2017-01-02 2017-01-02 배관용 클램프 KR10193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071A KR101935125B1 (ko) 2017-01-02 2017-01-02 배관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071A KR101935125B1 (ko) 2017-01-02 2017-01-02 배관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57A KR20180079657A (ko) 2018-07-11
KR101935125B1 true KR101935125B1 (ko) 2019-01-03

Family

ID=6291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071A KR101935125B1 (ko) 2017-01-02 2017-01-02 배관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816B1 (ko) * 2018-08-01 2020-03-30 성기섭 파이프용 클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19B1 (ko) 2012-05-23 2012-11-12 김형동 배관 연결용 클램프 장치
KR101398314B1 (ko) 2013-04-24 2014-05-22 이상숙 배관결속전용의 클램프
KR101578329B1 (ko) * 2015-09-02 2015-12-16 김형근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320A (ko) * 2004-01-30 2004-02-18 주식회사 브릿지코리아 이단 풀림 방지 나사
KR20130072488A (ko) * 2011-12-22 2013-07-02 황태하 풀림방지용 볼팅구조
KR20140093501A (ko) * 2013-01-18 2014-07-28 주해식 체결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19B1 (ko) 2012-05-23 2012-11-12 김형동 배관 연결용 클램프 장치
KR101398314B1 (ko) 2013-04-24 2014-05-22 이상숙 배관결속전용의 클램프
KR101578329B1 (ko) * 2015-09-02 2015-12-16 김형근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57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KR101052293B1 (ko) 밸브 고정장치
JP2009203648A (ja) 回転防止具
KR101935125B1 (ko) 배관용 클램프
KR20180036209A (ko) 이중 배관의 지지체
KR101644596B1 (ko) 배관 연결용 피팅 고정부재
KR20200102144A (ko) 풀림방지 진공 클램프
KR101314494B1 (ko) 밸브너트 록킹장치
US20080141512A1 (en) Apparatus for removing or fitting a compression ring
KR20200022062A (ko) 파이프 고정 장치 및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장치
KR101644889B1 (ko)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WO2019187398A1 (ja) 管継手とバルブ継手部のロック装置
JP2007245258A (ja) 配管連結用治具
KR100659369B1 (ko) 누수시험용 파이프 캡
WO2005001322A1 (en) Pipe moving regulation joint device
JP3217571U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200163972Y1 (ko) 관연결용클램프
GB2033037A (en) Joints for pipes or shafts
KR20040013409A (ko) 배관클램프
KR100512467B1 (ko) 관 연결장치
JP2002200567A (ja) 緩み防止治具
JPH11311389A (ja) 分岐継手
JP6611492B2 (ja) ガス栓本体の設置構造
JP2004293693A (ja) パイプ連結支持具
KR101590085B1 (ko) 압력 계측기용 압력 누설 자동 차단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