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256B1 - 재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1256B1 KR102151256B1 KR1020200053985A KR20200053985A KR102151256B1 KR 102151256 B1 KR102151256 B1 KR 102151256B1 KR 1020200053985 A KR1020200053985 A KR 1020200053985A KR 20200053985 A KR20200053985 A KR 20200053985A KR 102151256 B1 KR102151256 B1 KR 1021512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cle
- cylinder
- unit
- transfer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fluid lift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4—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물품을 자동으로 승강시켜 반입 또는 반출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보관된 물품의 수량정보, 반입정보 및 반출여부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보관공간이 형성된 선반, 상기 보관공간에 대해 물품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보관공간이 형성된 선반, 상기 보관공간에 대해 물품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물품을 용이하게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고, 보관된 물품의 수량정보, 반입정보 및 반출여부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은 공장에서 생산한 후 박스에 포장하여 창고 내에 마련된 선반에 입고한다. 그리고, 물품은 거래처의 요청에 따라 출고된다.
그리고, 물품의 입출고시 수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물품에 바코드 또는 FRID태그를 부착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정보를 읽어 입출고 또는 재고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부족한 물품은 자동으로 생산함으로 재고량의 부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무거운 물품을 직접 들어서 선반에 반입하거나 또는, 반출하였기 때문에 반입, 반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물품을 자동으로 승강시켜 반입 또는 반출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보관된 물품의 수량정보, 반입정보 및 반출여부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는 이송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물품을 힘들게 들지 아니하고도 용이하게 반입 또는 반출하도록 할 수 있는 이송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물품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작업자와 물품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해주어, 작업자가 물품을 용이하게 들어 올리도록 할 수 있는 이송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에 많은 양의 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는 이송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은,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보관공간이 형성된 선반, 상기 보관공간에 대해 물품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품에 부착되고, 고유의 식별자가 부여된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물품태그, 사용자로부터 정보 요청할 물품을 선택받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며, 물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장착되고 상기 물품태그와 무선 통신하여 태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태그정보에 의한 물품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중앙관리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선반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재고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물품이 탑재되는 버켓, 상기 버켓의 상측에 고정되는 권취부, 상기 버켓이 승강되도록 상기 권취부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켓은,
물품을 지지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충격흡수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는 사이드 가드부,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서 형성되어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고, 상기 권취부가 고정되는 니어 가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가드부는 바닥부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형태로 전개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이 상기 바닥부와 사이드 가드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사이드 가드부가 바닥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기립시키거나 또는 전개되도록 전도시키는 제1회동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버켓에 적재된 물품을 선반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1 실린더, 바닥부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물품을 이송시키고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해 물품을 사이드 가드부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시키는 제1 이송판, 상기 사이드 가드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2 실린더, 상기 사이드 가드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사이드 가드부가 전개 시 제1 이송판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실린더에 의해 제1 이송판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물품을 선반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 이송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켓의 높낮이에 따라 승강되는 제1 부가승강부, 상기 제1 부가승강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관공간에 대해 물품을 승강시키는 제2 부가승강부, 상기 제1 부가승강부에 적재된 물품을 선반에 이송시키는 부가 이송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부가승강부는,
상기 버켓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3 실린더, 상기 제3 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승강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부가승강부는,
상기 제1 승강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4 실린더, 상기 제4 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승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승강판은,
상기 제4 실린더에 결합되는 하층부, 상기 하층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하층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상층부, 상기 상층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채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층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채움부를 상기 상층부의 상면으로 이송시키는 제5 실린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 이송부는,
저면에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제1롤러가 설치된 수레, 상기 수레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 6실린더, 상기 제 6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테이블, 상기 승강테이블의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하부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물품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물품의 양측에 배치되고, 물품과 접촉되는 제2롤러가 축 고정된 한 쌍의 가드판, 상기 수레와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부를 기립시키거나 또는, 회동부가 선반을 향해 하향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는 부가 회동구동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물품을 자동으로 승강시켜 반입 또는 반출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보관된 물품의 수량정보, 반입정보 및 반출여부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을 미는 방식 또는 경사로를 따라 슬라이딩 시키는 방식으로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물품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작업자와 물품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해주어, 작업자가 물품을 용이하게 들어 올리도록 할 수 있는 이송 장치을 제공한다.
