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059B1 - 배관고정부재 - Google Patents

배관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059B1
KR102051059B1 KR1020190078860A KR20190078860A KR102051059B1 KR 102051059 B1 KR102051059 B1 KR 102051059B1 KR 1020190078860 A KR1020190078860 A KR 1020190078860A KR 20190078860 A KR20190078860 A KR 20190078860A KR 102051059 B1 KR102051059 B1 KR 10205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flange
r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균
김철균
Original Assignee
김덕균
김철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균, 김철균 filed Critical 김덕균
Priority to KR102019007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059B1/ko
Priority to PCT/KR2019/008310 priority patent/WO20202466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2Locking by means of a pawl or pawl-like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반달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과;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220)과; 상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을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에 고정시키는 결합판고정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은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의 외경의 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을 감싸는 배관결합공(211)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맞닿는 영역에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는 결합돌기(217,217a) 및 돌기결합홈(219,219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고정부재{PIP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이웃하는 배관을 서로 결합시킨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배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일정 길이로 제작된 복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된다. 이 때, 각 배관의 단부에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이웃하는 배관의 플랜지는 서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배관을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이웃하는 배관을 고정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를 흐르는 기체 또는 유체의 흐름 또는 외력 등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볼트와 너트가 풀리게 되면 이웃하는 배관 사이로 기체가 유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1459호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웃하는 배관을 연결하는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배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는,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반달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과;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220)과; 상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을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에 고정시키는 결합판고정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은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의 외경의 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을 감싸는 배관결합공(211)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맞닿는 영역에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는 결합돌기(217,217a) 및 돌기결합홈(219,219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역회전방지링(220)은,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링(221)과; 상기 외부링(2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23)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링(22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결합영역에는 하부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캡(223)이 삽입되는 캡삽입홈(221b)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221)의 내경에는 외부이빨(221a)이 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223)은 상기 캡삽입홈(221b)에 삽입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223)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링(221)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부삽입관(223a)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삽입관(223a)의 가운데 영역에는 상기 너트(40)가 삽입되는 너트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삽입공의 내벽면에는 상기 너트(40)와 맞물리는 내부이빨(223b)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삽입관(223a)의 외벽면에는 접선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이빨(221a)에 걸림되는 역회전방지돌기(223c)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판고정부재(230)는, 상기 배관결합공(211)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의 외면을 감싸는 배관결합링(23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상기 배관결합링(231)과 결합되는 결합링가압축(233)과; 상단은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은 상기 결합링가압축(233)의 상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결합링가압축(233)을 가압하여 상기 배관결합링(231)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에 끼워지게 하는 축가압부재(2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배관의 결합상태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함께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결합구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에 의해 이웃하는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가 배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의 결합판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200)에 의해 이웃하게 배치된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배관고정부재(200)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은 각각 양단에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가 구비된다.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각각의 배관플랜지(11,21) 표면에 관통형성된 볼트삽입공(13,23)으로 볼트(30)가 삽입되고, 너트(40)가 외부로 노출된 볼트축(31)에 체결되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결합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200)는 서로 결합된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30)와 너트(40)가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배관고정부재(200)는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의 단면형상의 절반에 대응되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을 포함한다. 제1플랜지결합판(210)과 제2플랜지결합판(110a)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에 상하로 배치되고, 제3플랜지결합판(110b)과 제4플랜지결합판(110c)은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상하로 배치된다.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은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구성은 서로 동일하므로 제1플랜지결합판(21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제1플랜지결합판(210)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절반에 해당하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플랜지결합판(210)과 제2플랜지결합판(210a)이 서로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을 덮게 된다.
제1플랜지결합판(210)의 중심영역에는 제1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배관결합공(211)이 형성된다. 배관결합공(2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관(10)의 외주연의 절반영역을 감싸 제1플랜지결합판(210)이 제1배관플랜지(11)에 배치되게 한다.
