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427B1 - 자동창고 - Google Patents

자동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427B1
KR100322427B1 KR1019940014126A KR19940014126A KR100322427B1 KR 100322427 B1 KR100322427 B1 KR 100322427B1 KR 1019940014126 A KR1019940014126 A KR 1019940014126A KR 19940014126 A KR19940014126 A KR 19940014126A KR 100322427 B1 KR100322427 B1 KR 10032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torage
shelf
storage rack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43A (ko
Inventor
후나쯔키고우지
요네자와야스아키
오오하라겐이찌
나까오도시유키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임스 이. 미러
Publication of KR95000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수납선반을 가진 수납랙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상기한 수납선반으로부터 물품을 넣고 꺼내는 물품출납기로 이루어진 자동창고에있어서, 상기한 수납랙에 수납된 소정의 물품을 후공정으로 보내지 않고 간단하게 취출하도록 한다.
수납선반(10)에 수납된 소정의 물품(20)을 물품출납기(100)에의해 옮기는 것이 가능하며, 수납랙(12)의 소정위치에 이 소정의 물품(20)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선반(16)을 설치한다. 이것에의해 불량품등을 물품출납기(100)을 사용해서 취출선반(16)으로 이송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 창고
본 발명은 창고 내에 설치된 수납 랙에 있는 상하좌우로 나란한 복수의 수납 선반으로부터 물품을 자동적으로 반출 및 반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 창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자동 창고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1-127609 호에 개시되어 바와 같이 수납 랙을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체와, 이 이동체에 설치되며 수납 랙에 있는 각 수납 선반으로부터 물품을 출입시키는 출입체를 갖고 있는 물품 출납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술한 수납 랙 부근의 소정 위치에는 이전 공정 등으로부터 반송되어 온 물품을 수납 랙에 반입하기 위한 물품 반입 위치와, 수납 랙으로부터 취출된 물품을 다음 공정으로 반출하기위한 물품 반출 위치가 각각 설정되며, 상기 물품 출납체의 출입체는 이들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에서 이들 물품의 주고받음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수납 랙으로 물품을 반입 및 반출하는 경우, 이동체는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와 각 수납 선반 사이를 이동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 이동체의 이동 범위가 넓으면 그만큼 이동체의 이동 시간이 더 소요되므로 물품의 반입 및 반출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이 때문에, 수납 랙의 소요의 수납 능력은 확보하면서, 이동체의 이동 범위가 축소되도록 각 수납 선반과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를 레이아웃(layout)시키는 것이 요청된다.
종래의 자동 창고에 있어서는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가 수납 랙의 좌우 양측이 하부에 나눠서 설정된 것이 많았다. 이 경우, 이동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는 수납 랙의 좌우 방향의 길이에 수납 랙의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까지의 거리를 각기 더한 범위가 되므로, 수납 랙의 수납 능력에 비해서 상당히 넓었다.
또한, 수납 랙과,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의 설정에 필요한 공간을 가능한 한 줄여서, 자동 창고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수납 랙의 좌우양쪽의 하부로 나눠서 물품 반입 위치 및 반출 위치가 설정되어 있던 종래의 자동 창고에서는 이들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의 위쪽 부분은 빈 공간이 되는 등 창고내의 공간이 유효하게 이용되지 않았다.
또한, 수납 랙에 수납된 물품 중에 불량품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불량품이 발견된 경우에는 이와 같은 불량품을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 않고 미리 취출해야 한다는 요청도 있다. 또한, 물품의 발췌 검사를 행하는 경우가 있으며, 종래는 다음 공정으로 반송되어 온 물품을 몇 개씩 발췌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이와 같은 발췌 검사도 다음 공정에서 행하지 않고 수납 랙에 수납된 물품을 직접 취출해서 행하면 편리하다.
