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871B1 - 상지 재활 로봇장치 - Google Patents

상지 재활 로봇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871B1
KR101555871B1 KR1020140084691A KR20140084691A KR101555871B1 KR 101555871 B1 KR101555871 B1 KR 101555871B1 KR 1020140084691 A KR1020140084691 A KR 1020140084691A KR 20140084691 A KR20140084691 A KR 20140084691A KR 101555871 B1 KR101555871 B1 KR 101555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rod
connection shaft
shaft portion
upper li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웅
김윤구
장광희
최정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8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871B1/ko
Priority to US14/558,745 priority patent/US995613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77Elb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1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연결지지대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부, 일측이 연결축부에 연결 결합되며, 타측에는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상지연결대가 장착된 링크부, 연결지지대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연결축부와 연결되어, 연결축부가 회전되게 하는 능동구동기, 연결축부에 연결 설치되며, 연결축부의 축회전에 대한 저항토크를 발생시키는 수동구동기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지 재활 로봇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연결지지대에 연결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링크부의 일측을 연결축부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링크부 타측에 재활대상자의 상지를 배치한 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링크부를 재활대상자가 운동 궤적을 따라 움직일 때, 링크부를 수평, 경사, 수직 중 어느 하나의 위치상태로 변경함에 따라 수평운동, 경사운동, 수직운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능동구동기와 수동구동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재활대상자의 능동운동, 수동운동, 저항운동 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상지 재활 로봇장치{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본 발명은 상지 재활 로봇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 스스로 일상생활 동작 훈련이 가능하고, 조종성 및 능숙성이 뛰어나며, 수평, 경사 및 수직 운동 등 다목적 재활훈련이 가능하고, 저항, 보조, 능동 운동 등 다기능 재활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지 재활 로봇장치는 상지의 신체기능이 손상 혹은 마비된 환자의 운동 기능 회복 유지 등의 재활을 위해 로봇 기술을 활용한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상지 재활 로봇장치는 반복 훈련, 훈련량과 시간의 조절, 훈련의 진행 및 경과 여부를 정량화하는 등에 유용하여 재활 훈련을 표준화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치료사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어 국내외 그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상지 재활 로봇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지 재활 로봇장치는 한 개의 동일한 장치로부터 다양 형태(예를 들면 수평, 경사, 수직 운동 등)나, 다양한 기능(예를 들면 능동, 수동, 저항, 보조 운동 등)의 상지 재활 운동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여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7245호(2013.02.18)에 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과 다목적의 상지 재활을 가능하게 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연결지지대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부, 일측이 상기 연결축부에 연결 결합되며, 타측에는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상지연결대가 장착된 링크부, 상기 연결지지대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축부가 회전되게 하는 능동구동기, 상기 연결축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축회전에 대한 저항토크를 발생시키는 수동구동기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부는, 상기 연결지지대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 형상의 축본체와, 상기 축본체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능동구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능동구동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축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로드와, 일단이 상기 연결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제2로드와, 일단이 상기 제1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3로드 및, 양단이 각각 상기 제2로드의 타단 및 상기 제3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4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로드와 상기 제4로드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상지연결대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에는 상기 링크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볼 플런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볼 플런저는 상기 제3로드와 상기 제4로드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동구동기는, 상기 연결지지대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부로 전달하는 구동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구동기는, 상기 연결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축부가 상기 연결축부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입력전압에 따라 댐퍼값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축부의 회전력에 대한 저항토크를 발생시키는 가변댐퍼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연결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지지대가 축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조절모터가 더 결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지 재활 로봇장치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연결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가이드바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바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지 재활 로봇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연결지지대에 연결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링크부의 일측을 연결축부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링크부 타측에 재활대상자의 상지를 배치한 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링크부를 재활대상자가 운동 궤적을 따라 움직일 때, 링크부를 수평, 경사, 수직 중 어느 하나의 위치상태로 변경함에 따라 수평운동, 경사운동, 수직운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능동구동기와 수동구동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재활대상자의 능동운동, 수동운동, 저항운동 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로봇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상지연결대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지 재활 로봇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지 재활 로봇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0), 연결축부(200), 링크부(300), 능동구동기(400), 수동구동기(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이후 설명될 연결축부(200), 링크부(300), 능동구동기(400), 수동구동기(500)를 연결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사각 통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 이외의 통 형상 또는 내측으로 공간부를 가지지 않는 다양한 형상의 블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지지대(110)를 연결 구비한다. 즉,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부분에는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일단을 회전 용이하게 연결 지지하도록 베어링부재(도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일단에는,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지지대(11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핸들(111)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결지지대(110)에는 상기 회전핸들(111)을 파지한 상태에서 인력을 통한 수동회전 이외에 전원을 공급받아 발생되는 회전구동력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게 위치조절모터(도면미도시)를 연결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위치조절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일단과 기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연결지지대(110)로 전달하여 상기 연결지지대(110)를 회전되게 한다.