제1플랜지결합판(210)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역회전방지링(220)이 결합된다.제1플랜지결합판(210)과 복수개의 역회전방지링(220)의 외부링(221)은 일체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들은 합성소재 또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각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은 용융된 수지를 해당 금형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외부링(221)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제1플랜지결합판(210)의 내부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가압부재삽입공(215)와 가압축삽입공(215a)이 서로 연통되게 동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부재삽입공(215)에는 결합판고정부재(230)의 축가압부재(235)가 삽입되고, 가압축삽입공(215a)에는 결합링가압축(233)이 삽입된다. 가압부재삽입공(215)와 가압축삽입공(215a) 사이에는 결합링가압축(233)이 삽입되는 삽입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플랜지결합판(210)과 제2플랜지결합판(210a)는 서로 맞닿는 영역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결합돌기(217,217a)와 돌기결합홈(219,219a)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결합판(210)의 제1결합돌기(217)는 제2플랜지결합판(210a)의 제2돌기결합홈(219a)에 끼움결합되고, 제1돌기결합홈(219)에는 제2결합돌기(217a)가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돌기와 돌기결합홈의 맞물림 결합에 의해 한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와 제1배관(10)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역회전방지링(220)은 제1플랜지결합판(210)의 판면에 구비되어 볼트(30) 또는 너트(40)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1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방지링(220)은 제1플랜지결합판(210)의 판면에 일체로 구비된 외부링(221)과, 외부링(221)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캡(223)을 포함한다.
외부링(221)은 제1플랜지결합판(210)의 판면에 링 형태로 형성된다. 외부링(221)은 제1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과의 결합영역에 하부로 함몰 형성된 캡삽입홈(221b)에 의해 구분된다. 캡삽입홈(221b)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23)이 끼움결합된다.
외부링(221)의 내부는 관통형성되어 볼트(30)가 삽입되고, 외부링(221)의 내벽면에는 외부이빨(221a)이 형성된다. 외부이빨(221a)은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캡(223)은 외부링(2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너트(40)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지지한다. 캡(223)은 외경이 캡삽입홈(221b)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캡삽입홈(221b)에 끼움결합된다.
캡(223)의 내부에는 내부삽입관(223a)이 하부를 향해 형성된다. 내부삽입관(223a)의 가운데 영역에는 볼트(3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이 관통형성된다. 내부삽입관(223a)의 내벽면에는 내부이빨(223b)이 형성되고, 내부삽입관(223a)의 외벽면에는 역회전방지돌기(223c)가 구비된다.
내부이빨(223b)은 내부삽입관(223a)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요철이 반복되게 형성된다. 내부이빨(223b)에는 육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볼트(30) 또는 너트(40)의 모서리가 끼워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볼트(30) 또는 너트(40)가 회전될 때 내부삽입관(223a)과 일체로 형성된 캡(223)도 캡삽입홈(221b) 내부에서 함께 회전된다.
역회전방지돌기(223c)는 내부삽입관(223a)의 외벽면에서 외부링(221)의 외부이빨(221a)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역회전방지돌기(223c)는 캡(223)이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외부이빨(221a)을 타고 넘으며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며 캡(223)이 회전되도록 한다.
반면, 역회전방지돌기(223c)는 캡(223)이 볼트(30)와 너트(40)가 풀리는 방향(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외부이빨(221a) 사이에 끼워져 캡(223)이 회전되지 못하게 막는다.
결합판고정부재(230)는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에 결합된 제1플랜지결합판(210)을 제1배관(10)에 고정시킨다. 결합판고정부재(230)는 제1배관플랜지(11)를 제1배관(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판고정부재(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결합공(211)에 배치되는 반원형상의 배관결합링(231)과, 가압축삽입공(215a)을 통해 삽입되어 배관결합링(231)을 가압하는 결합링가압축(233)과, 가압부재삽입공(215)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링가압축(233)을 배관결합링(231)을 향해 가압하는 축가압부재(235)와, 배관결합링(231)과 결합링가압축(233)을 결합시키는 링체결부재(237)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결합판(210)은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으로 끼워진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제1플랜지결합판(2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1플랜지결합판(210)은 제1배관플랜지(11)로부터 이격된다. 결합판고정부재(230)는 제1플랜지결합판(210)이 제1배관플랜지(11)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플랜지결합판(210)을 제1배관(10)에 고정시킨다.
배관결합링(2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태를 갖는 얇은 금속밴드로 구비된다. 배관결합링(231)의 직경은 제1배관(10)의 외경보다 일정 길이 작게 형성된다. 배관결합링(231)은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질 수 있게 구비된다. 배관결합링(231)의 중심영역에는 가압축삽입공(215a)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체결부재삽입홈(231a)이 구비되고, 체결부재삽입홈(231a)에는 체결부재삽입공(231b)이 형성된다.
체결부재삽입홈(231a)은 배관결합링(23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링체결부재(237)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체결부재삽입공(231b)에는 링체결부재(237)가 삽입되어 배관결합링(231)과 결합링가압축(233)이 고정되게 한다.
결합링가압축(233)은 배관결합링(231)이 벌어지며 제1배관(10)의 외면을 감싸 배관결합링(231)이 제1배관(10)을 가압하며 고정되게 한다.
