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431B1 -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431B1
KR102152431B1 KR1020200079300A KR20200079300A KR102152431B1 KR 102152431 B1 KR102152431 B1 KR 102152431B1 KR 1020200079300 A KR1020200079300 A KR 1020200079300A KR 20200079300 A KR20200079300 A KR 20200079300A KR 102152431 B1 KR102152431 B1 KR 102152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rame
horizontal bar
soil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20007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수평하게 안착된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 모서리의 상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제1 지지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부 모서리의 상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며 제1 지지대 보다 길이가 긴 한 쌍의 제2 지지대를 구비한 지지대와, 지지대에 각 모서리가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지지대에 설치되며, 중앙이 개구된 사각의 프레임 틀과, 프레임 틀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안내되는 토분과 이물질이 혼합된 골재를 입도 별로 선별하는 스크린 망 및 프레임 틀의 일측에 구비되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린 망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키는 청소 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망이 설치된 프레임 틀의 하측에서 수평 바의 직선 왕복 이동에 따라 수평 바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가 스크린 망의 공극을 상향 관통한 상태로 스크린 망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스크린 망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킴으로써 스크린 망에 충격을 가하거나 스크린 망을 긁는 등의 스크린 망을 물리적으로 직접 가압하여 스크린 망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스크린 망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토분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Slant type screen soil separator of aggregate that prevent clogging of screen hole and method for separating}
본 발명은 스크린 토분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을 통해 토분을 선별하고, 스크린 공극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 공사물은 노후화 및 기능의 현저한 저하와 재개발, 재건축 등으로 인해 구조물이 해체되고, 이에 따라 해체된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설 폐기물은 건축, 토목 공사물 등 구조물의 해체 작업에서 쓰레기, 폐자재 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 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 덩이 등으로서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하고 곤란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폐기물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 산업 전반에 걸친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하므로, 해당 업계에서는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차원에서 여러 가지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폐기물 처리방법인 파쇄와 선별, 세척과정을 통해 폐기물에서 유용재를 재생한다는 것인데, 그러한 목적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전체적으로 여러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에서 구성수단의 적절치 못한 배치에 의해 자동화된 골재의 정밀 선별이 곤란하였고, 스크린과 컨베이어의 내구성을 현저히 약화시킴으로 잦은 기기의 파손을 유발하였으며, 세척과정에서의 오염도가 심하여 용수의 재사용에 많은 문제가 주어지는 폐단을 수반하였다.
한편, 종래기술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9577호에는 "건설폐기물 및 혼합쓰레기 선별장치의 스크린망 막힘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인 건설폐기물 및 혼합쓰레기 선별장치의 스크린망 막힘방지장치는, 회전축에 열십자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살의 요홈에 스크레이퍼들을 결합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스크레이퍼들이 회전드럼의 스크린 면을 타격함과 동시에 긁어주고, 또한 그 타격으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스크린 면에 붙거나, 막히게 되는 토사 및 이물질을 털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인 건설폐기물 및 혼합쓰레기 선별장치의 스크린망 막힘방지장치는, 스크린 면에 부착되는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타격수단이 스크린을 물리적으로 직접 연속하여 타격하기 때문에 스크린이 파손될 수 있어 파손된 스크린에 의해 건설폐기물이 제대로 선별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타격으로 인한 스크린의 내구성이 약화되어 스크린의 교체 및 이에 따른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인력의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9577호(2007년 06월 19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스크린 망이 설치된 프레임 틀의 일측에서 수평 바의 직선 왕복 이동에 따라 수평 바에 형성된 돌기가 스크린 망의 공극을 관통한 상태로 스크린 망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스크린 망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킴으로써 스크린 망에 충격을 가하거나 스크린 망을 긁는 등의 스크린 망을 물리적으로 직접 가압하여 스크린 망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스크린 망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어 토분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로서, 지면에 수평하게 안착된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 모서리의 상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제1 지지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부 모서리의 상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대 보다 길이가 긴 한 쌍의 제2 지지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각 모서리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지지대에 설치되며, 중앙이 개구된 사각의 프레임 틀, 상기 프레임 틀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안내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입도 별로 선별하는 스크린 망 및 상기 프레임 틀의 일측에 구비되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 망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키는 청소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망은, 상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크린 줄이 프레임 틀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소 수단은, 상기 스크린 망에 비 접촉한 상태로 스크린 망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틀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수평 바, 상기 수평 바에 수평으로 직교하여 수평 바를 