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984B1 -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984B1
KR102191984B1 KR1020190075670A KR20190075670A KR102191984B1 KR 102191984 B1 KR102191984 B1 KR 102191984B1 KR 1020190075670 A KR1020190075670 A KR 1020190075670A KR 20190075670 A KR20190075670 A KR 20190075670A KR 102191984 B1 KR102191984 B1 KR 10219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rame
vibration
bin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덕
Original Assignee
이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덕 filed Critical 이광덕
Priority to KR102019007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 부위가 머리 부위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결속시킨 상태로 진동벨트를 통해 진동력을 전달하여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허리 부위가 견인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 자신 체중에 의해 허리부위가 견인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전달되는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에 받침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받침부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측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되는 진동벨트가 구비된 진동수단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과 프레임 본체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 부위를 지지하는 발지지구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전방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Waist Pulling Device using self weight}
본 발명은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발 부위가 머리 부위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결속시킨 상태로 진동벨트를 통해 진동력을 전달하여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허리 부위가 견인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 자신 체중에 의해 허리부위가 견인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전달되는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비행기의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이동을 하거나, 학습이나 업무처리를 위하여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현대인들은 오랜 기간 허리에 압력이 가해져 척추에 많은 무리를 주게 되고, 이로 인하여 허리에 관련된 많은 질병들을 갖기 쉽다.
이렇게 척추에 관련된 질환들을 앓게 되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말할 것도 없고 정상적인 사람들도 건강하고 곧은 척추를 유지하거나 척추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평소에 척추를 바로잡는 운동이나 처방이 필요하다.
이러한 척추를 교정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스스로의 체중을 이용하여 허리를 견인함으로써 교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종래에 이러한 방법을 채택한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들이 다수 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이 어렵거나 가격이 높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존 허리견인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137197호 "승강이 가능한 바디 리프트 트랙션"(공개일자 : 2010.12.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이격 되어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기둥을 연결시키며 상부 프레임이 상하 운동하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노출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하방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환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로드셀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내장되어 로드가 하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전동 리니어 액튜에이터 또는 유공압실린더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다.
기존 허리견인기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311호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등록일자 : 2017.03.2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좌우측에 직립 설치되고 수평빔이 구비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연결봉과 견인봉이 구비된 슬라이딩관;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수평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봉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관을 승강시키는 전동액츄에이터와; 상기 수평빔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전동액츄에이터의 아래에 설치되어 슬라이딩관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환자가 상측으로 견인될 때 전동액츄에이터에 접촉되어 견인력을 측정하는 로드센서와; 상기 고정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관이 승강될 때 슬라이딩관과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는 사용자 어깨의 지지부위 높이 및 각도 등의 조건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허리 견인장치는 무리한 힘으로 허리 부위에 견인력을 제공하게 될 경우 과도한 힘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부상 위험때문에 약한 견인력을 제공할 경우에는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137197호 "승강이 가능한 바디 리프트 트랙션"(공개일자 : 2010.12.3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3311호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등록일자 : 2017.03.2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발 부위가 머리 부위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결속시킨 상태로 진동벨트를 통해 진동력을 전달하여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허리 부위가 견인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 자신 체중에 의해 허리부위가 견인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에 받침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받침부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측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되는 진동벨트가 구비된 진동수단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과 프레임 본체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 부위를 지지하는 발지지구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전방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탑재되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의 모터축과 연동되도록 연동부재로 연결되는 진동축과, 상기 진동축의 양단부에 크랭크 연결되어 상기 진동축의 회전시 진동력이 전달되며 좌,우측 결속바의 지지봉을 각각 감싸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 후방을 감싸도록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진동 하중을 제공하는 진동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과,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핀으로 힌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외측으로 출몰동작되는 로드부재를 갖는 틸팅액츄에이터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하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된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공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연결핀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의 일측면에 외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공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의 외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발지지구가 좌,우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공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핀이 구비된 결합블록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출몰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각각에 가이드레일이 더 구비된 것이다.
