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335B1 -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 - Google Patents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335B1
KR102151335B1 KR1020187030034A KR20187030034A KR102151335B1 KR 102151335 B1 KR102151335 B1 KR 102151335B1 KR 1020187030034 A KR1020187030034 A KR 1020187030034A KR 20187030034 A KR20187030034 A KR 20187030034A KR 102151335 B1 KR102151335 B1 KR 10215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eans
switchgear cabinet
cov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449A (ko
Inventor
에브게니 프레뮈슬러
마르코 도이징
쿠어트-미햐엘 샤퍼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18013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1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100)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에 관한 것이며,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의 발광 수단(3)을 고정시키는 램프 기본 몸체(2), 및 램프 기본 몸체(2)에 장착되어 있고 발광 수단(3)을 둘러싸는 광투과성 발광 수단 커버(5)를 구비하고, 발광 수단 커버(5)는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광투과성 레그들(5.1)을 구비하고, 이들 레그 사이에서 발광 수단(3)은 램프 기본 몸체(2) 상에 안착된 발광 수단 커버(5) 옆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 발광 수단(3)은 평평한 발광 수단 기판을 구비하고, 이 발광 수단 기판 상에는 복수의 개별 발광 수단, 특히 LED 또는 OLED가 분포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발광 수단 기판은 발광 수단 커버(5)의 평행한 레그들(5.1)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0°를 넘는 각도로, 특히 대략 45°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
본 발명은,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로부터 출발하며, 이 경우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이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발광 수단을 고정시키는 램프 기본 몸체, 및 램프 기본 몸체에 장착되어 있고 발광 수단을 둘러싸는 광투과성 발광 수단 커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DE 10 2011 122 204 B3호에 공지되어 있다.
적용예에 따라,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예컨대 다름 아닌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 분해를 고려한 상태에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를 위한 공간이 어디에 더 존재하는지에 따라서 그리고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가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를 바람직하게 어느 각도로 조명해야 하는지에 따라서,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에서 상이한 위치에 그리고 상이한 배향으로 장착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요인들은 적용예마다 서로 다르며, 그 결과 표준화된 방사 프로파일을 갖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달성 가능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조명과 관련하여 다만 만족스럽지 못한 절충에 도달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다. 극단적인 경우, 심지어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에서의 공간 부족으로 인해, 개방된 스위치기어 캐비닛 도어 앞에 서있는 사람에게 방해가 될 수 있는 눈부심 효과를 야기할 정도로 불리하게 위치 결정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상황은, 통상적으로 광 센서 또는 동작 센서를 통해 활성화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경우에, 센서의 검출각이 발광 수단의 방사각 내에 속함으로써 야기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광 센서 또는 동작 센서가 스위치기어 캐비닛 도어 쪽으로 배향될 수 있으므로, 발광 수단으로부터 출발하는 광도 마찬가지로 적어도 비례적으로 스위치기어 캐비닛 도어 방향으로 방사되어 스위치기어 캐비닛 앞에 서있는 사람을 눈부시게 할 수 있게 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의 조명을 위해 이용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한 편으로는 더욱 적은 눈부심 효과를 나타내도록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의 더욱 효과적인 조명을 가능하게 하도록, 전술된 유형의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에 의해서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관련이 있다.
그에 따라, 발광 수단 커버는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광투과성 레그들을 구비하고, 이들 레그 사이에서 발광 수단은 램프 기본 몸체 상에 안착된 발광 수단 커버 옆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 발광 수단은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평한 발광 수단 기판을 구비하고, 이 발광 수단 기판 상에는 복수의 개별 발광 수단, 특히 LED 또는 OLED가 분포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발광 수단 기판은 발광 수단 커버의 평행한 레그들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0°를 넘는 각도로, 특히 대략 45°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복수의 발광 수단이 그 위에 배열된 발광 수단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방사되는 광은 훨씬 더 지향적으로 되는데, 그 이유는 이 기판이 눈부심 효과 혹은 리플렉터 효과를 갖고, 이 경우 기판은 특히 개별 발광 수단을 구비하는 기판 측으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방향으로는 방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목적을 위해, 개별 발광 수단은 특히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기판 측들 중 하나의 기판 측에만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발광 수단 커버는 대칭으로 배열된 고정 수단을 통해, 램프 기본 몸체 상에서, 회전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 2개 위치들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발광 수단 커버의 광 가이드 수단, 특히 리플렉터 또는 렌즈가 회전 평면에 대해 0°를 넘는 각도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광 가이드 수단은 발광 수단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 발광 수단 커버의 2개 위치들에서 상이한 배향을 갖게 된다.