연속으로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수평 봉, 상기 수평 바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 바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 망을 향해 상향 돌출되어 스크린 망에 형성된 공극을 관통하는 돌기 및 상기 수평 바에 결합되어 수평 바를 상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바에는, 수평 바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수평 바를 따라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평 봉에는, 수평 봉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수평 봉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틀의 양측 단부 하면에서 하향 연장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하단부에서 프레임 틀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틀의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된 수평편으로 이루어진 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가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레일부에 수평 바가 지지된 상태로 레일부를 따라 수평 바가 직선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의 수평편에 안착된 상태로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는 캐스터(cas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스터의 바퀴에는, 상기 바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 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에어팩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팩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에어팩의 크기가 확장되면서 상기 수평 바의 높이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연장대, 상기 연장대에 각 모서리가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연장대에 설치되며, 중앙이 개구된 사각의 상부 프레임 틀 및 상기 상부 프레임 틀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안내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입도 별로 선별하는 상부 스크린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스크린 망의 공극의 크기는, 상기 상부 프레임 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된 상기 스크린 망의 공극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이용한 토분 선별 방법으로서,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프레임 틀에 설치된 스크린 망의 상면에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망의 공극 보다 작은 입도의 이물질은 스크린 망의 공극을 통해 낙하되고, 스크린 망의 공극 보다 큰 입도의 토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스크린 망을 타고 흘러내리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틀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청소 수단이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 망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 망이 설치된 프레임 틀의 일측에서 수평 바의 직선 왕복 이동에 따라 수평 바에 형성된 돌기가 스크린 망의 공극을 관통한 상태로 스크린 망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스크린 망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킴으로써 스크린 망에 충격을 가하거나 스크린 망을 긁는 등의 스크린 망을 물리적으로 직접 가압하여 스크린 망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스크린 망의 막힘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토분의 선별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에서 청소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에서 청소 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이용한 토분 선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에서 청소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에서 청소 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지지대(200), 프레임 틀(300), 스크린 망(400) 및 청소 수단(5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사각의 편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수평하게 안착된다.
지지대(200)는, 후술하는 스크린 망(400)의 하측에서 스크린 망(400)이 설치된 프레임 틀(300)을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대(210)와 제2 지지대(220)를 구비한다.
부연하면, 제1 지지대(210)는 길이가 동일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 모서리의 상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다. 여기서, 제1 지지대(21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볼트결합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대(220)는 길이가 동일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단부 모서리의 상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는데, 프레임 틀(300)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제2 지지대(220)는 제1 지지대(210) 보다 길이가 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지지대(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볼트결합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 틀(300)은, 중앙이 개구된 사각의 틀 형태로서, 각 모서리가 지지대(200)에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지지대(200)에 설치된다.
스크린 망(400)은, 프레임 틀(30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안내되는 이물질의 포함된 토분을 입도 별로 선별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스크린 망(400)의 공극 보다 작은 입도의 이물질이 스크린 망(400)의 공극을 통해 낙하되면 이를 수거하는 수거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 측에는 스크린 망(400)을 타고 흘러내리는 스크린 망(400)의 공극 보다 큰 입도의 토분이 수거되는 수거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망(400)은,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크린 줄(410)이 프레임 틀(30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다.
부연하면, 프레임 틀(300)에 설치된 스크린 망(400)의 형태가 세로줄과 가로줄이 교차하는 격자 형태가 아닌 복수의 스크린 줄(410)이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 즉 프레임 틀(300)이 하향 경사진 경사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의 스크린 줄(410)이 프레임 틀(30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복수의 스크린 줄(410)이 프레임 틀(30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스크린 줄(410)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이다.
청소 수단(500)은, 프레임 틀(300)의 하측에 구비되며,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린 망(400)의 공극에 부착되는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키는 역할을 한다.
청소 수단(500)은, 수평 바(510), 수평 봉(520), 돌기(530) 및 전동 실린더(540)를 구비한다.
