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463B1 -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 Google Patents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463B1
KR102153463B1 KR1020180130854A KR20180130854A KR102153463B1 KR 102153463 B1 KR102153463 B1 KR 102153463B1 KR 1020180130854 A KR1020180130854 A KR 1020180130854A KR 20180130854 A KR20180130854 A KR 20180130854A KR 102153463 B1 KR102153463 B1 KR 10215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young
fish
enzyme
collagen hydrolyz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610A (ko
Inventor
김훈중
손병욱
안동규
오기백
이영진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18013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or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hydrolysis, i.e. solvolysi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17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6026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 i.e. Gly or A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2Colla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티데이즈 R와 우마미자임이 배합된 복합 효소를 어린에 처리하여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의 함량이 매우 높은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콜라겐 가수분해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제조된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저 분자량 분포가 높아서 평균 분자량이 매우 낮고, 글리신-프롤린의 함량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및/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품이나 식품 조성물 중의 유효 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COLLAGEN HYDROLYSATE HAVING HIGH DIPEPTIDE CONTENTS AND PROCESS OF FABRICATING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산업적 응용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collagen)은 동물의 피부 조직이나 연골과 같은 골 조직, 혈관 조직을 비롯한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이다. 콜라겐은 신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중에서 약 25% 내지 35%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풍부하게 존재한다. 인체 내에서 모든 세포의 뼈대를 구성하는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조직(connective tissue)의 주요 구성 인자이다. 콜라겐을 다량 함유하는 인체 조직으로는 피부(skin), 연골 등의 골 조직, 건(tendon), 인대(ligament)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늘어난 섬유 형태의 콜라겐은 주로 힘줄, 인대, 피부와 같은 섬유조직에 다량 존재할 뿐만 아니라, 각막, 연골 조직, 골, 혈관, 소화관, 척추원반 등에도 존재한다. 또한, 근육 조직에서 콜라겐은 근 내막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이러한 결합 조직들은 노화로 인하여 피부 주름 및 처짐, 골다공증 등의 노화 질환이 야기되는데, 이는 해당 조직의 콜라겐 합성 감소로 인한 체내 콜라겐 양 및 기능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분자량이 약 30만 Da인데, 분자량이 약 10만 Da인 알파(α) 사슬 구조를 가지는 3개의 폴리펩타이드가 모여서, 40개의 잔기에 1회전하는 오른쪽 회전의 감마(γ) 나선 구조를 형성한다. 콜라겐은 직경이 대략 1.5 nm, 길이 300 nm인 막대 형상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각각의 알파 사슬은 다수의 수소 결합에 의하여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미세섬유(micro fibril)가 모여서 공유 가교결합에 의해 콜라겐 미세섬유가 되고, 이들이 모여서 콜라겐 섬유(fiber)를 형성한다. 현재까지, 콜라겐은 분자의 종류에 따라 13종 이상, 폴리펩타이드 사슬의 종류로 22종 이상이 보고되었다.
콜라겐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글리신(Glycine)-프롤린(Proli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 Proline)-X(X는 임의의 아미노산)이 반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글리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의 함량이 매우 높다. 특히, 하이드록시프롤린은 엘라스틴(elastine)을 제외한 다른 단백질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아미노산으로서, 하이드록시프롤린의 정량을 통하여 콜라겐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콜라겐의 체내 생산량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연령이 높아지면 식품 등으로 섭취를 할 필요가 있다. 콜라겐은 육류 및 어류에도 다량 존재하는데, 특히 돼지 껍데기, 닭 날개, 도가니, 닭 발 등에 많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곶감, 두충차, 감잎차 등의 식물성 식품에도 콜라겐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어류에서 유래한 콜라겐이 주목을 받고 있다. 어류에서 유래한 콜라겐은 비린내가 잔존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 유래의 콜라겐을 식품 등에 함유하고자 하는 경우, 비린내를 가릴 수 있는 마스킹 소재가 필요하다. 일례로, 대한민국공개특허 2013-0098729호에서는 녹차 추출물, 백차 추출물 등의 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마스킹 소재와 같은 첨가물을 넣게 되면 첨가되는 마스킹 소재에 비례하여 콜라겐의 함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으며 저분자량 분포가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도, 이미 및 이취 성분이 크게 저감된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준비된 어린(魚鱗)과 물을 혼합하고, 어린과 물의 배합물에 열을 가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된 어린 및 물의 배합물을 펩티데이즈 R(Peptidase R)와 우마미자임(Umamizyme)를 포함하는 복합 효소로 처리하는 단백질 가수분해를 수행하여, 상기 어린에 포함된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준비된 물과 어린을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린과 물은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상기 배합물을 교반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는 50 내지 60℃의 온도, pH 6 내지 7에서 8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에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얻는 단계 사이에 1차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에 2차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1차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처리된 어린 및 물의 혼합물에 포함된 전체 액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부 비율의 활성탄으로 처리되고, 상기 2차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전체 액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부 비율의 활성탄으로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며, 중량평균분자량 600 내지 800 Da이고, 글리신-프롤린(Gly-Pro) 다이펩타이드의 함량이 40 내지 50 mg/g인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콜라겐 분자를 다량 포함하는 어린에 2개의 단백질 분해효소가 배합된 복합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저 분자량 분포가 높으며, 글리신-프롤린의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크게 향상된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조성물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어린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색도가 양호하며, 이미 및 이취 성분을 크게 저감하여, 콜라겐 가수분해물 단독 제품 또는 다양한 제형 및 제품에도 활용될 수 있다.
