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063B1 - 프레스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레스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063B1
KR102153063B1 KR1020200009810A KR20200009810A KR102153063B1 KR 102153063 B1 KR102153063 B1 KR 102153063B1 KR 1020200009810 A KR1020200009810 A KR 1020200009810A KR 20200009810 A KR20200009810 A KR 20200009810A KR 102153063 B1 KR102153063 B1 KR 102153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wheel
temporary produ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희
Original Assignee
이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희 filed Critical 이천희
Priority to KR102020000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6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using fluid at high pressure supplied from an independent source to provide a cushion between load an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프레스 생산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프레스 생산 시스템은, 철판을 성형하여 가제품을 형성하는 프레스 성형부; 프레스 성형부에서 형성된 가제품의 보정 필요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부; 가제품을 보정하는 보정부; 보정된 가제품을 도색하는 도색부; 프레스 성형부, 검사부, 보정부 및 도색부 간에 가제품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검사부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상기 보정부에 이송하고, 상기 검사부에서 보정이 필요없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상기 도색부에 이송한다.

Description

프레스 생산 시스템{PRESS MOLDING SYSTEM}
본원은 프레스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 장치등에 사용되는 프레임, 외부 판넬 등의 부품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된다.
이러한 프레스 가공은 프레스 장치에 의한 가제품 성형이 이루어지고, 생산된 가제품에 대해 필요한 경우 보정이 이루어지고, 이후 도색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프레스 가공시, 가제품의 이동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가제품을 이송하는 장치가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06757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율적으로 가제품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은, 철판을 성형하여 가제품을 형성하는 프레스 성형부; 프레스 성형부에서 형성된 가제품의 보정 필요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부; 가제품을 보정하는 보정부; 보정된 가제품을 도색하는 도색부; 프레스 성형부, 검사부, 보정부 및 도색부 간에 가제품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검사부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상기 보정부에 이송하고, 상기 검사부에서 보정이 필요없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상기 도색부에 이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송부가 프레스 성형부, 검사부, 보정부 및 도색부 간에 가제품을 이송할 수 있고, 이송부가 검사부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검사부로부터 보정부로 이송하고, 검사부에서 보정이 필요없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도색부에 이송할 수 있으므로, 이송부에 의한 가제품의 효율적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어, 이에 따라, 프레스 생산이 보다 효율적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제1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제1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이송부의 커버 및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공중 부양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측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제2 이송 장치의 트롤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레일에 장착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제2 이송 장치의 트롤리 구조체의 제1 휠부의 개략적인 측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제2 이송 장치의 트롤리 구조체의 제1 휠부의 개략적인 측면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제2 이송 장치의 트롤리 구조체의 제1 휠부의 제1 휠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제2 이송 장치의 트롤리 구조체의 제1 휠부의 제2 휠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제2 이송 장치의 트롤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면, 하측, 하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0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전단, 전단부, 후방, 후단, 후단부, 상측, 상면, 하측, 하면, 일측, 일측부, 타측, 타측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전단 또는 전단부,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후단,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5을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일측,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부분이 일측부,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타측,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타측부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프레스 생산 시스템 및 자동 이송이 이루어지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생산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철판을 성형하여 가제품을 형성하는 프레스 성형부(1)를 포함한다. 프레스 성형부(1)는 프레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 장치는 금속을 가압 내지 압축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처리할 수 있다. 프레스 장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이송부(6)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프레스 성형부(1)에서 형성된 가제품의 보정 필요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부(2)를 포함한다. 이송부(6)는 프레스 성형부(1)에서 성형된 가제품을 검사부(2)에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2)는 이송된 가제품을 검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제품의 두께, 형상 등을 검사하여 가제품이 보정이 필요한지 필요하지 않은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가제품을 보정하는 보정부(3)를 포함한다. 검사부(2)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가제품은 보정부(3)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6)는 검사부(2)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가제품을 보정부(3)로 이송할 수 있다. 보정부(3)에서는 그라인드 등을 이용해 두께, 형상 등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은 보정된 가제품을 도색하는 도색부(4)를 포함한다. 검사부(2)에서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가제품 및 보정부(3)에서 보정된 가제품은 도색부(4)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6)는 검사부(2)에서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가제품 및 보정부(3)에서 보정된 가제품을 도색부(4)로 이송할 수 있다. 도색부(4)에서 가제품이 도색되면 완제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에 있어서, 이송부(6)는 프레스 성형부(1), 검사부(2), 보정부(3) 및 도색부(4) 간에 제품을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6)는 프레스 성형부(1)에서 형성된 가제품을 검사부(2)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6)는 가제품을 검사부(2)로부터 보정부(3)로 이송하거나, 또는, 가제품을 검사부(2)로부터 도색부(4)로 이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송부(6)는 검사부(2)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보정부(3)에 이송하고, 검사부(2)에서 보정이 필요없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도색부(4)에 이송한다. 이에 따라, 가제품의 용이한 이송이 이루어지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본 시스템의 각 부, 유닛, 구성의 동작 및 이들 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송수신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송부(6)가 제어되어 이송부(6)에 의한 가제품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검사부(2)의 가제품에 대한 검사시, 검사부(2)는 가제품의 형태가 보정이 필요한지 보정이 필요하지 않은지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가제품의 형태의 보정의 필요 유무는 가제품의 형태의 완제품의 형태에 대한 유사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검사부(2)는 기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가제품의 형태의 보정의 필요 유무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테면, 검사부(2)는 복수의 유형별 학습 이미지(가제품의 형태 이미지)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유형별 학습 이미지 각각에 대한 완제품의 형태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를 출력값으로 한 딥 러닝 기반 기학습 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검사부(2)는 딥 러닝 기반 기학습 사항에 기초하여, 검사부(2)로 이송된 가제품을 이미지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속의 가제품의 형태(형상)를 입력값으로 하여 완제품의 형태에 대한 유사도(완제품의 형태와 비교한 유사도)를 출력하여, 출력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보정 필요 무(보정이 필요 없음)으로 판단하고, 출력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미만이면 보정 필요 유(보정이 필요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딥러닝 기반 기학습은, 사용자가 제어부(7)에 입력한 판단 정보들, 인터넷 온라인 상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참고로, 이송부(6)(후술하는 제1 이송 장치(6a) 또는 제2 이송 장치(6b))에 대한 가제품의 거치 및 제거는 별도의 장치 또는 인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송부(6)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송부(6)는 가제품을 이송하는 제1 이송 장치(6a)를 포함할수 있다. 