종래의 자동 창고에서는 수납 랙으로부터 불량품 등의 소정 물품을 취출하는 것을 전용으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와 같은 소정 물품의 취출을 행하기에는 물품을 물품 반입 위치 또는 물품 반출 위치로 이송해서 그곳에서 취출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가 물품의 취출에 적당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는 없고,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에는 통상 상기 물품 출납체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주고받음을 행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장치는 물품을 취출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에서 물품을 취출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하였다. 한편, 물품의 취출을 용이하게 행하도록 상기 주고받음용의 장치 등을 개량한다거나, 또 물품의 취출을 전용으로 행하기 위한 장치를 새로 설치하는 것은 단가가 크게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납 랙의 소요의 수납 능력을 확보하면서 이동체의 이동 범위를 단축할 수 있고, 수납 랙과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의 설정에 필요한 공간의 생략을 가능하게 한 자동 창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납 랙에 수납된 소정의 물품을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 않고, 기존의 장치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취출시키도록 한 자동 창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자동 창고는, 상하좌우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납 선반(10)을 가진 수납 랙을 따라서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선반(10)으로부터 물품(20)을 출입함과 동시에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에서 상기 물품(20)을 주고 받는 출입체(90)를 구비한 물품 출납체(100)로 구성된 자동 창고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는 상기 수납 랙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한쪽이 다른 쪽의 거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복수의 수납 선반(10)의 일부는 상기 물품 반입 위치(A)와 물품 반출 위치(B) 사이에 돌출시켜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자동 창고는,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한 자동 창고의 구성과 합쳐서, 상기 물품 출납체(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납 랙과 마주한 위치에는 제 2 수납 랙(14)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수납 랙(14)에는 상기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와 마주하는 위치에도 상기 복수의 수납 선반의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물품을 물품 출납체에 의해 옮기는 것이 가능한 수납 랙의 소정 위치에 물품 반출용의 취출 선반을 설치하는 것으로 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자동 창고는, 상하좌우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납 선반(10)을 가진 수납 랙을 따라서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선반(10)으로부터 물품(20)을 출입함과 동시에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에서 상기 물품(20)을 주고 받는 출입체(90)를 구비한 물품 출납체(100)로 구성된 자동 창고에 있어서, 상기 수납 랙에는 상기 수납 선반(10)에 수납된 소정의 물품(20)을 상기 물품 출납체(100)에 의해 상기 수납 선반(10)으로부터 옮기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취출 선반(16)이 설치되고, 이 취출 선반(16)으로 옮겨진 상기 물품(20)이 상기 취출 선반(16)을 통하여 취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자동 창고는, 상기한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자동 창고의 구성과 합쳐서, 상기 취출 선반(16)은 상기 취출 선반(16)으로 옮겨진 상기 물품(20)을 상기 수납 랙의 뒤쪽으로부터 꺼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창고에 의하면, 물품 반입 위치 및 물품 반출 위치가 수납 랙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며, 한쪽이 다른쪽의 거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물품 반입 위치와 물품 반출 위치가 상하로 겹쳐진 만큼, 물품 반입 위치와 물품 반출 위치가 수납 랙의 좌우양쪽 하부에 나눠서 설정되어 있던 종래의 자동 창고와 비교해서 이동체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좁히는 것이 가능하고, 그만큼 수납 랙으로의 물품의 반입 및 반출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물품 반입 위치와 물품 반출 위치 사이의 공간을 빈 공간이 되지않도록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여기에 복수의 수납 선반의 일부를 돌출시켜 설치함으로써 수납 랙의 수납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이 돌출시켜 설치한 만큼 수납 랙의 다른 부분에 위치한 수납 선반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외의 부분에 위치한 수납 선반을 제거함으로써 그 제거된 만큼 수납 랙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 창고 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창고에서는, 수납 랙에 있는 수납 선반에 수납된 불량품, 발췌 물품 등의 소정의 물품은 물품 출납체에 의해 취출 선반으로 옮겨져 그곳에서 사람 등에 의해 취출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취출 선반은 수납 선반에 수납된 소정의 물품을 물품 출납체에 의해 옮기는 것이 가능한 수납 랙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소정의 물품을 물품 출납체에 의해 수납 선반으로부터 취출 선반으로 옮길 수가 있으므로, 그곳으로부터 소정의 물품을 쉽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기존의 위치에 특별한 개량을 가한다거나, 물품 취출용의 장치를 새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창고에 의하면, 수납 랙에 수납된 소정의 물품을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 않고, 기존의 장치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자동 창고에 의하면, 취출 선반으로 옮겨진 물품을 수납 랙의 뒤쪽으로부터 취출하므로, 물품 출납체의 이동에 지장을 주는 일 없이 소정의 물품의 취출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창고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창고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창고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자동 창고의 평면도이고, 제 3 도는 제 1 도의 자동 창고의 좌측면도이다. 단, 제 1 도 및 제 2 에서 물품 출납체(100)(후술함)의 위치는 상이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 창고에서는 상하좌우로 나란한 다수의 수납 선반(10)을 각각 구비한 제 1 수납 랙(12) 및 제 2 수납 랙(14)이, 수납 선반(10)의 수납구 쪽을 서로 대향시켜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자동 창고는 이전 공정으로부터 이송된 물품(20)을 수납 랙(12, 14)으로의 물품 반입 위치(A)(제 1 도 참조)까지 반입하는 반입 장치(30)와, 수납 랙(12, 14)으로부터 물품 반출 위치(B)(제 1 도 참조)로 이송된 물품(20)을 다음 공정으로 반출하는 반출 장치(40)와, 각 수납 랙(12, 14)에 제공된 각 수납 선반(10)으로부터 물품(20)의 출입을 행함과 아울러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에서 물품(20)의 주고 받음을 행하는 물품 출납 장치(50)를 갖추고 있다.