그리고,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을 다수 포함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물품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 및 회동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 및 회동구동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과 회동구동부 및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1 부가승강부 및 제2 부가승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서 적용된 제1 부가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2 부가승강부의 구성을 구체화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2 부가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부가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회동부, 안착판, 가드판 및 제2롤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부가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재고관리부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 및 회동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 및 회동구동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과 회동구동부 및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1 부가승강부 및 제2 부가승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서 적용된 제1 부가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2 부가승강부의 구성을 구체화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2 부가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부가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회동부, 안착판, 가드판 및 제2롤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부가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재고관리부를 도시한 블럭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재고관리시스템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 및 회동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 및 회동구동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버켓과 회동구동부 및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1 부가승강부 및 제2 부가승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서 적용된 제1 부가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2 부가승강부의 구성을 구체화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제2 부가승강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부가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회동부, 안착판, 가드판 및 제2롤러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부가 이송부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에 적용된 재고관리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은 창고와 같은 보관장소에서 다양한 종류의 물품(2)을 종류별로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된 물품(2)의 반입과 반출 여부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은 선반(20), 재고관리부, 승강부(30), 이송부(50), 제1 부가승강부(60), 제2 부가승강부(70), 부가 이송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20)은 물품(2)을 보관 및 진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선반(2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대(21), 수직대(21)에 결합되어 물품(2)을 지지하는 지지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2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수직대(21)의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선반(20)에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보관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보관공간에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물품(2)을 다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선반(20)은 다수개로 적용되어 창고의 내부에 종,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재고관리부(10)는 선반(20)에 보관된 물품(2)의 수량을 수시로 파악하고 이를 저장하여 물품(2)의 반입, 반출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재고관리부(10)는 물품태그(11), 선반단말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태그(11)는 물품(2)에 각각 부착되고 고유의 식별자가 부여된 태그정보를 포함한다.
선반단말장치(13)는 선반(20)에 각각 설치되며, 해당 선반에 보관된 물품(2)의 물품태그(11)로부터 태그정보를 수집하여 중앙관리서버(12)에게 무선송신한다. 선반단말장치(13)는 중앙관리서버(12)를 매개로 관리자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관리자단말장치(14)는 중앙관리서버(12)에 무선 접속하여 관리자로부터 정보요청할 물품을 선택받아 중앙관리서버(12)에 전달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으로 중앙관리서버(13)로부터 해당 물품(2)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맵상에 표시하는데, 이러한 관리자 단말장치는 와이브로 기능이 구비된 통산의 PDA(PersonalDigital Assistant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중앙관리서버(12)는 선반단말장치(13)로부터 물품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자단말장치로부터 물품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당해물품에 대한 위치정보, 수량정보, 반입 또는 반출 정보를 제공한다.
재고관리부는 다른 예로 RF 통신모듈(미도시) 및 이를 감지하는 전자태그(미도시)를 포함하여 선반(20)에 보관된 물품의 반입 또는 반출을 파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재고관리부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재고관리부는 전술한 방식 이외에도 공지된 기타 방식들 중 택일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승강부(30)는 보관공간에 대해 물품(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승강부(30)는 선반(20)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되거나 또는, 2개 선반(20)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선반(20)에서 물품(2)을 용이하게 반입 또는 반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승강부(30)가 2개의 선반(20) 사이 마다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승강부(30)는 버켓(31), 권취부(32), 드럼(33), 승강구동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버켓(31)은 물품(2)을 탑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버켓(31)은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두께를 가져 보관물을 지지하는 바닥부(311), 상기 바닥부(311)의 저면에 결합되며, 고무, 실리콘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지면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물품(2)을 보호하는 충격흡수부(312), 바닥부(31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탑재된 물품(2)의 낙하를 방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 가드부(313), 바닥부(311)의 후측에 형성되어 사이드 가드부(313)와 함께 물품(2)의 낙하를 방지하고, 상단에는 권취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리(314a)가 형성된 니어 가드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311)는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사이드 가드부(313) 및 니어 가드부(314)는 모두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버켓(31)에는 일정 면적과 높이를 갖는 탑재공간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물품(2)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권취부(32)는 승강구동부(34)의 회전 동력을 통해 버켓(31)을 선반(20)의 하측으로 하강시키거나 또는, 중앙이나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권취부(32)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길이를 갖는 사슬 또는 와이어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슬 형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권취부(32)는 승강구동부(34)의 회전방향에 따라 드럼(33)에 권취되거나 권췰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부(32)의 하단에는 니어 가드부(314)의 고리(314a)에 고정되는 후크(31a)가 형성된다.