청정 지역의 어류에서 유래하는 어린을 원료로 사용하여, 동물성 콜라겐에 비하여 안전성이 있으며, 저분자량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분포도가 높아서 체내 흡수율이 향상된다.
아울러, 콜라겐 가수분해물 중에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복용하여 피부의 광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어린 유래의 가수분해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및/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품 및/또는 식품 중의 유효 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복합 단백질 분해 효소의 함량에 따라 제조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중량평균분자량과 콜라겐 유래의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CDP)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CPNS로 표시)에 대한 MMP-1 분석 결과와, 프로콜라겐 생성 능력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어류 유래의 가수분해물(도 6a)와, 화학적으로 합성된 다이펩타이드인 프롤린-하이드록시프롤린(도 6b), 글리신-프롤린-하이드록시프롤린(도 6c)의 동물 체내 흡수율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각각 UVB로 12주 동안 조사, 노출시킨 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CPNS)을 섭취한 마우스의 피부 주름을 평가한 사진(도 7a), 피부의 전체 주름 영역을 측정한 그래프(도 7b), 피부 주름 개수를 측정한 그래프(도 7c), 표피 두께를 측정한 그래프(도 7d) 및 표피를 염색한 사진(도 7e)이다.
이하, 필요한 경우에 첨부하는 사진을 첨부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원료로 사용되는 어린을 준비하는 단계(ST 110 단계), 준비된 어린을 물과 혼합하고, 어린과 물의 배합물을 전-처리하는 단계(ST 120 단계), 선택적으로 전-처리된 어린과 물의 배합물을 탈색, 탈취시키는 단계(ST 130 단계), 전-처리된 어린과 물의 배합물을 2개의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로 처리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ST 140 단계), 가수분해된 어린과 물의 배합물을 탈색, 탈취시키는 단계(ST 150 단계), 선택적으로 얻어진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여과, 농축하는 단계(ST 160 단계) 및 여과, 농축된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건조, 분말화하는 단계(ST 17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공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얻기 위한 원료로서 어린을 준비한다. 생체의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은 분자량에 따라 고분자량 콜라겐과 저분자량 콜라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량 콜라겐은 중량평균분자량 5,000 Da 이상인 콜라겐을 가리키는데,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체내 흡수율이 떨어져서 생리적 활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반면, 저분자량 콜라겐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Da 이하인 콜라겐을 가리키는데, 체내 흡수율이 높아서 콜라겐 특유의 기능, 예를 들어 피부 탄력 유지 등의 기능성을 발휘하기 쉽다.
콜라겐은 일부 식물성 식품에도 존재하지만 육류에 다량 존재한다. 그런데, 어류의 지느러미나 비늘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지는 콜라겐은 육류에서 추출한 콜라겐에 비하여 초기 흡수율이 약 1.5 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육류 유래의 콜라겐에 비하여 어류 유래의 콜라겐이 상대적으로 저분자량 콜라겐의 분포가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얻기 위한 원료로서 어류의 비늘인 어린(魚鱗)을 준비한다(ST 110 단계). 일례로, 어린은 백색에 가까운 것이 좋으며, 대략 어른 손톱 크기의 것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콜라겐 가수분해물에 적합한 어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생산량이 많아 경제성이 있으며 원료 조달에 유리한 틸라피아(Tilapia) 어종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어린은 수세 및 칼슘을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칼슘 이온을 제거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어린의 단백질 분해효소 등의 가공 공정에서 분해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린을 수세하는 공정 조건에 따라 어린의 pH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라 원료로 사용되는 어린의 p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준비된 어린을 물(예를 들어 정제수 또는 증류수)와 혼합하고, 어린 및 물의 배합물에 열을 가하여 전-처리한다(ST 120 단계). 원료로 사용된 어린의 주요 성분은 단백질인데, 후술하는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따른 가수분해 효율을 최대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전-처리 공정이 요구된다. 건조 상태인 준비된 어린을 물과 혼합한 후에 바로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면 가수분해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가수분해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진다.