상기 반입 장치(30)는 바닥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32)와, 이 컨베이어 벨트(32)의 하류단 쪽에 설치된 컨베이어 롤러(34)를 갖추고 있다(제 1 도 참조). 컨베이어 롤러(34)는 얹혀진 물품(20)의 방향을 90° 바꾸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컨베이어 롤러(34)의 하부에는 물품(20)을 주고 받을 때에 컨베이어 롤러(34)에얹혀진 물품(20)을 들어올리는 리프터(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출 장치(40)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설치된 레일(42)을 따라서 주행하는 주행식의 주행체(44)와, 레일(42)을 따라 주행하도록 레일(42)에 매달리는 형태로 상기 주행체(44)에 연결된 적재대(46)를 갖추고 있다. 적재대(46)는 상기 물품 출납 장치(50)로부터 주고 받은 물품(20)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가지며, 그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20)을 다음 공정까지 보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품 출납 장치(50)는 기부(60)와, 이 기부(60)에 세워진 기둥(70)과, 이 기둥(70)을 따라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기(80)와, 수납 선반(10)을 향해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승강기(80)에 설치된 출입체(90)로 구성된 물품 출납체(100)와; 기부(60)와 승강기(80)를 각각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56, 78)(후술함)과 이들 구동 수단(56, 78) 등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양 수납 랙(12, 14) 사이의 바닥면에는 그 양 수납 랙(12, 14)을 따라서 바닥 레일(5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부(60)는 이 바닥 레일(52)을 따라서 양 수납 랙(12, 14)의 좌우방향(제 1 도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휠(61)을 거쳐서 바닥 레일(52) 상에 설치되어 있다. 기부(60)의 이동방향의 일단에는 타이밍 벨트(54)의 일단이, 그리고 기부의 이동방향의 타단에는 타이밍 벨트(54)의 타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이 타이밍 벨트(54)는 바닥 레일(52)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설치된 구동 수단(56)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 기어(58)와, 바닥 레일(52)의 길이방향의 타단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기어와의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있다.타이밍 벨트(54)는 구동 기어(58)와 결합하고 있고, 이 구동 기어(58)가 구동 수단(56)에 의해 회전구동됨으로써 상기 기부(60)의 바닥 레일(52)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70)의 하단은 기부(60)에 고정되며, 기둥의 상단에는 한쌍의 가이드 롤러(72)가 설치되어 있다(제 3 도 참조). 상기 바닥 레일(52)의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는 그 바닥 레일(52)과 평행하게 천정 레일(53)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둥(70)의 상단은 이 천정 레일(53)을 따라서 안내되도록 상기 한쌍의 가이드 롤러(72)를 거쳐서 천정 레일(5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둥(70)의 상단에는 기어(73)가 그리고 하단에는 기어(74)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둥(70)의 상하단에 각각 지지된 기어(73, 74) 사이에는 이들 양 기어(73, 74)와 결합하는 타이밍 벨트(76)가 걸쳐져 있으며, 이 타이밍 벨트(76)의 일단은 상기 승강기(80)의 상단에, 그리고 타이밍 벨트의 타단은 승강기(80)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부(60)에는 구동 기어(77)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 수단(78)이 설치되며, 이 구동 기어(77)와 기둥(70)의 하단의 기어(74) 사이에는 보조 벨트(79)가 걸쳐져 있다. 구동 수단(78)의 회전구동력은 구동 기어(77) 및 보조 벨트(79)를 거쳐서 기둥(70)의 하단에 부착된 기어(74)에 전달되며, 그 기어(74)가 회전구동함으로써 상기 승강기(80)는 기둥(70)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승강기(80)는 이동체를 구성하는 것이므로 상기 기부(60)의 좌우방향의 이동과 승강기(80) 자체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의해 승강기(80)는 각 수납랙(12, 14)에 제공된 각 수납 선반(1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승강기(80)와 상기 출입체(90)의 상세한 구성을 제 4 도 내지 제 7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4 도는 승강기(8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제 5 도는 제 4 도의 승강기의 평면도이고, 제 6 도는 출입체(9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제 4 도에 있어서 X방향의 사시도) 및 제 7 도는 제 6 도에 도시한 출입체의 단면도[제 4 도에 도시한 출입체(90)의 확대 단면도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80)는 기둥(70)의 세개의 측면을 둘러싸는 "ㄷ"자형으로 형성된 새들(81)과, 이 새들(81)에 각각의 일단이 고정된 한쌍의 아암(82)을 갖추고 있다. 새들(81)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84)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기둥(70)의 측면에는 그 기둥(70)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85)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새들(81)은 가이드 롤러(84)를 거쳐서 가이드 레일(85)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체(90)는 상기 한쌍의 아암(82) 사이에 설치된 고정체(91)와, 이 고정체(91)에 대해서 전후 이동가능하게(도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1 가동체(92)와, 이 제 1 가동체(92)에 대해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가동체(93)를 갖추고 있다. 이 제 2 가동체(93)의 상면이 상기 물품(20)의 적재면이며, 이 적재면에는 물품(20)의 전후방향(도면에서 좌우방향)의 위치결정 스토퍼(94)가 부착되어 있다.