제1 이송 장치(6a)는 가제품을 바닥(본 시스템이 형성 또는 배치되는 곳의 바닥) 상에서 이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송 장치(6a)는, 상면에 가제품이 거치되는 플레이트(611),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 캐스터(612)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송 장치(6a)는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중 부양 구조체(62)를 포함한다.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볼 캐스터(61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 보다 크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볼 캐스터(61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부양될 수 있다. 참고로,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은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뿐만 아니라, 이송 구조체(61)에 무언가(이를 테면, 가제품)가 적재될 경우, 적재되는 대상의 하중까지 모두 고려한 개념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공중 부양 구조체(62)에 의해 생성되는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크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이송 구조체(6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중 부양 구조체(62)에 의한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작으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는 이송 구조체(61)를 볼 캐스터(612)의 구름 운동을 이용해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양력은 이송 구조체(61) 자체의 하중 이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플레이트(611)의 하면 상에 구비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기체 흡입구(6211), 하면에 형성되는 기체 배출구(6212) 및 기체 흡입구(6211)와 기체 배출구(6212)를 연통시키는 기체 이동 통로(6213)를 포함하는 기체 전달 구조체(6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기체 흡입구(6211)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 공급부가 기체 흡입구(6211)에 기체를 공급하고, 공급된 기체가 기체 배출구(621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부양을 위한 양력을 형성할 수 있다.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양력에 의해 제1 이송 장치(6a)는 부양되어 가제품을 이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체 배출구(6212)는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중심부를 둘러싸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기체 배출구(6212)는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 흡입구(6211) 및 기체 이동 통로(6213) 각각은 복수 개의 기체 배출구(6212)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체 전달 구조체(6212)에 있어서, 기체 흡입구(6211), 기체 이동 통로(6213) 및 기체 배출구(6212)는 서로 일대일 대응되며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 배출구(6212)가 복수 개가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기체 흡입구(6211)는 기체 배출구(6212)와 일대일 대응되게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측면에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기체 이동 통로(6213)는 기체 흡입구(6211)와 기체 배출구(6212)를 연결하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기체 배출구(6212)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복수 개의 기체 배출구(6212)를 덮으며 기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커버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622)는 그 테두리가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하면에 결합되며 기체 배출구(6212)를 덮되,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중심부를 향하는 부분이 오픈될 수 있다. 참고로, 커버(622)는 커버(622)를 통한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천(직물)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에 의해 불푸어오르는 것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중심에는 가이드 유닛(6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2를 참조하면, 기체 배출구(6212)로부터 배출된 기체는 커버부(6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커버부(622)의 내측부(가이드 유닛(623))을 향하는 부분)와 가이드 유닛(623) 사이에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송 구조체(61)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간격)가 증가하면 플레이트(6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면 위치 복원될 수 있다. 이송 구조체(61)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커질수록(양력 대비하여) 지면 사이와의 거리가 줄어들거나, 지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을 통한 부양에 의해서는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커지는 경우에는 볼 캐스터(621)의 지면에 대한 구름 운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볼 캐스터(612)는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커 이송 구조체(61)의 부양이 가능한 것이므로,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을 통한 부양에 의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구름 운동을 위해(구름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대비하여) 위치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볼 캐스터(612)는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초과가 되면 상측으로 이동되고,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위치 복원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크기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을 고려하여,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초과가 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에 의한 부양을 통한 이동이 가능한 것이므로,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플레이트(6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에 의한 부양을 통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대비하여 위치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 장치(6a)는 이송 구조체(61)의 이동력 및 방향 전환을 위한 이동력 제공부 및 방향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력 제공부는 평면 방향으로의 이송 구조체(61)의 이동(상술한 가공부 간의 이동을 위한 공장의 평면 방향으로의)을 위한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송 장치(6a)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제품의 이송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볼 캐스터(612)가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 줄어들어, 볼 캐스터(61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볼 캐스터(612)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 장치(6a)는 인력에 의해 이동(평면 방향(상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되거나,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송 장치(6a)가 양력에 의해 부양되어 이송되면 작업자는 제1 이송 장치(6a)를 이동시키는데 큰힘을 들이지 않을 수 있고, 볼 캐스터(612)가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 줄어들어, 볼 캐스터(61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가제품의 이송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볼 캐스터(612)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볼 캐스터(612)의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해 이송 구조체는 볼 캐스터(612)를 플레이트(611)에 대해 상하 이동 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6)는 가제품을 이송하는 제2 이송 장치(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 장치(6b)는 가제품을 천정에 설치된 레일(9)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이송 장치(6b)는 레일(9)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9)은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레일(9)은 H형 레일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측판(92), 하측판(91) 및 상측판(92)과 하측판(91)을 연결하는 웨브(9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판(91)의 웨브(9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 단부는 레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 장치(6b)는 레일(9)을 따라 이동되는 트롤리 구조체(8)를 포함할 수 있다.
트롤리 구조체(8)는 한 쌍의 레일(9) 각각에 구비되어 레일(9)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휠부(81)를 포함한다.