하부가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에 받침부재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받침부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측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되는 진동벨트가 구비된 진동수단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과 프레임 본체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 본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 부위를 지지하는 발지지구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전방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타단부에 회전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전방 부위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봉이 마련된 좌,우측 결속바와, 상기 좌,우측 결속바의 각각의 단부에 링크 연결되는 제1,2결속링크와, 상기 제1,2결속링크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좌,우측 결속바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로드부재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로드부재를 신축 동작시켜 상기 좌,우측 결속바를 연동 회전시키는 결속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프레임 본체 상측에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매달린 상태에서 자신의 체중이 중력에 의해 전달되어 하측으로 허리부위가 견인되므로, 무리한 힘을 가할 필요없이 허리 견인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각도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견인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수단과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전,후로 지지하고, 진동모터의 회전력을 진동벨트의 진동력으로 전환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레임 본체 상측에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전달되는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지지구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높낮이 및 전,후방향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허리 견인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의 동작 전,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프레임 본체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프레임 본체가 회전된 상태를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 결속수단의 좌,우측 결속바가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결속할 때의 결속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결속수단의 동작 전,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연결블록이 연장바에 결합된 상태로 높이 조절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결합블록이 연장관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프레임 본체와 매트 상측에 사용자가 안착되어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전되기 전,후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견인시킬 수 있으며, 과도한 힘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제공되는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가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에 받침부재(140)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측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본체(200)와;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하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250)과; 상기 고정프레임(250)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되는 진동벨트가 구비된 진동수단(6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250)과 프레임 본체(200)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300)과;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일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 부위를 지지하는 발지지구(450)가 구비된 지지프레임(400); 및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전방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800);을 구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지면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갖도록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지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으로 마련된 고정플랜지에 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좌,우측에 서로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좌,우측 베이스바(110,120)와, 상기 좌,우측 베이스바(110,120)를 연결하는 연결바(130), 및 상기 좌,우측 베이스바(110,120)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에 프레임 본체(20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받침부재(1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본체(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측에서 각도조절수단(300)에 의해 기립 각도가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 본체(200)는 좌,우 양측에 서로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프레임 몸체(210,220)와, 상기 제1,2프레임 몸체(210,220)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30)으로 구성되어 전,후방향 길이가 좌,우측 폭방향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제1,2프레임 몸체(210,220)의 일측단에는 지지프레임(40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260)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260)은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출몰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가이드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은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하측에 회전 중심점이 되도록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305)과,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핀(310)으로 힌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외측으로 출몰동작되는 로드부재(325)를 갖는 틸팅액츄에이터(32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틸팅액츄에이터(320)는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로드부재(325)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전동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부재(325)의 단부는 프레임 본체(200)의 하측에 마련된 고정프레임(250)과 연동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은 로드부재(325)가 신장동작되기 전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프레임 본체(2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틸팅액츄에이터(320)가 동작되어 로드부재(325)를 신장동작시키면,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본체(200)의 일측단이 상향 회전되고 프레임 본체(200)의 타측단이 하향 회전되는 기울기를 갖도록 회전동작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하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연결공(415)이 형성된 연장바(410)와, 상기 연장바(4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공(415)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연결핀(425)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연결블록(420)과, 상기 연결블록(420)의 일측면에 외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공(435)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연장관(430), 및 상기 연장관(4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발지지구(450)가 좌,우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공(435)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핀(445)이 구비된 결합블록(4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연장바(410)에 형성된 연결공(415) 중 하나와 상기 연결핀(425)의 결합위치에 따라 연결블록(420)의 높이 위치가 가변되고, 상기 연결블록(420)의 연장관(430)에 형성된 결합공(435) 중 하나와 상기 결합핀(445)의 결합위치에 따라 결합블록(440)의 전,후방향 위치가 가변되므로, 상기 연결블록(420)과 결합블록(440)의 위치 변경에 따라 상기 발지지구(4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 본체(200)에 대한 상기 발지지구(450)의 높낮이 및 전,후방향 위치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일측단에는 상기 발지지구(450)측을 향해 사용자의 발등 부위가 접촉될 때 사용자의 허벅지 뒷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구(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수단(6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수단(600)은 상기 고정프레임(250)에 고정되도록 지지되는 진동모터(610)와, 상기 진동모터(610)의 모터축과 연동되도록 연동부재(625)로 연결되는 진동축(620)과, 상기 진동축(620)의 양단부에 크랭크 연결되어 상기 진동축(620)의 회전시 진동력이 전달되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지지봉(812,822)을 각각 감싸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 후방을 감싸도록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진동 하중을 제공하는 진동벨트(630)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축(620)은 상기 고정프레임(250)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진동모터(610)의 모터축과 상기 연동부재(625)인 타이밍벨트로 연동 회전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진동벨트(630)는 양단부가 상기 진동축(620)의 양단부에 각각 크랭크 연결되어 상기 진동축(620)의 회전시 진동력이 전달되고, 상기한 진동력을 상기 지지대(300)에 매달린 상태의 사용자의 신체부위(허리부위)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하측으로 견인시키는 방향으로 진동 하중이 작용하도록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600)은 상기 진동벨트(630)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640)가 프레임 본체(200)의 제1,2프레임 몸체(210,220)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640)는 상기 제1,2프레임 몸체(210,220)의 내측에 브라켓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상부받침대(220)와의 사이 틈새를 통해 상기 진동벨트(630)가 관통되며,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진동벨트(630)의 접촉시 접촉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진동벨트(630)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812,822)에는 상기 진동벨트(630)가 감기는 과정에서 꼬임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고리부재(812a,822a)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800)은 도 1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좌,우측 결속바(810,820)와,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각각의 단부에 링크 연결되는 제1,2결속링크(830,840)와, 상기 제1,2결속링크(830,840)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링크(850), 및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속로드(865)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결속로드(865)를 신축 동작시켜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를 연동 회전시키는 결속액츄에이터(860)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받침대(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회전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전방 부위(배 또는 서혜부; inguinal region, 鼠蹊部)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봉(812,822)이 마련된다.