상기 연결축부(200)는 이후 설명될 링크부(300)를 상기 연결지지대(110)에 연결 설치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축부(200)는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타단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부(200)는 축본체(210), 회전연결대(220)를 포함한다.
상기 축본체(210)는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봉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축본체(210)는 상기 연결지지대(110)의 타단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축본체(210)에는 이후 설명될 링크부(300)의 일측이 연결됨으로서, 상기 축본체(210)의 회전여부에 따라 링크부(300)가 연동하게 된다. 즉, 상기 축본체(210)의 회전에 대응되게 링크부(300)가 동작함과 더불어 링크부(300)의 동작에 대응되게 상기 축본체(210)도 축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연결대(220)는 상기 축본체(210)와 이후 설명될 능동구동기(400)를 연결한다. 즉, 상기 회전연결대(220)는 능동구동기(400)에서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상기 축본체(210)로 전달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연결대(220)는 원형 판 형상을 가지는 부분으로, 상기 축본체(2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능동구동기(4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대(220)의 외주면에는 이후 능동구동기(400)와 기어구조로 연결시, 이맞춤될 수 있게 톱니형의 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링크부(300)는 상기 연결축부(200)와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연결되게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링크부(300)는 재활대상자의 재활하고자 하는 상지 부분을 연결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부(20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300)는 재활대상자의 상지부분에 대한 왕복 운동을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300)의 일측은 상기 연결지지대(110)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에 연결 결합되며, 타측에는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지부분을 연결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300)는 제1로드(310), 제2로드(320), 제3로드(330), 제4로드(340), 상지연결대(3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로드(310)와 상기 제2로드(320)는 각각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에 연결 결합하게 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제1로드(3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에 고정 결합되어, 이후 설명될 능동구동기(400)에 의한 상기 축본체(210)의 회전에 대응되게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1로드(310)의 움직임에 대응되게 상기 축본체(210)도 축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로드(3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된다. 즉, 상기 제2로드(320)는 상기 축본체(210)의 회전하더라도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1로드(310)의 움직임에 따라서도 상기 축본체(210)는 축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로드(330)와 상기 제4로드(340)는 각각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제1로드(310)와 상기 제2로드(320)에 연결한 상태로 길이방향 타단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3로드(33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1로드(310)의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서 연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4로드(34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2로드(320)의 길이방향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서 연결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제3로드(330)의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제4로드(34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서 연결 결합된다.
