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343B1 - 허리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허리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343B1
KR102154343B1 KR1020190036267A KR20190036267A KR102154343B1 KR 102154343 B1 KR102154343 B1 KR 102154343B1 KR 1020190036267 A KR1020190036267 A KR 1020190036267A KR 20190036267 A KR20190036267 A KR 20190036267A KR 102154343 B1 KR102154343 B1 KR 10215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vibration
binding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덕
Original Assignee
이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덕 filed Critical 이광덕
Priority to KR102019003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11/02Massage devices with strips oscill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어깨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이와 폭 및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지대에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진동판을 밀착시켜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허리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마련되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부위와 허리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 회전되는 진동판이 구비된 상부받침대와; 상기 상부받침대의 상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좌,우 양측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허리 견인장치{Waist Pulling Device}
본 발명은 허리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어깨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이와 폭 및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를 견인시키기 위해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지지대에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 자신 체중에 의해 안전하게 허리부위가 견인되도록 함과 아울러,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허리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비행기의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이동을 하거나, 학습이나 업무처리를 위하여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오랜 기간 허리에 압력이 가해져 척추에 많은 무리를 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허리에 관련된 많은 질병들을 갖기 쉽다.
이렇게 척추에 관련된 질환들을 앓게 되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말할 것도 없고 정상적인 사람들도 건강하고 곧은 척추를 유지하거나 척추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평소에 척추를 바로잡는 운동이나 처방이 필요하다.
이러한 척추를 교정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스스로의 체중을 이용하여 허리를 견인함으로써 교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종래에 이러한 방법을 채택한 허리 견인장치들이 다수 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이 어렵거나 가격이 높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존 허리견인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137197호 "승강이 가능한 바디 리프트 트랙션"(공개일자 : 2010.12.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이격 되어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기둥을 연결시키며 상부 프레임이 상하 운동하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노출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하방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환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로드셀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내장되어 로드가 하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전동 리니어 액튜에이터 또는 유공압실린더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다.
기존 허리견인기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311호 "허리 견인장치"(등록일자 : 2017.03.2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좌우측에 직립 설치되고 수평빔이 구비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연결봉과 견인봉이 구비된 슬라이딩관;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수평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봉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관을 승강시키는 전동액츄에이터와; 상기 수평빔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전동액츄에이터의 아래에 설치되어 슬라이딩관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환자가 상측으로 견인될 때 전동액츄에이터에 접촉되어 견인력을 측정하는 로드센서와; 상기 고정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관이 승강될 때 슬라이딩관과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허리 견인장치는 사용자 어깨의 지지부위 높이 및 각도 등의 조건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허리 견인장치는 무리한 힘으로 허리 부위에 견인력을 제공하게 될 경우 과도한 힘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부상 위험때문에 약한 견인력을 제공할 경우에는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137197호 "승강이 가능한 바디 리프트 트랙션"(공개일자 : 2010.12.3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311호 "허리 견인장치"(등록일자 : 2017.03.2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어깨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이와 폭 및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를 견인시키기 위해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지지대에 매달린 상태에서 안전하게 사용자 자신 체중에 의해 허리부위가 견인되도록 함과 아울러,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허리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마련되는 하부받침대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수단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벨트가 구비된 상부받침대와; 상기 상부받침대의 상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좌,우 양측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전방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받침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기립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하부받침대의 좌,우측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회전봉과, 상기 제1회전봉에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대에 힌지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바에 축결합된 제1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회전봉에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대에 힌지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바에 축결합된 제2연결축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제2링크부재와, 상기 이동대에 전,후진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된 이동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받침대는 상기 하부받침대에 대한 틸팅 각도를 가변시키는 틸팅액츄에이터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부받침대로부터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상부받침대의 상측에 안착되고 승강로드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승강액츄에이터와, 상기 지지대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받침대에 마련된 가이드브라켓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받침대에 구비된 가이드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좌,우측 팔받침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는 회전시 서로 간의 폭 간격이 가변되도록 일단부가 회전되도록 