제 7 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91)에는 복수개의 제 1 피니언(95)이 정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제 1 피니언(95)은 제 4 도에 도시한 구동 모터(96)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 기어(97)(제 6 도 참조)에 복수개의 감속 기어(98)를 거쳐서 맞물려 있다. 제 1 가동체(92)에는 제 1 피니언(95)과 맞물린 제 1 랙 부재(99)가 출입체(90)의 길이방향(제 7 도의 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동체(92)에는 제 2 피니언(101)이 정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제 2 피니언(101)은 상기 고정체(91)에 상기 제 1 랙 부재(99)와 평행하게 연장하여 고정설치된 제 2 랙 부재(102)와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동체(93)에는 상기 제 2 피니언(101)과 맞물린 제 3 랙 부재(103)가 출입체(9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체(91)에는 제 1 가동체(92)를 전후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04, 105)가, 그리고 제 2 가동체(93)에는 그 자신을 제 1 가동체(92)에 대해서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106, 107)가 각기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96)의 회전 구동력은 구동 기어(97) 및 감속 기어(98)를 통해서 상기 고정체(91)에 축이 지지된 제 1 피니언(95)으로 전달된다. 제 1 피니언(95)이 회전하면 제 1 피니언(95)에 맞물린 제 1 랙 부재(99)를 가진 제 1 가동체(92)가 고정체(91)에 대해서 전후 이동한다. 그와 동시에 제 2 랙 부재(102)와 맞물린 제 2 피니언(101)이 회전하고, 제 2 피니언(101)과 맞물린 제 3 랙 부재(103)를 가진 제 2 가동체(93)가 제 1 가동체(92)에 대해서 전후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와 수납 랙(12)을가진 수납 선반(10)의 레이아웃에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 반입 위치(A)는 도면의 좌측하부에 제 1 수납 랙(12)과 나란하게 설정되며, 물품 반출 위치(B)는 상기 물품 반입 위치(A)의 거의 바로 위에 소정 거리 떨어져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품 반입 위치(A)와 물품 반출 위치(B) 사이에는 제 1 수납 랙(12)에 있는 복수의 수납 선반(10)의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와 각 수납 선반(10)을 조밀하게 레이아웃함으로써 물품(20)을 반입 및 반출할 때 물품 출납체(100)의 좌우로의 이동 범위를 좁힐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물품(20)의 반입 및 반출을 높은 효율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요의 수납 능력을 확보하면서 제 1 수납 랙(12)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창고내의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수납 랙(14)에는 상기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와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도 수납 선반을 설치하여, 수납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수납 선반(10)에 수납된 소정의 물품(20)을 물품 출납체(100)에 의해 이송하는 것이 가능한 수납 랙(12)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물품(20)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 선반(16)을 설치한 점에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취출 선반(16)은 제 1 수납 랙(12)의 좌우방향의 단부중 물품 반입 위치(A)와 떨어진 쪽의 하부에 1개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선반(16)의 뒤쪽에는 개폐가능한 도어(17)와, 물품(20)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레일(18)이 설치되어, 물품 출납체(100)에 의해 취출 선반(16)으로 이송된 물품(20)을 사람 등이 꺼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취출 선반(16)을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설치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즉, 수납 선반(10)에 일단 수납된 물품(20)을 취출 선반(16)으로 옮겨서 취출하는 것은 불량품이 발견된 경우나 물품(20)의 발췌 검사를 행하는 경우 등 특정의 경우에 한정되므로, 물품(20)의 통상의 출입을 효율좋게 행하려면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로부터 취출 선반(16)의 위치를 이격시키고, 취출 선반(16)으로 옮겨진 물품(20)을 사람 등이 꺼내는 것을 고려해서 꺼내기 쉬운 높이에 취출 선반(16)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취출 선반(16)을 1개로 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80)는 출입체(90)에 적재된 물품(20)을, 물품 출납체(100)의 좌우로의 이동방향(도면에서 좌우방향)의 양쪽으로부터 파지하는 클램프 수단(110)을 갖추고 있다. 