승강구동부(34)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는 모터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DC모터 또는 AC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34)의 모터축은 드럼(33)에 결합된다. 그리고, 선반(20)에는 승강구동부(3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넬(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판넬에는 승강구동부(34)의 모터축을 정방향 작동시키기 위한 정방향 작동버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역방향 버튼 및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정방향 작동버튼을 누르면 권취부(32)가 드럼(33)에 권취되면서 버켓(31)을 점진적으로 상승시키고. 이와 반대로 역방향 작동버튼을 누르면 권취부(32)가 드럼(33)에서 풀리면서 버켓(31)을 점진적으로 하강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승강구동부(34)를 제어하여 버켓(31)을 선반(20)의 하측, 중앙, 상측으로 이동시켜가면서 물품(2)을 반입하거나 반출하면 된다.
전술한 사이드 가드부(313)는 경첩(H)을 통해 바닥부(311)에 결합되어 전도 또는 기립될 수 있다.
사이드 가드부(313)는 기립 될 시 바닥부(311)와 직각을 이루고, 전도 될 시에는 바닥부(311)와 수평을 이루도록 전개된다.
그리고, 바닥부(311)에는 사이드 가드부(313)를 자동으로 전도 또는 기립시키기 위한 회동구동부(40)가 마련된다.
회동구동부(40)는 사이드 가드부(313)의 개수에 대응되게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회동구동부(40)는 에어 또는 오일에 의해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구동부(40)의 실린더 본체는 바닥부(311)의 선단 상면에 경첩 결합되고 피스톤은 사이드 가드부(313)의 선단에 경첩 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의 신축에 따라 사이드 가드부(313)가 작동된다.
전술한 제어판넬에는 회동구동부(40)에 에어 또는 오일을 공급하는 공급버튼 및 에어 또는 오일을 회수하는 회수버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이드 가드부(313)가 바닥부(311)와 직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공급버튼을 누르면 피스톤이 전진되어 사이드 가드부(313)를 전개시키고, 이 상태에서 회수버튼을 누르면 다시 사이드 가드부(313)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바닥부(311)와 직각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제어판넬에 마련된 버튼을 제어하여 버켓(31)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사이드 가드부(313)를 전개시키면, 사이드 가드부(313)의 끝단이 지지판(22)과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송부(50)는 버켓(31)에 적재된 물품(2)을 지지판(22)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송부(50)는 바닥부(311)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1 실린더(51), 사이드 가드부(313)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2 실린더(5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부(311)의 중앙부분 내부에는 제1 실린더(51)가 매립되는 매립홈(311a)이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실린더(51)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체에 구비되는 이송체(51a)의 상면에는 바닥부(31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이송판(52)이 결합된다. 따라서 이송체(51a)는 바닥부(311)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 제1 이송판(52)을 사이드 가이드부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체(51a)의 이송위치에 따라 제1 이송판(52)에 적재된 물품(2)이 사이드 가드부(313)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
사이드 가드부(313)의 중앙부분 내부에는 제2 실린더(53)가 매립되는 매립홈(313a)이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사이드 가드부(313)의 매립홈(313a) 및 제2 실린더(53)는 사이드 가드부(313)가 전도 될 시 바닥부(311)의 매립홈(311a)과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제2 실린더(53)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체에 구비되는 이송체(53a)의 상면에는 사이드 가드부(313)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 이송판(54)이 결합된다. 이로 인해, 이송체(53a)는 사이드 가드부(313)가 전개시 사이드 가드부(313)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선반(20)의 지지판(22) 또는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체(53a)의 이송위치에 따라 제2 이송판(54)에 적재된 물품(2)이 선반(20)의 지지판(22) 또는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
이때, 제2 실린더(53)는 사이드 가드부(313)에 좌측으로 편심되게 매립되고, 제2 이송판(54)은 제1 이송판(52)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이송판(52)이 이동시 제2 이송판(54)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판넬에는 제1 실린더(51) 및 제2 실린더(5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이상 설명한 회동구동부(40) 및 이송부(50)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버켓(31)에 적재된 물품(2)을 선반(20)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 승강구동부(34)를 통해 버켓(31)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물품(2)을 반입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지지판(22)과 바닥부(311)를 수평선상에 위치시킨다.