힌지축으로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서로 기어이 맞물림 가능하도록 치합기어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상부받침대에 고정되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의 모터축과 연동되도록 연동부재로 연결되는 진동축과, 상기 진동축의 양단부에 크랭크 연결되어 상기 진동축의 회전시 진동력이 전달되며 좌,우측 결속바의 지지봉을 각각 감싸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 후방을 감싸도록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진동 하중을 제공하는 진동벨트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상부받침대의 전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타단부에 회전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전방 부위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봉이 마련된 좌,우측 결속바와, 상기 좌,우측 결속바의 각각의 단부에 링크 연결되는 제1,2결속링크와, 상기 제1,2결속링크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좌,우측 결속바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로드부재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로드부재를 신축 동작시켜 상기 좌,우측 결속바를 연동 회전시키는 결속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각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하부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위 견인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틸팅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하부받침대에 대한 상부받침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수단을 이용하여 상부받침대에 대한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적합한 지지대의 각도 및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견인시 적합한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지대에 양 어깨부위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매달린 상태에서 자신의 체중에 의해 하측으로 허리부위가 견인되므로, 무리한 힘을 가할 필요없이 허리 견인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진동수단과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전,후로 지지하고, 진동모터의 회전력을 진동벨트의 진동력으로 전환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지대에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전달되는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의 동작 후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의 동작 전,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진동수단과 결속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결속수단의 좌,우측 결속바가 내측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의 결속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결속수단의 좌,우측 결속바가 벌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결속수단의 좌,우측 결속바가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일 때의 결속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승강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 틸팅액츄에이터의 동작 전,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결속수단과 진동수단의 사용상태를 평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견인시킬 수 있으며, 과도한 힘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제공되는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 견인장치는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하부받침대(210)와; 상기 하부받침대(2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215)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수단(600)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벨트(630)가 구비된 상부받침대(220)와; 상기 상부받침대(220)의 상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좌,우 양측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지면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갖도록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지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모서리 부위에 배치된 고정플랜지에 고정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하부받침대(2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에 각도조절수단(400)에 의해 기립 각도가 가변되어 업 다운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받침대(220)는 하부가 상기 하부받침대(210)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을 위해 힌지축(215)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받침대(220)의 상측에는 지지대(300)가 승강수단(700)에 의해 지지대(30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지지대(30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팔 부위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좌,우측 팔받침대(3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는 회전시 서로 간의 폭 간격이 가변되도록 일단부가 회전되도록 힌지축으로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서로 기어이 맞물림 가능하도록 치합기어(352)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치합기어(352)는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의 회전시 일정 각도 범위에서 서로 기어이 맞물림 결합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를 회전시킨 후에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톱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는 상측에 쿠션재(35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팔 하측 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는 상기 지지대(30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고, 회전이 완료된 후에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를 지지대(30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하로 고정공(351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51)과, 상기 고정공(351a)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300)에 형성된 복수의 조립공(301) 중 하나에 핀 결합되는 고정핀(3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대(210)의 좌,우측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회전봉(410,420)과, 상기 제1회전봉(410)에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대(450)에 힌지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바(432)에 축결합된 제1연결축(434)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제1링크부재(430)와, 상기 제2회전봉(420)에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대(450)에 힌지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바(442)에 축결합된 제2연결축(444)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제2링크부재(440)와, 상기 이동대(450)에 전,후진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된 이동액츄에이터(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이동대(450)는 좌측단과 우측단에 제1,2링크부재(430,440)의 타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이동액츄에이터(460)의 이동로드(462)가 상기 이동대(450)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므로, 상기 이동액츄에이터(460)의 이동로드(462) 신장 및 수축 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대(450)에 연결된 제1,2링크부재(430,440)를 제1연결축(434)과 제2연결축(444)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시켜 제1,2링크부재(430,440)에 연결된 하부받침대(210)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하부받침대(2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받침대(210)는 상기 제1,2링크부재(430,440)의 일단부 회전 궤적을 따라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거나, 하측으로 하강동작된다.