상기 상지연결대(350)는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상지연결대(350)는 상기 링크부(300)의 타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로드(330)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제4로드(340) 길이방향 타단의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지연결대(350)는 상기 재활대상자가 손으로 파지함과 더불어 상기 재활대상자가 앞서 설명한 상기 제1로드(310), 상기 제2로드(320), 상기 제3로드(330), 상기 제4로드(34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게 하는 핸들봉으로 선택 적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4의 (a), (b)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핸들봉이나 (c)와 같이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지,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 부분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손목지지대를 선택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링크부(300)에는 상기 링크부(300)의 타측에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300)의 타측에 바닥 상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볼 플런저(36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볼 플런저(360)는 상기 링크부(300)의 타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로드(330)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제4로드(340) 길이방향 타단의 상호 연결되는 부분 하부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능동구동기(400)는 상기 링크부(300)의 상지연결대(350) 상에 지지된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움직이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능동구동기(400)는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축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축본체(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부(300)가 대응되게 움직이게 되며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능동구동기(4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연결지지대(110) 일측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부(2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능동구동기(400)는 구동모터(410), 구동전달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41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4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연결지지대(110) 일측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된다.
상기 구동전달부(420)는 상기 구동모터(4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로 전달시킨다. 이러한, 상기 구동전달부(420)는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과 상기 연결축부(200)의 회전연결대(220)를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전달부(420)는 상기 구동모터(410)의 구동축 일측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축부(200)의 회전연결대(220) 외주면에 접촉 배치되는 기어연결구조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체인벨트 구조나 케이블 동력전달구조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동구동기(500)는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기 링크부(300) 구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에 대한 회전 움직임에 저항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재활대상자가 상기 링크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켜 운동효과를 증대시키게 한다. 즉, 상기 수동구동기(5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능동구동기(400)에 의한 상기 연결축부(200)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에 대한 회전 움직임에 대한 저항토크를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시에만 선택적으로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수동구동기(500)는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동구동기(500)는 상기 연결지지대(110)에 설치된 상태로 축부가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가변댐퍼를 선택적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축본체(210)의 회전에 대한 저항토크를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부재를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수동구동기(500)를 가변댐퍼로 선택적용할 경우에는 댐핑상수를 전기적 또는 자기적 특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전기유변유체댐퍼, 자기유변유체댐퍼 또는 자기력댐퍼 중 하나를 선택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지 재활 로봇장치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하여, 재활대상자에 따라 상지 부분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하는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승강수단(6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연결 설치되며, 지지프레임(610), 승강가이드바(620), 승강구동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6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하방에 배치되는 프레임이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61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연결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10)은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가이드바(620)는 상기 지지프레임(610)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바(620)는 사각봉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봉 또는 사각 이외의 다각형봉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가이드바(620)는 상기 지지프레임(610)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가이드바(620)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가이드바(620)의 상단에 앞서 설명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이 연결 결합된다.