이후, 회동구동부(40)를 작동시켜 사이드 가드부(313)가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선반(20)의 지지판(22)과 사이드 가드부(313)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에, 제1 실린더(51) 및 제2 실린더(53)를 각각 작동시켜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 및 이에 적재된 물품(2)을 사이드 가드부(313) 측으로 이송시키고, 제2 실린더(53)의 제2 이송판(54)을 바닥부(311)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 및 제2 실린더(53)의 제2 이송판(54)은 서로 마주하는 면이 서로 접하게 됨으로, 작업자는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에 위치된 물품(2)을 제2 실린더(53)의 제2 이송판(54)으로 밀어서 옮긴 후, 제2 실린더(53)의 제2 이송판(54) 및 이에 적재된 물품(2)을 선반(20)과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킨 다음, 제2 실린더(53)의 제2 이송판(54)으로 옮겨진 물품(2)을 밀어서 선반(20)의 지지판(22)으로 옮기면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버켓(31)에 적재된 물품(2)을 직접 들어서 선반(20)으로 옮기지 않아도 됨으로 선반(20)에 물품(2)을 용이하게 반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선반(20)의 지지판(22)에 위치된 물품(2)을 버켓(31)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 승강구동부(34)를 통해 버켓(31)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선반(2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판(22)과 바닥부(311)를 수평선상에 위치시킨다.
이후, 회동구동부(40)를 작동시켜 사이드 가드부(313)가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선반(20)의 지지판(22)과 사이드 가드부(313)가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에, 제1 실린더(51) 및 제2 실린더(53)를 통해 제2 실린더(53)의 제2 이송판(54)이 선반(20)의 지지판(22)과 접하도록 이송시키고,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을 사이드 가드부(313)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선반(20)의 지지판(22)에 위치한 물품(2)을 밀어 제2 실린더(53)의 제2이송판(54)으로 옮긴 후, 제2 실린더(53)의 제2이송판(54)을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과 접하도록 이송시킨다.