이 클램프 수단(110)은 승강기(80)의 아암(82)에 고정된 지지대(111)와, 이 지지대(111)의 상부에 고정된 유압 실린더 장치(112)로 이루어진 클램프 베이스부(113)를, 출입체(99)를 사이에 파지하는 형태로 좌우 한쌍 구비하고 있다. 유압 실린더 장치(112)는 유압에 의해 물품(20)을 향해서 전후 이동하는 클램프(114)를 가지며, 이 클램프(114)를 출입체(90)에 적재된 물품을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물품(20)을 좌우양쪽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클램프(114)의 선단부에는 출입체(90)의 전후 이동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가이드 부재(115)가 클램프(114)와 함께 전후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클램프 수단(110)은 이 가이드 부재(115)를 통해서 상기 클램프(114)에 의해 물품(20)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15)는 물품(20)이 출입될 때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20)과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출입되는 물품(20)을 안내해서 물품(20)이 출입 도중에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물품(20)이 출입될 때 상기 클램프(114)의 이동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양 가이드 부재(115)의 위치를 물품(20)의 안내에 적합한 위치[예를 들면 제 5 도에 도시한 위치보다는 더욱 물품(20)에 가까운 위치 등]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 8 도는 물품 출납체(100)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제 9 도는 제 8 도의 물품 출납체의 평면도이다. 제 8 도 및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60)의 이동방향(도면에서 좌우방향)의 양 단부에는 각각 안전 장치(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 장치(120)는 기부(60)의 이동중에 그 이동 경로 상에 있는 것과 충돌가능하게 배치된 충돌체(121)와, 이 충돌체(121)를 충돌시에 기부(60)의 이동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면서도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게 지지하는 완충 지지 수단(122)을 갖추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돌체(121)는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로드(123)와, 이 양 로드(123)의 각 선단 사이에 설치된 수평 부재(124)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편 완충 지지 수단(122)은 기부(60)의 이동방향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충돌체(121)의 로드(123)가 삽입되어 있는 지지 부재(125)와, 이 지지 부재(125)[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부재(125a)]와 상기 충돌체(121)의 수평 부재(124) 사이에서 상기로드(113)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126)을 갖추게 된다. 또한, 지지 부재(125)는 기부(60)의 이동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 2개의 부재(125a, 125b)로 이루어지며, 부재(125b)는 상기 로드(123)의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안전장치(120)는 상기 충돌체(121)가 기부(60)의 이동방향으로 변위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127)을 갖추고 있다. 이 검출 수단(127)은 상기 로드(123)의 후단에 부착된 피검출부(128)와, 기부(60)에 고정된 검출부(129)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검출부(129) 및 피검출부(128)는 충돌체(121)가 변위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서로 근접해서 대향된 위치에 있도록, 그리고 충돌체(121)가 변위된 때에는 서로 멀어지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검출 수단(121)은 검출부(129)와 피검출부(128)의 거리가 멀어진 것을 검출함으로써 충돌체(121)가 변위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실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 수단(127)의 검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제어 수단[기부(60)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56)을 제어하는 수단]에 입력되며, 충돌체(121)의 변위가 검출된 때에는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해 기부(60)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전 장치(120)를 설치함으로써 기부(60)의 이동 경로상에 장애물이 있어서 물품 출납체(100)가 이 장애물과 충돌한 경우에도 충돌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 및 물품 출납체(10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만일 기부(60)의 이동 경로상에 사람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충돌체(121)와 사람이 충돌한 때에는 즉시 기부(60)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안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 출납체(100)에 의한 물품(20)의 출납 작업이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각종 정지 위치 검출 수단을 갖추고 있다.