상기 승강구동부(630)는 상기 승강가이드바(620)를 상기 지지프레임(610)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승강구동부(630)는 상기 지지프레임(610)의 일측에 결합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가이드바(620) 하단 일측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부(630)는 모터를 선택적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린더를 선택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630)가 모터로 선택적용될 경우, 상기 모터의 축에는 피니언이 결합 구비되며 상기 승강가이드바(620)에는 렉기어가 결합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축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바(62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610) 상에는 상기 능동구동기(400) 및 상기 수동구동기(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능동구동기(400)의 구동모터(410) 및 상기 수동구동기(500)의 가변댐퍼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고 운동의 궤적, 방향 및 속도 등을 수치화함고 더불어 상기 능동구동기(400)의 구동모터(410) 및 상기 수동구동기(500)의 가변댐퍼 구동을 제어하는 연산처리부(도면미도시) 및 구동제어부(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프레임(610)에는 상기 연산처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재활대상자에게 재활 훈련과제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상기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치화된 운동의 궤적, 방향 및 속도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의 상기 상지 재활 로봇장치를 통한 재활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능동구동기(400)와 상기 수동구동기(500)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재활대상자가 상기 링크부(300)의 상지연결대(350)를 잡거나 상기 상지연결대에 상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재활대상자가 상지를 움직이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부(300)를 수평상태로 배치할 경우에는 수평 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연결지지대(110)를 회전시켜 상기 링크부(300)를 경사 또는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경사 운동 또는 수직 운동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능동구동기(4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능동구동기(400)에 의한 자동 운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재활대상자가 상기 링크부(300)의 상지연결대(350)를 잡거나 상기 상지연결대에 상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능동구동기(400)가 상기 연결축부(200)의 축본체(21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축본체(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부(300)가 운동 궤적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를 따라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지가 따라 이동하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는, 상기 능동구동기(400)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수동구동기(500)만을 동작되게 한 상태에서는, 상기 재활대상자가 상기 링크부(300)의 상지연결대(350)를 잡거나 상기 상지연결대에 상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재활대상자가 상지를 움직이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동구동기(500)는 입력전압에 따라 댐퍼값이 변화되면서 상기 축본체(210)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재활대상자가 상기 수동구동기(500)에서 발생된 저항을 이기고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300)를 수평상태로 배치할 경우에는 수평 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연결지지대(110)를 회전시켜 상기 링크부(300)를 경사 또는 수직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경사 운동 또는 수직 운동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상지 재활 로봇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연결지지대(110)에 상기 연결축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링크부(300)의 일측을 상기 연결축부(200)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300) 타측에 상기 재활대상자의 상지를 배치한 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300)를 상기 재활대상자가 운동 궤적을 따라 움직일 때, 상기 링크부(300)를 수평, 경사, 수직 중 어느 하나의 위치상태로 변경함에 따라 수평운동, 경사운동, 수직운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능동구동기(400)와 상기 수동구동기(500)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기 재활대상자의 능동운동, 수동운동, 저항운동 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프레임 110: 연결지지대
111: 회전핸들 200: 연결축부
210: 축본체 220: 회전연결대
300: 링크부 310: 제1로드
320: 제2로드 330: 제3로드
340: 제4로드 350: 상지연결대
360: 볼 플런저 400: 능동구동기
410: 구동모터 420: 구동전달부
500: 수동구동기 600: 승강수단
610: 지지프레임 620: 승강가이드바
630: 승강구동부

Claims (9)

  1.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연결지지대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부와;
    일측이 상기 연결축부에 연결 결합되며, 타측에는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상지연결대가 장착된 링크부와;
    상기 연결지지대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축부가 회전되게 하는 능동구동기; 및,
    상기 연결축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축회전에 대한 저항토크를 발생시키는 수동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축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로드와,
    일단이 상기 연결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제2로드와,