광 가이드 수단, 특히 리플렉터가 발광 수단 커버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각을 형성함으로써, 광 가이드 수단이, 서로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 2개의 위치들에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상이한 방사 특성을 야기하는 상황에 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리플렉터는 회전 평면에 대해 45°만큼 또는 90°만큼 배향될 수 있다. 커버는 램프 기본 몸체로부터 완전히 들어올릴 수 있는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또한 피봇팅 메커니즘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피봇팅 메커니즘을 통해서는 발광 수단 커버가 서로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 2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왕복으로 피봇팅 동작할 수 있다. 발광 수단 커버는 회전 평면을 절단한 횡단면 상으로 볼 때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특정의 고정 수단에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램프 기본 몸체 상에서 발광 수단 커버의 공구 없는 간단한 조립에 적합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로킹 연결부 또는 그루브-텅(groove-tongue)-연결부를 생각할 수 있다.
발광 수단 커버는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레그들로서, 상기 2개의 레그들 사이에서 램프 기본 몸체 상에 안착된 발광 수단 커버 옆에 발광 수단이 배열되어 있는 상기 2개의 레그들;과,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레그들을 연결하는 하나의 레그를 구비하면서,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자신의 세로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직사각형으로, 특히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 가이드 수단은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 레그들 중 하나의 레그의 내부 면 또는 외부 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리플렉터가 회전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리플렉터는 평평하거나 구부러진 리플렉터일 수 있다. 이 리플렉터는 예를 들어 발광 수단 커버의, 특히 일 레그의 내부 면의 반사 코팅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리플렉터는 자신에게 할당된 레그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이로써 회전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자신에게 할당된 레그에 대해 소정의 각을 형성하면서 배향될 수 있다.
램프 기본 몸체는, 발광 수단 커버를 램프 기본 몸체 상에 안착시키는 발광 수단 커버의 평행한 레그들의 노출된 세로 에지들에서, 그루브-텅-연결부로 형성된 각각 하나의 고정 수단을 통해서 램프 기본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된 세로 에지의 영역에서 평행한 레그들의 마주 놓여 있는 내부 면들에는, 세로 에지를 따라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돌출부는 램프 기본 몸체의 상응하는 세로 방향 그루브 내에 맞물린다. 발광 수단 커버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이 커버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이로써 발광 수단 커버의 탄성 변형에 의해 돌출부가 그루브 내로 삽입되는 과정을 지원한다.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방사 특성을 더욱더 개선하기 위하여, 광투과성 발광 수단 커버가 적어도 섹션별로 평 볼록 렌즈(plane convex lens)로서 또는 프레넬 렌즈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평 볼록 렌즈의 볼록하거나 구형인 면 또는 프레넬 렌즈의 계단형 구조물은 발광 수단 쪽을 향하는 발광 수단 커버의 내부 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발광 수단 커버의 레그들 중 하나 이상의 레그가 평 볼록 렌즈 또는 프레넬 렌즈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평 볼록 렌즈 또는 프레넬 렌즈를 갖는 하나 이상의 레그는, 발광 수단으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발광 수단 커버의 외부 면에서 평평하게 그리고/또는 구조화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레그들 중 하나 이상의 레그가 평 볼록 렌즈로서 또는 프레넬 렌즈로서 형성된 발광 수단 커버의 사용은, 특히 LED 또는 OLED와 같은 지향성 광원의 사용과 관련해서 적합한데, 그 이유는 특히 지향성 광원을 사용할 때에 생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의 그늘진 영역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로써는, 특히 발광 수단이 지향성 광원, 특히 복수의 LED 및/또는 OLED를 구비하는 광원이므로, 적어도 섹션별로 평 볼록 렌즈로서 또는 프레넬 렌즈로서 형성된 광투과성 발광 수단 커버는 분산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 사항들은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해서 설명된다.