수평 바(510)는, 스크린 망(400)에 비 접촉한 상태로 스크린 망(4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부연하면, 수평 바(510)는 프레임 틀(3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3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평 바(510)가 프레임 틀(300)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수평 봉(520)은, 수평 바(510)에 수평으로 직교하여 수평 바(510)를 연속으로 관통한다. 이러한 수평 봉(520)은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평 봉(520)이 프레임 틀(300)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즉, 수평 바(510)와 수평 봉(520)은 서로 격자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돌기(530)는, 수평 바(5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수평 바(51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즉, 돌기(530)는 수평 바(510)의 길이 방향인 프레임 틀(30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수평 바(5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부연하면, 수평 바(51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530)의 위치는 스크린 망(400)의 공극의 형성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평 바(510)의 상면에서 스크린 망(400)을 향해 상향 돌출되어 스크린 망(400)에 형성된 공극을 관통하게 된다.
전동 실린더(540)는, 수평 바(510)에 결합되어 수평 바(510)를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전동 실린더(540)는 수평 바(510)의 단부에 연결된 로드와, 로드가 수용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서의 로드의 돌출 길이를 가변제어하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진다.
즉,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수평 바(510)에 연결된 로드가 실린더에서 돌출되거나 반대로 실린내 내부로 인입되면서 수평 바(510)를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수평 바(510)의 직선 왕복 이동에 따라 수평 바(51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530)가 스크린 망(400)의 하측에서 스크린 망(400)의 공극을 상향 관통한 상태로 스크린 망(40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스크린 망(400)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 틀(300)에는 수평 바(51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3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310)는, 수직편(311)과 수평편(312)으로 구성된다.
부연하면, 수직편(311)은, 프레임 틀(300)의 양측 단부 하면에서 하향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편(312)은, 수직편(311)의 하단부에서 프레임 틀(3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틀(300)의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부(310)에 수평 바(510)의 양단부가 레일부(310)의 내측에 수용되어 레일부(310)에 수평 바(510)가 지지된 상태로 레일부(310)를 따라 수평 바(510)가 직선 왕복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수평 바(510)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레일부(310)의 수평편(312)에 안착된 상태로 레일부(310)를 따라 주행하는 캐스터(caster)(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캐스터(320)의 바퀴(321)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팩(322)이 장착될 수 있다. 에어팩(322)은,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서, 바퀴(321)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 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에어팩(322)의 외측면에는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는데, 이 공기 주입구를 통해 공기 펌프와 같은 공기 주입수단에 의해 에어팩(322)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에어팩(322)의 부피가 확장되면서 캐스터(320)가 장착된 수평 바(510)의 전체적인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캐스터(320) 바퀴(321)의 외측에 장착된 에어팩(322)에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팩(322)을 확장시켜 에어팩(322)의 확장에 의해 수평 바(510)의 높이가 상슴됨으로써, 스크린 망(400)의 공극을 통과하여 상향 돌출되는 수평 바(51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530)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평 바(510)에는, 수평 바(5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511)이 수평 바(510)를 따라 이격하여 형성되며, 수평 봉(520)에는, 수평 봉(52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521)이 수평 봉(520)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크린 망(400)의 공극을 통과하여 낙하되는 이물질이 수평 바(510)와 수평 봉(520)의 상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 바(510)와 수평 봉(520)에 각각 복수의 관통홀(511, 521)이 형성됨으로써, 스크린 망(400)의 공극을 통과하여 낙하되는 이물질이 수평 바(510)와 수평 봉(520)에 형성된 관통홀(511, 521)을 통해 낙하할 수 있게 되어 수평 바(510)와 수평 봉(520)에 이물질이 쌓임으로써 그 무게로 인해 수평 바(510)의 원활한 직선 운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는, 지지대(200)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연장대(600)와, 연장대(600)에 각 모서리가 안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연장대(600)에 설치되며, 중앙이 개구된 사각의 상부 프레임 틀(700)과, 상부 프레임 틀(700)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안내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입도 별로 선별하는 상부 스크린 망(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입도 별로 선별하는 스크린 망(400)이 설치된 프레임 틀(300)의 상측에 상부 스크린 망(800)이 설치된 상부 프레임 틀(700)이 이격하여 구비됨으로써, 상하 2단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가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 스크린 망(800)의 공극의 크기는, 상부 프레임 틀(700)의 하측에 이격 배치된 스크린 망(400)의 공극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부 프레임 틀(700)에 설치된 상부 스크린 망(800)에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낙하시키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부 스크린 망(800)을 따라 토분이 하향 안내되면서 상부 스크린 망(800)의 공극을 통해 입도가 작은 토분과 이물질이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 틀(300)의 스크린 망(400)으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된 토분과 이물질 중 보다 더 작은 입도로 이루어진 이물질은 스크린 망(400)의 공극을 통해 낙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 틀(700)은 연장대(600)상에 탄성 스프링과 같은 진동방진장치(10)를 통해 설치되며, 상부 프레임 틀(700)의 중간하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에 무한궤도로 권취된 벨트로 이루어진 진동발생기(20)가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청소 수단(500)은, 프레임 틀(30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린 망(400)의 공극에 부착되는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이용한 토분 선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이용한 토분 선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이용한 토분 선별 방법은,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 모서리에 수직이로 마련된 지지대(200)에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안착된 프레임 틀(300)에 설치된 스크린 망(400)의 상면에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투입(단계S100)한다.