제1 휠부(81)는 하측판(91)의 양 단부를 따라 레일(9)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및 제1 휠 블록(81a)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 휠 블록(8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프레임부(8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811a)는, 제1 일측판(8111a), 제1 일측판(8111a)과 대향하는 제1 타측판(8112a), 제1 일측판(8111a)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제1 타측판(8112a)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제1 하측판(8113a) 및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판(811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바퀴부(8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퀴부(812a)는 레일(9)의 하측판(91)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상측 주바퀴(8121a), 레일(9)의 하측판(91)의 하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하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하측 주바퀴(8122a) 및 레일(9)의 웨브(93)를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판(8114a) 상에 구비되는 제1 보조바퀴(8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 블록(81a)은 한 쌍의 제1 상측 주바퀴(8121a) 각각이 레일(9)의 하측판(91)의 일측부의 상면 및 타측부의 상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하고, 한 쌍의 제1 하측 주바퀴(8122a) 각각이 각각이 레일(9)의 하측판(91)의 일측부의 하면 및 타측부의 하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하며, 한 쌍의 제1 보조바퀴(8123a) 각각이 웨브(93)의 일면 및 타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함으로써 레일(9)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 (81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휠 블록(81a)은 제1 하측판(8113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 연장부(81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b)은 제2 프레임부(8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811b)는, 제2 일측판(8111b), 제2 일측판(8111b)과 대향하는 제2 타측판(8112b), 제2 일측판(8111b)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타측판(8112b)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제2 하측판(8113b) 및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판(811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a)은 제2 바퀴부(8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퀴부(812b)는 레일(9)의 하측판(91)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상측 주바퀴(8121b), 레일(9)의 하측판(91)의 하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하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하측 주바퀴(8122b) 및 레일(9)의 웨브(93)를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2 지지판(8114b) 상에 구비되는 제2 보조바퀴(812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a)의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하면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의 상면과 대향할 수 있다. 즉,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제2 하측판(8113b)와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맞물리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일측판(8111b)은 제1 일측판(811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리고, 제2 타측판(8112b)은 제1 타측판(8112b)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릴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제1 측면 연장부(813a)가 안착되는 안착부(813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일측판(811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일측판(8111b)은 나사 결합 가능하고,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은 나사 결합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사는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측면 연장부(813a) 각각과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은 겹치는 구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나사 결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포개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나사는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겹치는 구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과 제2 휠 블록(81b)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휠 블록(81c)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7을 참조하면, 제3 휠 블록(81c)은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부는, 제3 일측판(8111c), 제3 일측판(8111c)과 대향하는 제3 타측판 및 제3 일측판(8111c)의 하단과 제3 타측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3 하측판(8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운 제3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퀴부는 레일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3 일측판(8111c) 및 제3 타측판(8112c)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3 상측 주바퀴(812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은 제3 일측판(8111c) 및 제3 타측판 각각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측면 연장부(81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은 제3 하측판(8113c)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하면 연장부(81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하측판(8113c)의 전단부는 하면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의 상면과 대향 가능하다.
또한, 제3 일측판(8111c)은 제1 일측판(8111a)의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리고, 제3 타측판은 제1 타측판(8112a)의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3 측면 연장부(813c) 각각은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과 나사 결합 가능하다. 또한, 제3 하면 연장부(814c)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나사 결합 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3 휠 블록(81c)의 후단부는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고, 제3 휠 블록(81c)의 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제3 휠 블록(81c)의 전단부는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결합 가능하되,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의 결합 방식과 대응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휠 블록(81c)의 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결합 가능하되,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의 결합 방식과 대응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휠부(81)는 제1 휠블록(81a), 제2 휠 블록(81b) 및 제3 휠 블록(81c)을 통해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및 제2 휠 블록(81b)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휠부(81)의 길이가 보다 길어져야할 경우, 제1 휠 블록(81a)과 제2 휠 블록(81b) 사이에 제3 휠 블록(81c)이 개재(배치)되므로 제1 휠부(81)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3 휠 블록(81c)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제2 휠 블록(81b) 및 복수 개의 제3 휠 블록(81c)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1 바퀴부(812a), 제2 바퀴부(812b) 및 제3 바퀴부 중 하나 이상의 레일 상에서의 구름 운동을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811a)에 대하여 제1 바퀴부(812a)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제2 프레임부(811b)에 대하여 제2 바퀴부(812b)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제3 프레임부에 대하여 제3 바퀴부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제1 휠부(81)와 대응되는 제2 휠부(831)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바퀴부(812a, 812b)의 제1 내지 제3 프레임부(811a, 811b)에 대한 나사 결합 해제를 통해 제1 내지 제3 바퀴부(812a, 812b)에 의해 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휠부(81)는 레일(9)에 장착되거나 레일에 탈거될 수 있다.