도 1은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2개 설치 위치들을 개략도로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따른 2개 설치 위치들 중 하나를 상세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2개 설치 위치들을 개략도로 도시하며,
도 4는 발광 수단 커버의 회전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에 의해서 나타나는 장점들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종축에 대해 수직인 횡단면에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일 실시예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설치 위치에 따른 눈부심 효과를 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다름 아닌 발광 수단이 선택적으로 방사되는 발광 수단 기판이거나 이와 같은 발광 수단 기판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더 나아가서는, 발광 수단 커버 및 이 발광 수단 커버 내에 제공된 광 가이드 수단이 램프 기본 몸체 상에서 180°만큼 회전된 2개의 위치들에 장착되고, 그에 따라 예컨대 리플렉터 또는 렌즈와 같은 광 가이드 수단의 유사하게 변경된 배향에 의해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에 의해 조명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는 것도 제안될 수 있다.
도 1은,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의 제1 및 제2 설치 위치(P1, P2)를 보여준다. 위치(P1)에서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가 예를 들어 스위치기어 캐비닛 프레임 프로파일의 상부 수평 프레임에서 수평 프로파일(102)과 동일 평면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위치(P1)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방사하게 되고, 이로써 스위치기어 캐비닛 구성 요소(101)를 갖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100)를 비교적 효과적으로 조명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 예를 들어 스위치기어 캐비닛 프레임 스탠드 상에 지붕 상부 구조물 냉각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고,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지붕 측이 냉각 장치와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100) 간의 공기 교환을 위해 노출되어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를 조립 위치(P1)로부터 조립 위치(P2)로 배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에 의해 상당히 큰 눈부심 효과가 야기될 수 있다.
이로써, 도 2에 상응하는 설치 위치(P2)에서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가 스위치기어 캐비닛 프레임 스탠드의 2개 수직 프로파일들(103) 사이에서 내부 치수 안에 배열되어 있다. 도 2에는, 또한 다름 아닌 전면 스위치기어 캐비닛 도어가 개방될 때에 부딪히게 될 동작 센서(9)가, 다름 아닌 스위치기어 캐비닛 도어의 방향으로 배향되어야만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의 특정 측에 배열되어 있다는 점에서, 설치 위치(P2)에서의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배향이 고정적으로 사전 결정되어 있음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를 수평 회전 평면에서 180°만큼 회전된 상태로 설치 위치(P1)에 장착하므로, 센서(9)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100)를 향하게 되고, 이로써 스위치기어 캐비닛 도어의 개방은 검출되지 않게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이로써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가 위치(P1)에서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100)의 비교적 우수한 조명을 제공하는 반면, 도 2에 따른 설치 위치(P2)에서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에 의해 상당히 큰 눈부심 효과가 야기된다.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광 방사 원뿔은 광 원뿔(LK)의 2개 주변 광선들에 의해서 지시되어 있다. 발광 수단(3) 및 사용된 발광 수단의 임의의 방사를 고려하여 리플렉터(4)를 발광 수단 커버(5)에 고정 배열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공지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에서의 광 원뿔(LK)은 폭넓게 구획되어 있고 변경 불가능하다.
그에 비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사용으로부터 나타나는 장점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 도 3은 도 1 및 도 2와 유사하게,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가 한번은 스위치기어 캐비닛 프레임 스탠드의 상부 수평 커버 프레임의 내부 치수 안에 배열되어 있고, 또 한번은 스위치기어 캐비닛 프레임 스탠드의 수직 전면 프레임의 내부 치수 안에 배열되어 있는, 2개의 설치 위치들(P1, P2)을 보여준다. 이들 2개의 설치 위치들은 재차 P1 및 P2로 표시되어 있다. 위치(P1)에서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와 유사하게 도시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실시예에서도, 리플렉터(4)가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발광 수단 커버(5)의 2개의 평행한 레그들(5.1) 중 일 레그의 내부 면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 발광 수단 커버(5)는, 다름 아니라 리플렉터(4)가 이와 같은 배향에서 상부 레그(5.1)에 배열되도록 그리고 이로써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100)의 효과적인 조명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이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가 위치(P1)로부터 위치(P2)로 이동되어야 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발광 수단 커버(5)가 180°만큼 변위된 상태로 램프 기본 몸체(2) 상에 장착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로 리플렉터(4)는 램프 기본 몸체(2)를 기준으로 측면을 바꾸게 된다. 리플렉터(4)가 위치(P1)에서는 센서(9)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램프 기본 몸체(2)의 측에 배열되어 있는 한편, 리플렉터가 위치(P2)에서는 센서(9)도 배열되어 있는 램프 기본 몸체(2)의 측에 배열되어 있다.