이후에, 제2 실린더(53)의 제2 이송판(54)에 위치된 물품(2)을 밀어서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으로 옮긴 후, 제1 실린더(51)의 이송체(51a)가 바닥부(311)의 중앙으로 이송되도록 작동시켜 물품(2)이 바닥부(311)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지게차와 같은 이송장비를 버켓(31)의 전방에 위치시킨 다음, 승강구동부(34)를 통해 버켓(3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이송장비의 적재함에 일치시킨 후, 제1 실린더(51)의 제1 이송판(52)으로 옮겨진 물품(2)을 적재함으로 밀어서 옮기면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버켓(31)에 적재된 물품(2)을 직접 들어서 적재함으로 옮기지 않아도 됨으로 선반(20)에 물품(2)을 용이하게 반입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선반(20)의 지지판(22)에 물품(2)이 남아있을 경우 제2 실린더(53)의 제2 이송판(54)으로도 물건을 옮긴 후, 적재함으로 옮기면 됨으로 한번에 많은 양의 물품(2)을 반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부가승강부(60)는 버켓(31)의 높낮이에 따라 작업자를 승강시켜 물품(2)을 용이하게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물품(20)을 상승시켜 부가 이송부(9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부가승강부(60)는 오일에 의해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버켓(31)의 전방에 위치되어 선반(20)의 사이마다 위치되는 제3 실린더(61), 제3 실린더(61)에 의해 승강되는 제1승강판(6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판넬에는 제3 실린더(61)에 오일을 공급하는 공급버튼 및 오일을 회수하는 회수버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손에 닿지 않는 선반(20)의 상측에 위치된 지지판(22)에 물품(2)을 반입하거나 또는, 반출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제1승강판(62)에 올라간 다음 제3실린더(61)의 피스톤을 상승시켜 제1승강판(62)을 적정한 높이로 상승시킴으로써, 선반(20)의 높은 곳에 위치한 지지판(22)에 물품(2)을 용이하게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실린더(61)의 저면에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롤러가 설치되며 사각판 또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판(미도시)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부가승강부(60)를 창고에 배치된 모든 선반(20)에 선택적으로 이송시켜 가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 이송부(90)는 제1 승강판(62)에 물품(2)을 적재하게 될 경우, 이 물품(2)을 선반(20)에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부가 이송부(90)는 수레(91), 제6 실린더(92), 승강테이블(93), 지지대(94), 회동부(95), 안착판(96), 가드판(97), 부가 회동구동부(98)를 포함할 수 있다.
수레(91)는 평평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 네 모서리 부분에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제1 롤러(911)가 설치된다.
따라서, 부가 이송부(90)를 제1 부가승강부(60)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제6 실린더(92)는 수레(91)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 6실린더(92)는 에어 또는 오일에 의해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제6 실린더(92)는 전술한 제어판넬에는 제6 실린더(92)에 에어 또는 오일을 공급하는 공급버튼 및 에어 또는 오일을 회수하는 회수버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수버튼을 누르면 피스톤이 승강테이블(93)을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공급버튼을 누르면 피스톤이 승강테이블(93)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지지대(94)는 수레(91)의 상면에 수직 설치된다.
지지대(94)는 일정한 높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부(95)는 지지대(94)의 상면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회동부(95)는 일정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며 지지대(9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판(96)은 회동부(95)가 기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회동부(95)의 하부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물품이 안착된다.
가드판(97)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 가드판(97)은 안착판(96)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안착판(96)에 안착된 물품(2)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가 회동구동부(98)는 에어 또는 오일에 의해서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회동구동부(98)의 실린더 본체는 수레(91)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고 피스톤은 회동부(95)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수평바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의 신축에 따라 부가 회동구동부가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전술한 제어판넬에는 부가 회동구동부에 에어 또는 오일을 공급하는 공급버튼 및 에어 또는 오일을 회수하는 회수버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회동부(95)가 지지대(94)와 수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회수버튼을 누르면 피스톤이 하강되어 회동부(95)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상태에서 공급버튼을 누르면 피스톤이 상승되어 회동부(95)가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다시 지지대(94)와 수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부가 이송부(90)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선반과 제1 부가승강부(60)의 사이에 부가 이송부(90)를 위치시킨다.
이후, 제3 실린더(61)를 통해 제1 승강판(62)을 상승시키고, 제6 실린더(92)를 통해 승강테이블(93)을 상승시켜 안착판(96)과 제1승강판(62)을 수평선상에 위치시킨 다음, 제1승강판(62)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2)을 안착판(96)으로 밀어서 옮긴다.
이후, 부가 회동구동부(98)를 통해 회동부(95)를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회동부(95)가 선반의 지지판(22)의 상면을 향해 하향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안착판(96)에 안착되었던 물품(2)은 회동부(95)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지지판(22)으로 자동 이송되며, 그 과정에서 제2 롤러(971)가 제자리 회전되면서 물품(2)의 슬라이딩 이동을 추진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판(22)으로 이송된 물품(2)을 가지런하게 정렬하면 된다.