일례로, 전-처리와 관련해서 준비된 어린과 물은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어린과 물의 배합 비율이 전술한 조건을 충족할 때, 후술하는 전-처리 과정에서 어린 조직이 용이하게 연화될 수 있다. 전-처리로서 산(acid) 또는 알칼리(alkali)를 가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화학 처리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인 인식과, 산 및 알칼리로 처리할 때 중화 공정에서 염(NaCl)이 생성되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콜라겐 가수분해물 분말에 짠맛이 남을 수 있다. 따라서 전-처리 공정은 어린 및 물의 배합물을 80℃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8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10시간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열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열을 가하는 전-처리 공정에 의하여 준비된 어린의 조직이 연화될 수 있다.
열처리와 관련하여 80℃ 미만의 온도에서는 어린이 잘 풀어지지 않고 딱딱하게 남아 있어 후술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더라도 분해되지 않은 어린이 상당량 잔존하면서 가수분해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100℃를 초과하더라도 가수분해 효율은 향상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열처리 시간이 6시간 미만이면 분해되지 않은 어린이 상당량 잔존하고, 열처리 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하더라도 어린의 조직이 더 이상 연화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처리가 완료된 어린과 물의 배합물에 대하여 바로 2개의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는 단계(ST 14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기 전에, 전-처리가 완료된 어린과 물의 배합물에 1차로 탈취/탈색 단계(ST 13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어린과 같은 어류 유래의 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어류 특유의 비린내가 콜라겐 가수분해물에 잔존할 수 있다. 분말 타입 또는 용액에 용해된 상태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에서 비린내 등의 이미, 위치가 잔존한다면 클레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콜라겐 가수분해물에 잔존하는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순도 정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유기용매를 사용하거나 고가의 별도 설비 보유가 요구되기 때문에,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공정을 통하여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관능적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가수분해 단계(ST 140 단계) 이전의 탈색 및 탈취 단계(ST 130 단계)는 활성탄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1차 탈색 및 탈취 단계(ST 130 단계)에서 활성탄은 전-처리된 어린 및 물의 배합물 중의 전체 액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처리되는 활성탄의 함량이 전체 액량 대비 0.5 중량부 미만이면, 탈색 및 탈취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활성탄이 포집할 수 있는 이취 성분의 함량에 한계가 있어 탈취 및 탈색 효과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1차 활성탄 처리는 전-처리 단계(ST 120 단계)에 대응하여 80℃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가수분해 단계 이전과 이후에 활성탄을 이용한 탈취 및 탈색 공정을 나누어 처리하는 경우, 각각의 단계에서 생성될 수 있는 이취 및 이미 성분을 미리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가수분해 단계 이후에 일괄적으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탈취 및 탈색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처리 단계(ST 120 단계) 또는 선택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1차 탈색 및 탈취 단계(ST 130 단계)가 종료되면, 전-처리에 의하여 연화된 어린 및 물이 혼합된 배합물을 2가지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인 복합 효소로 처리하여 어린에 함유된 콜라겐의 가수분해에 따른 효소 분해물을 얻는다(ST 140 단계).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합 효소는 펩티데이즈 R(Peptidase R)와 우마미자임(Umamizyme)의 혼합물일 수 있다(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효소가 혼합된 복합 효소를 통칭하여 펩티데이즈 CP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복합 효소의 일 성분인 펩티데이즈 R은 아밀레이즈 R(amylase R)이라고도 불리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서, 활성 온도는 35 내지 45℃, 최적 활성 온도는 37℃이고, 안정적인 활성을 보이는 pH는 6.0 내지 9.0이며, 최적 pH는 7.0이다. 펩티데이즈 R은 LGG(L-Leucyl-Glycyl-Glycine) 방법에 의한 단백질 분해 활성을 나타낸다. 펩티데이즈 R은 쓴 맛이 나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쓴 맛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로서, 펩티데이즈 R은 리조푸스속 진균류인 Rhizopus oryzae의 특정 균주(strain)를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복합 효소의 다른 성분인 우마미자임의 활성 온도는 40 내지 50℃, 최적 활성 온도는 45℃이고, 안정적인 활성을 보이는 pH는 5.0 내지 9.0이며, 최적 pH는 8.0이다. 우마미자임은 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은 단백질 가수분해를 위해 제조된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로서, 누룩곰팡이속(Aspergillus)에 속하는 Aspergillus oryzae의 특정 균주를 발효시켜 제조될 수 있다. 펩티데이즈 R과, 우마미자임은 AMANO ENZYME INC.(나고야, 일본)에서 제조,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단백질 분해효소를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펩티데이즈 R 및 우마미자임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다른 단백질 분해효소와, 펩티데이즈 R 또는 우마미자임을 혼합한 복합 효소를 처리하여 어린에 함유된 콜라겐의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경우, 효소 분해물인 콜라겐 가수분해물 중에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는 생성되지 않거나 그 함량이 매우 제한적이다. 반면, 펩티데이즈 CP를 포함하는 복합 효소를 처리하여 어린에 함유된 콜라겐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경우, 콜라겐 가수분해물 중에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의 함량이 크게 증가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 중에 함유된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에 대해서는 콜라겐 다이펩타이드(collagen dipeptide; CDP)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고,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의 함량이 크게 증가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콜라겐 펩타이드 NS(collagen peptide NS; CPNS)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라 CDP 함량이 높은 CPNS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펩티데이즈 CP를 포함하는 복합 효소는 전-처리된(또는 선택적으로 1차 탈색 및 탈취 처리된) 어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략 0.2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합 효소의 첨가량이 전-처리된 어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미만이면,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저분자량 분포도가 높지 않으며, 콜라겐 가수분해물 중에 CDP 함량이 증가하지 않는다. 복합 효소의 첨가량이 전-처리된 어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CDP를 생성할 수 있는 콜라겐 펩타이드가 복합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서 콜라겐 가수분해물 중에 CDP의 함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며, 저분자량 분포도 역시 크게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복합 효소 성분으로 사용되는 펩티데이즈 R과 우마미자임은 1:9 내지 9:1,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8:2,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7:3, 가장 바람직하게는 4:6 내지 6:4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펩티데이즈 CP를 포함하는 복합 효소를 처리하여 어린에 함유된 콜라겐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ST 140 단계)는 50 내지 60℃의 온도, pH 6 내지 7에서 8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전-처리된 어린 및 물의 혼합물에 복합 효소를 첨가한 뒤에 50 내지 3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가수분해 처리 이후에 70℃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60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하여 복합 효소의 활성을 제거하는 실활(失活)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복합 효소 처리에 따라 어린 중에 함유된 콜라겐 단백질의 가수분해 단계(ST 140 단계)가 종료되면, 활성탄을 이용한 탈색 및 탈취 단계(ST 150 단계)이 수행된다. 