또한, 도 5을 참조하면, 본 트롤리 구조체(8)는 제1 휠부(81)의 하측에 구비되는 몸체(82)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82)는 상판(821), 상판(821)과 간격을 두고 상판(82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822) 및 상판(821)과 하판(822)을 연결하는 절첩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821)은 제1 휠부(8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판(821)은 제1 휠부(81)의 제1 내지 제3 하측판(8113a, 8113b, 8113c) 중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판(822)의 하측에는 플레이트 구조체(8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트롤리 구조체(8)에 거치되어야 하는 가제품은 플레이트 구조체(824) 및 하판(822)에 연결되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첩부(823)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되는 부분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x자형 링크(8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x자형 링크(8231)는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이웃 링크(823)와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첩부(823)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길이)가 길어지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하판(822)은 상판(8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롤리 구조체(8)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하판(822) 및 플레이트 구조체(824)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하판(822) 또는 플레이트 구조체(824)에 거치된 가제품의 하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82)는 한 쌍의 제1 휠부(81)의 레일(9)을 따른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트롤리 구조체(8)는 제1 휠부(81)와 몸체(82)를 연결하는 연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83)는 제1 휠부(81)의 하측에 구비되되,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839)은 H형 레일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측판(8392), 하측판(8391) 및 상측판(8392)과 하측판(8391)을 연결하는 웨브(839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판(8391)의 웨브(839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 단부는 레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839)은 레일(9)과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83)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9) 각각에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휠부(8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휠부(831)는 상술한 제1 휠부(81)와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휠부(831)와 가이드 레일(839)의 연결 관계는 상술한 제1 휠부(81)와 레일(9)의 연결 관계와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가이드 레일(839)은 연장 길이는 제1 휠부(81)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휠부(81)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를 테면, 가이드 레일(839)은 몸체(82)의 상판(821)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폭의 3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레일(9)은 천장에 구비되므로, 가이드 레일(839)에 비해 보다 길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휠부(831)는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몸체(82)의 상판(821)은 제2 휠부(8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몸체(8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휠부(8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휠부(831)에 의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휠부(81)와 몸체(82)의 결합, 연결부(83)의 제2 휠부(831)와 몸체(82)의 결합, 제1 휠부(81)와 연결부(83)의 가이드 레일(839)의 결합(연결)이 나사 결합이므로, 나사를 푸는 것으로 각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롤리 구조체(8)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레일(9) 등을 전부 해체하지 않아도 몸체(82) 만을 레일(9)로부터 해체할 수 있는바, 수리, 교체 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811a)와 제1 바퀴부(812a)의 결합, 제2 프레임(811b)와 제2 바퀴부(812b)의 결합, 제3 프레임과 제3 바퀴부의 결합 등 또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811a, 811b)과 바퀴부(812a, 812b) 등을 나사 결합 해제하는 것을 통해 제1 휠부(81)와 레일(9)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고, 제2 휠부(831)와 가이드 레일(839)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휠부(81) 및 제2 휠부(831) 각각이 제1 내지 제3 블록(81a, 81b, 81c)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길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송 장치(6a)는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가제품을 이송하고, 제2 이송 장치(6b)는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가제품을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스 성형부(1)에는 형성된 가제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프레스 성형부(1)에서 프레스 장치에 의해 가제품이 형성되면, 가제품은 무게 측정 장치에 의해 무게가 측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된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가제품은 제1 이송 장치(6a)에 의해 검사부(2), 보정부(3), 도색부(4) 중 하나 이상으로 바닥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가제품은 제2 이송 장치(6b)에 의해 검사부(2), 보정부(3), 도색부(4) 중 하나 이상으로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제품의 무게가 고려되어, 가제품이 선택적으로 제1 이송 장치(6a) 또는 제2 이송 장치(6b)에 의해 이송될 수 있어, 효율적 가제품의 자동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참고로, 제2 이송 장치(6b)에 의해 가제품이 검사부(2), 보정부(3), 도색부(4) 중 하나 이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트롤리 구조체(8)가 프레스 성형부(1), 검사부(2), 보정부(3) 및 도색부(4) 각각에 도달할 수 있도록, 레일은 프레스 성형부(1), 검사부(2), 보정부(3) 및 도색부(4) 각각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송이 이루어지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이하 '본 자동 이송이 이루어지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자동 이송이 이루어지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은 전술한 본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자동 이송이 이루어지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의 설명과 관련하여 전술한 본 시스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시스템은 철판을 성형하여 가제품을 형성하는 프레스 성형부(1)를 포함한다.
본 시스템은 프레스 성형부(1)에서 형성된 가제품의 보정 필요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부(2)를 포함한다.
본 시스템은 가제품을 보정하는 보정부(3)를 포함한다.
본 시스템은 보정된 가제품을 도색하는 도색부(4)를 포함한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 이송부(6)는 프레스 성형부(1), 검사부(2), 보정부(3) 및 도색부(4) 간에 제품을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부(6)는 프레스 성형부(1)에서 형성된 가제품을 검사부(2)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6)는 가제품을 검사부(2)로부터 보정부(3)로 이송하거나, 또는, 가제품을 검사부(2)로부터 도색부(4)로 이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송부(6)는 검사부(2)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보정부(3)에 이송하고, 검사부(2)에서 보정이 필요없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도색부(4)에 이송한다. 이에 따라, 가제품의 용이한 이송이 이루어지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이송부(6)는 가제품을 이송하는 제1 이송 장치(6a)를 포함할수 있다. 제1 이송 장치(6a)는 가제품을 바닥(본 시스템이 형성 또는 배치되는 곳의 바닥) 상에서 이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송 장치(6a)는, 상면에 가제품이 거치되는 플레이트(611),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 캐스터(612)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송 장치(6a)는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중 부양 구조체(62)를 포함한다.