제2 부가승강부(70)는 버켓(31)과 함께 물품(2)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 부가승강부(70)는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승강판(62)의 측면에 고정되어 제3 실린더(61)에 의해 승강될 수 있는 제4 실린더(71), 제4 실린더(71)에 의해 승강되는 제2 승강판(7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어판넬에는 제4 실린더(7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4 실린더(71)는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 또는 제1 승강판(62)에 위치한 작업자에게 제2 승강판(72)에 적재된 물품(2)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3 실린더(61)를 통해 제4 실린더(7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제4 실린더(71)를 통해 제2 승강판(72)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 승강판(72)에 물품(2)을 추가로 적재하여 반입하거나 반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버켓(31)만 이용해서 물품(2)을 반입 또는 반출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물품(2)을 반입 또는 반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2승강판(72)은 작업자가 물품(2)을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층부(721), 상층부(722), 채움부(723)를 더 포함하고, 상층부(722)의 내부공간에는 채움부(723)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5 실린더(80)가 설치된다.
하층부(721)는 사각판 블럭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층부(722)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층부(722)는 하층부(721)의 상면 중앙부분에 고정되고 그 면적은 하층부(721)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층부(721)와 상층부(722)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ㅗ'자 형상이 된다.
상층부(722)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출입홀(722a)이 형성된다.
채움부(72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층부(721)의 양측 여백(S)부분을 채운다.
제5 실린더(80)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실린더(80)는 2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채움부(723)를 각각 제어한다.
제5 실린더(80)는 상층부(722)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하층부(721)의 상면에 고정된다.
채움부(723)가 상층부(722)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에 피스톤이 전진되면, 채움부(723)는 외부로 인출되어 상층부(722)의 상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이 후진되면 채움부(723)는 다시 상층부(722)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제5 실린더(80)를 통해 채움부(723)를 인출시킨 다음, 상층부(722)에 물품(2)을 적재한 후, 제4 실린더(71)를 통해 제2 승강판(72)을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물품(2)이 흔들리더라도 채움부(723)가 물품(2)의 저면을 지지하게 됨으로, 물품(2)을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물품(2)을 상승 또는 하강 한 후에 제5 실린더(80)를 통해 채움부(723)를 상층부(722)의 내부공간에 인입시키면 상층부(722)의 양측에 공간(S)이 형성됨으로, 양 공간(S)에 오른손과 왼손을 각각 넣어 상층부(722)에 적재된 물품(2)의 양측 밑면을 잡은 후 용이하게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이송 장치 10 : 재고관리부
11 : 물품태그 12 : 중앙관리서버
13 : 선반단말장치 20 : 선반
21 : 수직대 22 : 지지판
30 : 승강부 31 : 버켓
31a : 후크 311 : 바닥부
312 : 충격흡수부 313 : 사이드 가드부
311a, 313a : 매립홈 314 : 니어 가드부
314a : 고리 32 : 권취부
33 : 드럼 34 : 승강구동부
40 : 회동구동부 50 : 이송부
51 : 제1 실린더 52 : 제1 이송판
53 : 제2 실린더 54 : 제2 이송판
60 : 제1 부가승강부 61 : 제3 실린더
62 : 제1 승강판 70 : 제2 부가승강부
71 : 제4 실린더 72 : 제2 승강판
721 : 하층부 722 : 상층부
722a : 출입홀 723 : 채움부
80 : 제5 실린더 90 : 부가 이송부
91 : 수레 911 : 제1 롤러
92 : 제6 실린더 93 : 승강테이블
94 : 지지대 95 : 회동부
96 : 안착판 97 : 가드판
971 : 제2 롤러 98 : 부가 회동구동부
11 : 물품태그 12 : 중앙관리서버
13 : 선반단말장치 20 : 선반
21 : 수직대 22 : 지지판
30 : 승강부 31 : 버켓
31a : 후크 311 : 바닥부
312 : 충격흡수부 313 : 사이드 가드부
311a, 313a : 매립홈 314 : 니어 가드부
314a : 고리 32 : 권취부
33 : 드럼 34 : 승강구동부
40 : 회동구동부 50 : 이송부
51 : 제1 실린더 52 : 제1 이송판
53 : 제2 실린더 54 : 제2 이송판
60 : 제1 부가승강부 61 : 제3 실린더
62 : 제1 승강판 70 : 제2 부가승강부
71 : 제4 실린더 72 : 제2 승강판
721 : 하층부 722 : 상층부
722a : 출입홀 723 : 채움부
80 : 제5 실린더 90 : 부가 이송부
91 : 수레 911 : 제1 롤러
92 : 제6 실린더 93 : 승강테이블
94 : 지지대 95 : 회동부
96 : 안착판 97 : 가드판
971 : 제2 롤러 98 : 부가 회동구동부
Claims (2)