일례로, 탈색 및 탈취 단계(ST 150 단계)는 가수분해 완료 이후에, 활성탄을 투입하여 1 내지 3시간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가수분해 단계(ST 140 단계) 이전에 탈색 및 탈취 단계(ST 130 단계)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가수분해 이후의 탈색 및 탈취 단계(ST 150 단계)에서 어린 유래의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전체 액량 대비 1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활성탄을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탄의 처리량이 전체 액량 대비 1 중량부 미만이면 탈취 및 탈색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활성탄의 처리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활성탄이 포집할 수 있는 이취 성분의 함량에 한계가 있어 탈취 및 탈색 효과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기 때문이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가수분해 단계(ST 140 단계) 이전에 1차 탈색 및 탈취 단계(ST 130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가수분해 이후의 탈색 및 탈취 단계(ST 150 단계)에서 활성탄은 어린 유래의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전체 액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활성탄을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탄의 처리량이 전체 액량 대비 0.5 중량부 미만이면 탈취 및 탈색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활성탄의 처리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활성탄이 포집할 수 있는 이취 성분의 함량에 한계가 있어 탈취 및 탈색 효과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어서, 복합 효소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어린 유래의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여과, 농축하는 단계(ST 16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여과 및 농축 공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필터 프레스를 이용하는 여과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과 및 농축 단계(ST 160 단계)가 종료되면, 농축된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효소 분해액을 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ST 170 단계). 건조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동결건조 등 일반적인 건조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600 내지 800 Da이다.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저분자량 콜라겐 펩타이드의 분포도가 매우 높아서 체내 흡수율이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 중에 글리신-프롤린(Gly-Pro) 다이펩타이드(CDP)의 함량이 40 내지 50 mg/g으로 매우 높다.
글리실-프롤린 다이펩타이드는 항산화 효능, 뇌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변형을 억제하는 효능, 항-고혈압 효능, 혈관벽이 손상되었을 때 혈액 응고를 촉진시켜 혈관 손상을 완화하는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콜라겐의 분해 산물인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는 생체 내에서 가수분해 효소인 프롤리데이즈(prolidase)에 의해 글리신과 프롤린으로 분해된다. 생성된 프롤린은 생체에서 리사이클링되어 콜라겐으로 생-합성될 수 있다. 피부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은 특히 진피 성분의 90% 가량을 차지하는 섬유상 단백질로서, 엘라스틴과 함께 피부 장력과 탄력을 제공하는 물질이며,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의 함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및/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이나 식품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도 5a 내지 도 7e 참조).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화장품 조성물 중에 1 내지 50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품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이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 및/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매질을 포함한다. 일례로, 화장품 조성물은 성, 수성/알코올성 또는 유성 용액, 또는 수성, 수성/알코올성 또는 유성 겔, 또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션(O/W) 또는 그 반대(W/O), 서스펜션, 마이크로에멀션,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로서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레스-26, 메틸글루세스-20,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및 네오펜티글리콜디카프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화장품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타이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1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은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C, 비타민H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 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지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D2, 비타민D3, 비타민E(알파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유도체(팔미트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알파토코페롤, 니코틴산-알파토코페롤, 판토네일알코올 등)도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지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고분자 펩타이드는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다당은 하이드록시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 지질 등을 들 수 있다.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연화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분체, 자외선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항산화제, 식물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발포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착색제, 겔화제 또는 농축제, 향료, 혈행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예를 들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와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조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피부 노화 방지, 예를 들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기능식품, 음료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식품 조성물 중에 1 내지 50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인체에 투여할 경우, 대략 0.1 내지 1000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0 ㎎/㎏으로 투여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품 조성물은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과 같은 식품 보조 첨가제 성분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은 물론이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 또는 감미제로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천연 향미제/감미제;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그 외에도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식품공학적 조성물 중에는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가수분해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 제조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어린(魚鱗)으로 생산량이 많고 경제성이 있으며 원료 조달에 용이한 틸라피아 어종의 것을 선정하였다. 백색에 가깝고 어른 손톱 크기의 어린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어린과 정제수를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10시간 열을 가하여 전-처리하여, 어린의 조직을 연화시켰다.