결합링가압축(233)은 일정길이를 갖는 축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영역에 내측으로 제1나사산(233a)이 구비된다. 제1나사산(233a)에는 축가압부재(235)의 제2나사산(235a)이 나사결합된다.
축가압부재(235)는 결합링가압축(233)을 배관결합링(231) 측으로 가압하여 배관결합링(231)이 압력에 의해 벌어지며 제1배관(10)의 외부에 끼워지게 한다.
축가압부재(235)의 상단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핸들(235b)이 구비된다. 작업자가 핸들(235b)을 정역회전시키면 축가압부재(235)가 결합링가압축(233) 내부로 나사결합되며 삽입되고, 결합링가압축(233)은 배관결합링(231)을 가압하게 된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결합판(210)이 제1배관플랜지(11)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235b)을 회전시켜 축가압부재(235)를 결합링가압축(233) 내부로 삽입시키면, 결합링가압축(233)에 의해 배관결합링(231)이 제1배관(10)을 향해 가압되면서 배관결합링(231)이 제1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게 벌어진다. 배관결합링(231)은 탄성적으로 벌어지며 제1배관(10)의 외면에 끼움결합되어 제1플랜지결합판(210)이 제1배관(10)에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도 6은 결합판고정부재(230a)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결합판고정부재(230)는 배관결합링(231)과 결합링가압축(233)이 독립적으로 구비되고, 링체결부재(237)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반면, 다른 실시예의 결합판고정부재(230a)는 결합링가압축(233)과 배관결합링(231)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축가압부재(235)와 결합링가압축(233) 사이에 탄성부재(239)가 배치된다. 탄성부재(239)는 결합링가압축(233)의 수용공간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결합링가압축(233)을 하부방향, 즉 제1배관(10)을 향해 가압한다. 이에 의해 배관결합링(231)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며 제1배관(10)에 끼워져 제1배관(10)에 제1플랜지결합판(210)이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200)를 이용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한다. 이 때,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60)을 삽입한다.
제1배관플랜지(11)에는 서로 마주보게 제1플랜지결합판(210)과 제2플랜지결합판(210a)이 배치되고, 제2배관플랜지(21)에는 서로 마주보게 제3플랜지결합판(210b)과 제4플랜지결합판(210c)이 구비된다.
제1플랜지결합판(210)과 제2플랜지결합판(210a)은 서로 결합돌기(217,217a)와 돌기결합홈(219,219a)이 맞물리게 제1배관(10)의 외부로 배치된다. 이 때, 역회전방지링(220)의 캡(223)은 분리된 상태로 배치된다.
제2볼트삽입공(23)을 통해 볼트(30)의 볼트축(31)이 삽입되고, 제1볼트삽입공(13)을 통해 볼트축(31)이 외부로 노출된다. 작업자는 제1볼트삽입공(13)을 통해 노출된 볼트축(31)에 와셔(50)와 너트(40)를 삽입한다. 그리고, 역회전방지링(220)의 외부링(221)에 캡(223)을 끼워 고정한다. 그리고, 너트(40)를 볼트(30)와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너트(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223)이 외부링(221)을 중심으로 너트(40)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너트(40)가 볼트축(31)에 체결되게 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1플랜지결합판(210)과 제2플랜지결합판(210a)에 형성된 3개의 너트(40)를 모두 체결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0)는 제3플랜지결합판(210b)과 제4플랜지결합판(210c)의 역회전방지링(220)에 끼워지고, 너트(40)는 제1플랜지결합판(210)과 제2플랜지결합판(210a)의 역회전방지링(220)에 끼워진다.
볼트(30)와 너트(40)는 각각 역회전방지링(220)의 캡(223)에 형성된 내부삽입관(223a)의 내부이빨(223b)에 외접되게 결합된다. 캡(223)은 역회전방지돌기(223c)에 의해 볼트(30)와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므로, 볼트(30)와 너트(40)는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풀려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볼트(30)와 너트(40)의 체결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1플랜지결합판(210), 제2플랜지결합판(210a), 제3플랜지결합판(210b) 및 제4플랜지결합판(210c)의 결합판고정부재(230)를 고정시킨다.
각각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을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에 배치할 때, 결합판고정부재(230)의 배관결합링(231)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감싸게 배치된다. 이 때, 배관결합링(231)은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완전히 끼워지지 않고 살짝 거치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235b)을 회전시켜 축가압부재(235)를 하강시켜 결합링가압축(233)을 배관결합링(231) 측으로 가압한다. 결합링가압축(233)의 가압에 의해 배관결합링(231)은 제1배관(10)의 외경에 대응되게 벌어지며 제1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진다.