-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보관공간이 형성된 선반,
상기 보관공간에 대해 물품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에 부착되고, 고유의 식별자가 부여된 태그정보를 포함하는 물품태그, 사용자로부터 정보 요청할 물품을 선택받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중앙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며, 물품이 진열되는 선반에 장착되고 상기 물품태그와 무선 통신하여 태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태그정보에 의한 물품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중앙관리서버로 무선 송신하는 선반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재고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물품이 탑재되는 버켓,
상기 버켓의 상측에 고정되는 권취부,
상기 버켓이 승강되도록 상기 권취부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켓은,
물품을 지지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충격흡수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는 사이드 가드부,
상기 바닥부의 후측에서 형성되어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고, 상기 권취부가 고정되는 니어 가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가드부는 바닥부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형태로 전개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이 상기 바닥부와 사이드 가드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사이드 가드부가 바닥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기립시키거나 또는 전개되도록 전도시키는 제1회동구동부,
상기 버켓에 적재된 물품을 선반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버켓의 높낮이에 따라 승강되는 제1 부가승강부,
상기 제1 부가승강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관공간에 대해 물품을 승강시키는 제2 부가승강부,
상기 제1 부가승강부에 적재된 물품을 선반에 이송시키는 부가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1 실린더,
바닥부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물품을 이송시키고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해 물품을 사이드 가드부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이송시키는 제1 이송판,
상기 사이드 가드부의 내부에 매립되는 제2 실린더,
상기 사이드 가드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사이드 가드부가 전개 시 제1 이송판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실린더에 의해 제1 이송판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물품을 선반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 이송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가승강부는,
상기 버켓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3 실린더,
상기 제3 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1 승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가승강부는,
상기 제1 승강판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4 실린더,
상기 제4 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승강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승강판은,
상기 제4 실린더에 결합되는 하층부, 상기 하층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하층부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면에 물품이 적재되는 상층부, 상기 상층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채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층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채움부를 상기 상층부의 상면으로 이송시키는 제5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부가 이송부는,
저면에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되는 제1롤러가 설치된 수레,
상기 수레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 6실린더,
상기 제 6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테이블,
상기 승강테이블의 상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하부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물품이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물품의 양측에 배치되고, 물품과 접촉되는 제2롤러가 축 고정된 한 쌍의 가드판,
상기 수레와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부를 기립시키거나 또는, 회동부가 선반을 향해 하향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키는 부가 회동구동부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985A KR102151256B1 (ko) | 2020-05-06 | 2020-05-06 | 재고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985A KR102151256B1 (ko) | 2020-05-06 | 2020-05-06 | 재고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1256B1 true KR102151256B1 (ko) | 2020-09-02 |