즉, 상기 하부받침대(210)는 각도조절수단(400)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에서 지지되며,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의 각도 조절에 따라 제1,2연결축(434,444)를 중심으로 제1,2링크부재(430,440)의 각도가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한 상기 하부받침대(210)의 각도가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2링크부재(440)는 상기 하부받침대(210)에 대한 상기 제1링크부재(430)의 상,하 승강력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진동수단(600)은 도 4와 도 5 및 도 6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수단(600)은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고정되도록 지지되는 진동모터(610)와, 상기 진동모터(610)의 모터축과 연동되도록 연동부재(625)로 연결되는 진동축(620)과, 상기 진동축(620)의 양단부에 크랭크 연결되어 상기 진동축(620)의 회전시 진동력이 전달되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지지봉(812,822)을 각각 감싸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 후방을 감싸도록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진동 하중을 제공하는 진동벨트(630)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축(620)은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진동모터(610)의 모터축과 상기 연동부재(625)인 타이밍벨트로 연동 회전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진동벨트(630)는 양단부가 상기 진동축(620)의 양단부에 각각 크랭크 연결되어 상기 진동축(620)의 회전시 진동력이 전달되고, 상기한 진동력을 상기 지지대(300)에 매달린 상태의 사용자의 신체부위(허리부위)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하측으로 견인시키는 방향으로 진동 하중이 작용하도록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600)은 상기 진동벨트(630)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640)가 상부받침대(220)의 전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640)는 상기 상부받침대에 브라켓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부받침대(220)와의 사이 틈새를 통해 상기 진동벨트(630)가 관통되며,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진동벨트(630)의 접촉시 접촉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진동벨트(630)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812,822)에는 상기 진동벨트(630)가 감기는 과정에서 꼬임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고리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800)은 상기 상부받침대(220)의 전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좌,우측 결속바(810,820)와,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각각의 단부에 링크 연결되는 제1,2결속링크(830,840)와, 상기 제1,2결속링크(830,840)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링크(850), 및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로드부재(865)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로드부재(865)를 신축 동작시켜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를 연동 회전시키는 결속액츄에이터(860)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회전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전방 부위(배 또는 서혜부; inguinal region, 鼠蹊部)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봉(812,822)이 마련된다.
상기 제1,2결속링크(830,840)는 일단부가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일단부에 각각 링크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링크(850)의 양단부에 힌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진동벨트(630)는 양단부가 상기 진동축(620)의 양단부에 각각 크랭크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상기 결속수단(800)의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봉(812,822)의 외주면을 감싼 후에 상기 지지대(300)에 매달린 사용자의 신체 후방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가 서로 근접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지지봉(812,822)이 사용자의 신체 전방부위에 좌,우 양측에서 가압 지지되는 반면에, 상기 진동벨트(630)의 중간부위가 사용자의 신체 후방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또는 엉덩이 부위가 전,후로 결속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속액츄에이터(860)는 상기 로드부재(865)의 신축동작에 따라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를 서로 근접되게 내측으로 회전시키거나,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좌,우측 결속바(810,82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회전시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동실린더를 채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결속수단(800)은 상기 진동수단(600)과 연계동작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배 부위)를 감싸도록 가압 지지하고, 상기 진동수단(600)의 진동벨트(630)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허리부위 후방측을 감싸도록 접촉된 후에 진동력을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전달하여 지지대에 매달린 사용자의 허리를 하측으로 견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상부받침대(220)로부터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7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700)은 상기 상부받침대(2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승강로드(712)가 상기 지지대(300)에 연결되는 승강액츄에이터(710)와, 상기 지지대(300)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마련된 가이드브라켓(7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730), 및 상기 지지바(730)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구비된 가이드브라켓(7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액츄에이터(710)는 승강로드(712)가 상,하로 승강동작될 경우 상기 지지대(300)를 들어올려 상승시키거나, 하강동작시켜 지지대(30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부받침대(220)에는 상기 하부받침대(210)에 대한 틸팅 각도를 가변시키는 틸팅액츄에이터(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틸팅액츄에이터(500)는 하부의 액츄에이터 하우징(502)이 상기 하부받침대(210)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액츄에이터 하우징(502)의 상측에 상기 상부받침대(220)와 연동되도록 연결된 틸팅로드(510)가 상,하로 인출 및 인입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틸팅액츄에이터(500)는 상기 힌지축(215)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받침대(210)에 대한 상부받침대(2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적합한 경사각으로 상부받침대(220)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지대(300)의 상측에 마련된 좌,우측 팔받침대(350)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어깨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배치하고,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의 상측에 사용자의 양팔을 올려 놓은 후에 지지대(300)에 매달린 후에 진동수단(600)의 진동모터(610)를 구동시켜 진동벨트(630)를 진동 회전시키면,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진동벨트(630)의 진동력이 전달되면서 사용자의 허리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틸팅액츄에이터(500) 및 승강수단(700)을 이용하여 하부받침대(210)에 대해 상부받침대(220)의 각도 및 지지대(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부받침대(220)의 경사각 및 지지대(300)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키가 보통 성인 남자의 평균 키보다 더 클 