그 다음, 스크린 망(400)의 상면에 투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에서 스크린 망(400)의 공극 보다 작은 입도의 이물질은 스크린 망(400)의 공극을 통해 낙하되고, 스크린 망(400)의 공극 보다 큰 입도의 토분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를 향해 스크린 망(400)을 타고 흘러내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단부 측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단계S200).
마지막으로, 프레임 틀(300)의 하측에 구비된 청소 수단(500)이 프레임 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린 망(400)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단계S300)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베이스 플레이트 200: 지지대
210: 제1 지지대 220: 제2 지지대
300: 프레임 틀 310: 레일부
311: 수직편 312: 수평편
320: 캐스터 321: 바퀴
322: 에어팩 400: 스크린 망
410: 스크린 줄 500: 청소 수단
510: 수평 바 511, 521: 관통홀
520: 수평 봉 530: 돌기
540: 전동 실린더 600: 연장대
700: 상부 프레임 틀 800: 상부 스크린 망

Claims (10)

  1. 지면에 수평하게 안착된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 모서리의 상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한 쌍의 제1 지지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단부 모서리의 상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상향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대 보다 길이가 긴 한 쌍의 제2 지지대를 구비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각 모서리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지지대에 설치되며, 중앙이 개구된 사각의 프레임 틀;
    상기 프레임 틀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안내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입도 별로 선별하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크린 줄이 프레임 틀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스크린 망; 및
    상기 프레임 틀의 일측에 구비되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 망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키는 청소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 수단은,
    상기 스크린 망에 비 접촉한 상태로 스크린 망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 틀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수평 바;
    상기 수평 바에 수평으로 직교하여 수평 바를 연속으로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프레임 틀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수평 봉;
    상기 수평 바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 바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 망을 향해 상향 돌출되어 스크린 망에 형성된 공극을 관통하는 돌기; 및
    상기 수평 바에 결합되어 수평 바를 상기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틀의 양측 단부 하면에서 하향 연장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하단부에서 프레임 틀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프레임 틀의 내측을 향해 일정 길이로 연장된 수평편으로 이루어진 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가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레일부에 수평 바가 지지된 상태로 레일부를 따라 수평 바가 직선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바에는, 수평 바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수평 바를 따라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평 봉에는, 수평 봉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수평 봉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바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의 수평편에 안착된 상태로 레일부를 따라 주행하는 캐스터(caster);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의 바퀴에는, 상기 바퀴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 공간이 마련된 중공의 에어팩;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팩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에어팩의 크기가 확장되면서 상기 수평 바의 높이가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상향 연장된 연장대;
    상기 연장대에 각 모서리가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연장대에 설치되며, 중앙이 개구된 사각의 상부 프레임 틀; 및
    상기 상부 프레임 틀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안내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입도 별로 선별하는 상부 스크린 망;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 망의 공극의 크기는, 상기 상부 프레임 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된 상기 스크린 망의 공극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10. 제1항의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를 이용한 토분 선별 방법으로서,
    a)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프레임 틀에 설치된 스크린 망의 상면에 이물질이 포함된 토분을 투입하는 제1단계;
    b) 상기 스크린 망의 공극 보다 작은 입도의 이물질은 스크린 망의 공극을 통해 낙하되고, 스크린 망의 공극 보다 큰 입도의 토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를 향해 스크린 망을 타고 흘러내리는 제2단계; 및
    c) 상기 프레임 틀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청소 수단이 프레임 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크린 망의 공극에 부착된 토분과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강제로 탈락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토분 선별 방법.