이로써, 위치(P2)에서 리플렉터(4)는, 특히 발광 수단(3)으로부터 뻗어나가는 광이 스위치기어 캐비닛으로부터 나오도록 방사되지 않고, 오히려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100)로 다시 반사되고, 위치(P2)에서도 위치(P1)와 유사하게 재차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의 최적의 조명이 나타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발광 수단(3)이 마찬가지로 발광 수단 기판으로서 형성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기판은 마주 놓여 있는 자신의 측들 중 일 측에 예를 들어 복수의 LED 또는 OLED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은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지향된 광을 방사한다.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방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발광 수단 커버(5)의 레그들(5.1) 중 하나 이상의 레그의 내부 면에 계단형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그(5.1)는 계단형 구조물(7)과 함께 하나의 프레넬-렌즈를 형성하게 된다.
램프 기본 몸체(2)는 마주 놓여 있는 그리고 2개 레그들(5.1)의 내부 면을 향하는 세로 측들에, 세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그루브를 구비하고, 레그(5.1)는 상기 그루브를 향하는 내부 면에 상응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발광 수단 커버(5)를 램프 기본 몸체(2)에 수동으로 해체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가 그루브-텅-연결부(6)의 형태로 상기 그루브 내에 맞물린다. 커버(5)를 도 4에 상응하게 180°만큼 변위된 상태로 램프 기본 몸체(2) 상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먼저 발광 수단 커버(5)가 램프 기본 몸체(2)로부터 들어 올려지며, 이 목적을 위해서는 그루브-텅-연결부(6)가 해체되어야만 한다. 연결부를 해체하고 발광 수단 커버(5)를 들어올린 후에는, 그루브-텅-연결부(6)가 재차 만들어짐으로써 발광 수단 커버(5)가 램프 기본 몸체(2)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커버(5)가 180°만큼 회전될 수 있고, 재차 램프 기본 몸체(2)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발광 수단 커버(5)를 들어올리는 과정 또는 발광 수단 커버를 램프 기본 몸체(2) 상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그루브-텅-연결부의 그루브 및/또는 돌출부는 스타팅 슬로프(starting slope)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다만 발광 수단 커버(5)를 180°만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조립 위치에 따른 자주 발생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의 눈부심 효과가 방지되는 상황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은, 특히 이로 인해 램프 기본 몸체가 변위되거나 달리 고정될 필요 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현은 예컨대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 분해 컨셉,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존재하는 케이블 가이드, 지붕 냉각 장치의 사용 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상위의 이유들로 인해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제안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는, 또한 발광 수단 커버의 변위가 180°만큼 회전된 2개 위치들 사이에서 공구 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조작도 복잡하지 않게 한다. 발광 수단 커버 자체를 제외하고, 예컨대 가동형 블라인드와 같은 가동형 부품의 사용 및/또는 회전 가능한 발광 수단 그리고 광 편향 및 광 포커싱을 위한 다른 보조 수단의 사용은 가급적 생략될 수 있다.
전술된 상세한 설명 부분,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들은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서 개별적으로 중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로 조합된 상태로도 중요할 수 있다.