경우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액츄에이터(500)를 이용하여 틸팅로드(510)를 수축시킴에 따라 상부받침대(220)가 상기 힌지축(215)을 중심으로 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부받침대(220)와 하부받침대(210)의 경사각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액츄에이터(710)의 승강로드(712)를 신장시켜 지지대(300)를 상부받침대(220)로부터 상승동작시켜 지지대(300)를 사용자에 적합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의 키가 보통 성인 남자의 평균 키보다 더 작을 경우에는 앞서와 반대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로드(510)를 신장시킴에 따라 상부받침대(220)가 상기 힌지축(215)을 중심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부받침대(220)와 하부받침대(210)의 경사각을 크게 증대시키고, 승강액츄에이터(710)의 승강로드(712)를 수축시켜 지지대(300)를 상부받침대(220)로부터 하강동작시켜 지지대(300)를 사용자에 적합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도조절수단(400)을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한 하부받침대(2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위 견인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틸팅액츄에이터(500)를 이용하여 하부받침대(210)에 대한 상부받침대(22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수단(700)을 이용하여 상부받침대(220)에 대한 지지대(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적합한 지지대(300)의 각도 및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견인시 적합한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속수단(800)은 좌,우측 결속바(810,820)가 서로 근접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 지지봉(812,822)이 사용자(P)의 신체 전방부위(허리 또는 서혜부 부위)를 좌,우 양측에서 압박하도록 가압 지지하게 되며, 상기 진동수단(600)의 진동벨트(630)가 상기 지지봉(812,822)을 감싼 상태로 사용자(P)의 신체 후방부위를 결속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P)가 지지대(300)에 매달린 상태로 사용자의 신체 중 허리 또는 서혜부와 엉덩이부위를 전,후로 결속함으로써, 진동벨트(630)의 진동력을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밀착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동수단(600)을 이용하여 진동벨트(630)가 사용자의 허리 후방 부위를 지지함과 아울러, 진동모터(610)의 회전력을 진동벨트(630)의 진동력으로 전환시켜 제공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대(300)에 매달린 사용자(P)의 자중에 의해 허리가 견인됨과 아울러, 사용자(P)의 허리 부위에 견인력이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진동수단(600)에 의해 진동력이 견인력으로 전환됨에 따라 안전하게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210 : 하부받침대
215 : 힌지축 220 : 상부받침대
300 : 지지대 301 : 조립공
350 : 좌,우측 팔받침대 351 : 고정브라켓
351a : 고정공 352 : 치합기어
355 : 쿠션재 360 ; 고정핀
400 : 각도조절수단 410,420 : 제1,2회전봉
430 : 제1링크부재 432 : 제1연장바
434 : 제1연결축 440 : 제2링크부재
442 : 제2연장바 444 : 제2연결축
450 : 이동대 460 : 이동액츄에이터
462 : 이동로드 500 : 틸팅액츄에이터
502 : 틸팅 하우징 510 : 틸팅로드
600 : 진동수단 610 : 진동모터
620 : 진동축 625 : 연동부재
630 : 진동벨트 640 : 가이드부재
700 : 승강수단 710 : 승강액츄에이터
712 : 승강로드 720 : 가이드브라켓
730 : 지지바 800 : 결속수단
810,820 : 좌,우측 결속바 812,822 : 지지봉
812a,822a : 고리부재 830,840 : 제1,2결속링크
850 : 연결링크 860 : 결속액츄에이터
P : 사용자

Claims (8)

  1.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하부받침대(210)와;
    상기 하부받침대(2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수단(600)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벨트(630)가 구비된 상부받침대(220)와;
    상기 상부받침대(220)의 상측에 마련되고 사용자의 좌,우 양측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지지대(300); 및
    상기 지지대(300)에 사용자가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전방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8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대(2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한 기립 각도를 가변시키는 각도조절수단(4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400)은 상기 하부받침대(210)의 좌,우측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회전봉(410,420)과,
    상기 제1회전봉(410)에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대(450)에 힌지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바(432)에 축결합된 제1연결축(434)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제1링크부재(430)와,
    상기 제2회전봉(420)에 일단부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대(450)에 힌지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바(442)에 축결합된 제2연결축(444)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제2링크부재(440)와,
    상기 이동대(450)에 전,후진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연결된 이동액츄에이터(4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대(220)는 상기 하부받침대(210)에 대한 틸팅 각도를 가변시키는 틸팅액츄에이터(5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상부받침대(220)로부터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수단(7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승강수단(700)은 상기 상부받침대(220)의 상측에 안착되고 승강로드(712)가 상기 지지대(300)에 연결되는 승강액츄에이터(710)와,
    상기 지지대(300)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마련된 가이드브라켓(7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730), 및
    상기 지지바(730)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구비된 가이드브라켓(7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의 양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좌,우측 팔받침대(35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좌,우측 팔받침대(350)는 회전시 서로 간의 폭 간격이 가변되도록 일단부가 회전되도록 힌지축으로 연결되며, 타단부에는 서로 기어이 맞물림 가능하도록 치합기어(352)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600)은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고정되는 진동모터(610)와,
    상기 진동모터(610)의 모터축과 연동되도록 연동부재(625)로 연결되는 진동축(620)과,
    상기 진동축(620)의 양단부에 크랭크 연결되어 상기 진동축(620)의 회전시 진동력이 전달되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지지봉(812,822)을 각각 감싸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 후방을 감싸도록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진동 하중을 제공하는 진동벨트(6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800)은 상기 상부받침대(220)의 전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타단부에 회전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전방 부위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봉(812,822)이 마련된 좌,우측 결속바(810,820)와,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각각의 단부에 링크 연결되는 제1,2결속링크(830,840)와,
    상기 제1,2결속링크(830,840)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링크(850), 및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로드부재(865)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로드부재(865)를 신축 동작시켜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를 연동 회전시키는 결속액츄에이터(8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견인장치.