    일단이 상기 제1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3로드 및,
    양단이 각각 상기 제2로드의 타단 및 상기 제3로드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제4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로드와 상기 제4로드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상지연결대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링크부에는 상기 링크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볼 플런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볼 플렌저는 상기 제3로드와 상기 제4로드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 설치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
  2.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연결지지대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부와;
    일측이 상기 연결축부에 연결 결합되며, 타측에는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상지연결대가 장착된 링크부와;
    상기 연결지지대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축부가 회전되게 하는 능동구동기; 및,
    상기 연결축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부의 축회전에 대한 저항토크를 발생시키는 수동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구동기는, 상기 연결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축부가 상기 연결축부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입력전압에 따라 댐퍼값을 조절하여 상기 연결축부의 회전력에 대한 저항토크를 발생시키는 가변댐퍼 인 상지 재활 로봇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부는,
    상기 연결지지대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 형상의 축본체와,
    상기 축본체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능동구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능동구동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연결대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능동구동기는,
    상기 연결지지대 일측에 결합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연결축부로 전달하는 구동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연결지지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지지대가 축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조절모터가 더 결합 구비된 상지 재활 로봇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지 재활 로봇장치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이 연결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가이드바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바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서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


KR1020140084691A 2014-07-07 2014-07-07 상지 재활 로봇장치 KR101555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91A KR101555871B1 (ko) 2014-07-07 2014-07-07 상지 재활 로봇장치
US14/558,745 US9956130B2 (en) 2014-07-07 2014-12-03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91A KR101555871B1 (ko) 2014-07-07 2014-07-07 상지 재활 로봇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871B1 true KR101555871B1 (ko) 2015-09-30

Family

ID=5424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691A KR101555871B1 (ko) 2014-07-07 2014-07-07 상지 재활 로봇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56130B2 (ko)
KR (1) KR1015558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714A (ko) * 2016-05-10 2017-1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지 재활 장치
KR101930418B1 (ko) 2017-04-25 2018-12-18 한국기계연구원 상지 재활 로봇
WO2019039710A1 (ko) * 2017-08-21 2019-02-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상지 운동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96292B1 (ko) 2018-12-27 2020-04-03 대한민국 곡선형 손잡이를 갖는 상지 운동 기구
KR102154343B1 (ko) * 2019-03-28 2020-09-09 이광덕 허리 견인장치
KR102220000B1 (ko) * 2019-10-08 2021-02-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근력 강화 재활 로봇
KR20210111411A (ko) * 2020-03-03 2021-09-13 창명제어기술 (주) 어깨 운동 장치
WO2022260294A1 (ko) * 2021-06-08 2022-12-15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양팔 운동이 가능한 상지 운동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3587B2 (en) * 2015-08-19 2021-04-13 Brainlab Ag Reference array holder
WO2017050961A1 (en) * 2015-09-23 2017-03-30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KR102583554B1 (ko) 2015-12-31 2023-09-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근육 강화용 수동 및 능동 구동장치
BR102016022139B1 (pt) 2016-09-26 2020-12-08 Antonio Massato Makiyama equipamento para reabilitação motora de membros superiores e inferiores
CN107970104B (zh) * 2016-10-21 2023-10-24 深圳光启合众科技有限公司 腰部旋转机构
CN107157705A (zh) * 2017-05-09 2017-09-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康复系统和方法
CN107296719B (zh) * 2017-05-17 2019-11-19 上海大学 一种五自由度外骨骼式上肢康复机器人
US20190184574A1 (en) * 2017-09-13 2019-06-20 Chao-Wei CH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ehabilitation
US10966893B2 (en) * 2018-03-23 2021-04-06 Hiwin Technologies Corp. Exoskeleton apparatus for limb rehabilitation
CN108498287B (zh) * 2018-04-25 2024-07-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康复训练装置和康复训练系统