제 10 도는 물품 출납체(100)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부(60)의 이동방향(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정지 위치가 을바른 정지위치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검출 수단(130)은 바닥 레일(52)의 레일 지지대(52a)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피검출부(131)와, 기부(60)의 하부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검출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132)는 피검출부(131)와 겹쳐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피검출부(131)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한편 피검출부(131)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60)가 각 수납 선반(10)에 대해서 올바르게 정지한 때에 검출부(132)와 피검출부(131)가 서로 겹쳐지도록 레일 지지대(52a)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검출 수단(130)은 기부(60)가 올바른 정지위치에 정지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기(80)가 올바른 정지 위치에 정지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제 2 위치 검출 수단(140)도 설치하고 있다. 이 제 2 위치 검출 수단(140)은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70)에 부착된 피검출부(141)와, 승강기(80)의 새들(81)에 부착된 검출부(142)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142)는 피검출부(141)와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에 피검출부(141)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한편 피검출부(141)는 제 1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기(80)가 각 수납 선반(10)에 대해서 올바르게 정지한 때에 검출부(142)와 피검출부(141)가 서로 근접한 위치에 오도록 기둥(70)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위치 검출 수단(130, 140)의 검출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제어 수단[기부(60), 승강기(80) 및 출입체(90)의 구동을 제어하는 수단]에 입력되며, 구동 제어 수단은 물품 출납체(100)의 기부(60) 및 승강기(80)가 소정의 정지 위치에 정지한 때에 각 위치 검출 수단(130, 140)의 검출부(132, 142)가 피검출부(131, 141)를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출입체(90)에 의한 물품(20)의 수납 선반(10)으로부터의 출입을 일시 정지시킴과 동시에, 각 검출 수단(130, 140)의 각 검출부(132, 142)가 피검출부(131, 141)를 검출하도록 기부(60) 및 승강기(80)의 정지 위치를 수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검출 수단(130, 140)을 설치함으로써 각 구동 기어(58, 74)와 타이밍 벨트(54, 76) 사이에서 기어가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해도 이와 같은 원인으로 발생된 물품 출납체(100)와 수납 선반(10)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으므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채로 물품(20)의 출입이 이뤄져서 물품(20)이나 물품 출납체(100) 등에 손상을 입히는 사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체(90)가 올바른 복귀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제 3 위치 검출 수단(150)이 설치되어 있다. 제 11 도는 출입체(9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위치 검출 수단(150)은 출입체(90)의 고정체(91)에 부착된 검출부(151)와, 제 1 가동체(92)에 부착된 피검출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151)는 피검출부(152)와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에피검출부(152)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한편 피검출부(152)는 제 1 가동체(92)가 고정체(91)에 대해서 올바른 복귀 위치에 있을 때에 검출부(151)와 피검출부(152)가 서로 근접한 위치에 오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20)이 출입체(90)에 올바르게 얹혀져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물품 위치 검출 수단(1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 위치 검출 수단(160)은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광전관 등의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수광부(161)와, 출입체(90)를 파지한 상태로 수광부(161)와 마주한 위치에 설치된 투광부(162)를 갖추고 있다. 