KR1020190036267A 2019-03-28 2019-03-28 허리 견인장치 KR102154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267A KR102154343B1 (ko) 2019-03-28 2019-03-28 허리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267A KR102154343B1 (ko) 2019-03-28 2019-03-28 허리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343B1 true KR102154343B1 (ko) 2020-09-09

Family

ID=7246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267A KR102154343B1 (ko) 2019-03-28 2019-03-28 허리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34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797A (ko) * 2009-04-29 2010-11-08 이현숙 전신 스트레칭 운동기
KR20100137197A (ko) 2009-06-22 2010-12-30 양성태 승강이 가능한 바디 리프트 트랙션
KR101384199B1 (ko) * 2013-03-07 2014-05-27 주식회사 제라진코리아 지압볼을 구비한 기능성 의자
KR20140111114A (ko) * 2013-03-07 2014-09-18 김경복 원격신체견인기
KR200476637Y1 (ko) * 2014-04-14 2015-03-17 이충일 마사지벨트가 구비된 침대
KR101555871B1 (ko) * 2014-07-07 2015-09-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상지 재활 로봇장치
KR20160143402A (ko) * 2015-06-05 2016-12-14 유장석 척추 스트레칭 기구
KR101723311B1 (ko) 2015-11-20 2017-04-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797A (ko) * 2009-04-29 2010-11-08 이현숙 전신 스트레칭 운동기
KR20100137197A (ko) 2009-06-22 2010-12-30 양성태 승강이 가능한 바디 리프트 트랙션
KR101384199B1 (ko) * 2013-03-07 2014-05-27 주식회사 제라진코리아 지압볼을 구비한 기능성 의자
KR20140111114A (ko) * 2013-03-07 2014-09-18 김경복 원격신체견인기
KR200476637Y1 (ko) * 2014-04-14 2015-03-17 이충일 마사지벨트가 구비된 침대
KR101555871B1 (ko) * 2014-07-07 2015-09-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상지 재활 로봇장치
KR20160143402A (ko) * 2015-06-05 2016-12-14 유장석 척추 스트레칭 기구
KR101723311B1 (ko) 2015-11-20 2017-04-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2036C2 (ru)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ая кровать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ложения поясницы и головы
US6855098B2 (en) Low-resistance exercise and rehabilitation chair
CN108158778B (zh) 一种实现靠背倾倒与搁腿抬升联动的按摩椅架装置
JP2000501310A (ja) 体の不自由な患者を取り扱うための装置
KR101661346B1 (ko) 의료용 의자의 등받이 슬라이딩 구조
CN110559139B (zh) 一种医用轮椅
KR101906672B1 (ko) 척추 및 경추 견인용 의자
CN109907893A (zh) 多功能轮椅和轮椅床
CN110279537A (zh) 多功能辅助上下床装置
KR100842943B1 (ko) 전동침대의 등판과 둔부판 각도조절장치
CN110200758A (zh) 一种具有护理功能的转运设备
CN105726237A (zh) 一种整体旋转翻身床
RU2651228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коляска
US20110083266A1 (en) Physical therapy device to assist individual to stand erect
US5678264A (en) Recliner
KR102154343B1 (ko) 허리 견인장치
KR101216395B1 (ko) 접이식 침대
KR102401755B1 (ko) 신체약자용 휠체어
CN108433628A (zh) 一种马桶架
KR102191984B1 (ko)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KR200483182Y1 (ko) 전동식 목재 침대
CN108392334A (zh) 一种多功能全向电动医疗床
KR101683871B1 (ko) 전신 운동의자
CN209285341U (zh) 一种马桶架
KR101890143B1 (ko) 의료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