CN108814902B (zh) * 2018-06-29 2020-01-10 华中科技大学 一种人机运动匹配且能对侧互换的上肢外骨骼康复装置
CN110292748B (zh) * 2019-07-02 2021-05-04 南方科技大学 双边协调训练系统和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77B1 (ko) * 2006-10-17 2008-03-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지 강직 환자용 물리치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939A (en) * 1990-08-27 1993-01-19 Sutter Corporation Passive anatomic shoulder exerciser
US5451191A (en) 1994-08-05 1995-09-19 Beenken; Gregory M. Finger rehabilitation/exercise device
US5755645A (en) * 1997-01-09 1998-05-26 Boston Biomotion, Inc. Exercise apparatus
US5698782A (en) 1997-01-09 1997-12-16 Ministry Of Solicitor General And Correctional Services Hand and arm strength testing apparatus to be used in a constable selection process
US6117093A (en) * 1998-10-13 2000-09-12 Lord Corporation Portable hand and wrist rehabilitation device
KR20030016941A (ko) 2001-08-23 2003-03-03 전위성 팔운동기구
KR200362063Y1 (ko) 2004-07-01 2004-09-16 학교법인연세대학교 편마비 상지 재활훈련기구
US7854708B2 (en) * 2007-05-22 2010-12-21 Kai Yu Tong Multiple joint linkage device
US8905950B2 (en) * 2008-03-04 2014-12-09 Bonutti Research, Inc. Shoulder ROM orthosis
US20100041529A1 (en) * 2008-05-30 2010-02-18 Northeastern University Variable resistance hand rehabilitation device with linear smart fluid damper and dynometer capabilities
KR101237245B1 (ko) 2010-04-07 2013-03-08 대한민국 식사 보조 로봇
WO2013168738A1 (ja) * 2012-05-09 2013-11-14 学校法人産業医科大学 運動訓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477B1 (ko) * 2006-10-17 2008-03-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지 강직 환자용 물리치료 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09B1 (ko) * 2016-05-10 2018-0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지 재활 장치
KR20170126714A (ko) * 2016-05-10 2017-11-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상지 재활 장치
KR101930418B1 (ko) 2017-04-25 2018-12-18 한국기계연구원 상지 재활 로봇
US11259977B2 (en) 2017-08-21 2022-03-01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Upper limb exercis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9039710A1 (ko) * 2017-08-21 2019-02-2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상지 운동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20508A (ko) * 2017-08-21 2019-03-0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상지 운동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00484B1 (ko) * 2017-08-21 2019-10-01 대한민국 상지 운동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CN110997084A (zh) * 2017-08-21 2020-04-10 国立再活院 上肢运动器械及其控制方法
CN110997084B (zh) * 2017-08-21 2022-06-24 国立再活院 上肢运动器械及其控制方法
KR102096292B1 (ko) 2018-12-27 2020-04-03 대한민국 곡선형 손잡이를 갖는 상지 운동 기구
KR102154343B1 (ko) * 2019-03-28 2020-09-09 이광덕 허리 견인장치
WO2021071278A1 (ko) * 2019-10-08 2021-04-1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근력 강화 재활 로봇
KR102220000B1 (ko) * 2019-10-08 2021-02-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근력 강화 재활 로봇
KR20210111411A (ko) * 2020-03-03 2021-09-13 창명제어기술 (주) 어깨 운동 장치
KR102310836B1 (ko) * 2020-03-03 2021-10-08 창명제어기술(주) 어깨 운동 장치
WO2022260294A1 (ko) * 2021-06-08 2022-12-15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양팔 운동이 가능한 상지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00633A1 (en) 2016-01-07
US9956130B2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871B1 (ko) 상지 재활 로봇장치
KR101600850B1 (ko) 상지 재활 로봇장치
TWI552743B (zh) Inductive force feedback mechanism
US20180111017A1 (en) Assistive rehabilitation elliptical system
KR101331071B1 (ko) 어깨 관절용 재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125255B1 (ko) 상지 재활 지원 장치
KR101559551B1 (ko) 관절 운동 장치
KR101494620B1 (ko) 기립 및 재활 보조 휠체어 로봇
KR101547331B1 (ko) 관절 운동 장치
US20210322250A1 (en) Driv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with two degrees of freedom of rotation and rehabilitation machine for rehabilitation of the lower limbs and the trunk incorporating such a system
US11096855B2 (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kle joint
KR101682948B1 (ko) 상지 재활을 위한 중력이 보상되는 어깨관절 추종 장치
US20190262209A1 (en) Device for vibration training
CN102805697B (zh) 一种十字万向摇杆式上肢康复机械装置
CN108791562A (zh) 一种转向装置以及包括该转向装置的四足机器人
CN220090377U (zh) 一种曲柄机构、步态康复训练设备及肢体训练机
KR101481455B1 (ko) 근력 및 뇌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상현실기반 편마비 환자의 상지/하지 물리치료장치
KR101866255B1 (ko) 손 재활로봇
JP2008253674A (ja) マッサージ装置
CN105853127A (zh) 智能外科手术椅
KR101468472B1 (ko) 트위스트 운동장치
KR101723893B1 (ko) 손가락 운동장치
KR101866253B1 (ko) 손 재활로봇
CN204121418U (zh) 一种滑轮拉线式移动艾条装置
CN104524743A (zh) 一种旋转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