1: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
2: 램프 기본 몸체
3: 발광 수단
4: 리플렉터
5: 발광 수단 커버
5.1: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레그
5.2: 연결형 레그
6: 고정 수단
7: 계단형 구조물
8: 외부면
9: 광 센서 또는 동작 센서
x: 회전 평면
LK: 광 원뿔

Claims (8)

  1.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100)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이며,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의 발광 수단(3)을 고정시키는 램프 기본 몸체(2); 및 램프 기본 몸체(2)에 장착되어 있고 발광 수단(3)을 둘러싸는 광투과성 발광 수단 커버(5);를 구비하며, 발광 수단 커버(5)는,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광투과성 레그들(5.1)로서, 상기 레그들 사이에서 램프 기본 몸체(2) 상에 안착된 발광 수단 커버(5) 옆에 발광 수단(3)이 배열되어 있는 상기 2개의 레그들;과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레그들(5.1)을 연결하는 추가 레그(5.2);를 구비하면서,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자신의 세로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직사각형으로, 특히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발광 수단 커버(5)는 대칭으로 배열된 고정 수단(6)을 통해, 램프 기본 몸체(2) 상에서, 회전 평면(x)에서 서로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 2개 위치들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발광 수단(3)은 평평한 발광 수단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 수단 기판 상에는 복수의 개별 발광 수단, 특히 LED 또는 OLED가 분포 배열되어 있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 기판은 발광 수단 커버(5)의 평행한 레그들(5.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광 가이드 수단은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2개 레그들(5.1) 중 하나의 레그의 내부 면 또는 외부 면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상기 광 가이드 수단은 발광 수단(3)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 발광 수단 커버(5)의 2개 위치들에서 상이한 배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
  2. 제1항에 있어서, 광 가이드 수단(3)은 자신에게 할당된 레그(5.1)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이로써 회전 평면(x)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자신에게 할당된 레그(5.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램프 기본 몸체(2)는, 발광 수단 커버(5)를 램프 기본 몸체(2) 상에 안착시키는 발광 수단 커버(5)의 평행한 레그들(5.1)의 노출된 세로 에지들(2.1)에서, 그루브-텅(groove-tongue)-연결부로 형성된 각각 하나의 고정 수단(6)을 통해서 램프 기본 몸체(2)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발광 수단 커버(5), 특히 2개의 평행한 레그들(5.1) 중 하나 이상의 레그가 적어도 섹션별로 평 볼록 렌즈로서 또는 프레넬 렌즈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 볼록 렌즈의 볼록한 면 또는 상기 프레넬 렌즈의 계단형 구조물(7)은 발광 수단(3) 쪽을 향하는 발광 수단 커버(5)의 내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
  5. 제4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발광 수단 커버(5)의 레그들(5.1) 중 하나 이상의 레그가 평 볼록 렌즈 또는 프레넬 렌즈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평 볼록 렌즈 또는 프레넬 렌즈를 갖는 하나 이상의 레그(5.1)는, 발광 수단(3)으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발광 수단 커버(5)의 외부 면(8)에서 평평하게 그리고/또는 구조화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
  6. 제4항에 있어서, 발광 수단(3)은 지향성 광원, 특히 복수의 LED 및/또는 OLED를 구비하는 광원이므로, 적어도 섹션별로 평 볼록 렌즈로서 또는 프레넬 렌즈로서 형성된 광투과성 발광 수단 커버(5)는 분산 렌즈인,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1).
  7. 삭제
  8. 삭제
KR1020187030034A 2016-04-18 2017-04-06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 KR102151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7149 2016-04-18
DE102016107149.8 2016-04-18
DE102016107569.8A DE102016107569A1 (de) 2016-04-18 2016-04-22 Schaltschrankleuchte für die Beleuchtung eines Schaltschrankinnenraums
DE102016107569.8 2016-04-22
PCT/DE2017/100269 WO2017182031A1 (de) 2016-04-18 2017-04-06 Schaltschrankleuchte für die beleuchtung eines schaltschrankinnenrau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449A KR20180136449A (ko) 2018-12-24
KR102151335B1 true KR102151335B1 (ko) 2020-09-02

Family

ID=5998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034A KR102151335B1 (ko) 2016-04-18 2017-04-06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16188B2 (ko)
EP (1) EP3446033B1 (ko)
JP (1) JP6645592B2 (ko)
KR (1) KR102151335B1 (ko)
CN (1) CN109073210B (ko)
DE (1) DE102016107569A1 (ko)
PL (1) PL3446033T3 (ko)