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볼 캐스터(61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데,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 보다 크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볼 캐스터(61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부양될 수 있다. 참고로,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은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뿐만 아니라, 이송 구조체(61)에 무언가(이를 테면, 가제품)가 적재될 경우, 적재되는 대상의 하중까지 모두 고려한 개념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공중 부양 구조체(62)에 의해 생성되는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크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이송 구조체(6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중 부양 구조체(62)에 의한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작으면 이송 구조체(61)는 부양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는 이송 구조체(61)를 볼 캐스터(612)의 구름 운동을 이용해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양력은 이송 구조체(61) 자체의 하중 이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플레이트(611)의 하면 상에 구비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기체 흡입구(6211), 하면에 형성되는 기체 배출구(6212) 및 기체 흡입구(6211)와 기체 배출구(6212)를 연통시키는 기체 이동 통로(6213)를 포함하는 기체 전달 구조체(6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기체 흡입구(6211)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 공급부가 기체 흡입구(6211)에 기체를 공급하고, 공급된 기체가 기체 배출구(621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부양을 위한 양력을 형성할 수 있다. 공중 부양 구조체(62)의 양력에 의해 제1 이송 장치(6a)는 부양되어 가제품을 이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체 배출구(6212)는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중심부를 둘러싸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기체 배출구(6212)는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 흡입구(6211) 및 기체 이동 통로(6213) 각각은 복수 개의 기체 배출구(6212)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체 전달 구조체(6212)에 있어서, 기체 흡입구(6211), 기체 이동 통로(6213) 및 기체 배출구(6212)는 서로 일대일 대응되며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 배출구(6212)가 복수 개가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기체 흡입구(6211)는 기체 배출구(6212)와 일대일 대응되게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측면에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고, 기체 이동 통로(6213)는 기체 흡입구(6211)와 기체 배출구(6212)를 연결하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공중 부양 구조체(62)는 기체 배출구(6212)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복수 개의 기체 배출구(6212)를 덮으며 기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커버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622)는 그 테두리가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하면에 결합되며 기체 배출구(6212)를 덮되,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중심부를 향하는 부분이 오픈될 수 있다. 참고로, 커버(622)는 커버(622)를 통한 기체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천(직물)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에 의해 불푸어오르는 것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기체 전달 구조체(621)의 중심에는 가이드 유닛(6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2를 참조하면, 기체 배출구(6212)로부터 배출된 기체는 커버부(6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커버부(622)의 내측부(가이드 유닛(623))을 향하는 부분)와 가이드 유닛(623) 사이에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송 구조체(61)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간격)가 증가하면 플레이트(6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면 위치 복원될 수 있다. 이송 구조체(61)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커질수록(양력 대비하여) 지면 사이와의 거리가 줄어들거나, 지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을 통한 부양에 의해서는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이 커지는 경우에는 볼 캐스터(621)의 지면에 대한 구름 운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볼 캐스터(612)는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양력이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커 이송 구조체(61)의 부양이 가능한 것이므로,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을 통한 부양에 의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구름 운동을 위해(구름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대비하여) 위치 복원될 수 있다.
또한, 볼 캐스터(612)는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초과가 되면 상측으로 이동되고,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위치 복원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크기는 이송 구조체(61)의 하중을 고려하여, 이송 구조체(61)의 하중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초과가 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에 의한 부양을 통한 이동이 가능한 것이므로,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되고, 볼 캐스터(612)는 볼 캐스터(612)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증가되도록 상측으로 이동(플레이트(6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되고,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이송 구조체(61)의 양력에 의한 부양을 통한 이동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음을 대비하여 위치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 장치(6a)는 이송 구조체(61)의 이동력 및 방향 전환을 위한 이동력 제공부 및 방향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력 제공부는 평면 방향으로의 이송 구조체(61)의 이동(상술한 가공부 간의 이동을 위한 공장의 평면 방향으로의)을 위한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송 장치(6a)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가제품의 이송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볼 캐스터(612)가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 줄어들어, 볼 캐스터(61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볼 캐스터(612)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 장치(6a)는 인력에 의해 이동(평면 방향(상하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되거나,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송 장치(6a)가 양력에 의해 부양되어 이송되면 작업자는 제1 이송 장치(6a)를 이동시키는데 큰힘을 들이지 않을 수 있고, 볼 캐스터(612)가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 줄어들어, 볼 캐스터(612)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가제품의 이송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볼 캐스터(612)의 수명이 증가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볼 캐스터(612)의 상하 방향 이동을 위해 이송 구조체는 볼 캐스터(612)를 플레이트(611)에 대해 상하 이동 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6)는 가제품을 이송하는 제2 이송 장치(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 장치(6b)는 가제품을 천정에 설치된 레일(9)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이송 장치(6b)는 레일(9)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9)은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레일(9)은 H형 레일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측판(92), 하측판(91) 및 상측판(92)과 하측판(91)을 연결하는 웨브(9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판(91)의 웨브(9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 단부는 레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 장치(6b)는 레일(9)을 따라 이동되는 트롤리 구조체(8)를 포함할 수 있다.
트롤리 구조체(8)는 한 쌍의 레일(9) 각각에 구비되어 레일(9)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휠부(81)를 포함한다.