수광부(161)는 투광부(162)로부터의 빛이 차단됨으로써 수광부(161)와 투광부(162) 사이에 물체가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 수광부(161) 및 투광부(162)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체(90)의 전후 이동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을 두고 3개씩 설치되어, 출입체(90) 상에 물품(20)이 올바르게 얹혀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체(90)가 수납 선반(10)을 향해서 돌출될 때 출입체(9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탄성 스토퍼(1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 스토퍼(170)는 고정체(91)의 소정 위치에 부착된 지지 부재(171)와, 이 지지 부재(171)에 제 1 가동체(92)의 이동 방향(도면에서 좌우방향)을 따라서 변위가능하게 부착된 접촉 부재(172)와, 이 접촉 부재(172)의 선단부(172a)와 지지 부재(171) 사이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173)으로 구성된다. 탄성 스토퍼(170)는 제 1 가동체(92)가 수납 선반(10)을 향해서 돌출된 때에는, 접촉 부재(172)가 제 1 가동체(92)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돌출부(174)와 접촉하면서 코일 스프링(173)의 탄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변위해서, 제 1 가동체(92)의 이동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173)의 복원력에 의해 소정의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제 1 가동체(92)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수납 랙(12)의 구성에도 특징이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는 제 1 수납 랙(12)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 만큼 떨어져서 한쪽이 다른 쪽의 거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며, 제 1 수납 랙(12)이 가진 복수의 수납 선반(10)의 일부는 물품 반입 위치(A)와 물품 반출 위치(B) 사이에 돌출시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간의 효과적인 이용이 도모됨과 동시에, 상기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와, 이들 양 위치 사이에 돌출 설치된 수납 선반(10) 사이의 물품(20)의 반입 및 반출은 물품 출납체(100)의 좌우 이동방향으로의 이동을 대부분 동반하도록 승강기(8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기본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각 수납 선반(10)으로의 물품(20)의 출입 작업의 전체적인 시간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수납 선반 랙(14)에서는 상기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와 마주한 위치에도 수납 선반(10)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 출납체(100)의 구조에도 특징이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 출납체(100)의 기둥(70)에는 기부(60)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기둥(70)으로부터 돌출된 트러스형 부재(180)가 승강기(80)의 부착측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트러스형 부재(180)는 기둥(70)의 상단부와 기부(60)의 이동방향(도면에서 좌우방향)의 단부를 연결하는 주 부재(181)와, 상기 주 부재(181)와 기둥(70)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 부재(182)와, 상기 주 부재(181)와 기둥(70)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재(183)로 이루어지며,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재(183)의 주 부재(181)쪽 단부와 상기 경사 부재(182)의 주 부재(181)쪽 단부는 주 부재(181)에 함께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러스형 부재(180)를 설치함으로써 중량을 그다지 증대시키지 않고 기둥(7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며, 기둥(70)의 요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 창고의 작용을 설명한다.
통상, 물품 출납체(100)는 기부(60)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과, 승강기(80)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과, 출입체(9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조합함으로써, 물품 반입 위치(A)로 반입된 물품(20)을 받아들여 각 수납 선반(10)에 납입하기도 하고, 수납 선반(10)으로부터 취출된 물품(20)을 물품 반출 위치(B)로 이송하여 그 곳에서 물품(20)을 주고 받기도 한다.
한편, 수납 선반(10)에 수납된 물품(20)중에 불량품이 발견된 경우에는 그 불량품을 물품 출납체(100)가 취출 선반(16)으로 옮기며, 옮겨진 불량품을 사람 등이 취출 선반(16)의 뒤쪽으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물품(20)의 발췌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발췌된 물품을 이들 물품이 수납된 각 수납 선반(10)으로부터 취출 선반(16)으로 차례로 옮기며, 옮겨진 발췌 물품(20)을 취출 선반(16)의 뒤쪽에서 사람 등이 꺼내어 검사를 행한다.