상기 제1,2결속링크(830,840)는 일단부가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일단부에 각각 링크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결링크(850)의 양단부에 힌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진동벨트(630)는 양단부가 상기 진동축(620)의 양단부에 각각 크랭크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상기 결속수단(800)의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타단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봉(812,822)의 외주면을 감싼 후에 상기 지지대(300)에 매달린 사용자의 신체 후방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가 서로 근접되는 내측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지지봉(812,822)이 사용자의 신체 전방부위에 좌,우 양측에서 가압 지지되는 반면에, 상기 진동벨트(630)의 중간부위가 사용자의 신체 후방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또는 엉덩이 부위가 전,후로 결속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속액츄에이터(860)는 상기 결속로드(865)의 신축동작에 따라 도 7 및 도 8b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를 서로 근접되게 내측으로 회전시키거나, 도 6 및 도 8a에서와 같이 좌,우측 결속바(810,82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회전시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동실린더를 채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결속수단(800)은 상기 진동수단(600)과 연계동작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배 부위)를 감싸도록 가압 지지하고, 상기 진동수단(600)의 진동벨트(630)가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허리부위 후방측을 감싸도록 접촉된 후에 진동력을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전달하여 발지지구(450)를 이용하여 거꾸로 매달린 사용자의 허리를 하측으로 견인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누을 수 있도록 매트(M)가 구비되며,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매트(M)에 누운 사용자가 머리 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머리 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에 마련된 매트(M)에 누운 상태로 발지지구(450)에 사용자의 양발의 발등 부위를 접촉 지지시킨 후에, 각도조절수단(300)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한 프레임 본체(2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발지지구(450)에 거꾸로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매트(M)에 안착된 사용자의 허리 후방 부위에 진동벨트(630)가 접촉되도록 한 후에,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배나 허리 부위를 결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매트(M) 및 프레임 본체(2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은 상기 틸팅액츄에이터(320)의 로드부재(325)의 신축 길이에 따라 상기 로드부재(325)의 단부와 연결된 고정프레임(250)을 당기거나 밀어내는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고정프레임(250)과 일체로 연결된 프레임 본체(200)를 회전축(305)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한 각도 조절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허리 부위에 전달되는 자중의 세기가 가변되어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의 틸팅액츄에이터(320)는 상기 로드부재(325)의 신축 동작시 각도가 가변되는 고정프레임(250)의 위상 변화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핀(310)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틸팅액츄에이터(320)도 상기 로드부재(325)의 신축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0과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발지지구(450)의 높낮이 및 전,후 방향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하지 부위 길이에 따라 연결블록(42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바(410)에 상,하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공(415) 중 하나에 상기 연결블록(420)에 관통하는 연결핀(425)을 핀 결합시켜 상기 연결블록(4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블록(420)의 높이가 고정된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관(43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435) 중 하나에 결합블록(440)을 관통하는 결합핀(445)을 선택적으로 핀 결합시켜 발지지구(450)가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결합블록(44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지지구(450)와 상기 지지프레임(400)과의 간격을 연장관(430)의 길이 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속수단(800)은 사용자가 프레임 본체(200) 또는 매트(M) 상측에 누운 상태에서 좌,우측 결속바(810,820)가 서로 근접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 지지봉(812,822)이 사용자(P)의 신체 전방부위(허리 또는 서혜부 부위)를 좌,우 양측에서 압박하도록 가압 지지하게 되며, 상기 진동수단(600)의 진동벨트(630)가 상기 지지봉(812,822)을 감싼 상태로 사용자(P)의 신체 후방부위를 결속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P)의 신체 중 허리 또는 서혜부와 엉덩이부위를 전,후로 결속함으로써, 진동벨트(630)의 진동력을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밀착되게 전달할 수 있다.