제1 휠부(81)는 하측판(91)의 양 단부를 따라 레일(9)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및 제1 휠 블록(81a)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 휠 블록(8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프레임부(8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811a)는, 제1 일측판(8111a), 제1 일측판(8111a)과 대향하는 제1 타측판(8112a), 제1 일측판(8111a)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제1 타측판(8112a)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제1 하측판(8113a) 및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판(8114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바퀴부(8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퀴부(812a)는 레일(9)의 하측판(91)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상측 주바퀴(8121a), 레일(9)의 하측판(91)의 하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하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하측 주바퀴(8122a) 및 레일(9)의 웨브(93)를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판(8114a) 상에 구비되는 제1 보조바퀴(8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 블록(81a)은 한 쌍의 제1 상측 주바퀴(8121a) 각각이 레일(9)의 하측판(91)의 일측부의 상면 및 타측부의 상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하고, 한 쌍의 제1 하측 주바퀴(8122a) 각각이 각각이 레일(9)의 하측판(91)의 일측부의 하면 및 타측부의 하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하며, 한 쌍의 제1 보조바퀴(8123a) 각각이 웨브(93)의 일면 및 타면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함으로써 레일(9)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 휠 블록(81a)은 제1 일측판(8111a) 및 제1 타측판(8112a) 각각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 (81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휠 블록(81a)은 제1 하측판(8113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 연장부(81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b)은 제2 프레임부(8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부(811b)는, 제2 일측판(8111b), 제2 일측판(8111b)과 대향하는 제2 타측판(8112b), 제2 일측판(8111b)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타측판(8112b)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제2 하측판(8113b) 및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판(8114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a)은 제2 바퀴부(8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퀴부(812b)는 레일(9)의 하측판(91)의 상면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상측 주바퀴(8121b), 레일(9)의 하측판(91)의 하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하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하측 주바퀴(8122b) 및 레일(9)의 웨브(93)를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제2 지지판(8114b) 상에 구비되는 제2 보조바퀴(812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2 휠 블록(81a)의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하면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의 상면과 대향할 수 있다. 즉,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제2 하측판(8113b)와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맞물리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일측판(8111b)은 제1 일측판(811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리고, 제2 타측판(8112b)은 제1 타측판(8112b)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릴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제1 측면 연장부(813a)가 안착되는 안착부(813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일측판(8111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일측판(8111b)은 나사 결합 가능하고,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은 나사 결합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사는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타측판(8112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제2 타측판(8112b)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측면 연장부(813a) 각각과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은 겹치는 구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나사 결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태(포개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나사는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1 하면 연장부(814a)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겹치는 구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과 제2 휠 블록(81b) 사이에 구비되는 제3 휠 블록(81c)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7을 참조하면, 제3 휠 블록(81c)은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프레임부는, 제3 일측판(8111c), 제3 일측판(8111c)과 대향하는 제3 타측판 및 제3 일측판(8111c)의 하단과 제3 타측판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3 하측판(8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운 제3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퀴부는 레일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제3 일측판(8111c) 및 제3 타측판(8112c)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3 상측 주바퀴(812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은 제3 일측판(8111c) 및 제3 타측판 각각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측면 연장부(81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휠 블록(81c)은 제3 하측판(8113c)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하면 연장부(81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하측판(8113c)의 전단부는 하면이 제1 하면 연장부(814a)의 상면과 대향 가능하다.
또한, 제3 일측판(8111c)은 제1 일측판(8111a)의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리고, 제3 타측판은 제1 타측판(8112a)의 제1 측면 연장부(813a)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3 측면 연장부(813c) 각각은 제2 일측판(8111b) 및 제2 타측판(8112b) 각각과 나사 결합 가능하다. 또한, 제3 하면 연장부(814c)와 제2 하측판(8113b)의 전단부는 나사 결합 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3 휠 블록(81c)의 후단부는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고, 제3 휠 블록(81c)의 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제3 휠 블록(81c)의 전단부는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결합 가능하되,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의 결합 방식과 대응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3 휠 블록(81c)의 후단부는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와 결합 가능하되, 제1 휠 블록(81a)의 후단부와 제2 휠 블록(81b)의 전단부의 결합 방식과 대응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휠부(81)는 제1 휠블록(81a), 제2 휠 블록(81b) 및 제3 휠 블록(81c)을 통해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및 제2 휠 블록(81b)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휠부(81)의 길이가 보다 길어져야할 경우, 제1 휠 블록(81a)과 제2 휠 블록(81b) 사이에 제3 휠 블록(81c)이 개재(배치)되므로 제1 휠부(81)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3 휠 블록(81c)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휠부(81)는 제1 휠 블록(81a), 제2 휠 블록(81b) 및 복수 개의 제3 휠 블록(81c)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휠부(81)는 제1 바퀴부(812a), 제2 바퀴부(812b) 및 제3 바퀴부 중 하나 이상의 레일 상에서의 구름 운동을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부(811a)에 대하여 제1 바퀴부(812a)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제2 프레임부(811b)에 대하여 제2 바퀴부(812b)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제3 프레임부에 대하여 제3 바퀴부의 바퀴들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제1 휠부(81)와 대응되는 제2 휠부(831)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바퀴부(812a, 812b)의 제1 내지 제3 프레임부(811a, 811b)에 대한 나사 결합 해제를 통해 제1 내지 제3 바퀴부(812a, 812b)에 의해 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휠부(81)는 레일(9)에 장착되거나 레일에 탈거될 수 있다.
또한, 도 5을 참조하면, 본 트롤리 구조체(8)는 제1 휠부(81)의 하측에 구비되는 몸체(82)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82)는 상판(821), 상판(821)과 간격을 두고 상판(82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822) 및 상판(821)과 하판(822)을 연결하는 절첩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821)은 제1 휠부(8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상판(821)은 제1 휠부(81)의 제1 내지 제3 하측판(8113a, 8113b, 8113c) 중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판(822)의 하측에는 플레이트 구조체(824)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트롤리 구조체(8)에 거치되어야 하는 가제품은 플레이트 구조체(824) 및 하판(822)에 연결되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첩부(823)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결합되는 부분이 힌지 결합되는 복수 개의 x자형 링크(8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x자형 링크(8231)는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웃하게 배치되는 이웃 링크(823)와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첩부(823)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길이)가 길어지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하판(822)은 상판(82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롤리 구조체(8)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하판(822) 및 플레이트 구조체(824)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하판(822) 또는 플레이트 구조체(824)에 거치된 가제품의 하역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82)는 한 쌍의 제1 휠부(81)의 레일(9)을 따른 이동과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트롤리 구조체(8)는 제1 휠부(81)와 몸체(82)를 연결하는 연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83)는 