전-처리가 완료된 어린 및 정제수 혼합물의 전체 액상 대비 1 중량부의 활성탄을 가하고 80 내지 100 온도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1차로 탈취 및 탈색 공정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저분자량 콜라겐 가수분해물(콜라겐 펩타이드)의 분포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글리신-다이펩타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1차 탈취 및 탈색 공정이 완료된 어린 1 g에 대하여 펩티데이즈 R(Peptidase R 또는 amylase R; AMANO ENZYME INC., Nagoya, Japan)과 우마미자임(Umamizyme; AMANO ENZYME INC., Nagoya, Japan)이 1:1의 비율로 배합된 펩티데이즈 CP 30 unit을 첨가하고, 55℃, pH 6.5에서 12시간 동안 50 내지 3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여 콜라겐 효소 분해물을 얻었다. 가수분해 반응이 완료된 뒤, 80℃에서 30분 동안 열처리를 통해 효소를 실활하였다. 이어서 효소 분해물에 전체 액량 대비 1 중량부의 활성탄을 첨가하고 1 내지 3시간 동안 추가 반응시켜 2차로 탈색 및 탈취 공정을 진행하였다. 계속해서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어린에서 유래된 효소 분해액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분말화된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 제조
가수분해 단계에서 어린 1 g에 대하여 펩티데이즈 CP를 40 unit(실시예 2), 50 unit(실시예 3), 100 unit(실시예 4)으로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내지 7: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 제조
전-처리 이후에 1차 탈색 및 탈취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가수분해 및 효소 실활 이후에 효소 분해물에 전체 액량 대비 1 중량부(실시예 5), 1.5 중량부(실시예 6), 2 중량부(실시예 7)의 활성탄을 첨가하고 1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 제조
가수분해 단계에서 어린 1 g에 대하여 펩티데이즈 CP를 10 unit(비교예 1), 20 unit(비교예 2)으로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여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내지 13: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 제조
가수분해 과정에서 아래에 표시된 것과 같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각각 30 unit/g(어린)의 비율로 처리하고 각각의 효소에 대한 최적 반응 조건(온도, pH)에서 12 시간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였다.
가수분해 반응에 사용한 효소 및 반응 조건
샘플 가수분해 효소 반응 조건
비교예 3 Alcalase 2.4L 60℃, pH 7.0
비교예 4 Delvolase 50℃, pH 6.5
비교예 5 Flavourzyme 60℃, pH 7.0
비교예 6 Peptidase R 55℃, pH 6.5
비교예 7 Umamizyme 55℃, pH 6.5
비교예 8 Alcalase 2.4L + Peptidase R 60℃, pH 7.0
비교예 9 Alcalase 2.4L + Umamizyme 60℃, pH 7.0
비교예 10 Delvolase + Peptidase R 55℃, pH 6.5
비교예 11 Delvolase + Umamizyme 55℃, pH 6.5
비교예 12 Flavourzyme + Peptidase R 60℃, pH 7.0
비교예 13 Flavourzyme + Peptidase R 60℃, pH 7.0
실험예 1: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및 다이펩타이드 함량 측정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13에서 각각 제조된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분자량과,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CDP)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분자량 분포도는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column으로 ultra-hydrogel 120 column (Waters, Milford, MA, USA)을 이용하여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Agilent 1200 series, Waldbronn, Germany)를 통해 분석하였다. 글리신-프롤린 다이펩타이드 함량 분석은 HPLC(Agilent 1200 series, Waldbronn,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Phenomenex, Jupiter 4u Proteo 90A, 4.5*250 mm 컬럼, 이동상 (A = 0.1% TFA(trifluoroacetic acid in water)), B = Acetonitrile: Methanol = 1:4), 유속 0.5 ㎖/min의 조건에서 콜라겐 다이펩타이드(collagen dipeptide, CDP)를 분석하였다. CDP의 표준물질로는 두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Glycine-Proline(Gly-Pro, GP)를 사용하였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라 펩티데이즈 CP를 활용하여 어린에서 분해된 효소 분해액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profile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중량평균분자량 1,500 Da의 콜라겐 펩타이드이고, B는 중량평균분자량 650 Da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각각 제조된 효소 분해액 중의 CDP 함량 및 중량평균분자량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한편, 하기 표 2는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13에서 각각 제조된 효소 분해액에 함유된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CDP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2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펩티데이즈 CP를 사용하였을 때, 중량평균분자량은 800 Da 이하로서,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매우 낮았다. Delvolase와 Flavourzyme을 처리한 경우 중량평균 분자량이 낮기는 하였으나, Alcalase 2.4L과 펩티데이즈 CP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분자량 분포를 보여주었다. 