배관결합링(231)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기 위해 내측으로 오무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므로 배관결합링(231)은 제1배관(10)에 끼움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배관결합링(231)의 결합력에 의해 제1플랜지결합판(210)이 제1배관(10)에 위치가 고정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플랜지결합판(210a)과 제3플랜지결합판(210b) 및 제4플랜지결합판(210c)도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이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에 함께 고정되며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플랜지(21)를 결합시킨 볼트(30)와 너트(40)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분리할 경우, 앞서 설명한 내용의 역순으로 결합링가압축(233)을 상승시켜 배관결합링(231)과 배관(10,20)의 결합력을 해지하고,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을 각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으로부터 분리한다.
분리를 위해 역회전방지링(220)에 결합된 캡(223)을 외부링(221)으로부터 분리한다. 캡(223)을 분리한 후, 너트(4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배관(10)과 제2배관(2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좌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각각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배관의 결합상태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부재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이 함께 한 쌍의 배관플랜지에 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므로 결합구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제1배관 11 : 제1배관플랜지
13 : 제1볼트삽입공 20 : 제2배관
21 : 제2배관플랜지 23 : 제2볼트삽입공
30 : 볼트 31 : 볼트축
40 : 너트 50 : 와셔
60 : 가스켓 200 : 배관고정부재
210,210a,210b,210c : 플랜지결합판 211 : 배관결합공
215 : 가압부재삽입공 215a : 가압축삽입공
217,217a : 결합돌기 219,219a : 돌기결합홈
220 : 역회전방지링 221 : 외부링
221a : 외부이빨 221b : 캡삽입홈
223 : 캡 223a : 내부삽입관
223b : 내부이빨 223c : 역회전방지돌기
230 : 결합판고정부재 231 : 배관결합링
231a : 체결부재삽입홈 231b : 체결부재결합공
233 : 결합링가압축 233a : 제1나사산
235 : 축가압부재 235a : 제2나사산
235b : 핸들 237 : 링체결부재
239 : 탄성부재

Claims (3)

  1. 제1배관(10)의 제1배관플랜지(11)와 제2배관(20)의 제2배관플랜지(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배관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와 상기 제2배관플랜지(21)는 서로 맞닿게 배치된 후, 복수개의 볼트(30)와 너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을 감싸도록 상기 제1배관플랜지(11)의 외측과 상기 제2배관플랜지(21)의 외측에 반달형태로 상하로 구비되는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과;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판면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의 결합방향으로만 회전되고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하는 역회전방지링(220)과;
    상기 두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을 상기 제1배관(10)과 상기 제2배관(20)에 고정시키는 결합판고정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은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의 외경의 1/2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을 감싸는 배관결합공(211)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맞닿는 영역에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는 결합돌기(217,217a) 및 돌기결합홈(219,219a)이 형성되고,
    상기 역회전방지링(220)은,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판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부링(221)과;
    상기 외부링(221)에 상기 볼트(30)와 상기 너트(4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23)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링(221)과 상기 배관결합공(211)의 결합영역에는 하부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캡(223)이 삽입되는 캡삽입홈(221b)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링(221)의 내경에는 외부이빨(221a)이 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223)은 상기 캡삽입홈(221b)에 삽입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캡(223)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링(221)의 내경에 삽입되는 내부삽입관(223a)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삽입관(223a)의 가운데 영역에는 상기 너트(40)가 삽입되는 너트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삽입공의 내벽면에는 상기 너트(40)와 맞물리는 내부이빨(223b)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삽입관(223a)의 외벽면에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이빨(221a)에 걸림되는 역회전방지돌기(223c)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고정부재(230)는,
    상기 배관결합공(211)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의 외면을 감싸는 배관결합링(231)과;
    상기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상기 배관결합링(231)과 결합되는 결합링가압축(233)과;
    상단은 플랜지결합판(210,210a,210b,210c)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은 상기 결합링가압축(233)의 상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결합링가압축(233)을 가압하여 상기 배관결합링(231)이 상기 제1배관(10) 또는 제2배관(20)에 끼워지게 하는 축가압부재(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고정부재.