Family
ID=7246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985A KR102151256B1 (ko) | 2020-05-06 | 2020-05-06 | 재고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25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93348A (zh) * | 2020-09-14 | 2020-12-18 | 六安科亚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装卸货架及控制方法 |
CN116620770A (zh) * | 2023-07-21 | 2023-08-22 |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 一种具有自动整理货物上下货物的货架结构 |
CN116873441A (zh) * | 2023-08-16 | 2023-10-13 | 苏州奥格瑞玛仓储设备有限公司 | 一种基于货架小车的立体储存仓库 |
CN117533688A (zh) * | 2024-01-09 | 2024-02-09 | 湖南志合智能装备有限公司 | 一种适用自动化仓储的智能工业网料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2427B1 (ko) * | 1993-06-22 | 2002-06-20 | 제임스 이. 미러 | 자동창고 |
KR100549658B1 (ko) | 2000-10-16 | 2006-02-06 | 가부시키 가이샤 메이덴샤 | 하물의 재고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
2020
- 2020-05-06 KR KR1020200053985A patent/KR1021512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2427B1 (ko) * | 1993-06-22 | 2002-06-20 | 제임스 이. 미러 | 자동창고 |
KR100549658B1 (ko) | 2000-10-16 | 2006-02-06 | 가부시키 가이샤 메이덴샤 | 하물의 재고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93348A (zh) * | 2020-09-14 | 2020-12-18 | 六安科亚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装卸货架及控制方法 |
CN116620770A (zh) * | 2023-07-21 | 2023-08-22 |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 一种具有自动整理货物上下货物的货架结构 |
CN116620770B (zh) * | 2023-07-21 | 2023-10-20 |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 一种具有自动整理货物上下货物的货架结构 |
CN116873441A (zh) * | 2023-08-16 | 2023-10-13 | 苏州奥格瑞玛仓储设备有限公司 | 一种基于货架小车的立体储存仓库 |
CN116873441B (zh) * | 2023-08-16 | 2023-12-29 | 苏州奥格瑞玛仓储设备有限公司 | 一种基于货架小车的立体储存仓库 |
CN117533688A (zh) * | 2024-01-09 | 2024-02-09 | 湖南志合智能装备有限公司 | 一种适用自动化仓储的智能工业网料架 |
CN117533688B (zh) * | 2024-01-09 | 2024-04-02 | 湖南志合智能装备有限公司 | 一种适用自动化仓储的智能工业网料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1256B1 (ko) | 재고 관리 시스템 | |
JP6929876B2 (ja) | 保管システム | |
US9725241B2 (en) | Storage and picking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with autonomously moving shelf-serving devices | |
EP3700836B1 (en) |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
KR102324862B1 (ko) | 재고 관리 시스템 | |
US20220194705A1 (en) | A system for providing secure storing and retrieving of personal storage containers via an interaction area | |
EP1855981A2 (en) | Automated parking garage | |
EP3580150B1 (en) | System for tire storage, retrieval, and inventory management | |
KR102430023B1 (ko) | 리프트 장치가 구비된 부품 재고 관리 시스템 | |
US9710783B1 (en) | System for tire storage, retrieval, and inventory management | |
US20240025643A1 (en) |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comprising an access station compartment | |
CN111137812A (zh) | 搬运小车 | |
CN212291486U (zh) | 一种物流仓储用托举装置 | |
CN218538012U (zh) | 一种拣选系统 | |
KR100961711B1 (ko) | 팔레트 출하 시스템 | |
ITBO20010701A1 (it) | Sistema per lo stoccaggio ed il recupero automatico di oggetti , e dispositivo di trasferimento impiegato nel sistema . | |
JPH0656220A (ja) | 自動倉庫の入出庫管理方法 | |
EP3861891A1 (en) | Storage and picking system | |
JPH0834506A (ja) | 物品搬送装置 | |
JP2605289Y2 (ja) | 空パレットマガジンを備えたラック | |
JP5305080B2 (ja) | 物品収納設備 | |
WO2024132386A1 (en) | Load handing device | |
EP4132868A1 (en) | Matrix-picking | |
JP5776936B2 (ja) |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物品積付け方法 | |
JP2000327109A (ja) | 自動倉庫出庫口における物品仮受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