KR1020200079300A 2020-06-29 2020-06-29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 KR10215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00A KR102152431B1 (ko) 2020-06-29 2020-06-29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00A KR102152431B1 (ko) 2020-06-29 2020-06-29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431B1 true KR102152431B1 (ko) 2020-09-04

Family

ID=7247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00A KR102152431B1 (ko) 2020-06-29 2020-06-29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4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503B1 (ko) * 2021-07-12 2022-01-06 우광개발주식회사 스크린막힘 방지수단이 설치된 골재 선별장치
KR20220049418A (ko) * 2020-10-14 2022-04-21 김은수 자발적 유지관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CN115554258A (zh) * 2022-10-09 2023-01-03 广州誉东健康制药有限公司 一种口服氯化钾缓释片的制备设备及其制备方法
KR20230118420A (ko) 2022-02-04 2023-08-11 박진영 골재 분산 유도 진동 스크린
CN117429900A (zh) * 2023-10-18 2024-01-23 青岛宏润达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轮胎加工用原料上料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232Y2 (ja) * 1980-02-25 1985-09-26 東陶機器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
JPH0585478U (ja) * 1992-04-13 1993-11-19 若杉 要 選別機の選別部材間に挟まる非選別物の除去装置
KR100729577B1 (ko) 2006-01-24 2007-06-19 주식회사 포스벨 건설폐기물 및 혼합쓰레기 선별장치의 스크린망 막힘방지장치
JP2010042357A (ja) * 2008-08-13 2010-02-25 Shiomura Kenko Kk 振動篩い装置
KR101865529B1 (ko) * 2018-01-29 2018-06-07 백운석 스크린 막힘이 방지되는 폐기물 토사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232Y2 (ja) * 1980-02-25 1985-09-26 東陶機器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
JPH0585478U (ja) * 1992-04-13 1993-11-19 若杉 要 選別機の選別部材間に挟まる非選別物の除去装置
KR100729577B1 (ko) 2006-01-24 2007-06-19 주식회사 포스벨 건설폐기물 및 혼합쓰레기 선별장치의 스크린망 막힘방지장치
JP2010042357A (ja) * 2008-08-13 2010-02-25 Shiomura Kenko Kk 振動篩い装置
KR101865529B1 (ko) * 2018-01-29 2018-06-07 백운석 스크린 막힘이 방지되는 폐기물 토사 선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418A (ko) * 2020-10-14 2022-04-21 김은수 자발적 유지관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KR102416032B1 (ko) 2020-10-14 2022-06-30 김은수 자발적 유지관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KR102347503B1 (ko) * 2021-07-12 2022-01-06 우광개발주식회사 스크린막힘 방지수단이 설치된 골재 선별장치
KR20230118420A (ko) 2022-02-04 2023-08-11 박진영 골재 분산 유도 진동 스크린
CN115554258A (zh) * 2022-10-09 2023-01-03 广州誉东健康制药有限公司 一种口服氯化钾缓释片的制备设备及其制备方法
CN115554258B (zh) * 2022-10-09 2023-07-25 广州誉东健康制药有限公司 一种口服氯化钾缓释片的制备设备及其制备方法
CN117429900A (zh) * 2023-10-18 2024-01-23 青岛宏润达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轮胎加工用原料上料系统
CN117429900B (zh) * 2023-10-18 2024-04-19 青岛宏润达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轮胎加工用原料上料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431B1 (ko) 스크린의 망 막힘을 해소하는 경사형 스크린 토분 선별기 및 선별 방법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5322170A (en) Waste material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68793B1 (ko)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2073421B1 (ko)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890580B1 (ko) 건설폐기물용 파쇄골재의 토사 선별장치
KR20140070953A (ko) 토사선별장치의 망막힘 방지장치
KR101830648B1 (ko) 건설폐기물 내 이물질 풍력 선별장치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20084825A (ko) 건축폐기물 순환골재 생산용 고압풍력식 이물질 분리장치 시스템
KR101294091B1 (ko)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선별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안정화 처리방법
KR102083659B1 (ko) 분류골재이동장치
KR20060084085A (ko) 순환골재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0703028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1730154B1 (ko) 인조잔디 충전재 분리장치
KR20120035572A (ko) 브러시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0000086A (zh) 一种三维阶梯复合筛
KR101256750B1 (ko) 폐전선 선별장치
CN217222449U (zh) 一种新型混凝土生产用骨料分选设备
KR200348078Y1 (ko) 골재 선별장치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100554273B1 (ko) 선별분리장치
KR100958200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선별된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514605B1 (ko) 건설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