KR1020190078860A 2019-06-03 2019-07-01 배관고정부재 KR10205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60A KR102051059B1 (ko) 2019-07-01 2019-07-01 배관고정부재
PCT/KR2019/008310 WO2020246656A1 (ko) 2019-06-03 2019-07-05 배관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60A KR102051059B1 (ko) 2019-07-01 2019-07-01 배관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059B1 true KR102051059B1 (ko) 2019-12-02

Family

ID=6884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860A KR102051059B1 (ko) 2019-06-03 2019-07-01 배관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05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981B1 (ko) * 2020-04-01 2020-07-03 김덕균 볼트너트 풀림방지조립체
KR102154761B1 (ko) * 2019-12-23 2020-09-10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KR102165208B1 (ko) * 2020-02-13 2020-10-14 주식회사 하나기건 배관고정부재
KR102186509B1 (ko) * 2019-12-09 2020-12-03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KR102235086B1 (ko) * 2020-08-14 2021-04-02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열분해로의 회전 및 팽창을 고려한 가스 누출 방지를 위한 열분해 유화장치
CN112903042A (zh) * 2021-01-22 2021-06-04 南京睿骥自动化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电磁流量计
KR20210151592A (ko) 2020-06-05 2021-12-14 박민정 파이프 연결 구조 및 방법
KR20210002788U (ko) 2020-06-05 2021-12-14 박민정 파이프 연결 구조
KR20220059570A (ko) 2020-11-03 2022-05-10 박광현 파이프 연결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267Y2 (ja) * 1978-07-19 1985-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ツチ
KR20020055799A (ko) * 2000-12-29 2002-07-10 한형환 일방향 잠금 나사
KR100692102B1 (ko) * 2005-11-18 2007-03-12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KR20180091459A (ko) 2017-02-07 2018-08-16 (주)시스템배관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267Y2 (ja) * 1978-07-19 1985-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ツチ
KR20020055799A (ko) * 2000-12-29 2002-07-10 한형환 일방향 잠금 나사
KR100692102B1 (ko) * 2005-11-18 2007-03-12 주식회사 삼천리 가스배관의 가스누설 차단장치
KR20180091459A (ko) 2017-02-07 2018-08-16 (주)시스템배관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509B1 (ko) * 2019-12-09 2020-12-03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WO2021132792A1 (ko) * 2019-12-23 2021-07-01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KR102154761B1 (ko) * 2019-12-23 2020-09-10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KR102165208B1 (ko) * 2020-02-13 2020-10-14 주식회사 하나기건 배관고정부재
KR102129981B1 (ko) * 2020-04-01 2020-07-03 김덕균 볼트너트 풀림방지조립체
WO2021201332A1 (ko) * 2020-04-01 2021-10-07 김덕균 볼트너트 풀림방지조립체
KR20210151592A (ko) 2020-06-05 2021-12-14 박민정 파이프 연결 구조 및 방법
KR20210002788U (ko) 2020-06-05 2021-12-14 박민정 파이프 연결 구조
KR102235086B1 (ko) * 2020-08-14 2021-04-02 주식회사 웨이스트에너지솔루션 열분해로의 회전 및 팽창을 고려한 가스 누출 방지를 위한 열분해 유화장치
KR20220059570A (ko) 2020-11-03 2022-05-10 박광현 파이프 연결 구조
KR102507889B1 (ko) 2020-11-03 2023-03-07 박천수 파이프 연결 구조
CN112903042A (zh) * 2021-01-22 2021-06-04 南京睿骥自动化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电磁流量计
CN112903042B (zh) * 2021-01-22 2023-09-29 南京睿骥自动化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电磁流量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059B1 (ko) 배관고정부재
CN1925246B (zh) 电缆压盖和封装传感器
KR100447061B1 (ko) 벽 트인 구멍부용 모듈러 기밀 조립체
US7677603B2 (en) Seal assembly for pipe-to-structure connections
KR20100106421A (ko) 2개의 경질 물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
CN102933886A (zh) 接头及其制造方法
JPH06221478A (ja) 圧力管接合部のための改良された固定部材
US4836583A (en) Pipe connection for instruments or machines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274094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837504B1 (ko) 상하수도 배관 연결장치
CN103016863A (zh) 管路连接结构、液压管路
US3101743A (en) Inside repair clamp
US11892111B2 (en) Housin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housing device
KR20080033131A (ko) 분기관 연결구
KR102186509B1 (ko) 배관고정부재
RU2577911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трубной связки
EA009318B1 (ru) Фитинг для труб
KR102154761B1 (ko) 배관고정부재
RU2153122C2 (ru) Трубопроводная муфта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373000Y1 (ko) 관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볼트식 연결장치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US20140261830A1 (en) Pipe coupling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