이와 같이 취출 선반(16)을 설치함으로써, 수납 선반(10)에 수납된 물품(20) 중에서 불량품 등이 발견된 경우에는, 그 불량품을 다음 공정으로 반출하지 않고 수납 선반(10)으로부터 취출 선반(16)으로 옮겨서 그곳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물품(20)의 발췌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발췌 물품(20)을 각 수납 선반(10)으로부터 취출 선반(16)으로 옮겨서 그곳으로부터 취출함으로써 각 물품(20)을 효율이 좋도록 한꺼번에 발췌할 수 있으므로 발췌 검사를 높은 효율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창고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창고는 이러한 실시예의 구조적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창고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 2 도는 제 2 도에 도시한 자동 창고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자동 창고의 좌측면도,
제 4 도는 승강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한 승강기의 평면도,
제 6 도는 출입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에 도시한 출입체의 단면도,
제 8 도는 물품 출납체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제 9 도는 물품 출납체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제 10 도는 물품 출납체의 하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 11 도는 출입체의 부분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 12 도는 출입체에 부착된 탄성 스토퍼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 선반 12 : 제 1 수납 랙
14 : 제 2 수납 랙 16 : 취출 선반
18 : 인출 레일 20 : 물품
30 : 반입 장치 40: 반출 장치
50 : 물품 출납 장치 60 : 기부
70 : 기둥 80 : 승강기
90 : 출입체 100 : 물품 출납체
110 : 클램프 수단 115 : 가이드 부재
120 : 안전 장치 130, 140 : 위치 검출 수단
A : 물품 반입 위치 B : 물품 반출 위치

Claims (4)

  1. 상하좌우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납 선반(10)을 가진 수납 랙을 따라서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선반(10)으로부터 물품(20)을 출입함과 동시에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에서 상기 물품(20)을 주고 받는 출입체(90)를 구비한 물품 출납체(100)로 구성된 자동 창고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는 상기 수납 랙과 좌우방향으로 나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한쪽이 다른 쪽의 거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복수의 수납 선반(10)의 일부는 상기 물품 반입 위치(A)와 물품 반출 위치(B) 사이에 돌출시켜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출납체(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납 랙과 마주한 위치에는 제 2 수납 랙(14)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수납 랙(14)에는 상기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와 마주하는 위치에도 상기 복수의 수납 선반의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고.
  3. 상하좌우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납 선반(10)을 가진 수납 랙을 따라서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선반(10)으로부터 물품(20)을 출입함과 동시에 물품 반입 위치(A) 및 물품 반출 위치(B)에서 상기 물품(20)을 주고 받는 출입체(90)를 구비한 물품 출납체(100)로 구성된 자동 창고에 있어서,
    상기 수납 랙에는 상기 수납 선반(10)에 수납된 소정의 물품(20)을 상기 물품 출납체(100)에 의해 상기 수납 선반(10)으로부터 옮기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취출 선반(16)이 설치되고, 이 취출 선반(16)으로 옮겨진 상기 물품(20)이 상기 취출 선반(16)을 통하여 취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 선반(16)은, 상기 취출 선반(16)으로 옮겨진 상기 물품(20)을 상기 수납 랙의 뒤쪽으로부터 꺼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창고.
KR1019940014126A 1993-06-22 1994-06-22 자동창고 KR100322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50033 1993-06-22
JP5150033A JPH0710206A (ja) 1993-06-22 1993-06-22 自動倉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43A KR950000543A (ko) 1995-01-03
KR100322427B1 true KR100322427B1 (ko) 2002-06-20

Family

ID=1548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126A KR100322427B1 (ko) 1993-06-22 1994-06-22 자동창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0206A (ko)
KR (1) KR100322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256B1 (ko) * 2020-05-06 2020-09-02 최영석 재고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256B1 (ko) * 2020-05-06 2020-09-02 최영석 재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43A (ko) 1995-01-03
JPH0710206A (ja) 199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8316A (en)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having an extendible bin extraction mechanism with pop-up tabs
KR101259966B1 (ko) 물품 수납 설비
KR101350252B1 (ko) 물품 수납 설비
JPH02192923A (ja) 合成樹脂射出成形機から射出成形部材を搬出する装置
EP06887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box-shaped articles
KR0183493B1 (ko) 강판의 격납 및 입출고 설비
JPH0215441B2 (ko)
KR100322427B1 (ko) 자동창고
US20080317567A1 (en) Automatic handling of multiplex storage-goods carriers
US20030091411A1 (en) Automated storage extraction system
JP3864803B2 (ja) 格納設備
CN116745219A (zh) 用于自动储存和取出系统的存取站及其使用方法
CN210339559U (zh) 一种液晶面板翻转摆放装置
CN212449147U (zh) 一种自带搬运小车的自动上、下料搬运机构
CN111620013A (zh) 堆垛机、取放设备和立体仓库
JP3396771B2 (ja) デパイラ装置
JP3378871B2 (ja) 自動倉庫の安全装置
JP2771745B2 (ja) 物品の搬送装置
WO2019140360A1 (en)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integrated service platform
JPH0710216A (ja) 自動倉庫
JP2002154607A (ja) 背面ピッキング式パレット自動倉庫の安全装置
JP2532258Y2 (ja) 自動倉庫
JPH0710214A (ja) 自動倉庫
JP3405434B2 (ja) コンベヤ支持フレームとその支持フレームを用いたコンベヤ装置
JP2547525B2 (ja) 自動保管検索装置におけるピッカーによる物品の出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