콜라겐 다이펩타이드(CDP) 함량은 펩티데이즈 CP로 분해한 효소분해액에서만 40 mg/g 이상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Alcalase 2.4L, Delvolase, Flavourzyme을 단독으로 처리한 효소분해액에서는 CDP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펩티데이즈 R와 우마미자임을 단독으로 처리한 효소분해액이나, 이들 효소에 Alcalase 2.4L, Delvolase, Flavourzyme를 혼합한 복합 효소로 처리한 효소분해액에서도 CDP의 함량은 10 mg/g 안팎에 불과한 것을 확인하였다. 즉, 특이적 효소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만 콜라겐 다이펩타이드인 Glycine-Proline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통해 개발된 콜라겐 다이펩타이드인 Glycine-Proline이 함유된 콜라겐 효소분해물을 Collagen peptide NS(CPNS)로 명명한다.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다이펩타이드(CDP) 함량
샘플 중량평균분자량 CDP 함량(㎎/g)
실시예 1 800 Da 40.61
실시예 2 730 Da 41.55
실시예 3 700 Da 43.10
실시예 4 650 Da 43.32
비교예 1 1200 Da 16.3
비교예 2 1050 Da 27.90
비교예 3 800 Da N/D
비교예 4 1200 Da N/D
비교예 5 1000 Da N/D
비교예 6 - 8.61
비교예 7 - 7.36
비교예 8 - 10.87
비교예 9 - 9.19
비교예 10 - 8.81
비교예 11 - 7.94
비교예 12 - 9.14
비교예 13 - 7.51
실험예 2: 이취 성분의 함량 분석
실시예 1과, 실시예 7에서 각각 제조된 콜라겐 가수분해물 중에 이취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활성탄 처리에 따른 이취 성분의 제거 효율을 보기 위해 향기성분 함량을 GC-MS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취 성분은 특정한 성분으로 정의되지 않기에 콜라겐 제품 내 전체 향기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향기 성분 함량은 headspace extr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추출된 향기 성분은 SPME fiber에 흡착시킨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기(GC/MS; Agilent Technologies/7890A GC/5975C MSD)를 통해 정량 분석하였다. 콜라겐 가수분해물 분말을 20 mL vial에 3g을 담고, 60℃에서 20분간 가열한 후, headspace에 추출하였다. 추출된 향기 성분은 SPME fiber (Supelco; 65um PDMS/DVB blue plain (CAT No.57311))를 사용하여 60℃, 30분간 fiber에 흡착시키고, GC 주입구에 splitless mode로 주입하여 탈착한 후 GC/MS를 활용하여 향기 성분을 정량 하였다. 이때 주입구 온도는 250℃, 컬럼 오븐 온도는 70℃에서 2분 동안 유지시킨 후 20℃/min으로 230℃까지 승온시켜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컬럼은 HP5-MS (60 m Х 0.25 mm Х 0.25 ㎛)를 사용하였으며, 운반기체는 순도 99.999% He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1.0 mL/min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향기성분의 정량분석은 TIC (Total Ion Current) 모드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분석 결과, 일괄적으로 활성탄을 처리하였을 경우 일정 수준 이취 성분들이 제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관능 평가 등을 통해 분석하였을 때, 활성탄을 일괄 처리한 경우 비린내 또는 불쾌치가 소량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단계별로 활성탄을 처리하여 이취성분 제어 효율을 향상시킨 결과 동일 3% 용액에서 비린내 또는 불쾌치를 인지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활성탄의 처리는 어린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는 이취 성분을 제어하는데 상당 부분 역할을 한다. 하지만, 최상의 콜라겐 품질을 위해서는 활성탄 처리 공정 또한 이취 성분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공정 단계별로 생성될 수 있는 이취 성분들을 미리 활성탄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그 효율이 극대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세포 수준 피부 미용 효능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어린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로서, 글리신-프롤린(Gly-Pro)의 함량이 우수한 CPNS의 세포 수준의 피부 미용 효능을 평가하였다. 우선, Neonatal foreskins 로부터 분리한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s 은 10% fetal bovine serum (GIBCO BRL, USA), 100 U/㎖ penicillin and 100 ㎍/㎖ streptomycin (GIBCO BRL, USA)이 함유된 Eagle's medium (DMEM, GIBCO BRL, USA)에서 5% CO2-humidified incubator 상태에서 배양되었다. 세포들은 UVB cross-linker를 이용하여 Ultraviolet B(UVB)를 조사하였다. 이후 UVB가 처리된 세포 (1 × 104 cells/well)에 지표 펩타이드인 콜라겐 다이펩타이드 Gly-Pro를 50 내지 200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프롤린-하이드록시프롤린(Pro-Hyp) 다이펩타이드와, 글리신-프롤린-하이드록시프롤린(Gly-Pro-Hyp) 트리펩타이드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24시간 처리 후 세포는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와 type 1 pro-collagen 농도를 ELISA kit를 활용해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효소분해물 CPNS를 50 to 500 ㎍/㎖ 농도로 처리한 후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와 type 1 pro-collagen 농도를 ELISA kit를 활용해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각각 나타낸다.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MMP-1 억제 능력 (ng/㎖)