제1 휠부(81)의 하측에 구비되되,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839)은 H형 레일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측판(8392), 하측판(8391) 및 상측판(8392)과 하측판(8391)을 연결하는 웨브(839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판(8391)의 웨브(839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 단부는 레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839)은 레일(9)과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83)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839) 각각에 구비되어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휠부(8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휠부(831)는 상술한 제1 휠부(81)와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휠부(831)와 가이드 레일(839)의 연결 관계는 상술한 제1 휠부(81)와 레일(9)의 연결 관계와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가이드 레일(839)은 연장 길이는 제1 휠부(81)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휠부(81)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를 테면, 가이드 레일(839)은 몸체(82)의 상판(821)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폭의 3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레일(9)은 천장에 구비되므로, 가이드 레일(839)에 비해 보다 길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휠부(831)는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몸체(82)의 상판(821)은 제2 휠부(831)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몸체(8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휠부(8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839)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휠부(831)에 의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휠부(81)와 몸체(82)의 결합, 연결부(83)의 제2 휠부(831)와 몸체(82)의 결합, 제1 휠부(81)와 연결부(83)의 가이드 레일(839)의 결합(연결)이 나사 결합이므로, 나사를 푸는 것으로 각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트롤리 구조체(8)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레일(9) 등을 전부 해체하지 않아도 몸체(82) 만을 레일(9)로부터 해체할 수 있는바, 수리, 교체 등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811a)와 제1 바퀴부(812a)의 결합, 제2 프레임(811b)와 제2 바퀴부(812b)의 결합, 제3 프레임과 제3 바퀴부의 결합 등 또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811a, 811b)과 바퀴부(812a, 812b) 등을 나사 결합 해제하는 것을 통해 제1 휠부(81)와 레일(9)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고, 제2 휠부(831)와 가이드 레일(839)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 휠부(81) 및 제2 휠부(831) 각각이 제1 내지 제3 블록(81a, 81b, 81c)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길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송 장치(6a)는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가제품을 이송하고, 제2 이송 장치(6b)는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가제품을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스 성형부(1)에는 형성된 가제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프레스 성형부(1)에서 프레스 장치에 의해 가제품이 형성되면, 가제품은 무게 측정 장치에 의해 무게가 측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된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면, 가제품은 제1 이송 장치(6a)에 의해 검사부(2), 보정부(3), 도색부(4) 중 하나 이상으로 바닥 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가제품은 제2 이송 장치(6b)에 의해 검사부(2), 보정부(3), 도색부(4) 중 하나 이상으로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제품의 무게가 고려되어, 가제품이 선택적으로 제1 이송 장치(6a) 또는 제2 이송 장치(6b)에 의해 이송될 수 있어, 효율적 가제품의 자동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참고로, 제2 이송 장치(6b)에 의해 가제품이 검사부(2), 보정부(3), 도색부(4) 중 하나 이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트롤리 구조체(8)가 프레스 성형부(1), 검사부(2), 보정부(3) 및 도색부(4) 각각에 도달할 수 있도록, 레일은 프레스 성형부(1), 검사부(2), 보정부(3) 및 도색부(4) 각각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프레스 성형부
2: 검사부
3: 보정부
4: 도색부
6: 이송부
6a: 제1 이송 장치
61: 이송 구조체
611: 플레이트
612: 볼 캐스터
613: 도어 인스톨 구조체
62: 공중 부양 구조체
621: 기체 전달 구조체
6211: 기체 흡입구
6212: 기체 배출구
6213: 기체 이동 통로
622: 커버
623: 가이드 유닛
6b: 제2 이송 장치
8: 트롤리 구조체
81: 제1 휠부
81a: 제1 휠 블록
811a: 제1 프레임부
812a: 제1 바퀴부
813a: 제1 측면 연장부
814a: 제1 하면 연장부
81b: 제2 휠 블록
811b: 제2 프레임부
812b: 제2 바퀴부
813b: 안착부
81c: 제3 휠 블록
82: 몸체
821: 상판
822: 하판
823: 절첩부
8231:x자형 링크
824: 플레이트 구조체
83: 연결부
831: 제2 휠부
839: 가이드 레일
9: 레일

Claims (7)

  1. 프레스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철판을 성형하여 가제품을 형성하는 프레스 성형부;
    프레스 성형부에서 형성된 가제품의 보정 필요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부;
    가제품을 보정하는 보정부;
    보정된 가제품을 도색하는 도색부;
    프레스 성형부, 검사부, 보정부 및 도색부 간에 가제품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검사부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상기 보정부에 이송하고,
    상기 검사부에서 보정이 필요없다고 판단한 가제품을 상기 도색부에 이송하며,
    상기 가제품을 바닥 상에서 이송하는 제1 이송 장치; 및
    상기 가제품을 천정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제2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 장치는 상기 가제품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상기 가제품을 이송하고,
    상기 제2 이송 장치는 상기 가제품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이면 상기 가제품을 이송하며,
    상기 제2 이송 장치는,
    한 쌍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트롤리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트롤리 구조체는,
    한 쌍의 상기 레일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휠부; 및
    상기 제1 휠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 휠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휠부는,
    제1 휠 블록 및 상기 제1 휠 블록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2 휠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휠 블록은,
    제1 일측판, 상기 제1 일측판과 대향하는 제1 타측판, 상기 제1 일측판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타측판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제1 하측판 및 상기 제1 일측판 및 상기 제1 타측판 각각의 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판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레일의 하측판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일측판 및 상기 제1 타측판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상측 주바퀴, 상기 레일의 하측판의 하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일측판 및 상기 제1 타측판 각각의 하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하측 주바퀴 및 상기 레일의 웨브를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판 상에 구비되는 제1 보조바퀴를 포함하는 제1 바퀴부;
    상기 제1 일측판 및 상기 제1 타측판 각각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측면 연장부; 및
    상기 제1 하측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하면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휠 블록은,
    제2 일측판, 상기 제2 일측판과 대향하는 제2 타측판, 상기 제2 일측판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타측판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제2 하측판 및 상기 제2 일측판 및 상기 제2 타측판 각각의 후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레일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일측판 및 상기 제2 타측판 각각의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상측 주바퀴, 상기 레일의 하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일측판 및 상기 제2 타측판 각각의 하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하측 주바퀴 및 상기 레일의 수직측면을 따라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지지판 상에 구비되는 제2 보조바퀴를 포함하는 제2 바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하측판의 전단부는 하면이 상기 제1 하면 연장부의 상면과 대향 가능하고,
    상기 제2 일측판은 상기 제1 일측판의 제1 측면 연장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2 타측판은 상기 제1 타측판의 제1 측면 연장부와 맞물리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연장부 각각과 상기 제2 일측판 및 상기 제2 타측판 각각은 나사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 하면 연장부와 상기 제2 하측판의 전단부는 나사 결합 가능한 것인, 프레스 생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 장치는,
    상면에 가제품이 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볼 캐스터를 포함하는 이송 구조체;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중 부양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 부양 구조체는, 공기를 배출하여 양력을 발생시키는 것인, 프레스 생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 부양 구조체는,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 상에 구비되고, 측면에 형성되는 기체 흡입구, 하면에 형성되는 기체 배출구, 상기 기체 흡입구와 상기 기체 배출구를 연통시키는 기체 이동 통로를 포함하는 기체 전달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기체 배출구는 상기 기체 전달 구조체의 중심부를 둘러싸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인, 프레스 생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기체가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기체 배출구를 덮으며 상기 기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프레스 생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 캐스터는,
    상기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초과가 되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양력이 미리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위치 복원하는 것인, 프레스 생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 캐스터와 지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 캐스터는,
    상기 볼 캐스터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볼 캐스터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면 위치 복원되는 것인, 프레스 생산 시스템.