이후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의 프레임 본체(200) 및 매트(M)의 상측에 사용자(P)가 누운 상태에서 발지지구(450)에 사용자의 발 부위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각도조절수단(300)의 틸팅액츄에이터(320)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부재(325)가 신장되면서 단부에 연결된 고정프레임(250)을 밀어서 상기 회전축(305)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250)과 프레임 본체(200)를 회전시켜 프레임 본체(200)의 일측단이 상측으로 회전되는 반면에 사용자의 상지 및 머리 부위가 안착된 프레임 본체(200)의 타측단이 하측으로 회전동작되어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에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매달린 상태에서 자신의 체중이 중력에 의해 전달되어 하측으로 허리부위가 견인되므로, 무리한 힘을 가할 필요없이 허리 견인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각도조절수단(300)을 이용하여 사용자(P)에게 적합한 견인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수단(600)을 이용하여 진동벨트(630)가 사용자의 허리 후방 부위를 지지함과 아울러, 진동모터(610)의 회전력이 연동부재(625)를 통해 진동축(620)에 전달되어 진동벨트(630)의 진동력으로 전환시켜 제공함으로써,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에 거꾸로 매달린 사용자(P)의 자중에 의해 허리가 견인됨과 아울러, 사용자(P)의 허리 부위에 견인력이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진동수단(600)에 의해 진동력이 견인력으로 전환됨에 따라 안전하게 견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지지구(450)를 사용자(P)의 신체 조건에 따라 높낮이 및 전,후방향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120 : 좌,우측 베이스바
130 : 연결바 140 : 받침부재
200 : 프레임 본체 210,220 : 제1,2프레임 몸체
230 : 연결프레임 250 : 고정프레임
260 : 가이드브라켓 300 : 각도조절수단
305 : 회전축 310 : 회전핀
320 : 틸팅액츄에이터 325 : 로드부재
400 : 지지프레임 410 : 연장바
415 : 연결공 420 : 연결블록
425 : 연결핀 430 : 연장관
435 : 결합공 440 : 결합블록
445 : 결합핀 450 : 발지지구
600 : 진동수단 610 : 진동모터
620 : 진동축 625 : 연동부재
630 : 진동벨트 640 : 가이드부재
800 : 결속수단 810,820 : 좌,우측 결속바
812,822 : 지지봉 812a,822a : 고리부재
830,840 : 제1,2결속링크 850 : 연결링크
860 : 결속액츄에이터 865 : 결속로드
P : 사용자

Claims (5)

  1. 하부가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에 받침부재(140)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측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본체(200)와;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하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250)과;
    상기 고정프레임(250)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되는 진동벨트(630)가 구비된 진동수단(6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250)과 프레임 본체(200)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300)과;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일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 부위를 지지하는 발지지구(450)가 구비된 지지프레임(400); 및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전방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800);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수단(600)은 상기 고정프레임(250)에 고정되도록 탑재되는 진동모터(610)와, 상기 진동모터(610)의 모터축과 연동되도록 연동부재(625)로 연결되는 진동축(620)과, 상기 진동축(620)의 양단부에 크랭크 연결되어 상기 진동축(620)의 회전시 진동력이 전달되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지지봉(812,822)을 각각 감싸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 후방을 감싸도록 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진동 하중을 제공하는 진동벨트(6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300)은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하측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305)과,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전핀(310)으로 힌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외측으로 출몰동작되는 로드부재(325)를 갖는 틸팅액츄에이터(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260)과,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하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연결공(415)이 형성된 연장바(410)와,
    상기 연장바(4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공(415)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연결핀(425)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연결블록(420)과,
    상기 연결블록(420)의 일측면에 외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공(435)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연장관(430), 및
    상기 연장관(4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발지지구(450)가 좌,우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공(435)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핀(445)이 구비된 결합블록(44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260)은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출몰동작을 가이드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각각에 가이드레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5. 하부가 지면 상에 안착되도록 마련되고 상부에 받침부재(140)가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받침부재(1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측에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 본체(200)와;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하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프레임(250)과;