펩타이드 농도
(㎍/㎖)
0 (UVB-) 0 (UVB+) 100 250 500
Gly-Pro 14.7±1.3 27.3±2.1 20.3±2.6 17.3±1.6 15.1±1.7
Pro-Hyp 14.1±1.2 26.9±1.9 22.7±3.1 19.9±1.2 16.3±1.4
Gly-Pro-Hyp 14.3±1.6 28.6±1.7 21.5±2.8 18.4±1.9 14.9±2.1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Pro-collagen 생성 능력 (ng/㎖)
펩타이드 농도
(㎍/㎖)
0 50 100 250 500
Gly-Pro 98.5±3.8 135.3±3.5 164.7±3.1 198.2±2.2 228.3±3.2
Pro-Hyp 98.5±2.8 129.1±3.4 158.2±2.9 188.3±3.5 216.1±2.7
Gly-Pro-Hyp 98.5±4.8 137.8±2.1 171.3±3.4 195.5±3.7 224.9±3.1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Gly-Pro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1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콜라겐 합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Pro-collagen 농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콜라겐 펩타이드인 Pro-Hyp 및 Gly-Pro-Hyp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MMP-1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콜라겐 합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Pro-collagen 농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에 활용된 세 가지 펩타이드 모두 세포수준에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서, 실시예 1에서 글리신-프롤린의 함량이 매우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CPNS)에 대하여, 동일한 절차에 따라 MMP-1 활성 억제 능력 및 pro-collagen 합성 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5a 및 도 5b에 각각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매우 높은 CPNS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MMP-1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콜라겐 합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Pro-collagen 농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5에 따라 Alcalase 2.4L, Delvolase, Flavourzyme을 단독으로 처리하여 제조된 효소 분해액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효능이 분석되지 않았으며, MMP-1 활성을 억제하거나 Pro-collagen을 생성하는 능력이 CPNS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동물 흡수율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콜라겐 가수분해물(CPNS)을 동물에 구강 투여 후 체내로 흡수되는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중 Gly-Pro, Pro-Hyp, Gly-Pro-Hyp의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를 LC-MS/MS를 통해 분석하였다. CPNS 콜라겐 펩타이드의 흡수율 측정을 위해 샘타코바이오코리아(경기도 오산시, 한국)로부터 분양 받은 8주령의 Sprague-Dawley rat을 사용하였고 사육환경은 온도 23±3℃, 상대습도 55± 5%, 조명 시간 12시간으로 설정하여 실시하였다. 각 군당 5마리씩 구성하였다. CPNS 투여 시 체중을 측정하여 1,000 ㎎/㎏씩 식염수와 함께 투여하였고 180분까지 총 6차례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다.
Gly-Pro를 포함한 다이펩타이드들이 처음 30분 동안 급격하게 농도가 상승했다가 180분 시점까지 천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기능성이 우수하기로 알려진 Pro-Hyp의 경우 180분이 지나서도 혈장에 높은 함량으로 계속 남아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Gly-Pro를 주요 구성 펩타이드로 하는 CPNS지만 Pro-Hyp을 포함하는 올리고-펩타이드 또한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소화하는 과정 중에 이들의 N-말단과 C-말단의 분리가 진행되어 Pro-Hyp가 높은 농도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즉 CPNS에는 소화 과정 중 피부미용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펩타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CPNS 구강투여 후 혈장 내 콜라겐 펩타이드의 혈중 변화 추이를 살피어 CPNS 섭취 시 가장 많이 흡수되는 콜라겐 펩타이드를 확인 할 수 있었고 그 결과를 토대로 피부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펩타이드인 Pro-Hyp와 Gly-Pro를 CPNS를 통해 섭취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동물 수준 피부 미용 효능 측정
UVB로 인한 광-노화에 대한 CPNS의 보호 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8주령의 SKH1 female hairless mice (25~30g)을 오리엔트바이오(경기도 성남시, 한국)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여 300 ㎎/㎏ 투여한 군, 500 ㎎/㎏ 투여한 군, 양성 대조군, 음성 대조군으로 나누어 12주간 섭취시키며 진행되었다. 마우스의 체중과 식사량은 실험기간 동안 계속 측정되었으며 실험군과 양성 대조군의 경우 1주일에 3회 주기적으로 UVB에 노출시켰다. 측정 결과를 도 7a 내지 도 7e에 나타낸다.