  7. 삭제
KR1020200009810A 2020-01-28 2020-01-28 프레스 생산 시스템 KR102153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10A KR102153063B1 (ko) 2020-01-28 2020-01-28 프레스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10A KR102153063B1 (ko) 2020-01-28 2020-01-28 프레스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063B1 true KR102153063B1 (ko) 2020-09-07

Family

ID=7247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810A KR102153063B1 (ko) 2020-01-28 2020-01-28 프레스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0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9028A (ja) * 1986-12-13 1988-06-21 Suteo Kotani 薄鋼板による多数の透孔と多数の突起を有する長尺耐力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143031A (ja) * 1990-10-04 1992-05-18 Nissan Motor Co Ltd プレス成形品の自動積み込み装置
JPH04118235U (ja) * 1991-04-01 1992-10-22 村田機械株式会社 アンローダ
JPH1029793A (ja) * 1996-07-16 1998-02-03 Nec Yamagata Ltd 垂直移載装置および垂直移載方法
JP2004026101A (ja) * 2002-06-28 2004-01-29 Mitsubishi Heavy Ind Ltd エアパレット式搬送装置
KR20070043033A (ko) * 2004-09-10 2007-04-24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성형 가공 시스템, 프레스 성형 가공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KR20090080921A (ko) * 2009-03-04 2009-07-27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 이송방법
KR101964583B1 (ko) * 2014-09-25 2019-04-03 호덴 세이미츠 카코 켄쿄쇼 컴퍼니 리미티드 프레스 성형 시스템 및 프레스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9028A (ja) * 1986-12-13 1988-06-21 Suteo Kotani 薄鋼板による多数の透孔と多数の突起を有する長尺耐力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143031A (ja) * 1990-10-04 1992-05-18 Nissan Motor Co Ltd プレス成形品の自動積み込み装置
JPH04118235U (ja) * 1991-04-01 1992-10-22 村田機械株式会社 アンローダ
JPH1029793A (ja) * 1996-07-16 1998-02-03 Nec Yamagata Ltd 垂直移載装置および垂直移載方法
JP2004026101A (ja) * 2002-06-28 2004-01-29 Mitsubishi Heavy Ind Ltd エアパレット式搬送装置
KR20070043033A (ko) * 2004-09-10 2007-04-24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프레스 성형 가공 시스템, 프레스 성형 가공 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KR20090080921A (ko) * 2009-03-04 2009-07-27 한재형 프레스 소재 이송 자동화시스템 및 그 소재 이송방법
KR101964583B1 (ko) * 2014-09-25 2019-04-03 호덴 세이미츠 카코 켄쿄쇼 컴퍼니 리미티드 프레스 성형 시스템 및 프레스 성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8980B2 (en) Apparatus for conveying coils of metal strip on pallets
KR101452685B1 (ko) 차량 휠 운반용 트레이
CN102145716B (zh) 履带行走传动装置和安装有履带的起重机
KR102153063B1 (ko) 프레스 생산 시스템
JP5206020B2 (ja) 搬送装置
KR102153068B1 (ko) 지능형 프레스 공정 시스템
KR102274498B1 (ko) 리프트가 탑재된 전 방향 이동 운송 로봇
CN105644410A (zh) 模块化的低架运输系统
CN1978303A (zh) 运输系统支架、中间产品、装配设备、和制造装配方法
JP2011073593A (ja) 組立搬送設備
JP2014156353A (ja) 運搬装置、少なくとも2つの枠プロファイルをともない、枠構築物を形成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運搬装置の使用
JP4174347B2 (ja) 搬送装置
KR102170507B1 (ko) 부품 이송 시스템
KR101662440B1 (ko) 원지 이송용 컨베이어
CN100453433C (zh) 鼓风压紧装置和设有该装置的片材对齐设备
CN110525935A (zh) 一种能够实现成品烟箱转向和翻转的输送机
CN206708648U (zh) 一种特种车梁支撑装置
JP4987941B2 (ja) 重量物搬送装置
KR102104542B1 (ko) 트롤리 구조체 및 차량 제조 설비 시스템
CN217457749U (zh) 一种分段式输送机
CN214778775U (zh) 连续式在线晾板装置
CA2911958C (en) Mobile veneer dryer
CN116729966B (zh) 一种智能云仓物流分拣皮带输送设备
CN211710092U (zh) 一种胎侧胶定边纠偏装置
KR102536552B1 (ko) 수직반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