    상기 고정프레임(250)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동되는 진동벨트(630)가 구비된 진동수단(6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지지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250)과 프레임 본체(200)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300)과;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일측단에 전,후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 부위를 지지하는 발지지구(450)가 구비된 지지프레임(400); 및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전방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결속수단(800);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800)은 상기 프레임 본체(200)의 상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타단부에 회전동작시 사용자의 신체 전방 부위를 좌,우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지지봉(812,822)이 마련된 좌,우측 결속바(810,820)와,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의 각각의 단부에 링크 연결되는 제1,2결속링크(830,840)와, 상기 제1,2결속링크(830,840)를 연동 회전시키도록 연결되는 연결링크(850) 및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속로드(865)가 연결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결속로드(865)를 신축 동작시켜 상기 좌,우측 결속바(810,820)를 연동 회전시키는 결속액츄에이터(8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KR1020190075670A 2019-06-25 2019-06-25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KR10219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70A KR102191984B1 (ko) 2019-06-25 2019-06-25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70A KR102191984B1 (ko) 2019-06-25 2019-06-25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984B1 true KR102191984B1 (ko) 2020-12-16

Family

ID=7404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670A KR102191984B1 (ko) 2019-06-25 2019-06-25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98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693Y1 (ko) * 2002-01-17 2002-05-16 강승태 환자의 자중을 이용한 척추교정기
KR20100118797A (ko) * 2009-04-29 2010-11-08 이현숙 전신 스트레칭 운동기
KR101003316B1 (ko) * 2009-10-15 2010-12-23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인버션 테이블
KR20100137197A (ko) 2009-06-22 2010-12-30 양성태 승강이 가능한 바디 리프트 트랙션
KR20140031126A (ko) * 2012-09-04 2014-03-12 백창현 의료용 침대
KR200476637Y1 (ko) * 2014-04-14 2015-03-17 이충일 마사지벨트가 구비된 침대
KR101723311B1 (ko) 2015-11-20 2017-04-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견인장치
KR20170095643A (ko) * 2016-02-15 2017-08-23 신광의료기산업(주) 전신 재활운동기구
KR20170137349A (ko) * 2016-06-03 2017-12-13 허강수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693Y1 (ko) * 2002-01-17 2002-05-16 강승태 환자의 자중을 이용한 척추교정기
KR20100118797A (ko) * 2009-04-29 2010-11-08 이현숙 전신 스트레칭 운동기
KR20100137197A (ko) 2009-06-22 2010-12-30 양성태 승강이 가능한 바디 리프트 트랙션
KR101003316B1 (ko) * 2009-10-15 2010-12-23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인버션 테이블
KR20140031126A (ko) * 2012-09-04 2014-03-12 백창현 의료용 침대
KR200476637Y1 (ko) * 2014-04-14 2015-03-17 이충일 마사지벨트가 구비된 침대
KR101723311B1 (ko) 2015-11-20 2017-04-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리 견인장치
KR20170095643A (ko) * 2016-02-15 2017-08-23 신광의료기산업(주) 전신 재활운동기구
KR20170137349A (ko) * 2016-06-03 2017-12-13 허강수 족욕기능과 온열마사지 기능을 갖는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77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ходьбы
RU2642036C2 (ru) Шарнирно-сочлененная кровать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ложения поясницы и головы
US11925597B1 (en) Multi-function adaptable lift system
US7356858B2 (en) Sit to stand support apparatus
US3875598A (en) Cradling and articulated bed
US20110056019A1 (en) Hoist provided with a clamping device for moving persons
US10780312B2 (en) Bed exercise apparatus
KR102124863B1 (ko) 척추 곡률 적응형 인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인장 방법
KR101661346B1 (ko) 의료용 의자의 등받이 슬라이딩 구조
US20110083266A1 (en) Physical therapy device to assist individual to stand erect
KR101589958B1 (ko) 성장 촉진 기구
KR102191984B1 (ko) 자중을 이용한 허리 견인장치
CN112353632B (zh) 一种床上康复装置
CN108324506A (zh) 智能起立床
CN105939696B (zh) 用于拉伸背部的拉伸设备
KR101205343B1 (ko) 보행장애용 재활기구
KR102154343B1 (ko) 허리 견인장치
US6684419B1 (en) Bedside lower extremity lifting apparatus
KR200483182Y1 (ko) 전동식 목재 침대
CN209285341U (zh) 一种马桶架
KR101890143B1 (ko) 의료용 침대
US20210322236A1 (en) Bed with actuatable mattress support platform and method of actuating such a bed
JPS6110670Y2 (ko)
JP2008073420A (ja) 椅子兼用ベッド
KR102311716B1 (ko)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