실험 결과 양성 대조군의 경우 UVB로 인한 광-노화가 진행되어 피부 주름이 유의적으로 깊어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CPNS를 섭취한 실험군의 경우 양성 대조군에 비해 비교적 피부 주름이 얕고 선이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a 참조). 주름 수와 주름발생영역도 양성 대조군에 비해 CPNS 섭취 군이 유의적으로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7b 및 7c 참조). 경피 수분 손실도(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은 측정결과 300 ㎎/㎏을 섭취한 실험군은 20.3%(P<0.05)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500 ㎎/㎏ 섭취한 군은 52%의 수분복원력을 보여주었다.
이를 고려해 볼 때, UVB 12주 조사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 가수분해물 CPNS 시료를 투여하면, KH1 hairless 마우스의 UVB에 의한 광-노화를 억제하고 피부 보습,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형성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사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토대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을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점은, 첨부하는 청구범위에서 분명하다.

Claims (10)

  1. 준비된 어린(魚鱗)과 물을 혼합하고, 어린과 물의 배합물에 열을 가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처리된 어린 및 물의 배합물을 펩티데이즈 R(Peptidase R)과 우마미자임(Umamizyme)를 포함하는 복합 효소로 처리하는 단백질 가수분해를 수행하여, 상기 어린에 포함된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된 물과 어린을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어린과 물은 1:5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상기 배합물을 교반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는 50 내지 60℃의 온도, pH 6 내지 7에서 8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에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얻는 단계 사이에 1차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에 2차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차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처리된 어린 및 물의 혼합물에 포함된 전체 액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부 비율의 활성탄으로 처리되고, 상기 2차로 활성탄을 처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전체 액량 대비 0.5 내지 1.5 중량부 비율의 활성탄으로 처리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효소는 상기 전-처리된 어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5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효소 중에 상기 펩티데이즈 R과 상기 우마미자임은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얻어진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와, 상기 농축된 콜라겐의 효소 분해물을 포함하는 효소 분해액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어류 유래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130854A 2018-10-30 2018-10-30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KR102153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54A KR102153463B1 (ko) 2018-10-30 2018-10-30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854A KR102153463B1 (ko) 2018-10-30 2018-10-30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610A KR20200048610A (ko) 2020-05-08
KR102153463B1 true KR102153463B1 (ko) 2020-09-08

Family

ID=7067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854A KR102153463B1 (ko) 2018-10-30 2018-10-30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807A (ja) * 2001-11-01 2003-05-14 Miyagi Kagaku Kogyo Kk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それを含む化粧品、食品および医薬品ならびに皮膚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59424C (en) * 2009-04-28 2018-01-02 Meiji Co., Ltd. Collagen peptide composition having good ability to enter the blood and food or beverage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807A (ja) * 2001-11-01 2003-05-14 Miyagi Kagaku Kogyo Kk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それを含む化粧品、食品および医薬品ならびに皮膚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610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8002B (zh) Type I Collagen Production Promote Oral Agent
JP7104018B2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含有組成物の苦味マスキング方法
KR101980361B1 (ko) 콜라겐 트리펩타이드를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콜라겐 가수분해물 및 이의 용도
KR102432924B1 (ko) 식물성 콜라겐 및 식물성 뮤신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조성물
JP4388289B2 (ja) 皮膚老化防止・改善剤及び/又は肌荒れ防止・改善剤キット
JP2007099650A (ja) 異常タンパク質除去用組成物
JP2008201773A (ja) 皮膚外用剤
US20190075813A1 (en) Peptide and saccharide hydrolysate of cocoa beans,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cosmetic uses of same
KR101697152B1 (ko) 장어로부터 추출한 뮤신을 이용한 항노화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제재의 제조방법
JP2000201649A (ja) 皮膚代謝促進物及び機能性食品
MX2014006420A (es) Hidrolizado de colageno y uso del mismo.
KR20220164865A (ko) 피부 항당화 및 항노화를 위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0837879B1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58623B1 (ko)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JP2006219432A (ja) 肌荒れ防止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化粧料、飲料
KR102365655B1 (ko) 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798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KR101645238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탄력유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3463B1 (ko) 다이펩타이드 함량이 높은 콜라겐 가수분해물, 그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JP4247091B2 (ja) 皮膚老化防止剤
JP5116328B2 (ja) 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KR20230013710A (ko) 콜라겐 분해효소 생성능을 나타내는 바실러스 투링기엔시스 nis-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10002047A (ko) 삼치가수분해물의 항노화 효과 및 삼치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6219431A (ja) 肌荒れ防止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化粧料、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