WO (1) WO2017182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6047B2 (en) * 2018-08-23 2021-04-13 Snap-On Incorporated Illumination for storage units
USD926708S1 (en) * 2019-10-01 2021-08-03 Rittal Gmbh & Co. Kg Portion of a switchboard for electric connections
KR102299285B1 (ko) * 2020-09-04 2021-09-08 (주)씨케이에스감리단 배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845B1 (ko) * 2015-08-25 2016-03-11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스텝등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2957A (en) * 1990-04-23 1991-07-16 David Canfield Cabinet light
JPH0782302B2 (ja) * 1990-11-14 1995-09-0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表示照明器具
US5471372A (en) * 1993-12-06 1995-11-28 Ardco, Inc. Lighting system for commercial refrigerator doors
JPH11191315A (ja) * 1997-12-26 1999-07-1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盤用点検灯装置
US6536924B2 (en) * 2001-02-28 2003-03-25 Jji Lighting Group, Inc. Modular lighting unit
JP2003116726A (ja) * 2001-10-15 2003-04-22 Asahi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洗面化粧台用照明装置
DE202010012968U1 (de) * 2010-11-23 2011-02-10 Wilhelm Koch Gmbh An einem Möbelteil befestigte Lichtleiste
AT12553U1 (de) * 2011-02-17 2012-07-15 Tridonic Connection Technology Gmbh & Co Kg Vorrichtung zur montage einer led-einheit, sowie led-einheit
DE102011122204B3 (de) 2011-12-23 2013-03-07 Jörg Richter Schaltschrankleuchte
JP2014082065A (ja) * 2012-10-15 2014-05-08 Skg:Kk 導光部材
JP5748235B2 (ja) * 2013-04-08 2015-07-15 ナカ工業株式会社 照明付き鏡
WO2015135535A1 (de) 2014-03-12 2015-09-17 Rittal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zum montieren von geräten, insbesondere elektrogeräten
JP2015215971A (ja) * 2014-05-08 2015-1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DE102014013655A1 (de) 2014-09-15 2016-03-17 Hoffmeister Leuchten Gmbh Leuchte für die Installation in einem Schaltschrank, elektrischer Schaltschrank und optische Einrichtung
JP6444814B2 (ja) * 2015-06-17 2018-12-26 株式会社 ワン・バイ・ワン 照明装置
DE102015114570A1 (de) 2015-09-01 2017-03-02 Rittal Gmbh & Co. Kg Elektrisches Gerät für die Montage im Innern eines Schaltschranks
DE102015120265A1 (de) * 2015-11-23 2017-05-24 Pierre Fabre Dermo-Kosmetik GmbH Beleuchtungsprofil und Regalbeleuchtung mit einem derartigen Beleuchtungsprof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845B1 (ko) * 2015-08-25 2016-03-11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스텝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3210B (zh) 2020-06-09
DE102016107569A1 (de) 2017-10-19
EP3446033A1 (de) 2019-02-27
PL3446033T3 (pl) 2021-01-11
US20190086073A1 (en) 2019-03-21
WO2017182031A1 (de) 2017-10-26
KR20180136449A (ko) 2018-12-24
US10816188B2 (en) 2020-10-27
EP3446033B1 (de) 2020-06-10
JP2019505977A (ja) 2019-02-28
JP6645592B2 (ja) 2020-02-14
CN109073210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13B2 (en) Lighting apparatus
JP5157836B2 (ja) 照明器具
US8864351B2 (en) Vehicle headlamp
KR102151335B1 (ko)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스위치기어 캐비닛 라이트
JP5921649B2 (ja) 照明装置
EP1792119B1 (en) Luminaire with louver members
US9506620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6902704B2 (ja) 道路照明器具
US10429038B2 (en) Transom light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transom light arrangement
KR101653200B1 (ko) 엘이디 간접형 조명장치
JP7412121B2 (ja) 照明装置
JP7227562B2 (ja) 照明装置
KR20120083074A (ko) 배광이 향상된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JP7066416B2 (ja) 手摺笠木
EP3812652B1 (en) Vehicular lamp
KR200483479Y1 (ko) Led의 빛 확산 개선을 위한 실내조명등
KR0135436B1 (ko) 버스용 실내조명장치
KR101016419B1 (ko)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KR101718538B1 (ko) 엘이디 간접형 조명장치
JP2021163636A (ja) 車両用前照灯のランプユニット、車両用前照灯
JP2020161245A (ja) 反射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160000695U (ko) 하이빔 및 로빔을 포함한 헤드라이트 구조
JP6418448B2 (ja) 照明装置
JP2020082747A (ja) 照明装置
JP5740568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